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981A -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 Google Patents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981A
KR20230036981A KR1020220111067A KR20220111067A KR20230036981A KR 20230036981 A KR20230036981 A KR 20230036981A KR 1020220111067 A KR1020220111067 A KR 1020220111067A KR 20220111067 A KR20220111067 A KR 20220111067A KR 20230036981 A KR20230036981 A KR 20230036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rojection
outward
sections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ublication of KR2023003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 중에 맨 위쪽의 섹션이 상부에 개구를 갖고; 상기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이 누름판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과 상기 맨 아래쪽의 섹션 사이에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GARBAGE CAN LID FOR COMPRESSING GARBAGE}
본 발명은 쓰레기를 압축하기 위한 쓰레기통 뚜껑 및 그와 결합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섹션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뚜껑 및 그와 결합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쓰레기통{GARBAGE CAN}'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10095979호에 공개되었다. (공개 일자: 2021년 08월 4일).
그러나 전술한 '쓰레기통'은 가동 부재(누름판)의 위쪽으로 쓰레기가 올라올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쓰레기를 눌러 압축할 때 쓰레기가 누름판의 위쪽으로 올라오거나 또는 쓰레기가 쓰레기통 뚜껑의 섹션(section)들의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10A, 10B, 10C, 10D, 1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1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누름판(1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10A)이 하부 내향 돌출부(20A)를 갖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이 상부 외향 돌출부(22B), 상부 내향 돌출부(24B), 그리고 하부 내향 돌출부(2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부 외향 돌출부(22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의 상부 또는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22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서,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양쪽에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상부 내향 돌출부 홈(28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20B)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과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보다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더 크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서,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20B)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과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보다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더 크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서, 쓰레기통(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통(6)과 상기 맨 위쪽의 섹션(10A)이 결합되는 쓰레기통 뚜껑.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40A, 40B, 40C, 40D, 4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4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누름판(4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40A)이 하부 내향 돌출부(50A)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부 외향 돌출부(52B) 및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부 외향 돌출부(52C) 및 하부 외향 돌출부(54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하부 또는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양쪽에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하부 외향 돌출부 홈(58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에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52C)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과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보다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더 크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40A, 40B, 40C, 40D, 4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4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누름판(4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40A)이 하부 내향 돌출부(50A)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부 외향 돌출부(52B) 및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부 외향 돌출부(52C) 및 하부 외향 돌출부(54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하부 또는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52C)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과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보다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뚜껑은, 쓰레기를 눌러 압축할 때 쓰레기가 누름판의 위쪽으로 올라오거나 또는 쓰레기가 쓰레기통 뚜껑의 섹션들의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섹션들을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결합시킬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섹션들의 형상과 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섹션들의 제조 생산이 용이하도록 섹션들의 형상과 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쓰레기통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쓰레기통 뚜껑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의 쓰레기통 세트에서 앞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쓰레기통 세트에서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탄내 것이다.
도 5는 쓰레기통 뚜껑에 포함된 섹션들이 상하로 각각 일정 거리 떨어져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섹션들 중에 맨 위쪽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섹션들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섹션들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섹션들 중에 위에서 네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7의 섹션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쓰레기통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는 쓰레기통 뚜껑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쓰레기통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도 14의 (A)의 쓰레기통 세트에서 앞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6의 쓰레기통 세트에서 뚜껑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탄내 것이다.
도 18은 쓰레기통 뚜껑에 포함된 섹션들이 상하로 각각 일정 거리 떨어져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섹션들 중에 맨 위쪽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섹션들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섹션들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섹션들 중에 위에서 네번째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섹션들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도 21의 섹션을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위", "아래", "상방향", "하방향" 등의 용어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명확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맨 위쪽의 섹션"이라 함은 복수의 섹션들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늘어났을 때, 맨 위쪽에 위치하는 섹션을 말하고, "맨 아래쪽의 섹션"이라 함은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섹션을 말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 제 1 실시예>>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2)의 사시도이다.
도 1의 쓰레기통 세트(2)는 쓰레기통(6)과 쓰레기통 뚜껑(4)을 포함한다.
쓰레기통(6) 위에 쓰레기통 뚜껑(4)이 얹혀지거나, 또는 쓰레기통(6)과 쓰레기통 뚜껑(4) 결합될 수 있다.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쓰레기통 뚜껑(4)이 힌지(hinge) 방식에 의해 쓰레기통(6)에 결합되거나, 또는 쓰레기통 뚜껑(4)이 스윙(swing) 방식에 의해 쓰레기통(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쓰레기통 세트(2)에서 쓰레기통(6)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4)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쓰레기통 뚜껑(4)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쓰레기통 뚜껑(4)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쓰레기통 뚜껑(4)은 복수의 섹션들(10A, 10B, 10C, 10D, 10E)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A)의 쓰레기통 세트(2)의 앞쪽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쓰레기통 세트(2)에서 상부 덮개(8)를 손으로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쓰레기통 뚜껑(4)이 도 2의 (B)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 위쪽의 섹션(10A)과 맨 아래쪽의 섹션(10E) 사이에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처럼 하방향으로 이동된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에 의해 도 3에서처럼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쓰레기통 뚜껑(4)이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에 의해 도 3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상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쓰레기통(6)의 내측의 바닥(18) 위에 쓰레기가 일정 높이 이상 쌓인 상태에서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누름판(16)의 하부에 의해 쓰레기가 눌려 압축될 수 있다.
도 5는 쓰레기통 뚜껑(4)에 포함된 섹션들(10A, 10B, 10C, 10D, 10E)을 위 아래로 각각 일정 간격씩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10A)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10A)은 상부에 개구(12)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개구(12)를 통하여 위 아래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개구(12) 안쪽 아래로 넣어 맨 아래쪽의 섹션(10E)을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부 개구(12)를 통해 막대기를 집어넣어, 그 막대기로 맨 아래쪽의 섹션(10E)을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섹션(10A)이 쓰레기통(6)과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10B)은 하부 내향 돌출부(20B), 상부 외향 돌출부(22B), 그리고 상부 내향 돌출부(24B)를 가지고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양쪽에는 섹션(10B)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상부 내향 돌출부 홈(28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아래쪽에는 하부 내향 돌출부(20B)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은 상부 내향 돌출부(24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8은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10C)은 하부 내향 돌출부(20C), 상부 외향 돌출부(22C), 그리고 상부 내향 돌출부(24C)를 가지고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C)의 양쪽에는 섹션(10C)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상부 내향 돌출부 홈(28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C)의 아래쪽에는 하부 내향 돌출부(20C)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C)은 상부 내향 돌출부(24C)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섹션(10C)의 상부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22C)가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부 내향 돌출부(24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위에서 네 번째의 섹션(10D)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10D)은 하부 내향 돌출부(20D), 상부 외향 돌출부(22D), 그리고 상부 내향 돌출부(24D)를 가지고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D)의 양쪽에는 섹션(10D)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상부 내향 돌출부 홈(28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내향 돌출부(24D)의 아래쪽에는 하부 내향 돌출부(20D)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D)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D)은 상부 내향 돌출부(24D)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위에서 네 번째의 섹션(10D)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섹션(10D)의 상부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22D)가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에 구비된 상부 내향 돌출부(24C)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10E)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상부 덮개(8)를 가질 수 있다. (도 4 참조)
맨 아래쪽이 섹션(10E)이 누름판(16)을 가질 수 있다. (도 4 참조)
섹션(10E)은 상부 외향 돌출부(22E)를 가지고 있다.
섹션(10E)은 스프링 연결 구멍들(9)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 연결 구멍들(9)을 통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들(14A, 14B, 14C, 14D)이 맨 위쪽의 섹션(10A)과 맨 아래쪽의 섹션(10E)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섹션(10E)의 상부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22E)가 아래에서 두번째의 섹션(10D)에 구비된 상부 내향 돌출부(24D)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아래에서 두번째의 섹션(10D)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섹션(10B)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도 8의 섹션(10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7에서처럼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위에서 두 번 째의 섹션(10B)의 형상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은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과 동등하거나, 또는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8의 섹션(10C)에서,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C)의 폭은 상부 내향 돌출부(24C)의 폭과 동등하거나, 또는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C)의 폭이 상부 내향 돌출부(24C)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9의 섹션(10D)에서,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D)의 폭은 상부 내향 돌출부(24D)의 폭과 동등하거나, 또는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D)의 폭이 상부 내향 돌출부(24D)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 제 2 실시예 >>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세트(32)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의 (A)의 쓰레기통 세트(2)처럼, 도 14의 (A)의 쓰레기통 세트(32)도 쓰레기통(6) 위에 쓰레기통 뚜겅(34)이 얹혀지거나, 또는 쓰레기통(6)과 쓰레기통 뚜껑(34)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쓰레기통 세트(32)에서 쓰레기통(6)으로부터 쓰레기통 뚜껑(34)이 위쪽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는 쓰레기통 뚜껑(34)을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쓰레기통 뚜껑(34)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쓰레기통 뚜껑(34)은 복수의 섹션들(40A, 40B, 40C, 40D, 40E)이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6은 도 14의 (A)의 쓰레기통 세트(32)의 앞쪽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6의 쓰레기통 세트(32)에서 상부 덮개(38)를 손으로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쓰레기통 뚜껑(34)이 도 15의 (B)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 위쪽의 섹션(40A)과 맨 아래쪽의 섹션(40E) 사이에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7에서처럼 하방향으로 이동된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에 의해 도 16에서처럼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난 쓰레기통 뚜껑(34)이 한 개 이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14A, 14B, 14C, 14D)에 의해 도 16에서처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상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도 18은 쓰레기통 뚜껑(34)에 포함된 섹션들(40A, 40B, 40C, 40D, 40E)을 위아래로 각각 일정 간격씩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40A)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40A)은 상부에 개구(12)를 가지고 있다.
섹션(40A)은 하부 내향 돌출부(50A)를 가지고 있다.
섹션(40A)이 쓰레기통(6)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40B)은 하부 내향 돌출부(50B) 및 상부 외향 돌출부(52B)를 가지고 있다.
도 21은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40C)은 하부 내향 돌출부(50C), 상부 외향 돌출부(52C), 그리고 하부 외향 돌출부(54C)를 가지고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양쪽에는 섹션(40C)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하부 외향 돌출부 홈(58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위쪽에는 상부 외향 돌출부(52C)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은 하부 외향 돌출부(54C)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 외향 돌출부(54C)가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하부 또는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에 구비된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2는 위에서 네 번째의 섹션(40D)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섹션(40D)은 하부 내향 돌출부(50D), 상부 외향 돌출부(52D), 그리고 하부 외향 돌출부(54D)를 가지고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D)의 양쪽에는 섹션(40D)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하부 외향 돌출부 홈(58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D)의 위쪽에는 상부 외향 돌출부(52D)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D)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D)은 하부 외향 돌출부(54D)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위에서 네번째의 섹션(40D)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 외향 돌출부(54D)가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의 하부 또는 위에서 세 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하부 내향 돌출부(50C)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3은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아래쪽에 위치한 섹션(40E)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상부 덮개(38)를 가질 수 있다. (도 17 참조)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누름판(46)을 가질 수 있다. (도 17 참조)
섹션(40E)이 상부 외향 돌출부(52E) 및 하부 외향 돌출부(54E)를 가지고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E)의 양쪽에는 섹션(40E)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하부 외향 돌출부 홈(58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외향 돌출부(54E)의 위쪽에는 상부 외향 돌출부(52E)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E)이 형되어 있다.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E)은 하부 외향 돌출부(54E)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맨 아래쪽에 위치한 섹션(40E)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 외향 돌출부(54E)가 아래에서 두번째의 섹션(40D)의 하부 또는 아래에서 두번째의 섹션(40D)에 구비된 하부 내향 돌출부(50D)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아래에서 두번째의 섹션(40D)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1의 섹션(40C)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도 21에서처럼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세 번 째의 섹션(40C)의 형상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은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과 동등하거나,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22의 섹션(40D)에서,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D)의 폭은 하부 외향 돌출부(54D)의 폭과 동등하거나,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D)의 폭이 하부 외향 돌출부(54D)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23의 섹션(40E)에서,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E)의 폭은 하부 외향 돌출부(54E)의 폭과 동등하거나, 또는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E)의 폭이 하부 외향 돌출부(54E)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2: 쓰레기통 세트
4: 쓰레기통 뚜껑
6: 쓰레기통
8: 상부 덮개
10A, 10B, 10C, 10D, 10E: 섹션
12: 개구
14A, 14B, 14C, 14D: 인장 코일 스프링
16: 누름판
18: 바닥
20A: 하부 내향 돌출부
20B: 하부 내향 돌출부
20C: 하부 내향 돌출부
20D: 하부 내향 돌출부
22B: 상부 외향 돌출부
22C: 상부 외향 돌출부
22D: 상부 외향 돌출부
22E: 상부 외향 돌출부
24B: 상부 내향 돌출부
24C: 상부 내향 돌출부
24D: 상부 내향 돌출부
26B: 하부 내향 돌출부 홈
26C: 하부 내향 돌출부 홈
26D: 하부 내향 돌출부 홈
28B: 상부 내향 돌출부 홈
28C: 상부 내향 돌출부 홈
28D: 상부 내향 돌출부 홈
32: 쓰레기통 세트
34: 쓰레기통 뚜겅
38: 상부 덮개
40A, 40B, 40C, 40D, 40E: 섹션
46: 누름판
50A: 하부 내향 돌출부
50B: 하부 내향 돌출부
50C: 하부 내향 돌출부
50D: 하부 내향 돌출부
50A: 하부 내향 돌출부
52B: 상부 외향 돌출부
52C: 상부 외향 돌출부
52D: 상부 외향 돌출부
52E: 상부 외향 돌출부
54C: 하부 외향 돌출부
54D: 하부 외향 돌출부
54E: 하부 외향 돌출부
54C: 상부 외향 돌출부 홈
56D: 상부 외향 돌출부 홈
56E: 상부 외향 돌출부 홈
58C: 하부 외향 돌출부 홈
58D: 하부 외향 돌출부 홈
58E: 하부 외향 돌출부 홈

Claims (8)

  1.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10A, 10B, 10C, 10D, 1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1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10E)이 누름판(1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10A)이 하부 내향 돌출부(20A)를 갖고;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이 상부 외향 돌출부(22B), 상부 내향 돌출부(24B), 그리고 하부 내향 돌출부(2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10A, 10B, 10C, 10D, 1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부 외향 돌출부(22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10C)의 상부 또는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22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쓰레기통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양쪽에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상부 내향 돌출부 홈(28B)이 각각 형성된 쓰레기통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20B)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과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보다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더 큰 쓰레기통 뚜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1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20B)들 사이에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이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과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내향 돌출부(24B)의 폭(W1)보다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 홈(26B)의 폭(W2)이 더 큰 쓰레기통 뚜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쓰레기통(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통(6)과 상기 맨 위쪽의 섹션(10A)이 결합되는 쓰레기통 뚜껑.
  6.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40A, 40B, 40C, 40D, 4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4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누름판(4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40A)이 하부 내향 돌출부(50A)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부 외향 돌출부(52B) 및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부 외향 돌출부(52C) 및 하부 외향 돌출부(54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하부 또는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양쪽에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하부 외향 돌출부 홈(58C)이 각각 형성된 쓰레기통 뚜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52C)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과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보다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더 큰 쓰레기통 뚜껑.
  8.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해 연결된 세 개 이상의 섹션(40A, 40B, 40C, 40D, 40E)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위쪽의 섹션(40A)이 상부에 개구(12)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맨 아래쪽의 섹션(40E)이 누름판(46)을 갖고;
    상기 맨 위쪽의 섹션(40A)이 하부 내향 돌출부(50A)를 갖고;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부 외향 돌출부(52B) 및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가지며;
    상기 섹션들(40A, 40B, 40C, 40D, 40E) 중에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부 외향 돌출부(52C) 및 하부 외향 돌출부(54C)를 갖고;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가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의 하부 또는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에 구비된 상기 하부 내향 돌출부(50B)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위에서 두번째의 섹션(40B)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위에서 세번째의 섹션(40C)에 구비된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52C)들 사이에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이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과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외향 돌출부(54C)의 폭(W3)보다 상기 상부 외향 돌출부 홈(56C)의 폭(W4)이 더 큰 쓰레기통 뚜껑.
KR1020220111067A 2021-09-08 2022-09-02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036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9654 2021-09-08
KR1020210119654 2021-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81A true KR20230036981A (ko) 2023-03-15

Family

ID=8564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067A KR20230036981A (ko) 2021-09-08 2022-09-02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77B1 (ko) * 2022-04-11 2023-05-16 조원상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77B1 (ko) * 2022-04-11 2023-05-16 조원상 확장 가능한 통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6981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US9434538B2 (en) Trash can
ATE489296T1 (de) Tragbare aufbewahrungsbehälter
US5881880A (en) Nestable lid
ATE273882T1 (de) Klappbodenbehälter
US8028854B2 (en) Pivot lid waste basket
JP2021512823A (ja) 容器
CN112167935A (zh) 一种改进结构的收纳盒
KR20240015242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KR20230168846A (ko) 쓰레기 압축을 위한 쓰레기통 뚜껑
JPH10329901A (ja) 複数段伸縮式ごみ箱
JP7184324B2 (ja) 容器
KR20080018156A (ko) 조합 반송 용기
WO1996036498A1 (fr) Classeur
JP2003160201A (ja) ゴミ分別収納箱
KR20080043044A (ko)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WO2005012106A3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CN210762381U (zh) 一种分类收纳的组合式垃圾桶
KR102557640B1 (ko) 포장용 박스 지지대
CN101767691A (zh) 光盘存储盒
JP2006298595A (ja) 積層式ごみ箱
ITPD20030108U1 (it) Struttura perfezionata di pattumiera con coperchio sollevabile a pedale e con secchio interno
CN2518784Y (zh) 周转箱
JPH082566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ケース
CN217554654U (zh) 一种包装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