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568B1 -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568B1
KR102216568B1 KR1020200106686A KR20200106686A KR102216568B1 KR 102216568 B1 KR102216568 B1 KR 102216568B1 KR 1020200106686 A KR1020200106686 A KR 1020200106686A KR 20200106686 A KR20200106686 A KR 20200106686A KR 102216568 B1 KR102216568 B1 KR 10221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pper plate
rotation
guide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0010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제반 구성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에 관한 것으로,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고,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으로 구성하되, 상기 힌지유닛(100)은 볼플런저(160)의 개입으로 상판의 선회 경로 내지 이동 범위가 제어되게 하면서 코일 탄성체(140)를 부가 개재하여 상판의 승강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A FOLDING TABLE}
본 발명은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제반 구성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테이블이라 함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의 통칭 개념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응접실 등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나 구조 또한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흔히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상판을 상측에 형성하고, 해당 상판 저면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고정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의 테이블은 다리가 고정되는 고정식과 다리 또는 상판이 폴딩되는 접이식으로 구별된다.
이 중 다리가 고정되는 고정식 테이블의 경우 상판에 가해지는 많은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는바,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고정 타입의 다리로 인해 부피가 상당하므로 다수의 테이블을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장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폐단이 초래된다.
반면,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 혹은 다리를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므로 고정식 테이블에 비해 부피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예컨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공개특허 제10-2003-22127호와 특허등록 제10-774107호 등에서 게재되고 있다.
여기서 기존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의 하측을 다리 상측에 구비된 끼움소켓 등에 탄성적으로 억지 끼움 결합하는 구조가 대다수이며, 이러한 구성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결합력이 약해짐에 따라 상판이 쉽게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유발될 뿐 아니라 탄성으로 억지 끼움된 상판을 접기 위해 들어올리는 힘이 비교적 상당하므로 접이를 위한 작동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접이식 테이블의 제반 구성은 잠금이나 잠금 해지 행위가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크고 작은 불편을 야기하고, 더욱이 1인이 아닌 2인 이상의 다인용으로 제공되는 테이블의 경우 상판의 크기 및 무게가 상당한바, 이러한 상판을 보다 쉽게 조작하여 사용 편의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된 타입의 접이식 테이블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2212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74107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잠금 해지 기능이 더욱 편의하고 신속 정확하게 조절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고,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으로 구성하되, 상기 힌지유닛(100)은 볼플런저(160)의 개입으로 상판의 선회 경로 내지 이동 범위가 제어되게 하면서 코일 탄성체(140)를 부가 개재하여 상판의 승강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양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에 따라 이웃하는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각 내부에서 고정 체결되는 코일 탄성체(14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일단이 회동부 내부 공간에 구속된 상태에서 타단이 가이드프레임 상에 중첩되는 볼플런저(160);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유닛(100)은 가이드프레임(120) 상에서의 볼플런저(160) 위치 결정이 유도됨에 따라 가이드프레임을 기점으로 한 회동부(330)와 상판(10)의 상하 유동 시 설정 지점에서 상판의 위치가 고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코일 탄성체(140)의 내부 수용을 허용하기 위하여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어 코일 탄성체의 끼움 개재를 유도하는 환형의 지지편(122);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 볼플런저(160) 타단을 수용하여 상판(10) 유동 방향에 대응한 경로로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슬라이드홈(124);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124)은 볼플런저(160) 타단의 내부 개재를 위하여 설정 심도로 함몰 형성하되, 양측 단부에 근접한 설정 지점으로 단턱(124-1)을 더 형성함으로써 각 단턱에 의한 볼플런저의 위치 구속에 기인하여 회동부(330)와 상판(10)이 수평으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또는 설정 각도로 상향 선회된 상태를 유지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이동블록(720)의 위치 선정 혹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710)은 이동블록(720)의 내부 수용을 위하여 인입홀(711)이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전후 슬라이드 공간을 확보하는 몸체(712); 몸체 상에서 입설되어 탄성체(714)의 일단을 구속하는 격벽(715); 일단은 격벽에 구속되고 타단은 이동블록 내면에 구속되어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신축 작용하는 탄성체(7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720)은 거치프레임(710)에 일단이 구속된 탄성체(714)의 타단을 결속시켜 거치프레임 내부에서의 수평 이동에 의해 탄성체의 신축을 유도하는 고정체(721); 고정체 선단에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잡이(722); 조작바의 회전툴(810)을 끼움 수용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홀(7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200)는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 회동에 의해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310)는 걸림편(240)을 인입시켜 하향 인출되게 허용하는 상하 관통의 제1공간부(311); 고정블록(210)의 내부 개재를 유도하고 고정블록을 일 방향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툴(820)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공간부(312);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공간에 입설되어 스프링(250)의 어느 일단을 거치 고정하는 격벽(3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은 설정 범위로 측방 연장되는 끼움편(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111)은 다리부(20) 상간에 배열되는 지지횡바(3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여 가림판(50)이 기립 고정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판(50)은 지지횡바(30) 상에서 거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51)를 수단으로 위치 고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300)의 바디(310)는 상판의 저부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바가 끼움 체결되는 계단형의 보강바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어유닛(300)은 힌지유닛(100)과 결부되어 상판(10)의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조작부재(200)가 선단에 결부되면서 상판의 잠금 여부를 임의 제어하며, 측부에 구분 형성한 보강바홀로 인해 보강바의 개입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부를 비롯한 제어유닛, 조작부재, 힌지유닛 등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상판의 접이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될 뿐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작동에 기인하여 상판 접이와 관련한 모든 움직임 내지 위치 제어가 오차 없이 정밀 정확하게 달성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잠금과 잠금 해지의 관련 행위가 기존 대비 편의하고 효율적으로 달성되며, 상판의 개구를 관장하는 컨트롤부, 힌지유닛과 조작부재의 정확성, 그리고 제어유닛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상판의 접이 기능 시 조작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볼플런저 및 코일 탄성체의 개입으로 상판의 개구 움직임이 더욱 안정감 있고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결합관계를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유닛과 힌지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일 탄성체 및 볼플런저를 기반으로 한 제어유닛과 힌지유닛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트롤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유닛과 조작부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작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12 내지 1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트롤부와 조작부재로 인해 상판이 상하 개구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실시 양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1)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소정의 락킹수단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소정 형상의 제어유닛(300), 힌지유닛(100), 조작부재(200), 그리고 컨트롤부(700) 및 조작바(800)의 상호 작용으로 서로 긴밀한 작동관계가 성립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상기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1)은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입설되는 다리부(20)와,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개재되는 연결대(40)와,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하는 힌지유닛(100)과, 조작부재(200)를 선단에 내재한 상태로 힌지유닛과 상호 결부되는 제어유닛(300)의 구성을 전제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판 저부에 체결되고 설정 범위 내에서 탄성에 의한 형태 변형으로 연결대와의 결속 여부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200)와,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연결대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는 설정 형상의 제어유닛(300);과, 상판 후단에서 수직 거치되는 가림판(50);이 부가 구성되고, 특히 조작부재의 위치 전환을 유도하는 컨트롤부(700) 및 조작바(800)가 채택됨으로써 기존과 차별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고,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유닛(100)은 볼플런저(160)의 개입으로 상판의 선회 경로 내지 이동 범위가 제어되게 하면서 코일 탄성체(140)를 부가 개재하여 상판의 승강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양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에 따라 이웃하는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각 내부에서 고정 체결되는 코일 탄성체(14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일단이 회동부 내부 공간에 구속된 상태에서 타단이 가이드프레임 상에 중첩되는 볼플런저(160);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유닛(100)은 가이드프레임(120) 상에서의 볼플런저(160) 위치 결정이 유도됨에 따라 가이드프레임을 기점으로 한 회동부(330)와 상판(10)의 상하 유동 시 설정 지점에서 상판의 위치가 고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코일 탄성체(140)의 내부 수용을 허용하기 위하여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어 코일 탄성체의 끼움 개재를 유도하는 환형의 지지편(122);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 볼플런저(160) 타단을 수용하여 상판(10) 유동 방향에 대응한 경로로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슬라이드홈(124);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124)은 볼플런저(160) 타단의 내부 개재를 위하여 설정 심도로 함몰 형성하되, 양측 단부에 근접한 설정 지점으로 단턱(124-1)을 더 형성함으로써 각 단턱에 의한 볼플런저의 위치 구속에 기인하여 회동부(330)와 상판(10)이 수평으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또는 설정 각도로 상향 선회된 상태를 유지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된다.
또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한다.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이동블록(720)의 위치 선정 혹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로 구분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710)은 이동블록(720)의 내부 수용을 위하여 인입홀(711)이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전후 슬라이드 공간을 확보하는 몸체(712); 몸체 상에서 입설되어 탄성체(714)의 일단을 구속하는 격벽(715); 일단은 격벽에 구속되고 타단은 이동블록 내면에 구속되어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신축 작용하는 탄성체(714);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720)은 거치프레임(710)에 일단이 구속된 탄성체(714)의 타단을 결속시켜 거치프레임 내부에서의 수평 이동에 의해 탄성체의 신축을 유도하는 고정체(721); 고정체 선단에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잡이(722); 조작바의 회전툴(810)을 끼움 수용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홀(723);로 구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된다.
상기 스토퍼(41)는 도면에 도시한 형상일 수 있으며, 기타 조작부재(200)의 걸림편(240)이 걸려 상판의 상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조작부재(200)는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 회동에 의해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로 구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310)는 걸림편(240)을 인입시켜 하향 인출되게 허용하는 상하 관통의 제1공간부(311); 고정블록(210)의 내부 개재를 유도하고 고정블록을 일 방향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툴(820)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공간부(312);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공간에 입설되어 스프링(250)의 어느 일단을 거치 고정하는 격벽(31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한다.
이때의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10)은 설정 범위로 측방 연장되는 끼움편(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111)은 다리부(20) 상간에 배열되는 지지횡바(3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여 가림판(50)이 기립 고정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판(50)은 지지횡바(30) 상에서 거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51)를 수단으로 위치 고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제어유닛(300)은 힌지유닛(100)과 결부되어 상판(10)의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조작부재(200)가 선단에 결부되면서 상판의 잠금 여부를 임의 제어하며, 측부에 구분 형성한 보강바홀 혹은 실린더홀로 인해 보강바(90)와 실린더의 개입이 허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상기 제어유닛(300)의 바디(310)는 힌지유닛(100)의 케이싱(110) 상에 일단이 결부된 실린더의 개재가 허용되는 실린더홀(식별번호 없음)과, 상판의 저부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바(90)가 끼움 체결되는 계단형의 보강바홀(식별번호 없음)이 더 형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일 개소의 바디(310)로 인해 상판(10)의 안정적인 개구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조작부재(200)의 간편한 취급을 허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판 개구 시 하중에 의하여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소정의 실린더가 연동 제어되는 구조이다.
결과적으로 상판의 접이 기능과 관련한 모든 메커니즘이 본 발명의 제어유닛(300)을 통해 일체화 혹은 관장되는 구조인바, 힌지유닛(100)과 결부되는 회동부(330) 및 컨트롤부(700)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200) 등을 별도의 공간이 아닌 하나의 바디(310) 전후 공간상으로 긴밀하게 결부시켜 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공간의 효율성은 물론 작동성에 정확도를 배가시킨다.
이하, 상기에서 전술한 제반 구성의 상세 기능 및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판(10)과 다리부(20)는 통상의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다리부(2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에 위치한 다리에 비해 후방에 위치한 다리를 다소 협소한 이격 공간으로 형성하여 추후 테이블의 적재 시 다리에 의해 간섭됨이 없이 서로 포개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후방 다리가 전방 다리에 비해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테이블 간의 적재가 요구될 경우 타 테이블의 후방 다리가 해당 전방 다리를 지나 개재될 수 있으므로 테이블의 이격 없는 포갬이 안정감 있게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횡바(30)는 다리부 상간으로 횡단 개재됨으로써 자체 하중 혹은 외부 요인에 의해 비틀리거나 형태 변형되지 않게 보강하기 위한 제반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지지횡바(30)를 체결함에 있어 소정의 힌지유닛(100)을 수단으로 하여 끼움 결부 가능한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추후 기술할 가림판(50)의 거치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예컨대 지지횡바(30)의 단면은 도면과 같이 원형 내지 타원형일 수 있으며, 기타 상광하협의 계단형으로 구비하여 측방 내지 하방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이나 외부 저항에 지지되게 하고, 이러한 지지횡바가 거치 고정되는 힌지유닛(100)의 해당 단면 또한 이와 동일하게 상광하협의 계단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상판이 상대적으로 비대한 다인용 테이블의 경우 자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또 다른 보강바(90)의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에도 전술한 지지횡바의 결합구조와 같이 계단형의 보강바홀을 제어유닛의 바디 측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레버 연동형으로 조작부재를 제어하는 경우 이를 관장하는 소정의 조작바(800)를 거치 수용하기 위한 조작바홀 또한 제어유닛의 바디 측부에 부가 채용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 가능하다.
상기 연결대(40)는 도면과 같이 전방 다리부와 후방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력이 발휘되게 한 구성요소로, 도면과 같이 양단을 하향 절곡시켜 인접하는 다리부 내부로 인입 결속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대(40)는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 기능이 더 부여되는바, 추후 기술할 조작부재(200)를 단순 걸림 타입으로 구속하여 잠금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스토퍼(41)가 설정 범위 내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 외부로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 공간으로 재차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조작부재(200)는 자체적으로 당김 행위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상판 저부 중앙의 컨트롤부(700)에 의한 조작바(800)의 회전 움직임으로도 가능한바, 조작바의 위치 가변으로 조작부재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판의 잠금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200)는 제어유닛(300)과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면서 손잡이(230)의 활용 가치 내지 작동성을 극대화한다.
상기 손잡이(230)는 제어유닛을 기반으로 한 조작부재의 위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주된 구성으로, 설정 방향에 대해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된 외형적 특성에 의해 조작부재(200)의 원활한 사용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도모된다.
이러한 손잡이(230)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고, 그 형태나 크기 등은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걸림편(240)은 갈고리 형상으로 해당 단부가 절곡 형성되면서 연결대 측부에 돌출시킨 스토퍼(41)와 쉽게 간섭되거나 이탈되는 일련의 조작성이 확보되는바, 전술한 것처럼 스토퍼 상으로 걸림편의 수용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 행위에 의해 상판의 상향 움직임이 제어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조작부재(200)는 걸림편(240)이 스토퍼(41) 공간으로 중첩하여 구속되거나 혹은 슬라이드 움직임에 의해 이탈되게 하는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손잡이(230)를 채택하였으며, 조작부재의 고정블록(210) 상에 마련한 거치홀(220)은 이러한 손잡이의 반자동 슬라이드 움직임 또는 신축작용을 보장하기 위한 소정의 스프링(250)이 내부 체결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힌지유닛(100)은 후방에 위치한 다리부 상에서 연결대(40)와 일체화되고, 어느 특정 요소가 상판(10)과 결부되면서 해당 결부 지점을 기점으로 상판의 선단이 상향 개구되게 하는 제반 구성이다.
이러한 힌지유닛(100)은 하나의 축을 횡단 배치하고 해당 축을 기반으로 회전 운용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상판의 상향 움직임을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며, 이는 통상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힌지유닛을 구성함에 있어 후단에 위치한 다리부(20)를 수단으로 기립되고, 제어유닛의 회동부(330)와 일체화됨에 따라 조작부재(200)와 연결대(40)의 상호 결속 결여 시 상판의 개구 움직임이 볼플런저(160) 및 코일 탄성체(140)를 기반으로 하여 설정 위치 또는 임의 각도에서 제어 내지 구속되게 하는 것을 주된 핵심으로 한다.
결국, 상기 힌지유닛(100)은 가이드프레임(120) 상에서의 볼플런저(160)와 코일 탄성체(140)의 위치 결정이 유도됨에 따라 가이드프레임을 기점으로 한 회동부(330)와 상판(10)의 상하 유동 시 설정 지점에서 상판의 위치가 고수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판의 원활한 개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슬라이드홈(124)은 볼플런저(160) 타단의 내부 개재를 위하여 설정 심도로 함몰 형성하는 것을 요부로 한다.
즉 볼플런저(160)는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120) 상에 양단이 중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판 개구 시 슬라이드홈에 의해 설정 경로로 안내되는바, 상판의 안정적인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양측 단부에 근접한 설정 지점으로 단턱(124-1)을 더 형성함으로써 각 단턱으로 인해 볼플런저의 위치 구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동부(330)와 상판(10)이 수평으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또는 설정 각도로 상향 선회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컨트롤부(70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으로 조작바(800)를 회전시키고, 조작바 회전에 의해 제어유닛(300) 내부에 위치된 조작부재(200)의 전후 위치 가변을 동시 유도하여 연결대(40)와의 구속 여부가 전환되게 함으로써 상판(10)의 상향 선회가 임의 제어되게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부(700)와 조작부재(200)는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을 구속하던 상판 양측 저부의 조작부재(200)가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제어유닛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면서 상판의 상향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부와 조작부재의 동시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조작바를 더 제안하는바,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3개소 구비하여 제어유닛 상에 위치된 조작부재의 일 방향 가압에 기여한다.
이러한 조작바(80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서 구분 배치되는 회전툴 및 회전축 양단에 구비되는 가압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툴은 회전축의 중앙에서 이동블록의 절개홀(723) 상에 수용된 상태로 작용하고, 가압툴은 조작부재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해당 조작부재를 가압하는 상태로 위치 전환된다.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거치프레임(710)과,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한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절개홀(723) 상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와 힌지유닛 등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상판의 접이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될 뿐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작동에 기인하여 상판 접이와 관련한 모든 움직임 내지 위치 제어가 오차 없이 정밀 정확하게 달성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잠금과 잠금 해지의 관련 행위가 기존 대비 편의하고 효율적으로 달성되며, 서랍의 슬라이드 정확성과 상판의 개구를 관장하는 힌지유닛의 정확성, 그리고 조작부재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상판의 접이 기능 시 조작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 테이블
10. 상판
20. 다리부
30. 지지횡바
40. 연결대
50. 가림판
90. 보강바
100. 힌지유닛
200. 조작부재
300. 제어유닛
700. 컨트롤부
800. 조작바

Claims (10)

  1.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와,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와,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과,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와,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고,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으로 구성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100)은 볼플런저(160)의 개입으로 상판의 선회 경로 내지 이동 범위가 제어되게 하면서 코일 탄성체(140)를 부가 개재하여 상판의 승강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되,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양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에 따라 이웃하는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각 내부에서 고정 체결되는 코일 탄성체(140);
    제어유닛(300)의 회동부(330)와 가이드프레임 상간에 개재되고 일단이 회동부 내부 공간에 구속된 상태에서 타단이 가이드프레임 상에 중첩되는 볼플런저(160);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코일 탄성체(140)의 내부 수용을 허용하기 위하여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어 코일 탄성체의 끼움 개재를 유도하는 환형의 지지편(122);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
    볼플런저(160) 타단을 수용하여 상판(10) 유동 방향에 대응한 경로로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슬라이드홈(124);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200)는,
    제어유닛(300)의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에 의해 연결대(40)의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20200106686A 2020-08-25 2020-08-25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221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6A KR102216568B1 (ko) 2020-08-25 2020-08-25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6A KR102216568B1 (ko) 2020-08-25 2020-08-25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568B1 true KR102216568B1 (ko) 2021-02-18

Family

ID=7468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86A KR102216568B1 (ko) 2020-08-25 2020-08-25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5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27A (ko) 2001-06-15 2003-03-15 프로-코드 에스피에이 접이식 테이블
KR200339112Y1 (ko) * 2003-10-27 2004-01-24 주식회사 퍼시스 절첩식 테이블
KR100774107B1 (ko) 2006-06-22 2007-11-06 주식회사 퍼시스 접이식 테이블
US8069795B1 (en) * 2009-06-11 2011-12-06 Krueger International, Inc.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KR101674860B1 (ko)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27A (ko) 2001-06-15 2003-03-15 프로-코드 에스피에이 접이식 테이블
KR200339112Y1 (ko) * 2003-10-27 2004-01-24 주식회사 퍼시스 절첩식 테이블
KR100774107B1 (ko) 2006-06-22 2007-11-06 주식회사 퍼시스 접이식 테이블
US8069795B1 (en) * 2009-06-11 2011-12-06 Krueger International, Inc.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KR101674860B1 (ko)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564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US6662815B2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CN209152740U (zh) 折叠椅
US11412841B2 (en) Folding table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KR10221657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2215863B1 (ko)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102215810B1 (ko)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2216568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2215867B1 (ko)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US20050224107A1 (en) Tent support framework with the ability for quick assembling and folding
KR102215871B1 (ko)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10221656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200478652Y1 (ko) 스탠딩 테이블
US9080284B2 (en) Ironing board assembly with configurable ironing surface
KR10261479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10166785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EP1970038A1 (en) Bed with compact collapsible security barrier
KR101308362B1 (ko) 스크린 베이스
JP2017525530A (ja) ジョイントロック装置及びそのジョイントロック装置を備えるステッキチェア
JP3059005U (ja) 折り畳み式電動ベッド
JP6519644B2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配線ダ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