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362B1 - 스크린 베이스 - Google Patents

스크린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362B1
KR101308362B1 KR1020110095476A KR20110095476A KR101308362B1 KR 101308362 B1 KR101308362 B1 KR 101308362B1 KR 1020110095476 A KR1020110095476 A KR 1020110095476A KR 20110095476 A KR20110095476 A KR 20110095476A KR 101308362 B1 KR101308362 B1 KR 10130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vertical bar
screen
pi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739A (ko
Inventor
정수익
이영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1009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362B1/ko
Priority to US13/623,640 priority patent/US9097008B2/en
Priority to CN201210357170.6A priority patent/CN103005926B/zh
Publication of KR2013003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린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공을 가진 제1몸체가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몸체로부터 수직바의 외측으로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제1베이스; 중공을 가진 제2몸체가 제1몸체의 하단에서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몸체로부터 수직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및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직바의 고정홀에 베이스핀을 삽입하여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 베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베이스{SCREEN BASE}
본 발명은 스크린을 지지하는 스크린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린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이라 함은, 타인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시선을 차단하는 스크린, 및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사무실 등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파티션(partition)은 이러한 스크린의 일종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복합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사무실 내 구성원들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짐과 동시에 업무집중력이 향상되고, 각 부서의 공간이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스크린의 경우 폭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따라서 스크린이 앞뒤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베이스가 스크린의 하단에서 앞뒤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나온 베이스로 인해, 스크린 설치 후 사무실 바닥이 외관상 깔끔하게 정리된 느낌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베이스가 통로 쪽으로 돌출된 경우 통행에 불편을 주게 된다.
아울러, 스크린의 설치 공간 역시 제한을 받게 되는바, 예를 들어 벽 쪽에 인접하여 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 벽에 밀착시켜 설치하지 못하고, 벽 쪽으로 돌출된 베이스로 인해 스크린과 벽 사이에는 미활용 공간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 쌍의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크린 베이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스크린 베이스에 있어서, 중공을 가진 제1몸체가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몸체로부터 수직바의 외측으로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제1베이스; 중공을 가진 제2몸체가 제1몸체의 하단에서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몸체로부터 수직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및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수직바의 고정홀에 베이스핀을 삽입하여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 베이스가 제공된다.
이때, 고정수단은, 일단이 수직바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베이스핀과, 베이스핀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은, 일단이 수직바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베이스핀과, 베이스핀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핀커넥터와, 제1베이스 또는 제2베이스의 상측에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풋스위치부재와, 풋스위치부재의 하단과 핀커넥터의 타측을 연결하는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핀을 수직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몸체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절개홈에 삽입된 제1베이스의 베이스핀에 의해, 제2베이스에 대한 제1베이스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에 의하면,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한 쌍의 베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수직바에 대한 스크린 베이스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 설치시 외관을 깔끔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바에 대한 스크린 베이스의 회전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핀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베이스를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한 쌍의 베이스 간의 각도 역시 조절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 스크린의 지지 기능 확보와 함께 소비자의 미적 감각을 충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18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9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18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9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인 스크린 베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10)는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2)에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가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린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제1베이스(11)는 수직바(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1몸체(111)와, 제1몸체(111)의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2)를 포함하며, 제1몸체(111)는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제2베이스(12)는 수직바(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2몸체(121)와, 제2몸체(121)의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2)를 포함하며, 제2몸체(121)는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수직바(2)에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 조립시, 제2몸체(121)는 제1몸체(111)의 하단에 위치되며, 제1연장부(112)와 제2연장부(122)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연장부(112)는 제1몸체(111)의 하단 일측에서, 그리고 제2연장부(122)는 제2몸체(121)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베이스(11)의 제1몸체(111)와 제2베이스(12)의 제2몸체(121)를 수직바(2)의 외주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바(2)에 대하여 제1베이스(11)가 적절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고정수단의 베이스핀(131)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됨으로써,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가 수직바(2)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때 수직바(2)의 고정홀(2a)은,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수직바(2)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직바(2)의 원주방향을 따라 30°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바(2)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재절감과 무게감소를 위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2a)이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제1몸체(111)와 제2몸체(121)는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이며, 전술한 수직바(2)는 이 제1몸체(111)와 제2몸체(121)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수직바(2)와 제1몸체(111) 및 제2몸체(121)가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몸체(111)와 제2몸체(121)의 중공에는 각각 상하 양단에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M) 등 플라스틱 재질의 부싱(14)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바(2)의 하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15)에 의해 하단커버(16)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연장부(112)와 제2연장부(122)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이며, 연장된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끝단에 원호형태의 제1라운드부(113) 및 제2라운드부(123)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1,제2라운드부(113,123)의 하단으로부터 원기둥 형태의 제1,제2지지부(114,124)가 하향 연장 형성되는데, 이 제1,제2지지부(114,124)는 지면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지지부(114,124)의 하단에 캐스터(caster)(17)가 각각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성보강을 위해 제1,제2연장부(112,122)의 하단에서 제1,제2보강부(115,125)가 각각 하향 형성되는데, 이 제1,제2보강부(115,125)는 제1,제2연장부(112,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일단이 제1,제2몸체(111,12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제2지지부(114,124)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때, 제1,제2몸체(111,121)와 맞닿는 제1,제2보강부(115,125)의 일측에는 제1,제2몸체(111,121)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제1,제2플랜지부(116,126 ; 도 4 참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제2보강부(115,125)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베이스핀(131)을 수용하도록 제1,제2베이스핀 수용부(117,127)가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제1,제2몸체(111,121)와 인접하는 제1,제2연장부(112,122)의 상측에서, 제1,제2몸체(111,121)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제1,제2연결부(118,128)가 각각 형성되는데, 제1,제2연결부(118,128)의 상측면은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한다.
한편, 수직바(2)의 외주면에는 걸림턱(4)이 돌출 형성되어 수직바(2)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걸림턱(4)의 하단 테두리가 부싱(14)의 상단 테두리에 걸려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수직바(2)에 대한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베이스(11)의 고정수단과 제2베이스(12)의 고정수단은 그 구성 및 작동이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 제1베이스(11)의 고정수단을 예로 들어 그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베이스(11)의 고정수단은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되는 베이스핀(131)과, 베이스핀(131)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제1베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1보강부(115)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위치부재(132)를 포함하며, 베이스핀(131)을 수직바(2)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3)가 베이스핀(13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위치부재(132)는 제1보강부(115)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보강부(115)의 일측에 'ㄱ'자형 단면을 가진 한 쌍의 레일이 상하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레일에 스위치부재(132)의 상하 모서리가 삽입·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재(132)의 일측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132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핀(131)은 제1보강부(115)의 일측에서, 전술한 제1베이스핀 수용부(117)를 관통하여 일단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되는데, 베이스핀(131)의 타단은 스위치부재(1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위치부재(132)의 좌우방향 이동시 베이스핀(131)의 일단은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된다.
이때, 베이스핀(131)의 일측에는 걸림부(131a)가 확장 형성되고, 이 걸림부(131a)와 제1베이스핀 수용부(117)의 내벽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3)가 개재되어, 베이스핀(131)을 수직바(2)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스위치부재(132)의 파지부(132a)를 잡고 수직바(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133)의 압축과 함께 베이스핀(131)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서 분리되어 제1베이스(11)의 회전이 가능하며, 제1베이스(11)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스위치부재(132)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베이스핀(131)이 수직바(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단부가 고정홀(2a)에 삽입됨으로써, 제1베이스(1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의 상대 회전각도 제한은 제2몸체(1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121b)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121)의 일측에는 제2베이스(12)의 베이스핀(131)이 삽입되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제2몸체(121)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된 절개홈(121b)이 형성되어, 이 절개홈(121b)을 통해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이 삽입되는데,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의 상대 회전시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이 절개홈(121b)의 양단에 걸림으로써 그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이하,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18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9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4에서 수직바(2)를 기준으로 도면상 왼쪽이 제1베이스(11)이고, 도면상 오른쪽이 제2베이스(12)이며,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은 제2몸체(121)의 절개홈(121b)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2베이스(12)의 베이스핀(131)은 제2몸체(121)의 관통공(121a)을 통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된 상태로,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는 수직바(2)에 대하여 180° 각도로 펼쳐져 있다.
이때, 제1베이스(11)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베이스(12)의 베이스핀(131)을 수직바(2)로부터 삽입 해제시킴과 동시에 제2베이스(12)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몸체(121)가 회전하면서 제2몸체(121)의 절개홈(121b) 일측에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이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는 90°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2베이스(12)를 그대로 두고,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을 수직바(2)로부터 삽입 해제시킴과 동시에 제1베이스(1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이 제2몸체(121)의 절개홈(121b) 일측에 걸릴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는 90°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회전한 제1베이스(11)의 베이스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2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의 상대 회전각도는 제2몸체(121)의 절개홈(121b) 형상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절개홈(121b)의 길이와 고정홀(2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가 회전하여 이룰 수 있는 최소 각도 또는 최대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스크린 베이스와 전체적으로 대동소이하며 다만, 풋스위치부재(233)가 제1,제2연장부(212,222)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고, 베이스핀(231)이 제1,제2보강부(215,225)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풋스위치부재(233)와 베이스핀(231)이 와이어 케이블(235)에 의해 연결되는 등 고정수단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베이스(20)는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수직바(2)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베이스(21)는 수직바(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1몸체(211)와, 제1몸체(211)의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12)를 포함하며, 제1몸체(211)는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제2베이스(22)는 수직바(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2몸체(221)와, 제2몸체(221)의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22)를 포함하며, 제2몸체(221)는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수직바(2)에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 조립시, 제2몸체(221)는 제1몸체(211)의 하단에 위치되며, 제1연장부(212)와 제2연장부(222)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연장부(212)는 제1몸체(211)의 하단 일측에서, 그리고 제2연장부(222)는 제2몸체(221)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바(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베이스(21)의 제1몸체(211)와 제2베이스(22)의 제2몸체(221)를 수직바(2)의 외주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바(2)에 대하여 제1베이스(21)가 적절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고정수단의 베이스핀(231)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됨으로써,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가 수직바(2)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때, 수직바(2)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재절감과 무게감소를 위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바(2)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2a)이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고정홀(2a)은,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수직바(2)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직바(2)의 원주방향을 따라 30°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211)와 제2몸체(221)는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이며, 전술한 수직바(2)는 이 제1몸체(211)와 제2몸체(221)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수직바(2)와 제1몸체(211) 및 제2몸체(221)가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몸체(211)와 제2몸체(221)의 중공에는 각각 상하 양단에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M) 등 플라스틱 재질의 부싱(24)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바(2)의 하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25)에 의해 하단커버(26)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연장부(212)와 제2연장부(222)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이며, 연장된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끝단에 원호형태의 제1라운드부(213) 및 제2라운드부(223)가 각각 형성된다.
제1연장부(212)와 제2연장부(222)의 끝단 즉, 제1라운드부(213) 및 제2라운드부(223)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풋스위치부재(233)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8)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28)의 중앙에는 폭 방향으로 힌지축(281)이 형성되고, 힌지축(281)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1,제2보강부(215,225)의 작동공간부(29)와 연통되도록 연결홀(28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제2라운드부(213,223)의 하단으로부터 원기둥 형태의 제1,제2지지부(214,224)가 각각 하향 연장 형성되는데, 이 제1,제2지지부(214,224)는 지면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지지부(214,224)의 하단에 캐스터(caster)(27)가 각각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성보강을 위해 제1,제2연장부(212,222)의 하단에서 제1,제2보강부(215,225)가 각각 하향 형성되는데, 이 제1,제2보강부(215,225)는 제1,제2연장부(212,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일단이 제1,제2몸체(211,22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제2지지부(214,224)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때, 제1,제2몸체(211,221)와 맞닿는 제1,제2보강부(215,225)의 일단에는 제1,제2몸체(211,221)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제1,제2플랜지부(216,226)가 각각 형성되는데, 제1,제2플랜지부(216,226)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베이스핀(231)을 수용하는 제1,제2베이스핀 수용부(217,227)가 형성된다.
이때, 제1,제2보강부(215,22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베이스핀(231)과 핀커넥터(232), 및 와이어 케이블(235)이 수용되도록 작동공간부(29)가 각각 형성되며, 작동공간부(29)의 상단 일측은 전술한 연결홀(282)과 연통되어, 작동공간부(29) 내의 와이어 케이블(235)이 이 연결홀(282)을 통해 풋스위치부재(233)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제2몸체(211,221)와 인접하는 제1,제2연장부(212,222)의 상측에서, 제1,제2몸체(211,221)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제1,제2연결부(218,228)가 형성되는데, 제1,제2연결부(218,228)의 상측면은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한다.
한편, 수직바(2)의 외주면에는 걸림턱(4)이 돌출 형성되어 수직바(2)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걸림턱(4)의 하단 테두리가 부싱(24)의 상단 테두리에 걸려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수직바(2)에 대한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베이스(21)의 고정수단과 제2베이스(22)의 고정수단은 그 구성 및 작동이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 제1베이스(21)의 고정수단을 예로 들어 그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베이스(21)의 고정수단은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되는 베이스핀(231)과, 베이스핀(231)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제1보강부(215)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끔 제1보강부(215) 내부의 작동공간부(29)에 설치되는 핀커넥터(232)와, 제1연장부(212)의 끝단 상측에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풋스위치부재(233)와, 풋스위치부재(233)의 하단과 핀커넥터(232)의 타측을 연결하는 와이어 케이블(235)을 포함하며, 베이스핀(231)을 수직바(2)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4)가 베이스핀(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핀커넥터(232)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서, 제1보강부(215) 내부의 작동공간부(29)에 좌우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핀커넥터(23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케이블(235)의 접속구(235a)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232a)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핀(231)은 작동공간부(29)의 일측에서 제1베이스핀 수용부(217) 방향으로 삽입되어 일단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된다.
이때, 베이스핀(231)의 타단은 핀커넥터(232)의 일측에 결합되며, 따라서 핀커넥터(232)의 좌우방향 이동시 베이스핀(231)의 일단은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된다.
또한, 베이스핀(231)의 일측에는 걸림부(231a)가 확장 형성되고, 이 걸림부(231a)와 제1베이스핀 수용부(217)의 내벽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34)가 개재되어, 베이스핀(231)을 수직바(2)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핀커넥터(232)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른 베이스핀(231)의 체결 및 해제는, 핀커넥터(232)와 와이어 케이블(235)로 연결된 풋스위치부재(233)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풋스위치부재(233)는 양단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절곡판 형상으로, 풋스위치부재(233)의 일단은 제1,제2라운드부(213,223)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호 형태로 라운드 처리되고, 하단 중앙에는 결합홈(28)의 힌지축(281)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 수용부(233a)가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끼움공(233c)이 형성된 끼움부(233b)가 돌출 형성된다.
와이어 케이블(235)의 양단에는 원기둥 형태의 접속구(235a)가 구비되며, 이 접속구(235a)는 핀커넥터(232)의 끼움홈(232a)과 풋스위치부재(233)의 끼움공(233c)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스위치부재(233)의 라운드진 일단을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게 되면, 풋스위치부재(233)의 타단이 힌지축 수용부(233a)를 기준으로 상향 회전하면서 끼움부(233b)에 끼워진 와이어 케이블(235)을 당기게 되고, 핀커넥터(232)가 수직바(2)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베이스핀(231)이 수직바(2)의 고정홀(2a)로부터 분리되어 제1베이스(2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베이스(21)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풋스위치부재(233)의 타단을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게 되면, 와이어 케이블(235)이 풀어지면서 탄성부재(2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베이스핀(231)이 수직바(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단부가 고정홀(2a)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베이스(2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의 상대 회전각도 제한은 제2몸체(2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21b)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21)의 일측에는 제2베이스(22)의 베이스핀(231)이 삽입되는 관통공(221a)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제2몸체(221)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된 절개홈(221b)이 형성되어, 이 절개홈(221b)을 통해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231)이 삽입되는데,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의 상대 회전시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231)이 절개홈(221b)의 양단에 걸림으로써 그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이하,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18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가 90°각도로 펼쳐진 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8에서 수직바(2)를 기준으로 도면상 왼쪽이 제1베이스(21)이고, 도면상 오른쪽이 제2베이스(22)이며,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은 제2몸체(221)의 절개홈(221b)을 통해 수직바(2)의 고정홀(2a)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2베이스(22)의 베이스핀(231)은 제2몸체(221)의 관통공(221a)에 삽입된 상태로,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는 수직바(2)에 대하여 180° 각도로 펼쳐져 있다.
이때, 제1베이스(21)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베이스(22)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몸체(221)가 회전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21)와 90°각도를 이룰 때까지 제2베이스(2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231)이 제2몸체(221)의 절개홈(221b) 일측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제2베이스(22)를 그대로 두고,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231)을 수직바(2)로부터 삽입해제한 후, 제1베이스(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몸체(221)의 절개홈(221b) 일측에 제1베이스(21)의 베이스핀(231)이 걸릴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고,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는 90°각도를 이루게 된다.
즉,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의 상대 회전각도는 제2몸체(221)의 절개홈(221b) 형상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변경함으로써,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가 회전하여 이룰 수 있는 최소 각도 또는 최대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1 : 스크린 2 : 수직바
10,20 : 스크린 베이스
11,21 : 제1베이스 12,22 : 제2베이스
111,211 : 제1몸체 121,221 : 제2몸체
112,212 : 제1연장부 122,222 : 제2연장부
114,214 : 제1지지부 124,224 : 제2지지부
115,215 : 제1보강부 125,225 : 제2보강부
118,218 : 제1연결부 128,228 : 제2연결부
131,231 : 베이스핀

Claims (5)

  1.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스크린 베이스에 있어서,
    중공을 가진 제1몸체가 상기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제1베이스;
    중공을 가진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몸체로부터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직바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베이스핀과, 상기 베이스핀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베이스.
  2. 삭제
  3. 스크린의 하단으로 연장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스크린 베이스에 있어서,
    중공을 가진 제1몸체가 상기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제1베이스;
    중공을 가진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몸체로부터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직바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베이스핀과, 상기 베이스핀의 타단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핀커넥터와, 상기 제1베이스 또는 상기 제2베이스의 상측에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풋스위치부재와, 상기 풋스위치부재의 하단과 상기 핀커넥터의 타측을 연결하는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베이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핀을 상기 수직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베이스.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에 삽입된 상기 제1베이스의 베이스핀에 의해, 상기 제2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1베이스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베이스.
KR1020110095476A 2011-09-21 2011-09-21 스크린 베이스 KR10130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76A KR101308362B1 (ko) 2011-09-21 2011-09-21 스크린 베이스
US13/623,640 US9097008B2 (en) 2011-09-21 2012-09-20 Screen base
CN201210357170.6A CN103005926B (zh) 2011-09-21 2012-09-21 屏风基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76A KR101308362B1 (ko) 2011-09-21 2011-09-21 스크린 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39A KR20130031739A (ko) 2013-03-29
KR101308362B1 true KR101308362B1 (ko) 2013-09-16

Family

ID=4818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76A KR101308362B1 (ko) 2011-09-21 2011-09-21 스크린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993B (zh) * 2022-05-13 2024-01-09 武汉创维光显电子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CN114893680B (zh) * 2022-06-22 2024-01-2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CN115046098B (zh) * 2022-06-22 2024-03-2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51U (ko) * 1985-08-01 1986-04-05
JPH01148411U (ko) * 1988-03-22 1989-10-13
JPH03117078U (ko) * 1990-03-14 1991-12-04
JP2002294906A (ja) 2001-03-27 2002-10-09 Okamura Corp パーティションのヒンジ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51U (ko) * 1985-08-01 1986-04-05
JPH01148411U (ko) * 1988-03-22 1989-10-13
JPH03117078U (ko) * 1990-03-14 1991-12-04
JP2002294906A (ja) 2001-03-27 2002-10-09 Okamura Corp パーティションのヒ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39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759B2 (en) Portable electronic product with a bracket
KR101308362B1 (ko) 스크린 베이스
CN210857384U (zh) 一种花洒挂接结构
US20140021749A1 (en) Folding chair
US9097008B2 (en) Screen base
KR100786724B1 (ko) 선박용 절첩식 사다리
KR101308363B1 (ko) 스크린 베이스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CN206137554U (zh) 一种无连接件快速组装柜子结构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2215867B1 (ko)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200467350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KR200481654Y1 (ko) 폭과 길이를 줄여 보관이 가능한 사다리
KR101539328B1 (ko)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20150061223A (ko) 접이식 테이블
CN104717903B (zh) 带折叠顶板家具
KR101321716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
JP2013039339A (ja) 椅子
CN106868841B (zh) 支撑折叠装置及具有其的挂烫机
JP4208473B2 (ja) 収納家具
KR102588909B1 (ko) 화장도구 보관장치
CN217218908U (zh) 一种洗地机的直立锁扣结构
KR102227238B1 (ko) 비데 장치
KR200309195Y1 (ko) 주방 가구용 도어
KR101613143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