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947A -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 Google Patents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947A
KR20230145947A KR1020230056724A KR20230056724A KR20230145947A KR 20230145947 A KR20230145947 A KR 20230145947A KR 1020230056724 A KR1020230056724 A KR 1020230056724A KR 20230056724 A KR20230056724 A KR 20230056724A KR 20230145947 A KR20230145947 A KR 2023014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extension
pair
l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ublication of KR2023014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6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누름판 및 한 쌍의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GARBAGE CAN LID FOR COMPRESSING GARBAGE}
본 발명은 쓰레기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판들을 포함하는 쓰레기 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었던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세트"(특허공개번호: KR10-2021-0105500, 공개일: 2021년08월27일)는 쓰레기통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없음으로 인하여 크기가 다른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기에 불편하였고, 또한 쓰레기통 뚜껑이 누름판을 가질 뿐 확장판들을 갖지 않음으로써 쓰레기통의 크기가 다를 경우 효율적인 압축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확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고, 또한 누름판 및 확장판들을 갖는 쓰레기통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base), 복수의 통 섹션(section), 승강판,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사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지지대들의 한 쪽이 상기 통 섹션들과 힌지 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의 다른 한 쪽이 상기 승강판과 힌지 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상부가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승강판 위에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가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 섹션들이 틈새 메꿈 판을 갖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통 섹션들과 상기 승강판 사이의 틈이 상기 틈새 메꿈 판들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하판과 측판을 가지며,
또한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하부 코너에 코너 구멍을 갖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조립될 때 상기 지지대들의 한 쪽이 상기 통 섹션들과 각각 결합되는 작업의 일부가 상기 통 섹션들의 외측에서 상기 코너 구멍들을 통해 각각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들의 한 쪽이 상기 통 섹션들과 각각 결합된 상태가 상기 통 섹션들의 외측에서 상기 코너 구멍들을 통해 각각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 복수의 통 섹션, 승강판,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사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틈새 메꿈 판을 갖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통 섹션들과 상기 승강판 사이의 틈이 상기 틈새 메꿈 판들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하판과 측판을 가지며,
또한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하부 코너에 코너 구멍을 갖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조립될 때 상기 지지대들의 한 쪽이 상기 통 섹션들과 각각 결합되는 작업의 일부가 상기 통 섹션들의 외측에서 상기 코너 구멍들을 통해 각각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들의 한 쪽이 상기 통 섹션들과 각각 결합된 상태가 상기 통 섹션들의 외측에서 상기 코너 구멍들을 통해 각각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 복수의 통 섹션, 승강판,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사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상기 승강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상기 통 섹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판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높낮이 고정 빗장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와 결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섹션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높낮이 고정 빗장이 상기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판의 높낮이가 고정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높낮이 고정 빗장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와 결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섹션이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 및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높낮이 고정 빗장이 상기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판의 높낮이가 고정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 복수의 통 섹션, 승강판, 복수의 지지대, 그리고 높낮이 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상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상기 승강판의 위쪽에 상기 높낮이 조절판이 위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판이 일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상기 통 섹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판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상기 통 섹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판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높낮이 고정 빗장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와 결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섹션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높낮이 고정 빗장이 상기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판의 높낮이가 고정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상기 통 섹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판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가 높낮이 고정 빗장을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고정 장치와 결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 섹션이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 및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높낮이 고정 빗장이 상기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판의 높낮이가 고정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 섹션들이 각각 틈새 메꿈 판을 갖고,
상기 승강판 및 상기 높낮이 조절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통 섹션들과 상기 높낮이 조절판 사이의 틈이 상기 틈새 메꿈 판들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 및 쓰레기통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 위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얹혀지거나 또는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위쪽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위치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 복수의 통 섹션, 승강판,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상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누름판 및 한 쌍의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축에 키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키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축과 상기 스페이서가 함께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는 각도는 90 도이거나 또는 80 도 내지 100 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다른 한 쌍의 확장판, 하나의 스페이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위치하되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서로 교차하며,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한 몸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지고,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복수의 뚜껑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섹션들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났을 때 상기 뚜껑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뚜껑 섹션에 상기 누름판 및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통의 내측에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두리 덮개 상판 및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을 갖는 테두리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덮개가 상기 외통과 상기 쓰레기통 뚜껑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은, 확장 가능한 통 및 테두리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 위에 상기 테두리 덮개가 얹혀지거나 또는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위쪽에 상기 테두리 덮개가 위치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베이스, 복수의 통 섹션, 승강판,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갖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상형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내로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통 섹션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통 섹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상기 승강판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상기 테두리 덮개가 테두리 덮개 상판, 제 1 지지부, 그리고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을 갖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상부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이 상기 제 1 지지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덮개가 제 2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상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의 상부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이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통의 내측에 상기 확장 가능한 통이 위치하고;
상기 테두리 덮개가 외측 둘레 벽을 갖고,
상기 외통의 상단부가 상기 테두리 덮개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외통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 둘레 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외측 둘레 벽과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누름판 및 한 쌍의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축에 키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키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축과 상기 스페이서가 함께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는 각도는 90 도이거나 또는 80 도 내지 100 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다른 한 쌍의 확장판, 하나의 스페이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위치하되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서로 교차하며,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한 몸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지고,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복수의 뚜껑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섹션들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났을 때 상기 뚜껑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뚜껑 섹션에 상기 누름판 및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 있어서, 쓰레기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통 위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얹혀지거나 또는 상기 쓰레기통 위쪽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쓰레기통이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그에 포함된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 또는 수축 될 수 있으며, 또한 승강판에 의해 또는 승강판 및 높낮이 조절판에 의해 확장 가능한 통의 내측의 상하 깊이가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크기가 다른 쓰레기 봉투나 종량제 봉투의 사용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누름판 및 확장판들을 가짐으로써 쓰레기통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효율적인 쓰레기 압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쓰레기통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쓰레기통 뚜껑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에서 앞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쓰레기통 뚜껑에서 앞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쓰레기통 뚜껑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쓰레기통 뚜껑에서 키(key)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는 도 4의 (B)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A)와 (B)는 도 4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을 일정 각도 기울여 누름판이 보이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A)와 (B)는 도 6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는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section)에 키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는 키가 일정 각도 회전됨으로써 확장판들이 뚜껑 섹션의 밖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는 맨 아래쪽의 섹션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의 일부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의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하나의 스페이서(spacer) 및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 그리고 그것들과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는 축 및 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와 (B)는 도 8의 (A)와 (B)에서 뚜껑 섹션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와 (B)는 도 11의 (A)와 (B)의 한 쌍의 확장판, 다른 한 쌍의 확장판, 그리고 키 등이 뒤집혀 그 위쪽 부분들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는 쓰레기통 뚜껑에서 뚜껑 섹션(8EA) 대신에 포함될 수 있는 뚜껑 섹션(8EB)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B)는 확장판들이 뚜껑 섹션의 밖을 향해 각각 일정 길이 슬라이딩하여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A)와 (B)는 도 13의 (A)와 (B)에서 뚜껑 섹션이 제거되고, 확장판들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는 도 13의 (A)의 뚜껑 섹션의 아래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B)는 도 13의 (B)의 뚜껑 섹션의 아래쪽을 나타낸 것이다.
16의 (A)는 도 15의 (A)에서 뚜껑 섹션이 제거되고 확장판들의 상태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B)는 도 15의 (B)에서 뚜껑 섹션이 제거되고 확장판들의 상태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7의 (A)는 뚜껑 섹션의 위쪽에 상부 버튼(19A)과 상부 버튼(19B)이 위치하고, 아래쪽에 하부 버튼(24A)과 하부 버튼(24B)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뚜껑 섹션의 밖을 향해 확장판들이 각각 슬라이딩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A)와 (B)는 쓰레기통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되어 위치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A)는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B)는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의 (A)와 (B)는 도 19의 (A)와 (B)의 확장 가능한 통의 내측에 설치된 승강판이 각각 보이게 한 것이다.
도 21은 베이스(base)와 한 개의 통 섹션(section)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베이스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앞쪽의 두 개의 통 섹션들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A)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두 개의 통 섹션 중에 한 개의 통 섹션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통 섹션들의 각각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6의 (A)는 승강판의 모습을 별도로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의 승강판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도 26의 (B)의 승강판을 다소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8의 (A)와 (B)는 승강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들 및 버튼 이동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의 (A)와 (B)는 높낮이 고정 장치를 각각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0의 (A)와 (B)는 도 28의 (A)와 (B)의 승강판 및 그에 설치된 한 쌍의 높낮이 고정 장치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지지대들의 각각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2는 베이스 위에 한 개의 통 섹션이 위치하여, 베이스와 한 개의 통 섹션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3은 도 32의 베이스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4의 (A)는 승강판의 위쪽에 높낮이 조절판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의 (B)는 도 34의 (A)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높낮이 조절판이 승강판의 위쪽에 위치하되, 높낮이 조절판이 하방으로 다소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는 도 34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승강판 및 높낮이 조절판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의 (A)는 높낮이 조절판의 형상을 별도로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6의 (B)는 도 36의 (A)의 높낮이 조절판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의 (A)와 (B)는 높낮이 조절판에 높낮이 고정 장치들 및 버튼 이동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8의 (A)와 (B)는 도 37의 (A)와 (B)의 높낮이 조절판 및 그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장치들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의 (A)는 승강판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9의 (B)는 도 39의 (A)의 승강판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0은 도 24의 확장 가능한 통과는 다른 형상의 통 섹션, 다른 형상의 승강판, 그리고 다른 형상의 지지대들을 갖는 확장 가능한 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1은 도 40의 확장 가능한 통에 포함된 통 섹션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2는 도 40의 확장 가능한 통에 포함된 승강판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3은 도 40의 확장 가능한 통에 포함된 지지대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5의 (A)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쓰레기통 뚜껑이 힌지 방식에 의해 위쪽으로 일정 각도 젖혀져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의 (B)는 확장판들이 각각 밖을 향해 펼쳐져 확장되고,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6의 (A)와 (B)는 쓰레기통 뚜껑 및 테두리 덮개가 쓰레기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7의 (A)는 쓰레기통 뚜껑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7의 (B)는 도 47의 (A)의 쓰레기통 뚜껑에서 키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8의 (A)와 (B)는 도 47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9의 (A)와 (B)는 도 48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이 각각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0의 (A)와 (B)는 도 48의 쓰레기통 뚜껑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51의 (A)와 (B)는 도 50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이 각각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2는 테두리 덮개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3은 도 52의 테두리 덮개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4의 (A)는 도 44의 쓰레기통 세트에서 쓰레기통만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4의 (B)는 도 54의 (A)의 쓰레기통에서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5의 (A)와 (B)는 도 54의 (A)와 (B)의 쓰레기통에서 외통이 제거되고, 확장 가능한 통만 남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6의 (A)는 도 55의 확장 가능한 통에 포함된 통 섹션들 중에 하나의 통 섹션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6의 (B)는 도 56의 (A)의 통 섹션의 뒤쪽이 앞을 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7은 도 55의 (A)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앞쪽의 두 개의 통 섹션들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8은 도 57의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9는 승강판과 높낮이 조절판 사이에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0은 도 59의 확장 가능한 통에서 승강판 및 높낮이 조절판이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1은 확장 가능한 통이 수축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들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2는 확장 가능한 통이 확장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들이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쓰레기통 세트(1)는 쓰레기통(5) 및 쓰레기통 뚜껑(2)을 포함한다.
쓰레기통(5) 위에 쓰레기통 뚜껑(2)이 얹혀지거나, 또는 쓰레기통(5) 위쪽에 쓰레기통 뚜껑(2) 위치할 수 있다.
쓰레기통(5)과 쓰레기통 뚜껑(2)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B)는 쓰레기통(5)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2)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는 도 1의 쓰레기통 뚜껑(2)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앞쪽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맨 위쪽의 뚜껑 섹션(8A)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1)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으로 뚜껑 섹션 상판(3)을 눌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날 수 있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앞쪽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쓰레기통 뚜껑(2)에 포함된 복수의 뚜껑 섹션들(8A, 8B, 8C, 8D, 8EA)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신축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 쓰레기통 뚜껑(2)은 다섯개의 뚜껑 섹션들(8A, 8B, 8C, 8D, 8EA)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5단의 신축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의 (B)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 위쪽의 뚜껑 섹션(8A)과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 사이에 한 개 이상의 누름판 이동 스프링(9A, 9B, 9C, 9D)이 연결될 수 있다.
누름판 이동 스프링들(9A, 9B, 9C, 9D)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의 쓰레기통 뚜껑(2)이 도 3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나게 되면, 도 3의 (B)에서처럼 누름판 이동 스프링들(9A, 9B, 9C, 9D)이 일정 길이 늘어나게 된다.
도 3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쓰레기통 뚜껑(2)은 누름판 이동 스프링들(9A, 9B, 9C, 9D)이 수축됨으로써 도 2에서처럼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 및 그 하부에 형성된 누름판(10, 도 6 및 도 7 참조)이 상방으로 복귀 됨으로써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상방으로 수축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쓰레기통 뚜껑(2)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키(key,4)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는 도 4의 (B)의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B)의 쓰레기통 뚜껑(2)은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의 외측면의 밖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도 6의 (A)와 (B)는 도 4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2)을 일정 각도 기울여 그 아래쪽에 위치한 누름판(10)이 보이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A)와 (B)는 도 6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누름판(10)의 위쪽에 한 쌍의 확장판(14A, 14B)이 위치하고, 한 쌍의 확장판(14A, 14B)의 위쪽에 다른 한 쌍의 확장판(14C, 14D)이 위치하고 있다.
도 4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도 4의 (B)에서처럼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도 6의 (B)에서처럼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의 외측면의 밖으로 또는 누름판(10)의 가장자리 밖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서처럼 쓰레기통 뚜껑(2)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나게 되면 확장 가능한 통(7) 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담겨 있는 쓰레기가 누름판(10)에 의해, 또는 누름판(10) 및 확장판들(14A, 14B, 14C, 14D)에 의해 눌려 압축될 수 있다.
도 8의 (A)는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에 키(4)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는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됨으로써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뚜껑 섹션(8EA)의 외측면 밖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뚜껑 섹션(8EA)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뚜껑 섹션(8EA)에서 한쪽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대고 있으며, 도 9의 (C)는 다른 한쪽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 섹션(8EA)은 상부에 뚜껑 섹션 상판(3)을 가질 수 있으며, 측면들에 확장판 이동 구멍들(15A, 15B, 15C, 15D)을 가질 수 있다.
확장판 이동 구멍들(15A, 15B, 15C, 15D)이 각각 좁고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다.
확장판 이동 구멍(15A)과 확장판 이동 구멍(15B)이 서로 마주 보고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확장판 이동 구멍(15C)과 확장판 이동 구멍(15D)이 서로 마주 보고 형성되어 있다.
확장판 이동 구멍들(15A, 15B)의 위쪽에 확장판 이동 구멍들(15C, 15D)이 위치하되 확장판 이동 구멍들(15A, 15B)의 방향과 확장판 이동 구멍들(15C, 15D)의 방향이 서로 교차한다.
확장판 이동 구멍들(15A, 15B)의 방향과 확장판 이동 구멍들(15C, 15D)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각도가 90도가 되거나 또는 80도 내지 100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확장판 이동 구멍(15A)을 통하여 확장판(14A)이 일정 거리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확장판 이동 구멍(15B)을 통하여 확장판(14B)이 일정 거리 슬라이딩될 수 있다.
확장판 이동 구멍(15C)을 통하여 확장판(14C)이 일정 거리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확장판 이동 구멍(15D)을 통하여 확장판(14D)이 일정 거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10은 스페이서(spacer, 17A), 스페이서(17B), 축(12), 그리고 키(key, 4)가 한 몸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 몸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스페이서(17A)의 위쪽에 스페이서(17B)가 위치하되 스페이서(17A)와 스페이서(17B)가 서로 교차한다.
스페이서(17A)와 스페이서(17B)가 서로 교차함으로써 ╋ 자의 형상을 이루거나, 또는 그 교차하는 각도가 90도가 되거나 또는 80도 내지 100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 섹션(8EA)에 상부 구멍(16A)과 하부 구멍(16B)이 형성될 수 있다.
축(12)이 상부 구멍(16A)과 하부 구멍(16B) 내에 삽입됨으로써, 축(12)이 그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축(12)이 그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그와 한 몸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된 스페이서(17A)와 스페이서(17B)도 함께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도 11의 (A)와 (B)는 도 8의 (A)와 (B)에서 뚜껑 섹션(8EA)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확장판(14A,14B)의 위쪽에 다른 한 쌍의 확장판(14C, 14D)이 위치한다.
한 쌍의 확장판(14A,14B)의 위쪽에 다른 한 쌍의 확장판(14C, 14D)이 위치하여 서로 교차할 때, 그 교차하는 각도는 90도이거나, 또는 80 도 내지 10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의 (A)와 (B)는 도 11의 (A)와 (B)의 한 쌍의 확장판(14A, 14B), 한 쌍의 확장판(14C, 14D), 그리고 키(4) 등이 뒤집혀 그 위쪽 부분들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14A)과 확장판(14B) 사이에 스페이서(17A)가 위치할 수 있고, 확장판(14C)과 확장판(14D) 사이에 스페이서(17B)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됨으로써 스페이서(17A)에 의해 한 쌍의 확장판(14A, 14B)이 양쪽으로 벌어져 일정 거리 서로 멀어지고, 스페이서(17B)에 의해 한 쌍의 확장판(14C, 14D)도 양쪽으로 벌어져 일정 거리 서로 멀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14C)과 확장판(14D)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18C, 18D)이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14A)과 확장판(14B)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18A, 18B)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의 (B)에서처럼 확장판(14C)과 확장판(14D)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멀어진 상태에서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18C, 18D)에 의해 도 11의 (A)에서처럼 확장판(14C)과 확장판(14D)이 서로를 향해 또는 양쪽 가운데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서로 가까워지거나 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B)에서처럼 확장판(14A)과 확장판(14B)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멀어진 상태에서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18A, 18B)에 의해 도 12의 (A)에서처럼 확장판(14A)과 확장판(14B)이 서로를 향해 또는 양쪽 가운데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서로 가까워지거나 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확장판 이동 스프링들(18A, 18B) 및 확장판 이동 스프링들(18C, 18D)이 각각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 및 그와 결합된 확장판들(14A, 14B, 14C, 14D) 대신에 도 13과 같은 뚜껑 섹션(8EB) 및 그와 결합되는 확장판들(21A, 21B, 21C, 21D)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 섹션(8D)의 아래쪽에 뚜껑 섹션(8EB)이 위치하여, 뚜껑 섹션(8D)과 뚜껑 섹션(8EB)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뚜껑 섹션(8EB)에서 확장판들(21A, 21B, 21C, 21D)이 뚜껑 섹션(8EB)의 밖을 향해 각각 일정 길이 슬라이딩하여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뚜껑 섹션(8EB)의 뚜껑 섹션 상판(3)에는 상부 홈(20A)과 상부 홈(20B)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버튼(19A)이 상부 홈(20A)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상부 버튼(19B)이 상부 홈(20B)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 14의 (A)와 (B)는 도 13의 (A)와 (B)에서 뚜껑 섹션(8EB)이 제거되고, 확장판들(21A, 21B, 21C, 21D)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확장판(21A, 21B) 위에 다른 한 쌍의 확장판(21C, 21D)이 위치하고 있으며, 한 쌍의 확장판(21A, 21B)과 다른 한 쌍의 확장판(21C, 21D)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한 쌍의 확장판(21A, 21B)과 다른 한 쌍의 확장판(21C, 21D)이 서로 교차하는 각도는 90도이거나, 또는 80 도 내지 10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확장판(21C, 21D) 중에 한 개의 확장판(21C) 위에 다른 한 개의 확장판(21D)이 위치하고 있다.
확장판(21D)이 상부 버튼(19A)을 갖고, 확장판(21C)이 상부 버튼(19B)을 갖는다.
확장판(21D)이 확장판 홈(23)을 갖고, 확장판(21C)이 버튼 지지대(22)를 갖는다.
한 쌍의 확장판(21C, 21D)이 도 14의 (B)에서처럼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한 쌍의 확장판(21C, 21D)이 도 14의 (A)에서처럼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확장판(21C)과 확장판(21D)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확장판(21C)과 확장판(21D)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버튼 지지대(22)가 확장판 홈(23)의 내측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도 15의 (A)는 도 13의 (A)의 뚜껑 섹션(8EB)의 아래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B)는 도 13의 (B)의 뚜껑 섹션(8EB)의 아래쪽을 나타낸 것이다.
뚜껑 섹션(8EB)의 누름판(10)에는 하부 홈(25A)과 하부 홈(25B)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버튼(24A)이 하부 홈(25A)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하부 버튼(24B)이 하부 홈(25B)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 16의 (A)와 (B)는 도 15의 (A)와 (B)에서 뚜껑 섹션(8EB)이 제거되고, 확장판들(21A, 21B, 21C, 21D)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확장판(21A, 21B) 중에 한 개의 확장판(21A) 위에 다른 한 개의 확장판(21B)이 위치하고 있다.
확장판(21A)이 하부 버튼(24A)을 갖고, 확장판(21B)이 하부 버튼(24B)을 갖는다.
확장판(21A)이 확장판 홈(27)을 갖고, 확장판(21B)이 버튼 지지대(26)를 갖는다.
한 쌍의 확장판(21A, 21B)이 도 16의 (B)에서처럼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한 쌍의 확장판(21A, 21B)이 도 16의 (A)에서처럼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확장판(21A)과 확장판(21B)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확장판(21A)과 확장판(21B)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버튼 지지대(26)가 확장판 홈(27)의 내측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다.
도 17의 (A)는 뚜껑 섹션(8EB)의 위쪽에 상부 버튼(19A)과 상부 버튼(19B)이 위치하고, 아래쪽에 하부 버튼(24A)과 하부 버튼(24B)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뚜껑 섹션(8EB)에서 확장판들(21A, 21B, 21C, 21D)이 뚜껑 섹션(8EB)의 밖을 향해 각각 슬라이딩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A)와 (B)는 쓰레기통(5)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2)이 위로 일정 거리 분리되어 위치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외통(6) 위에 쓰레기통 뚜껑(2)이 얹혀지거나 또는 외통(6)의 위쪽에 쓰레기통 뚜껑(2)이 위치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통(7) 위에 쓰레기통 뚜껑(2)이 얹혀지거나 또는 확장 가능한 통(7)의 위쪽에 쓰레기통 뚜껑(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은 도 5의 (A)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이다.
도 18의 (B)의 쓰레기통 뚜껑(2)은 도 5의 (B)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나고,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맨 아래쪽의 뚜껑 섹션(8EA)의 밖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이다.
도 18의 (A)의 쓰레기통(5)은 외통(6)의 내측에 위치한 확장 가능한 통(7)이 도 19의 (A)에서처럼 수축된 상태이며, 도 18의 (B)의 쓰레기통(5)은 외통(6)의 내측에 위치한 확장 가능한 통(7)이 도 19의 (B)에서처럼 확장된 상태이다.
도 18의 (B)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에서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뚜껑 섹션(8EA)의 밖으로 각각 돌출되면 확장 가능한 통(7)에 담겨있는 쓰레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도 19의 (A)와 (B)는 도 18의 (A)와 (B)의 쓰레기통(5)에서 외통(6)이 제거되고, 확장 가능한 통(7)만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쓰레기통(5)이 확장 가능한 통(7)을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통(5)이 외통(6)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통(7)이 외통(6)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외통(6) 및 쓰레기통 뚜껑(2)의 수평 단면이 각각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외통(6) 및 쓰레기통 뚜껑(2)의 수평 단면이, 예를 들어, 각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될 수도 있다.
확장 가능한 통(7)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확장 가능한 통(7)의 수평 단면이,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될 수도 있다.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25에서와 같은 복수의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도 22에서와 같은 베이스(39, base) 위에 위치하여, 베이스(39)와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결합되어 있다.
도 20의 (A)와 (B)는 도 19의 (A)와 (B)의 확장 가능한 통(7)의 내측에 설치된 승강판(28)이 각각 보이도록 한 것이다.
승강판(28) 위에 쓰레기가 직접 놓여지거나, 또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가 승강판(28) 위에 얹혀지고,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의 상부가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 둘레에 씌워질 수 있다.
승강판(28) 위에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가 놓여질 수 있도록 승강판(28)의 상부가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은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베이스(39)와 통 섹션(32A)만을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22와 같은 베이스(39) 위에 통 섹션(32A)이 위치하고, 통 섹션(32A)의 안내로 결합부(38)에 형성된 홈(46)에 레일(rail) 형상의 안내로(40A)가 삽입됨으로써, 통 섹션(32A)이 안내로(40A)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19의 다른 통 섹션들(32B, 32C, 32D)도 안내로들(40B, 40C, 40D)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22의 베이스(39)는 한 개 이상의 안내로(40A, 40B, 40C, 40D)를 갖고, 한 개 이상의 안내로(40A, 40B, 40C, 40D)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사형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통 섹션(32A, 32B, 32C, 32D)이 한 개 이상의 안내로(40A, 40B, 40C, 40D)를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39)와 복수의 통 섹션(32A, 32B, 32C, 32D)이 결합된다.
도 22에서 베이스(39)가 네 개의 안내로(40A, 40B, 40C, 40D)를 갖고, 네 개의 안내로(40A, 40B, 40C, 40D)가 네 갈래로 방사하여 ╋ 자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23은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두 개의 통 섹션(32A, 32B)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의 (A)는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통 섹션들(32C, 32D)의 측판(54)이 승강판(28)을 중심으로 승강판(28)을 향하여 각각 이동됨으로써, 측판(54)들이 승강판(28) 가까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승강판(28)과 접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3의 (B)는 승강판(28)이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이 뉘여진 상태가 되고, 측판(54)들이 승강판(28)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23의 (A)에서처럼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측판(54)들이 승강판(28) 가까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승강판(28)과 접하고, 확장 가능한 통(7)이 수축된 상태이다. (도 20의 (A)에서는 측판들에 도면 부호가 표시되지 않음.)
도 20의 (B)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23의 (B)에서처럼 승강판(28)이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측판(54)들이 승강판(28)으로부터 멀어지고,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이다. (도 20의 (B)에서는 측판들에 도면 부호가 표시되지 않음.)
도 24는 도 23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통 섹션(32D)이 제거되고, 확장 가능한 통(7)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통 섹션(32A, 32B, 32C, 32D)의 각각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에서는 4 개의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표시되어 있음.)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각각 측판(54)과 하판(52)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겹침판(55)을 가질 수 있다.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각각 돌기(50)를 가질 수 있다.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각각 코너 구멍(51)을 가질 수 있다.
도 26의 (A)는 도 20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된 승강판(28)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의 승강판(28)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도 26의 (B)의 승강판(28)을 다소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판(28)은 돌기(82)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8은 승강판(28)에 도 29와 같은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의 (A)의 높낮이 고정 장치(29A)와 (B)의 높낮이 고정 장치(29B)는 각각 높낮이 고정 버튼(30)과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높낮이 고정 버튼(30) 사이에 버튼 이동 스프링(31)이 설치될 수 있다.
버튼 이동 스프링(31)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승강판(28)에 버튼 이동 스프링(31)이 설치되는 위치와 방식은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8의 (A)는 버튼 이동 스프링(31)에 의해 한 쌍의 높낮이 고정 버튼(30)이 밀려 이동됨으로써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승강판(28)의 외측면의 밖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8의 (B)는 한 쌍의 높낮이 고정 버튼(30)이 양쪽 가운데를 향해 밀려 이동됨으로써 버튼 이동 스프링(31)이 수축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승강판(28)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0의 (A)와 (B)는 도 28의 (A)와 (B)의 승강판(28) 및 그에 설치된 한 쌍의 높낮이 고정 장치(29A, 29B)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대(72A, 72B, 72C, 72D)의 각각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1에서는 네 개의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이 표시되어 있음.)
확장 가능한 통(7)은 승강판(28)과 복수의 통 섹션(32A, 32B, 32C, 32D) 사이에 복수의 지지대(72A, 72B, 72C, 72D)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쪽에 형성된 돌기 삽입 구멍(76)들에 승강판(28)에 형성된 돌기(82)들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 쪽이 승강판(28)과 힌지(hinge) 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다른 한쪽에 각각 형성된 돌기 삽입 구멍(74)에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에 각각 형성된 돌기(50)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다른 한 쪽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과 힌지 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이 각각 하부 코너에 코너 구멍(51)을 가짐으로써,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 쪽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과 각각 결합될 때, 그 결합 작업의 일부가 상기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코너 구멍(51)들을 통해 각각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 쪽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과 각각 결합된 상태가 상기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코너 구멍(51)들을 통하여 각각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코너 구멍(51)들은 확장 가능한 통(7)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2는 도 33과 같은 베이스(66) 위에 통 섹션(32A)이 위치하여, 베이스(66)와 통 섹션(32A)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2의 통 섹션(32A)은 하부에 안내로 결합부(64)를 가지고 있다.
도 33의 베이스(66)는 한 개 이상의 안내로(68A, 68B, 68C, 68D)를 갖고, 한 개 이상의 안내로(68A, 68B, 68C, 68D)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세 갈래 이상의 방사형을 이룰 수 있다.
도 33에서 베이스(66)가 네 개의 안내로(68A, 68B, 68C, 68D)를 갖고, 네 개의 안내로(68A, 68B, 68C, 68D)가 네 갈래의 방사형을 이루거나 ╋ 자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안내로들(68A, 68B, 68C, 68D)이 각각 기다란 홈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32에서, 홈으로 형성된 안내로(68A)에 레일 형상의 안내로 결합부(64)가 삽입됨으로써 통 섹션(32A)이 안내로(68A)를 따라 일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도 22와 같은 베이스(39) 대신에 도 33에서와 같은 베이스(66)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9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하부가 안내로 결합부(38) 대신에 안내로 결합부(64)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을 가질 수 있다.
도 25의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은 각각 측판(54)에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판(28)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 중에 적어도 하나가 통 섹션들(32A, 32B, 32C, 32D)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승강판(28)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8의 (A)에서처럼, 높낮이 고정 빚장(70)들이 승강판(28)의 외측면의 밖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면,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도 23의 (A)에서처럼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높낮이가 고정되고, 통 섹션들(32C, 32D)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의 (A)에서처럼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높낮이 고정 빚장(70)들이 도 28의 (B)에서처럼 승강판(28)의 외측면의 내측을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되면,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들 밖으로 각각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승강판(28)이 도 23의 (B)에서처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측판(54)에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이 형성되는 대신에,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70)이 그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그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승강판(28)의 높낮이가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통(7)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4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23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과 유사하나, 도 34의 (A)의 승강판(88)의 형상은 도 23의 (A)의 승강판(28)의 형상과 다르고, 또한 도 34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은 승강판(88)의 위쪽에 높낮이 조절판(86)이 위치하고 있다.
승강판(88)의 위쪽에 위치한 높낮이 조절판(86)이 일정 거리 상하이동 가능하다.
높낮이 조절판(86) 위에 쓰레기가 직접 놓여지거나, 또는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가 높낮이 조절판(86) 위에 얹혀지고,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의 상부가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 둘레에 씌워질 수 있다.
높낮이 조절판(86) 위에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가 놓여질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판(86)의 상부가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4의 (B)는 도 34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으로 다소 이동됨으로써 승강판(88)과 높낮이 조절판(86)이 가까워지거나 또는 승강판(88)과 높낮이 조절판(86)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도 34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승강판(88) 및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이 뉘여지고, 통 섹션들(32C, 32D)의 측판(54)이 각각 승강판(88)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통 섹션들(32C, 32D)이 확장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6의 (A)는 높낮이 조절판(86)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6의 (B)는 도 36의 (A)의 높낮이 조절판(86)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판(86)이 가이드 봉(90)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8에서 승강판(28)에 도 29와 같은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 및 버튼 이동 스프링(31)이 설치된 것처럼,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판(86)에도 도 29와 같은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 및 버튼 이동 스프링(31)이 설치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판(86)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 중에 적어도 하나가 통 섹션들(32A, 32B, 32C, 32D) 중에 적어도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4의 (A)는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통 섹션들(32C, 32D)에 형성된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들에 삽입됨으로써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되고, 확장 가능한 통(7)이 수축된 상태이다.
측판(54)에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이 형성되는 대신에,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70)이 그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그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도 38의 (A)와 (B)는 도 37의 (A)와 (B)의 높낮이 조절판(86) 및 그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장치들(29A, 29B)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의 (A)는 승강판(88)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9의 (B)는 도 39의 (A)의 승강판(88)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승강판(88)은 가이드 튜브(92)들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튜브(92)들에 가이드 봉(90)들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봉(90)들이 일정 거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판(88)의 위쪽에 높낮이 조절판(86)이 위치하되, 높낮이 조절판(86)이 일정 거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통(7)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0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24의 확장 가능한 통(7)과 유사하나, 도 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 섹션(32C)이 돌기 삽입 구멍(97)을 가지며, 또한 도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판(28)이 돌기 삽입 구멍(98)들을 갖고, 또한 도 4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쪽이 돌기(99)를 가지며, 다른 한쪽이 돌기(100)를 가지고 있다.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쪽에 각각 형성된 돌기(99)가 승강판(28)에 형성된 돌기 삽입 구멍(98)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지지대들(72A, 72B, 72C, 72D)의 한 쪽이 승강판(28)과 힌지 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72C)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돌기(100)가 통 섹션(32C)에 형성된 돌기 삽입 구멍(97)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72C)의 다른 한 쪽이 통 섹션(32C)과 힌지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판(28)과 지지대들(72A, 72B, 72C, 72D)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96)이 각각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방으로 이동된 승강판(28)이 한 개 이상의 통 섹션 이동 스프링(96)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측판(54)이 승강판(28)을 중심으로 승강판(28)을 향하여 각각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통 섹션 이동 스프링(96)이 토션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확장 가능한 통(7)에 설치되는 위치는 어느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통 섹션(32A)과 통 섹션(32C)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통 섹션(32B)과 통 섹션(32D)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됨으로써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측판(54)이 승강판(28)을 중심으로 승강판(28)을 향하여 각각 일정 거리 이동되고,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 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되고, 통 섹션(32A)과 베이스(39)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통 섹션(32B)과 베이스(39)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통 섹션(32C)과 베이스(39)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통 섹션(32D)과 베이스(39) 사이에 통 섹션 이동 스프링이 연결됨으로써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측판(54)이 승강판(28)을 중심으로 승강판(28)을 향하여 각각 일정 거리 이동되고, 승강판(28)이 상방으로 이동 될 수도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101)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5의 (A)는 뚜껑 열림 버튼(103)을 누름으로써 쓰레기통 뚜껑(2)이 힌지 방식에 의해 위쪽으로 일정 각도 젖혀져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쓰레기통(5) 위쪽에 쓰레기통 뚜껑(2)이 위치하되 쓰레기통(5)과 쓰레기통 뚜껑(2) 사이에 테두리 덮개(102)가 위치하고 있다.
테두리 덮개(102)와 쓰레기통 뚜껑(2)이 힌지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45의 (B)의 쓰레기통 세트(101)는 도 45의 (A)의 쓰레기통 세트(101)와 동일하나, 쓰레기통 뚜껑(2)에 포함된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각각 밖을 향해 펼쳐져 확장되고, 또한 도 54의 (B) 및 도 55의 (B)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6의 (A)와 (B)는 도 45의 (A)와 (B)의 쓰레기통 세트(101)에서 쓰레기통 뚜껑(2) 및 테두리 덮개(102)가 쓰레기통(5)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7의 (A)는 쓰레기통 뚜껑(2)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7의 (B)는 도 47의 (A)의 쓰레기통 뚜껑(2)에서 키(4)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8의 (A)와 (B)는 도 47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2)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9의 (A)와 (B)는 도 48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2)이 각각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0의 (A)와 (B)는 도 48의 쓰레기통 뚜껑(2)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51의 (A)와 (B)는 도 50의 (A)와 (B)의 쓰레기통 뚜껑(2)이 각각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2는 테두리 덮개(102)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3은 도 52의 테두리 덮개(102)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테두리 덮개(102)는 테두리 덮개 상판(105), 외측 둘레 벽(104), 제 1 지지부(106), 제 2 지지부(112), 제 1 누름부(108), 그리고 제 2 누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덮개(102)는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을 갖는다.
외통(6)의 상단부가 테두리 덮개(102)와 결합되거나, 또는 외통(6)의 상단부가 외측 둘레 벽104)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가 외측 둘레 벽(104)과 제 1 지지부(10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을 통하여 확장 가능한 통(7) 안으로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고, 또한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을 통하여 누름판(10) 및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54의 (A)는 도 44의 쓰레기통 세트(101)에서 쓰레기통(5)만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4의 (B)는 도 54의 (A)의 쓰레기통(5)에서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5의 (A)와 (B)는 도 54의 (A)와 (B)의 쓰레기통(5)에서 외통(6)이 제거되고, 확장 가능한 통(7)만 남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4의 (A)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수축된 상태에서 그리고 쓰레기 봉투의 상부가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의 둘레에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덮개(102)가 확장 가능한 통(7) 위에 얹혀지면 제 1 누름부(108)에 의해 쓰레기 봉투의 상부가 눌려 고정될 수 있다.
도 54의 (B)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에서 그리고 쓰레기 봉투의 상부가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의 둘레에 씌워진 상태에서 테두리 덮개(102)가 확장 가능한 통(7) 위에 얹혀지면 제 2 누름부(110)에 의해 쓰레기 봉투의 상부가 눌려 고정될 수 있다.
도 54의 (A)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수축된 상태에서 테두리 덮개(102)가 확장 가능한 통(7) 위에 얹혀지거나 또는 확장 가능한 통(7)의 위쪽에 위치하고,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가 제 1 지지부(10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부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이 제 1 지지부(106)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도 54의 (B)에서처럼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에서 테두리 덮개(102)가 확장 가능한 통(7) 위에 얹혀지거나 또는 확장 가능한 통(7)의 위쪽에 위치하고,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단부가 제 2 지지부(1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확장 가능한 통(7) 내에 담긴 쓰레기가 누름판(10) 및 확장판들(14A, 14B, 14C, 14D)에 의해 눌려 압축될 때 확장 가능한 통(7)의 상부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이 제 2 지지부(112)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06)가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의 가장자리의 네 곳의 코너들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50의 (B) 및 도 51의 (B)에서처럼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각각 밖으로 펼쳐져 확장된 상태에서도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을 통하여 상하 이동할 때 확장판들(14A, 14B, 14C, 14D)이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에 걸리지 않고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에서처럼 제 1 지지부(106)가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111)의 가장자리의 네 곳의 코너들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은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6의 (A)는 도 55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된 통 섹션들(32A, 32B, 32C, 32D) 중에 하나의 통 섹션(32A)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6의 (B)는 도 56의 (A)의 통 섹션(32A)의 뒤쪽이 앞을 향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5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된 다른 통 섹션들(32B, 32C, 32D)도 각각 통 섹션(32A)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6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 섹션(32A)은 측판(54)의 외측면에 측면 빗장(114)과 슬리브(sleeve, 116)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통 섹션들(32B, 32C, 32D)도 마찬가지로 각각 측판(54)의 외측면에 측면 빗장(114)과 슬리브(116)를 가질 수 있다.
도 55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 섹션(32B)에 형성된 측면 빗장(114)이 이웃하는 다른 통 섹션(32A)에 형성된 슬리브(116)에 삽입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통 섹션(32A)에 형성된 측면 빗장(114)이 이웃하는 다른 통 섹션(32D)에 형성된 슬리브(116)에 삽입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통 섹션(32D)에 형성된 측면 빗장(114)이 이웃하는 다른 통 섹션(32C)에 형성된 슬리브(116)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마찬가지로, 통 섹션(32C)에 형성된 측면 빗장(114)이 이웃하는 다른 통 섹션(32B)에 형성된 슬리브(11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빗장(114)들이 슬리브(116)들의 내측을 통하여 각각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확장 가능한 통(7)에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에서 압축될 때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에 각각 구비된 측판(54)과 겹침판(55)이 밖으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이 측면 빗장(114)들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도 5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 섹션(32A)이 틈새 메꿈 판(118)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통 섹션들(32B, 32C, 32D)도 각각 틈새 메꿈 판(118)을 가질 수 있다.
도 57은 도 55의 (A)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앞쪽의 두 개의 통 섹션들(32A, 32C)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7에서처럼 승강판(28)이 위로 이동되고, 측판(54)들이 승강판(28)에 접하거나 승강판(28)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도 58에서처럼 승강판(28)이 아래로 이동되면 측판(54)들이 승강판(28)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승강판(28)과 측판(54)들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승강판(28)과 측판(54)들 사이에 틈새 메꿈 판(118)들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승강판(28)과 측판(54)들 사이의 틈이 틈새 메꿈 판(118)들에 의해 상당 부분 메꿔질 수 있게 된다. 즉, 승강판(28)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과 승강판(28) 사이의 틈이 틈새 메꿈 판(118)들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승강판(28)과 측판(54)들 사이의 틈이 틈새 메꿈 판(118)들에 의해 메꿔지게 되면 승강판(28) 위에 얹혀진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에 쓰레기가 담겨질 때 쓰레기 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의 하부가 승강판(28)과 측판(54)들 사이의 틈 아래로 쳐져 끼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59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 57의 확장 가능한 통(7)과 유사하나, 승강판(88)과 높낮이 조절판(86) 사이에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있다.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122)은 압축 스프링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높낮이 조절판(86)에 의해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122)이 눌려 압축될 수 있고, 그와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된 높낮이 조절판(86)은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122)에 의해 다시 상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59의 확장 가능한 통(7)도 통 섹션들(32A(도면상 표시되지 않음), 32B, 32C, 32D(도면상 표시되지 않음))이 각각 틈새 메꿈 판(118)을 가질 수 있음으로써 도 60에서처럼 승강판(88) 및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의 측판(54)들과 높낮이 조절판(86) 사이의 틈이 틈새 메꿈 판(118)들에 의해 상당부분 메꿔질 수 있다. 즉, 승강판(88) 및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통 섹션들(32A, 32B, 32C, 32D)과 높낮이 조절판(86) 사이의 틈이 틈새 메꿈 판(118)들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도 61의 확장 가능한 통(7)에 포함된 통 섹션(32A)은 도 56의 (A) 및 도 5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119)를 가질 수 있고,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119)에는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1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119)가 통 섹션(32A)의 하판(52)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1의 확장 가능한 통(7)은,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7에서처럼 승강판(28)에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고정 장치(29A, 29B)가 설치되거나, 또는 도 59에서처럼 높낮이 조절판(86)에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고정 장치(29A, 29B)가 설치되어 있다.
도 61은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이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확장 가능한 통(7)이 수축된 상태이며, 또한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34)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2는 도 61의 확장 가능한 통(7)에서 승강판(28)이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승강판(28) 및 높낮이 조절판(86)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확장 가능한 통(7)이 확장된 상태이며, 또한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에 설치된 높낮이 고정 빗장(70)들이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120)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119)에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120)이 형성되는 대신에,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높낮이 고정 빗장(70)이 그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그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승강판(28) 또는 높낮이 조절판(86)의 높낮이가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1: 쓰레기통 세트 2: 쓰레기통 뚜껑
3: 뚜껑 섹션 상판 4: 키
5: 쓰레기통 6: 외통
7: 확장 가능한 통 8A, 8B, 8C, 8D, 8EA :뚜껑 섹션
9A, 9B, 9C, 9D: 누름판 이동 스프링
10: 누름판 11: 개구
12: 축 14A, 14B, 14C, 14D: 확장판
15A, 15B, 15C, 15D: 확장판 이동 구멍
16A: 상부 구멍 16B: 하부 구멍
17A, 17B: 스페이서
18A, 18B, 18C, 18D: 확장판 이동 스프링
19A, 19B: 상부 버튼 20A, 20B: 상부 홈
21A, 21B, 21C, 21D: 확장판 22: 버튼 지지대
23: 확장판 홈 24A, 24B: 하부 버튼
25A, 25B: 하부 홈 26: 버튼 지지대
27: 확장판 홈 28: 승강판
29A, 29B: 높낮이 고정 장치 30: 높낮이 고정 버튼
31: 버튼 이동 스프링 32A, 32B, 32C, 32D: 통 섹션
34: 상부 높낮이 고정 구멍 38: 안내로 결합부
39: 베이스 40A, 40B, 40C, 40D: 안내로
46: 홈 50: 돌기
51: 코너 구멍 52: 하판
54: 측판 55: 겹침판
64: 안내로 결합부 66: 베이스
68A, 68B, 68C, 68D: 안내로 70: 높낮이 고정 빗장
72A, 72B, 72C, 72D: 지지대 74: 돌기 삽입 구멍
76: 돌기 삽입 구멍 82: 돌기
86: 높낮이 조절판 88: 승강판
90: 가이드 봉 92: 가이드 튜브
96: 통 섹션 이동 스프링 97: 돌기 삽입 구멍
98: 돌기 삽입 구멍 99: 돌기
100: 돌기 101: 쓰레기통 세트
102: 테두리 덮개 103: 뚜껑 열림 버튼
104: 외측 둘레 벽 105: 테두리 덮개 상판
106: 제 1 지지부 108: 제 1 누름부
110: 제 2 누름부 111: 테두리 덮개 상판 구멍
112: 제 2 지지부 114: 측면 빗장
116: 슬리브 118: 틈새 메꿈 판
119: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지지부 120: 하부 높낮이 고정 구멍
122: 높낮이 조절판 이동 스프링

Claims (12)

  1. 누름판 및 한 쌍의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서로 교차하는 각도는 90 도이거나 또는 80 도 내지 100 도인 쓰레기통 뚜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지게 되는 쓰레기통 뚜껑.
  5.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의 스페이서 및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의 위쪽에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위치하되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서로 교차하며,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한 몸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지고,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서로 멀어지게 되는 쓰레기통 뚜껑.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 사이에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이 연결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고,
    양쪽으로 벌어져 서로 멀어진 상기 다른 한 쌍의 확장판이 상기 다른 한 개 이상의 확장판 이동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축에 키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키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축과 상기 스페이서가 함께 일정 각도 회전되는 쓰레기통 뚜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상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쓰레기통 뚜껑.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 중에 한 개의 확장판이 다른 한 개의 확장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버튼 지지대를 갖고,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하부 버튼 및 확장판 홈을 갖고,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개의 확장판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판이 서로를 향해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지지대가 상기 확장판 홈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쓰레기통 뚜껑.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복수의 뚜껑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섹션들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났을 때 상기 뚜껑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뚜껑 섹션에 상기 누름판 및 상기 한 쌍의 확장판이 구비되는 쓰레기통 뚜껑.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쓰레기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통 위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얹혀지거나 또는 상기 쓰레기통 위쪽에 상기 쓰레기통 뚜껑이 위치하는 쓰레기통 뚜껑.
KR1020230056724A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145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847 2022-04-11
KR20220044847 2022-04-11
KR20220049792 2022-04-21
KR1020220049792 2022-04-21
KR20220066384 2022-05-30
KR1020220066384 2022-05-30
KR20220086629 2022-07-14
KR1020220086629 2022-07-14
KR20220155953 2022-11-20
KR1020220155953 2022-11-20
KR1020230018417 2023-02-13
KR20230018417 2023-02-13
KR1020230030258A KR102532977B1 (ko) 2022-04-11 2023-03-08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258A Division KR102532977B1 (ko) 2022-04-11 2023-03-08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947A true KR20230145947A (ko) 2023-10-18

Family

ID=8654583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258A KR102532977B1 (ko) 2022-04-11 2023-03-08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20230056727A KR20230145949A (ko)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1020230056726A KR20230145948A (ko)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1020230056724A KR20230145947A (ko)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1020230058810A KR20230145950A (ko) 2022-04-11 2023-05-05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258A KR102532977B1 (ko) 2022-04-11 2023-03-08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20230056727A KR20230145949A (ko)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1020230056726A KR20230145948A (ko) 2022-04-11 2023-04-29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810A KR20230145950A (ko) 2022-04-11 2023-05-05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5) KR102532977B1 (ko)
TW (1) TW202340059A (ko)
WO (1) WO20232001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4608B1 (en) * 1991-07-23 1998-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fuse compression apparatus
KR200419039Y1 (ko) * 2006-03-16 2006-06-16 김중희 접이식 쓰레기통
KR20170060490A (ko) * 2015-11-24 2017-06-01 이형진 야외 음식 쓰레기 분리수거통
CN207737887U (zh) * 2017-11-04 2018-08-17 泰山学院 新型垃圾桶
CN108285018B (zh) * 2018-01-19 2020-09-11 刘浩 一种八边形缩放式家用垃圾桶
CN108438633A (zh) * 2018-03-23 2018-08-24 苏州圣艺文体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垃圾桶
KR20210095979A (ko) * 2020-01-25 2021-08-04 조원상 쓰레기통
KR20230036981A (ko) * 2021-09-08 2023-03-15 조원상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0059A (zh) 2023-10-16
KR20230145950A (ko) 2023-10-18
KR20230145949A (ko) 2023-10-18
KR102532977B1 (ko) 2023-05-16
WO2023200193A1 (ko) 2023-10-19
KR20230145948A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81932A (zh) 可折叠储存间隔体及用于折叠和打开该间隔体的方法
KR101851006B1 (ko)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KR20230145950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145912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145932A (ko)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US9585521B2 (en) Bread keeper
DE202007003395U1 (de) Siebkorb und Siebkorbsystem
KR102216564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20240049400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036981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40029123A (ko)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 통 및 확장판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뚜껑
CN211584442U (zh) 消毒装置
JP2001151234A (ja) 物品運搬保管装置
KR20160065626A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JP2010115326A (ja) 転倒防止家具
JP6708533B2 (ja) 天板付什器
EP1873075B1 (en) Collapsible basket
KR20240015242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150129547A (ko) 이동형 저장창고
CN214242334U (zh) 一种垃圾桶
KR101430024B1 (ko) 국물의 양과 건더기의 양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국자
KR200386296Y1 (ko) 캐비넷
KR102216568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20230000849U (ko) 다리 구조를 포함하는 폴딩박스
KR200413405Y1 (ko) 깨지기 쉬운 평판 패널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