KR20230146006A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006A
KR20230146006A KR1020237025109A KR20237025109A KR20230146006A KR 20230146006 A KR20230146006 A KR 20230146006A KR 1020237025109 A KR1020237025109 A KR 1020237025109A KR 20237025109 A KR20237025109 A KR 20237025109A KR 20230146006 A KR20230146006 A KR 2023014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user
response data
pre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네 헤다르쉐트
부르크하드 데트마르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14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10Machine learning using kernel methods, e.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1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 proportional output signal, e.g. from a thermis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61M2016/003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in the inspiratory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9Range sublocal,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72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testing or calibration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30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50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5Impedance, e.g. conductivity, capa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에 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선호 식별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에어로졸화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궐련, 시가, 시가릴로, 말아피우는 담배와 같은 전통적인 담배 제품을 금연하고자 하는 습관적인 흡연자를 지원하기 위한 보조 장치로서 지난 몇 년 동안 위험이 감소된 또는 위험이 수정된 장치(기화기라고도 함)의 인기와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종래의 담배 제품에서 담배를 태우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에어로졸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데우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장치들의 상이한 사용자들은 흡입된 에어로졸의 성분에 대해 상이한 선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사용자들은 상이한 니코틴 농도 또는 상이한 맛을 원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대안으로서 사용될 다양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다양한 에어로졸 성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진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흡입된 에어로졸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성분을 식별해야 한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에어로졸 성분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 제공하며, 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에 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선호 식별 시스템을 포함한다.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 및/또는 자발적 응답 데이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자발적 응답"은 의식적으로 선택되지 않고 의식적인 사용자 참여없이 측정될 수 있는 사용자의 반응이다. 대조적으로, "자발적 응답"은,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거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등급을 입력하는 것과 같은 의도적인 사용자 피드백이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의 각각에 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초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초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초기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은 팩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선호 에어로졸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미래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해당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식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의 초기 세트를 시험하는 과정을 통해 안내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로부터 발생하는 각 에어로졸은 상이한 성분의 감각 범위에 걸쳐 선택적으로 분포된다. 예를 들어, 감각 범위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성분의 각각의 강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하는 샘플링 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범위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에어로졸을 성공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후속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 및 초기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갱신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의 식별을 반복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복수의 후보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고, 복수의 후보 선호 에어로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에게 후보 선호 에어로졸들의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에어로졸을 성공적으로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개선한다.
또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후보 선호 에어로졸들 중에서 선호 에어로졸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후보 선택사항들 중에서 사용자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에어로졸을 선택하기 위한 간단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한편 이용가능한 선택사항들(후보 에어로졸들)이 사용자가 특히 선호하는 에어로졸을 포함할 가능성도 높인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수용하고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 중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에어로졸의 발생을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어, 다양한 에어로졸을 시험할 때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선택적으로, 선호 에어로졸의 표시를 수신하고,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 중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식별된 선호 에어로졸의 발생으로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챔버, 및 동시에 수용된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혼합하고 혼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기재 혼합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새로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선호 에어로졸을 더 높은 정확도로 식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에어로졸 선호에 관련짓는 미리 결정된 모델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사용자로부터의 보다 적은 데이터로 사용자의 선호 에어로졸이 더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복수의 훈련 사용자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복수의 훈련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델을 훈련시켜 선호 에어로졸을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훈련된 모델은 후속하여 특정 사용자로부터의 보다 적은 데이터로 사용자의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비자발적 응답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비자발적 응답의 표시를 포함한다. 비자발적 응답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피드백이 비자발적 응답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집되고 시스템이 사용자가 에어로졸 선호를 정확하게 표시하거나 정량화하는 데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센서는 심박수, 혈압, 피부 온도, 또는 전기적 피부 응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으며 이완 또는 스트레스 수준을 추론하거나 그 외에는 사용자 경험의 품질을 추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응답이다.
선택적으로, 센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센서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잡고 있을 때 사용자 근처에 있을 수 있거나 사용자와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벗어난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추가 액션도 필요로 하지 않고 비자발적 응답이 측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로부터 자발적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자발적 응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자발적 응답의 표시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자발적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비자발적 응답의 해석을 교정(calibrate)하여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자발적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비자발적 응답을 측정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이 간략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발생한 에어로졸을 흡입하고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 흡입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기류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에어로졸 흡입의 표시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흡입을 측정함으로써,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척도인 흡입 시간 또는 에어로졸이 흡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을 추가로 식별할 수 있어, 선호 에어로졸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식별하기 위한 기재 식별 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표시를 포함한다. 기재 식별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선호 식별 시스템에 수동으로 말할 필요가 없으며, 정확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또한,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것은 건강 특성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된 건강 특성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에어로졸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적합할 수 있는 에어로졸이 선택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을 포함하는 팩을 제공하며, 각 샘플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상이한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이한 각 에어로졸은 상이한 성분의 감각 범위에 걸쳐 분포되어, 각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이 식별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제2 양태에 따른 팩,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며, 키트는 제1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제1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 저장 매체에 또는 데이터 신호에 명령어로서 저장될 수 있고, 또는 회로에 하드 코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피드백 인터페이스에 위치하거나 이와 통신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에 대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팩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선택적 특징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b는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기 위한 훈련된 모델의 그래픽 묘사이다.
도 5c는 모델 훈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12) 및 제어 회로(13)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11)가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도록 일단에서 개구를 갖는 포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는 고체 패키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느슨한 물질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일례로,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는, 예를 들어, 담배 분말 및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무작위로 배향된 담배 가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에어로졸은 히터(121)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를 가열함으로써 발생한다. 히터는, 예를 들어, 박막 히터 또는 세라믹 히터의 형태로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블레이드 히터의 형태로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대신 분무기 또는 네뷸라이저(nebulizer) 등의 기타 수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획득하기 위한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는, 래퍼(111)가 기재(11)와 필터(112)를 감싸는 담배형 패키지에 제공된다.
제어 회로(13)는 가열 요소(121)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13)는 에어로졸 발생을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원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배터리(14)의 형태를 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포함된다. 대안으로, 제어 회로(13)에는 외부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11)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B 내지 11E)의 복수 샘플을 포함하는 팩(2)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11B 내지 11E)의 복수 샘플의 각각은 상이한 에어로졸올 발생시키는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로부터 발생하는 각 에어로졸은 상이한 성분의 감각 범위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에어로졸에 대해 다르게 반응할 것이며,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범위는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의 범위를 생성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성분의 각각의 강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기재는 상이한 강도의 니코틴 또는 민트와 같은 상이한 강도의 향을 가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팩(2)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트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또한,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대해 반응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비자발적 응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15)를 포함한다. 비자발적 응답은, 예를 들어, 각성 또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센서(1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비자발적 응답은, 각성의 지표로서 심박수, 혈압, 또는 전기적 피부 응답(여기서 전기적 피부 응답은 발한과 상관됨),또는 정서(affect)에 대한 지표로서의 피부 온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자발적 응답은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될 수 있고 노이즈 및 기준선 효과를 줄이기 위해 평균화되거나 정규화될 수 있다.
센서(15)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센서(16)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잡고 있을 때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고 손가락 끝을 통해 응답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에 위치한 센서는 전기적 피부 응답 및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사용자가 발생한 에어로졸을 흡입하고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서 에어로졸 흡입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기류 센서(16)를 포함한다. 이렇게 측정된 흡입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류 센서(16)는 마우스피스 내에 또는 마우스피스에 의해 위치할 수 있거나,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기류 센서(16)는 사용자에 의한 에어로졸 흡입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측정된 에어로졸 흡입은, 연속 흡입의 길이 또는 부피, 흡입 인스턴스의 빈도 또는 횟수, 및/또는 흡입의 강도 또는 압력 강하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에어로졸 흡입은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수 또는 비율의 퍼프는 즐겁거나 진정되는 에어로졸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적은 수 또는 비율의 퍼프는 더 오래 지속되는 응답을 유발하는 에어로졸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센서(15) 및/또는 기류 센서(16) 및/또는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의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는 별개일 수 있고, 각각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이거나 이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3)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센서는 심박수나 혈압과 같이 피부를 통한 비자발적 응답을 측정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손가락 끝을 통한 응답의 측정은 그다지 쉽지 않다.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스마트폰(4)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있는 스마트 장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와 스마트폰(4) 중 어느 하나는, 무선 통신 모듈(17)(도 1에도 도시됨)을 통해, 및 또한 선택적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같은 네트워크(5)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센서에 추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자발적 응답 데이터의 형태로 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4)은 사용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프롬프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은, 예를 들어, 1개 내지 5개의 별 등급인 에어로졸 등급 또는 다른 임의의 등급과 같은 정서적 호감 점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은, 또한, 현재 에어로졸과 이전에 사용된 에어로졸 간의 비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선호 식별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선호 식별은, 제어 회로(13)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격 처리 유닛(6)에서 구현된다. 원격 처리 유닛(6)은, 예를 들어, 물리적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원격 처리 유닛(6)은, 또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제어 회로(13)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흐름도를 사용하여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제어 회로(13) 및/또는 스마트폰(4) 및/또는 원격 처리 유닛(6) 내의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방법을 정의하는 명령어는, 네트워크 연결과 같은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설치 또는 갱신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어 회로(13), 스마트폰(4), 및/또는 원격 처리 유닛(6)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주문형 집적 칩(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hip; ASIC) 또는 다른 맞춤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에서, 제어 회로(13)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이한 에어로졸 각각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상이한 에어로졸의 발생은,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의 에어로졸의 발생, 및/또는 가열 요소(121)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의 상이한 강도의 에어로졸의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은, 팩(2)(도 1b)의 각 기재(11B 내지 11E)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1) 내로 사용자에 의해 스와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각 기재로부터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상이한 에어로졸은 바람직하게 개별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리 결정된 범위의 에어로졸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선호는 가능한 에어로졸 선호의 크지만 한정된 수로 제한될 수 있다.
단계 S2에서,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S2는 단계 S1의 상이한 에어로졸 각각에 대해 수행되며, 따라서 단계 S2는 단계 S1과 병행하여 수행된다.
일단 단계 S1 및 S2가 수행되어 복수의 상이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각 설정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였다면, 단계 S3에서, 제어 회로(13)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단계 S3에서, 제어 회로(13)는 사용자의 최대 이완을 나타내는 비자발적 응답에 연관된 에어로졸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센서(15)가 심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최저 심박수를 포함하는 비자발적 응답을 촉발한 에어로졸이 선호 에어로졸로서 식별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회로(13)는 식별된 에어로졸을 디폴트 에어로졸로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 내지 S3은 사용자의 선호 에어로졸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의 제1 반복은 팩(2) 내의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11)의 각각으로부터의 에어로졸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복은 순수한 에어로졸 생성 기재들 중 어느 것이 초기 선호 에어로졸로서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에어로졸을 제공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1 내지 S3의 후속 반복은, 하나 이상의 후속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대하여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 및 초기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갱신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할 수 있다.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회로(13)에 의해 직접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호 식별 시스템의 기능은 원격 처리 유닛(5)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식별 시스템은,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 회로(13)에 의해 획득된 미가공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단계 S3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선호 식별 시스템은, 실험 계획(Design of Experiment; DoE) 방안을 따르는 것과 같은 복잡한 학습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에 대한 비자발적 응답의 다차원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맵은 Tucker-I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기초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의 선택적 특징부를 예시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단계 S1 및 S2는 상술한 도 3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전에 수집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의 선택을 제시받는다.
단계 S31에서, 제어 회로(13) 또는 원격 처리 유닛(5)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후보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한다. 이 방법에서는, 선호 에어로졸 하나만을 자동으로 선택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개의 에어로졸이 후보로서 식별될 수 있다.
단계 S32에서는, 후보 선호 에어로졸(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시된다. 예를 들어, 후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 또는 스마트 장치(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선호 에어로졸은 사용자가 선호 에어로졸을 선택할 수 있는 감각 지도로서 제시될 수 있다.
단계 S33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될 선호 에어로졸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이어서, 선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회로(13)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단계 S4에서, 제어 회로(13)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를 제어하여 단계 S3(단계 S31 내지 S33)에서 식별된 선호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단계 S4는 선호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단계 S3에 대한 수정 및 단계 S4의 추가는 도 3의 방법의 독립적인 가능한 수정이다. 즉, 단계 S4가 선호 에어로졸이 식별되는 임의의 방법에 후속할 수 있다. 유사하게, 후속하여 단계 S34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 S31 내지 S33이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계 S33 및 S34는 생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계 S32에서 제시된 후보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의 추가적인 선택적 특징부를 예시하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제1 변형예와 조합될 수 있다. 단계 S1 및 S2는 전술한 도 3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5a의 수정된 방법에서, 도 3의 단계 S3은, 선호 식별 시스템이 단계 S2에서 획득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에어로졸 선호에 관련짓는 미리 결정된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대안 단계 S34로 대체된다.
이 모델은, 또한, 선호 에어로졸 이상을 예측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특성을 결정하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따라 가능한 다음 에어로졸의 식별 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사용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이전 에어로졸에 대한 응답이 활성 성분의 고 농도를 가졌다면, 활성 성분의 양이 임계값 미만으로 제한되는 에어로졸 발생 설정이 식별될 수 있다.
도 5b는 단계 S34에서 사용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모델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스케일링된 "과일향" 향미 특성 및 (니코틴 강도와 같은) 충격 특성에 대한 자발적 응답 데이터 또는 "좋아함"의 2D 히트 맵 및 3D 그래프를 도시한다. 2D 히트 맵과 3D 그래프는 모델의 일부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모델은 심박수 및 전기적 피부 응답과 같은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와 자발적 응답 데이터 간의 관계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훈련된 모델은, 일련의 그래프, 하나 이상의 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모델의 파라미터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사용자에 대하여 단계 S2에서 획득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모델을 피팅함으로써, 선호 식별 시스템은 개별 사용자에 대해 예측된 피크 "좋아함" 포인트를 식별할 수 있고, 피크에 연관된 에어로졸을 선호 에어로졸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도 5c는 사용자에 대한 선호 에어로졸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 훈련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적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장치의 초기 훈련 사용자의 테스트 샘플을 사용하여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통신하는 선호 식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5c의 방법은, 장치가 널리 배치될 때 장치의 사용자들 모두 또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서브세트로부터의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모델을 개선하기 위해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단계 S5에서, 선호 식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모델 훈련에 참여하는 복수의 훈련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집한다. 단계 S51 및 S52는 도 3의 단계 S1 및 S2와 유사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6에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함께 수집하여 모델을 훈련시킨다. 구체적으로, 모델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에어로졸을 예측하도록 훈련되며, 훈련은 복수의 훈련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한다. 이어서, 훈련된 모델은, 특정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기 위해 도 5a의 단계 S34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된 모델은, 사용자 응답 데이터와 선호 에어로졸 간을 맵핑하기 위해 제어 회로(13) 또는 원격 처리 유닛(5)에 저장된 미리 결정된 모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c의 방법은 도 5a의 방법과는 완전히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은 임의의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은 주성분 분석(PCA), 일반 선형 회귀 모델(General Linear Regression Models; GLM) 또는 부분 최소 제곱(Partial Least Square; PLS) 분석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 학습은 선호 에어로졸 이외의 속성을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미가공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각성 및 유발성과 같은 보다 일반적인 응답 특성으로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대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휘발성 오일과 같은 액체 에어로졸 기재이며, 담배 또는 니코틴과 같은 담배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복수의 기재 저장 챔버(11), 에어로졸 발생 챔버(12), 및 제어 회로(13)를 포함한다. 기재 저장 챔버(11) 각각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저장하고,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는 각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각 에어로졸 성분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 성분들을 혼합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13)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를 제어하고 기재 저장 챔버(11)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로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각 챔버(11)에 저장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상이한 에어로졸 성분을 생성하는 상이한 기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상이한 향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2개 이상의 기재 저장 챔버(11)가 동일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재 저장 챔버(11)는,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기재가 사용된 후 기재 저장 챔버(11)를 교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제거가능 카트리지(111)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제거가능 카트리지(111)는 도 1b의 팩(2)과 비교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각 기재 저장 챔버(11)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6에는 3개의 기재 저장 챔버(11)가 도시되어 있지만,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기재 저장 챔버(11)가 사용될 수 있다.
각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해당 기재 저장 챔버(11)로부터 튜브(18)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로 운반된다. 튜브(18)는 액체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구동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튜브(18)를 따라 흐르도록 모세관일 수 있다. 대안으로, 튜브(18)는 튜브(18)를 따라 각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8)는 기재 저장 챔버(11)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챔버(12)로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81)를 포함한다. 각 밸브(181)는, 상응하는 에어로졸 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각각의 에어로졸 생성 기재의 요구량에 따라 완전 폐쇄와 완전 개방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튜브(18)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을 혼합하고 혼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을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기재 혼합 요소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튜브(18)의 개별 분지는, 각 기재 저장 챔버(11)에 연결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이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에 도달하기 전에 함께 혼합되도록 밸브(181) 뒤에서 병합된다.
에어로졸 발생 챔버는 각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각 에어로졸 성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가열 요소(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는 튜브(18) 주위를 감싸는 저항성 코일이다. 가열 요소는 대안으로 예를 들어 평면 필름 히터일 수 있다.
튜브(18)의 분기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은 가열 요소(121)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혼합되어 있으므로, 에어로졸 성분들이 동시에 발생하고 혼합된다.
일단 에어로졸 성분들이 혼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였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는, 흡입에 의해 공기를 유입구(122)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챔버(12) 내로 그리고 마우스피스(123)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12) 밖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에어로졸을 장치 밖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도 6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성분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제공한다. 제어 회로(13)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12)에 의해 발생한 이들 에어로졸 성분의 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13)는, 가열 요소(12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밸브(181)를 제어하여 가열 요소(121)에 도달하는 결합된 액체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결합된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 성분들의 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13)는 전술한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식별된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의 비(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호 에어로졸은, 선호 에어로졸에 포함되어 있는 알려진 가능한 에어로졸 성분들의 세트의 상대량을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3)는, 함께 혼합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의 비(들)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한 에어로졸들의 임의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에 임의성을 도입함으로써, 가능한 에어로졸들의 보다 완벽한 탐색이 달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는 챔버(11)에 저장된 액체 기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혼합 성분의 개념은, 예를 들어, 분말 기재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고체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재(11)를 식별하기 위해 기재 식별 수단(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래퍼(111) 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거가능 카트리지(111)로부터 식별자 칩을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식별된 기재는,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피드백 인터페이스 또는 선호 식별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기재를 자동으로 식별함으로써, 선호 식별 시스템은, 사용 중인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동으로 표시할 필요 없이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특정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연관지을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사용 예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제공한다.
먼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처음으로 활성화된 후, 초기 학습 단계를 수행한다.
초기 학습 단계는 각각 다른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15개의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세션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각 세션 동안,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심박수, 혈압, 피부 온도, 및 전기적 피부 응답을 포함하는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에어로졸 흡입을 또한 모니터링한다. 각 세션 후, 사용자는 스마트폰(4)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에어로졸을 평가하여 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 흡입 데이터, 및 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선호 식별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원격 처리 유닛(6)에 전달한다.
원격 처리 유닛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선호 패턴을 결정한다.
원격 처리 유닛(6)은 선호 패턴을 스마트폰(4)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은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하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한다:
●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감각 지도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등고선 플롯,
● 각각의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 또는 발생한 에어로졸을 제어하는 각각의 다른 요인에 대해 사용자가 얼마나 잘 또는 나쁘게 반응했는지를 나타내는 막대 차트,
● 사용자 선호의 자동으로 생성된 텍스트 요약, 및
● 세션이 사용자의 이완 또는 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피드백.
일단 위의 초기 학습 단계가 완료되었다면, 원격 처리 장치(5)는 사용자가 즐길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에어로졸에 대한 제안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은 스마트폰(3)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은 추가 감각 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제안은 위에서 설명한 기계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응답 데이터는 에어로졸을 제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매개변수를 식별하도록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재적인 에어로졸들을 분류하고 특정 사용자에게 매력적일 가능성이 있는 제안된 에어로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Kano 모델을 사용하여 "필수 항목", "성능 동인", 또는 "유인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안된 에어로졸을 선택하기를 원할 때, 이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표시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스마트폰(3) 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선택(예를 들어 감각 지도 상의 선택)을 수신하고 이 선택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인터페이스에서 에어로졸을 제어함으로써 또는 추천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수동으로 삽입함으로써 선택을 지시할 수 있다.
일단 에어로졸이 선택되었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선택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세션을 제공하고, 추가 피드백 및 제안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추가 사용자 응답이 측정된다.
상술한 방법에서는 자발적 응답 데이터, 흡입 데이터, 및 비자발적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이 식별된다. 다른 데이터도 사용자 선호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 시간, 요일 및 위치와 같은 환경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선호 및 습관의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의 실시예 모두에서, 각각의 상이한 에어로졸은,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 및/또는 가열 요소(121)에 의해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강도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에어로졸은 바람직하게 개별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리 결정된 범위의 에어로졸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선호는 가능한 에어로졸 선호의 크지만 한정된 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5개의 향과 1개의 니코틴 성분)가 사용되는 경우, 각 기재는 3개 레벨(고, 중, 저) 중 하나에 포함되며, 가열 요소(121)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의 강도 또한 고, 중, 또는 저이어서,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에어로졸은 37 = 2187개이다.

Claims (20)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선호 식별 시스템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식별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초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초기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은 팩으로 제공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로부터 발생하는 각 에어로졸은 상이한 성분의 감각 범위에 걸쳐 분포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범위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성분의 각각의 강도 범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식별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후속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대하여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후속 사용자 응답 데이터 및 상기 초기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갱신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식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복수의 후보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선호 에어로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시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수용하고,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 중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선호 에어로졸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선호 에어로졸에 기초하여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들 중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 및 동시에 수용된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혼합하고 혼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기재 혼합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식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에어로졸 선호에 관련짓는 미리 결정된 모델에 기초하여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식별 시스템은,
    복수의 훈련 사용자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훈련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델을 훈련시켜 선호 에어로졸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비자발적 응답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상기 비자발적 응답의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심박수, 혈압, 피부 온도, 또는 전기적 피부 응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상기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발적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자발적 응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상기 자발적 응답의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생한 에어로졸을 흡입하고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 흡입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기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상기 에어로졸 흡입의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식별하기 위한 기재 식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는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8.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복수 샘플을 포함하는 팩으로서, 각 샘플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상이한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상이한 각 에어로졸은 상이한 성분의 감각 범위에 걸쳐 분포되어, 각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에어로졸이 식별될 수 있는, 팩.
  19. 제17항에 따른 팩,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키트.
  20.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발생한 에어로졸의 흡입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각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선호 에어로졸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25109A 2021-02-19 2022-0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KR20230146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8289 2021-02-19
EP21158289.5 2021-02-19
PCT/EP2022/054070 WO2022175449A1 (en) 2021-02-19 2022-02-18 Aerosol generation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006A true KR20230146006A (ko) 2023-10-18

Family

ID=7467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109A KR20230146006A (ko) 2021-02-19 2022-02-18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22266A1 (ko)
EP (1) EP4294221A1 (ko)
JP (1) JP2024506490A (ko)
KR (1) KR20230146006A (ko)
CN (1) CN117015324A (ko)
WO (1) WO20221754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06026A (es) * 2016-11-23 2020-08-17 Cloudmode Analytics Corp Sistema integrado de clasificacion distribuida, prediccion y respuesta.
DE102017123867A1 (de) * 2017-10-13 2019-04-18 Hauni Maschinenbau Gmbh Inhalator, insbesondere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WO2020023547A1 (en) * 2018-07-23 2020-01-30 Wellness Insigh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consumable media dos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2266A1 (en) 2024-04-18
WO2022175449A1 (en) 2022-08-25
CN117015324A (zh) 2023-11-07
EP4294221A1 (en) 2023-12-27
JP2024506490A (ja)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282B2 (en) Inhalation device including substance usage controls
CN106998818B (zh) 基于吸入行为进行用户识别的吸入装置
RU27689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JP2022512283A (ja) 電子タバコ
CN111726996B (zh) 气溶胶生成装置、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9788803A (zh) 包括选择器的气溶胶递送装置及相关方法
JP2022512062A (ja) 電子タバコ
US20220000182A1 (en) Vaporizer devices and accessories with integrated sensors
KR20230146006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Stroup et al. An introduction to the electronic waterpipe
JP74110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82293A1 (en)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20163453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위한 전력 관리
EP4285973A1 (en)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534460A (zh) 用于促进消费者吸烟习惯改变的系统和方法
WO2023157898A1 (ja) 香味吸引器具又はエアロゾル生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3079759A1 (ja) 情報処理装置、加熱プロファイル変更方法、及び加熱プロファイル変更プログラム
WO2024095454A1 (ja) 情報処理装置、吸引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WO2022029936A1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WO202311221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17506A1 (en) Closed loop drug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Cavanaugh A correlational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E-cigarette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E-cigarette users held by Nurse Anesthetists
KR20240021602A (ko) 디지털 맛 및 디지털 향 구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96571A (ko) 흡입 능력에 대한 상태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40021598A (ko) 디지털 맛 및 디지털 향 구현을 위한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