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858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858B1
KR101667858B1 KR1020140187009A KR20140187009A KR101667858B1 KR 101667858 B1 KR101667858 B1 KR 101667858B1 KR 1020140187009 A KR1020140187009 A KR 1020140187009A KR 20140187009 A KR20140187009 A KR 20140187009A KR 101667858 B1 KR101667858 B1 KR 10166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adjusting
height
leg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682A (ko
Inventor
배미선
Original Assignee
배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수 filed Critical 배태수
Priority to KR102014018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8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의 프레임(P)에 구비하는 고정대(1)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지지하는 다리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대(1)의 일측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슬라이드홈(11)을 구비하는 중공의 메인다리(10); 상기 메인다리(10)의 외주면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하단에 통공(21)을 구비하는 중공의 조절다리(20); 상기 메인다리(20)의 내부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조절공(31)을 구비하는 중공의 보조다리(30); 상기 조절다리(20)의 통공(21) 상에 개재되어 장착하고, 상기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에 결속되면서 가압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 및 상기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각각 장착하고, 핸들(55)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좌대로부터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어 폭 넓은 활용성과 범용성을 제공하고 좌대에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보다 정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Fishing seat leg for possibility of regulating high and low}
본 발명은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좌대로부터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어 폭 넓은 활용성과 범용성을 제공하고 좌대에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보다 정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야외에서 낚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사용자로 부터 단순히 착석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와 상기 착석기능은 물론 기타 짐이나 물건을 거치하면서 비와 바람을 막아주고 그늘을 생성해주는 좌대로 나눌 수가 있다. 즉, 낚시용 좌대는 의자와 달리 다양한 기능을 포함시켜 사용자로부터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점차적으로 개량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좌대는 텐트나 파라솔을 장착할 수 있는 절첩 가능한 다수의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받침판을 지면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리는 다양한 지형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대응하면서 상기 받침판이 수평이 되게 지지해주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리의 길이가 조절되는 개량된 다수의 선행특허가 발견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927호의 "낚시용 좌대"에 의하면 "좌판의 전단에 접철 가능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는 낚시용 좌대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와 상기 좌판을 연결 접철하는 접철부와, 각각의 다리 내에 내장되어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되어 조절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에 소정 간격으로 천공된 복수의 조절홈과, 상기 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를 상기 다리에 고정하는 고정쇠와, 양측의 조절부 하단에 가로로 연결된 매몰 방지대과, 상기 지지부 하단에 상기 조절부가 연장된 한 쌍의 돌출부"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567호의 "낚시용 기능성 좌대"에 의하면 "전면에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제1좌판부재와 제2좌판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좌판부재는 힌지 결합되어져 접철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좌판의 가이드공으로 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 선단부에 부착되며, 상면에 낚시대와 밑밥통 등의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보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용 좌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은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제1보조판부재와 제2보조판부재로 구성되어져 힌지를 축으로 접철되는 것"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2012호의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에 의하면 "낚시자리용 좌대(100)에 있어서, 상기 좌대(100)는, 직사각형태로 저면 상에 보강프레임(10-1)이 배열 설치된 알루미늄소재의 제1받침판(10)과, 상기 제1받침판(10)으로부터 일측에 힌지부재(21)에 의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직사각 형태로, 저면 상에 보강프레임(20-1)이 배열 설치된 알루미늄소재의 제2받침판(20)과, 상기 제2받침판(20)의 일측 길이변에 경첩(h)으로 연결 설치되어 절첩되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가장자리 양측에는 뒷다리(2)를 관통시키는 가이드 관체(32)가 고정설치되는 한편, 가이드 관체(32)상에는 뒷다리(2)를 높이조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110)가 구비된 직사각 형태로, 저면 상에 보강프레임(30-1)이 배열 설치된 알루미늄소재의 제3받침판(30)과, 상기 제1받침판(10)의 선단측 길이방향에 경첩(h)으로 연장 설치되는 직사각형태로, 저면 상에 보강프레임(40-1)이 배열 설치된 알루미늄소재의 보조받침판(40)과, 상기 제1받침판(10)의 양측으로부터 부착되는 일측에 나사체결축(12a)을 갖는 힌지브라켓트(1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측에 고정축(51)을 갖는 연결브라켓트(52)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되는 앞다리(1)를 높이조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110)가 상호 대응되게 마련된 알루미늄소재의 가이드프레임(50)과, 상기 힌지브라켓트(12)로부터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50)을 경사진 상태에서 고정하는 걸이부재(60)"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들은 다양한 지형에 따른 지면에 대응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은 수행하지만, 상기 지면으로부터 다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절할 수 있는 다리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미세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더불어 조절장치와 다리의 유격으로 인해 좌대로부터 다리가 유동되어 사용자의 안정성에 심각한 폐단이 따랐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927호 "낚시용 좌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567호 "낚시용 기능성 좌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2012호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좌대로부터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어 폭 넓은 활용성과 범용성을 제공하고 좌대에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보다 정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의 프레임에 구비하는 고정대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지지하는 다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일측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중공의 메인다리; 상기 메인다리의 외주면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하단에 통공을 구비하는 중공의 조절다리; 상기 조절다리의 내부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조절공을 구비하는 중공의 보조다리; 상기 조절다리의 통공 상에 개재되어 장착하고, 상기 보조다리의 조절공에 결속되면서 가압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 및 상기 메인다리와 조절다리의 내부에 각각 장착하고, 핸들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수단은 조절다리의 통공과 보조다리의 조절공상에 스프링이 탄지되면서 힌지 결합되어 상호 연동하는 체결핀을 결합한 조작판과 함께 하단이 분기된 가압편을 구비한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의 가압편에 맞물리도록 체결되는 가압구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결속하여 조절다리로부터 보조다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조절수단은 메인다리와 조절다리 내부에 결합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에 체결되어 연동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맞물려 회동력을 전달하는 핸들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상하로 유동하여 메인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다리는 그 외주면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면서 결속핀을 개재한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결속핀에 각각 어긋나게 장착되어 제2조절수단과 함께 상호 연동하여 조절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신축하는 보조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조절수단은 핸들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축이 블럭을 상하로 유동함과 동시에 블럭이 스크류축을 상하로 유동하여 핸들의 회전수를 저감하면서 메인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낮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는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좌대로부터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어 폭 넓은 활용성과 범용성을 제공하고 좌대에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보다 정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기구를 낚시용 좌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기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조절수단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조절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조절수단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기구의 장착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의 프레임에 구비하는 고정대(1)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지지하는 다리와 관련되며, 메인다리(10), 조절다리(20), 보조다리(30), 제1조절수단, 제2조절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에 관 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번호 제10-1007957호 "낚시용 다기능 좌대기구"에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고정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의 단면형상을 지니고 낚시용 좌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수용하면서 프레임의 결속홈(2)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고정대(1)는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C형의 결속홈(2)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고정대(1)는 낚시용 좌대 다리기구를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좌우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대(1)는 낚시용 좌대의 프레임(P)으로 다리기구를 연결하는 중간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메인다리(10)는 상기 고정대(1)의 일측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슬라이드홈(11)을 구비한다. 메인다리(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내부가 빈 중공의 봉 형태로 고정대(1)의 일측으로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메인다리(10)는 상기 좌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전반적인 하중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메인다리(10)는 재료비의 절감 대비 강성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중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다리(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조절다리(20)와 맞물려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도하는 슬라이드홈(11)을 구비한다. 슬라이드홈(11)은 메인다리(1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하여, 조절다리(20)의 회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메인다리(10)와 함께 후술하는 보조다리(30)는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보조다리(30) 또한 외주면으로 슬라이드홈(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하고 조절다리(20)는 내주면에 슬라이드홈(11)과 맞물리는 슬라이드돌부(도면번호 미부여)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정대(1)에 의해 메인다리(10)가 완전히 고정되면 슬라이드홈(11)에 의해 조절다리(20)와 보조다리(30)의 회동이 방지하게 된다. 이하, 후술하는 조절다리(20)와 보조다리(30)의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돌부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또한, 메인다리(1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2조절수단이 맞물려 연계되는 체결공(12)을 구비한다. 체결공(12)은 제2조절수단을 결합시켜 작동이 가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선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려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조절다리(20)는 상기 메인다리(10)의 외주면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하단에 통공(21)을 구비한다. 조절다리(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내부가 빈 중공의 봉 형태로 전술하는 메인다리(10)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조절다리(20)는 좌대에 고정하는 메인다리(10)와 함께 지면에 직접적으로 닿아 지지하는 보조다리(30)와 더불어 전반적인 하중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메인다리(10)와 마찬가지로 재료비의 절감 대비 강성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중공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조절다리(2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1조절수단이 맞물려 연계되는 통공(21)을 구비한다. 통공(21)은 제1조절수단이 결합되면서 작동이 가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적절한 위치와 직경으로 구비된다. 또한, 조절다리(20)의 중단에는 후술하는 제2조절수단이 맞물려 연계되는 체결공(22)을 구비한다. 체결공(22)은 제2조절수단을 결합시켜 작동이 가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선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려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보조다리(30)는 상기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조절공(31)을 구비한다. 보조다리(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내부가 빈 중공의 봉 형태로 전술하는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보조다리(30)는 좌대를 메인다리(10) 및 조절다리(20)와 함께 지면에 직접적으로 닿아 지지하면서 전반적인 하중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메인다리(10) 및 조절다리(20)처럼 재료비의 절감 대비 강성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중공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다리(3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개재되는 다수의 조절공(31)을 구비한다. 조절공(31)은 후술하는 제1조절수단과 연계되는 것으로 조절다리(10)로부터 길이를 조절하게 유도한다. 즉, 조절공(31)과 조절공(31)과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조절공(31)과의 간격을 좁게 배치하게 되면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다수의 조절공(31)으로 인해 강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조절공(31)을 적절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보조다리(30)는 지면으로 안정된 지지를 위해 하단으로 결속되는 판형의 받침대(3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받침대(35)는 지면과 닿는 면적을 크게 하여 보조다리(30)가 좌대의 하중에 의해 지면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지지를 도모한다. 또한, 받침대(35)는 보조다리(30)로부터 어느 방향이든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지면에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다리(20)의 통공(21) 상에 개재되어 장착하고, 상기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에 결속되면서 가압하여 높낮이를 조절한다. 제1조절수단은 메인다리(10)로 연결된 조절다리(20)와 보조다리(30)를 상호 연결해주는 중간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절다리(20)의 하단에 구비되는 통공(21) 상에 개재되어 결합된다. 도 3처럼 즉, 제1조절수단은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상하 유동하는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을 결속하면서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조절수단은 조절다리(20)로부터 보조다리(30)가 노출되는 높낮이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조절수단은 조절다리(20)의 통공(21)과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상에 스프링(41)이 탄지되면서 힌지 결합되어 상호 연동하는 체결핀(42)을 결합한 조작판(43)과 함께 하단이 분기된 가압편(44)을 구비한 조절구(40)와, 상기 조절구(40)의 가압편(44)에 맞물리도록 체결되는 가압구(45)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결속하여 조절다리(20)로부터 보조다리(30)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조절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구(40)와 가압구(45)로 이루어지는데, 조절구(40)는 조절다리(20)의 외주면을 수용하면서 보조다리(30)가 삽입되어 상하로 유동되게 중앙으로 관통되게 구비한다.
그리고 조절구(40)는 일측 하부에 내부로 관통된 결속공(도면번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결속공의 내부로 체결핀(42)이 삽입되며, 체결핀(42)은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과 조절다리(20)의 통공(21)을 경유하여 조작판(43)과 결합된다. 이때 조작판(43)은 힌지 결합되어 조절구(40)의 일측 상부에 탄지된 스프링(41)에 의해 체결핀(42)과 상호 연동한다.
즉, 조절구(40)는 조절다리(20)의 통공(21)으로 체결핀(42)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수용되는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으로 조절구(40)의 체결핀(42)이 삽입되어 결속하게 된다. 이때, 보조다리(30)의 높낮이를 변경하기 위해 조절구(40)의 조작판(43) 상부를 누르면 조작판(43)은 힌지에 의해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으로 체결핀(42)이 이탈되어 상호 결속력이 해제되어 조절다리(10)로부터 보조다리(30)의 높낮이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즉 조작판(43)의 상부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41)에 의해 원 상태로 환원되면서 조절구(40)의 체결핀(42)이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으로 삽입되어 결속된다.
그리고 조절구(40)는 하단으로 여러 갈래로 분기되는 가압편(44)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편(44)과 맞물리도록 체결되는 조절구(40)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압구(45)를 구비한다. 조절구(40)의 가압편(44)은 직경을 변경하기 위해 내부로 오므라질 수 있도록 여러 갈래로 분기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을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는 가압구(45)는 가압편(44)과 맞물려 체결되게 내부에 하측으로 구배진 나선을 구비한다. 즉, 가압편(44)으로 가압구(45)를 맞물려 체결하게 되면 구배진 나선에 의해 가압편(44)이 오므라지면서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압구(45)를 통하여 가압편(44)이 보조다리(3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전술한 조절구(40)에 의해 결속된 보조다리(30)의 유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고 보다 강화된 고정력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조절수단은 상기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각각 장착하고, 핸들(55)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한다. 제2조절수단은 메인다리(10)에 연결된 조절다리(20)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의 내부로 핸들(55)과 함께 각각 구비한다. 즉, 제2조절수단은 핸들(55)의 회동에 의해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2조절수단은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노출되는 높낮이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2조절수단은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 내부에 결합되는 블럭(51)(52)과, 상기 블럭(51)(52)에 체결되어 연동하는 스크류축(53)과, 상기 스크류축(53)의 일단에 맞물려 회동력을 전달하는 핸들(55)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상하로 유동하여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조절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다리(10)의 내부로 결합되는 블럭(51)과 조절다리(20)의 내부로 결합되는 블럭(52)으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블럭(51)(52)으로 체결되는 스크류축(53)의 회동에 의해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한다.
그리고 블럭(51)은 메인다리(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스크류축(53)과 체결되는 나선공을 구비한다. 또한 블럭(51)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홈과 체결홈을 각각 구비한다. 즉, 블럭(51)은 메인다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12)과 체결되어 완전히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블럭(52)은 블럭(51)과 같이, 조절다리(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스크류축(53)과 체결되는 나선공을 구비한다. 또한 블럭(52)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홈과 체결홈을 각각 구비한다. 즉, 블럭(52)은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22)과 체결되어 완전히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축(53)은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외주면에 걸쳐 나선을 구비하는 축으로서, 전술한 블럭(51)(52)에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을 위한 연동작동을 수행한다. 또한, 스크류축(53)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55)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유도하는 물림돌부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2조절수단은 핸들(55)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축(53)이 블럭(51)을 상하로 유동함과 동시에 블럭(52)이 스크류축(53)을 상하로 유동하여 핸들(55)의 회전수를 저감하면서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한다. 제2조절수단은 도 6처럼 좌대에서 높낮이가 필요한 위치의 메인다리(10)로 핸들(55)을 삽입하여 스크류축(53)에 부착하여 임의대로 회동시켜 스크류축(53)과 블럭(51)(52)이 연동작동을 수행하여 조절다리(20)를 메인다리(10)로부터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핸들(55)에 의해 스크류축(53)이 회동하게 되면 블럭(51)이 스크류축(53)의 외주면으로 상하로 유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크류축(53)은 블럭(52)에 의해 스크류축(53)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어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승하강하게 된다.
이처럼 블럭(51)(52)과 스크류축(53)의 이중작동으로 인해 핸들(55)의 회전수를 저감하면서 조절다리(20)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 스크류축(53)의 피치가 2cm를 이루는 상태에서 1회전을 하게 되면 통상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2cm로 유동하게 되는데, 메인다리(10)의 블럭(51)과 조절다리(20)의 블럭(52)을 통하여 스크류축(53)이 1회전을 하더라도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4cm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블럭(51)(52)과 스크류축(53)의 이중작동으로 인해 핸들(55)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핸들(55)은 스크류축(53)의 일단으로 구비하는 물림돌부와 맞물려 회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블럭(51)에 의해 스크류축(53)과 핸들(55)의 간격이 점점 멀어지고, 이와 동시에 블럭(52)에 의해 스크류축(53)이 핸들(55)의 간격을 다시 좁혀짐에 따라,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더라도 핸들(55)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특히, 핸들(55)의 높낮이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동력을 부여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크류축(53)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핸들(55)은 좌대로 부착되는 메인다리(10)의 수대로 모두 구비하는 것도 무방하지만, 원가절감과 더불어 휴대성을 위하여 하나만을 구비하여 조절이 필요한 메인다리(10)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다리(20)의 상단에는 전술한 제1조절수단의 조절구(40)와 가압구(45)를 더 구비한다. 즉, 제2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다리(20)의 높낮이의 조절이 완료되면 조절구(40)와 가압구(45)를 통하여 유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고 보다 강화된 고정력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절다리(20)는 그 외주면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면서 결속핀(66)을 개재한 결속구(65)와, 상기 결속구(65)의 결속핀(66)에 각각 어긋나게 장착되어 제2조절수단과 함께 상호 연동하여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신축하는 보조지지대(60)를 구비한다. 보조지지대(6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조절다리(20) 상하부에 결속구(65)가 장착되고, 결속구의 결속핀(66)에 각각 어긋나게 장착된다. 보조지지대(60)는 도 7b처럼 도면부호로 부여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스크류를 내장시켜 볼플랜저에 맞물려 신축되게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지지대(60)는 도 7처럼 양측의 다리, 즉 조절다리(20) 상에 각각 어긋나게 설치되고, 이와 함께 제2조절수단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는데, 즉 핸들(55)에 의해 스크류축(53)이 회동하게 되면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승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보조지지대(60)를 신축되면서 조절다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낚시용 좌대를 지면에 설치함에 있어 제1조절수단은 1차적으로 간편하게 좌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제2조절수단은 제1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상태에서 좌대의 높낮이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특히, 제2조절수단은 장시간 좌대를 사용함에 있어 하중에 의해 지면으로 받침대(35)가 침투되어 좌대의 수평상태를 잃게 되는 부위로 선택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해준다. 아울러, 제1조절수단과 달리 제2조절수단은 좌대에 올라서거나 앉은 상태에서 손쉽게 핸들(55)을 이용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제2조절수단의 핸들(55)에 의해 스크류축(53)이 회동하게 되면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가 승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보조지지대(60)를 신축되면서 조절다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여 사용상의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좌대로부터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어 폭 넓은 활용성과 범용성을 제공하고 좌대에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보다 정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고정대 2:결속홈 10: 메인다리
11: 슬라이드홈 12, 22: 체결공 20: 조절다리
21: 통공 30: 보조다리 31: 조절공
35: 받침대 40: 조절구 41: 스프링
42: 체결핀 43: 조작판 44: 가압편
45: 가압구 51, 52: 블럭 53: 스크류축
55: 핸들 60: 보조지지대 65: 결속구
66: 결속핀 P: 프레임

Claims (5)

  1. 낚시용 좌대의 프레임(P)에 구비하는 고정대(1)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지지하는 다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의 일측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슬라이드홈(11)을 구비하는 중공의 메인다리(10);
    상기 메인다리(10)의 외주면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하단에 통공(21)을 구비하는 중공의 조절다리(20);
    상기 조절다리(20)의 내부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조절공(31)을 구비하는 중공의 보조다리(30);
    상기 조절다리(20)의 통공(21) 상에 개재되어 장착하고, 상기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에 결속되면서 가압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 및
    상기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각각 장착하고, 핸들(55)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수단은 조절다리(20)의 통공(21)과 보조다리(30)의 조절공(31)상에 스프링(41)이 탄지되면서 힌지 결합되어 상호 연동하는 체결핀(42)을 결합한 조작판(43)과 함께 하단이 분기된 가압편(44)을 구비한 조절구(40)와, 상기 조절구(40)의 가압편(44)에 맞물리도록 체결되는 가압구(45)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결속하여 조절다리(20)로부터 보조다리(30)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조절수단은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 내부에 결합되는 블럭(51)(52)과, 상기 블럭(51)(52)에 체결되어 연동하는 스크류축(53)과, 상기 스크류축(53)의 일단에 맞물려 회동력을 전달하는 핸들(55)에 의해 상호 맞물리면서 상하로 유동하여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다리(20)는 그 외주면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면서 결속핀(66)을 개재한 결속구(65)와, 상기 결속구(65)의 결속핀(66)에 각각 어긋나게 장착되어 제2조절수단과 함께 상호 연동하여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신축하는 보조지지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수단은 핸들(55)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축(53)이 블럭(51)을 상하로 유동함과 동시에 블럭(52)이 스크류축(53)을 상하로 유동하여 핸들(55)의 회전수를 저감하면서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낮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5. 삭제
KR1020140187009A 2014-12-23 2014-12-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10166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09A KR101667858B1 (ko) 2014-12-23 2014-12-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09A KR101667858B1 (ko) 2014-12-23 2014-12-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82A KR20160076682A (ko) 2016-07-01
KR101667858B1 true KR101667858B1 (ko) 2016-10-19

Family

ID=5650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09A KR101667858B1 (ko) 2014-12-23 2014-12-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63Y1 (ko) * 2018-07-27 2019-01-17 이희선 낚시좌대의 높이조절용 지주
KR102237250B1 (ko) * 2020-02-28 2021-04-06 박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KR102483332B1 (ko) * 2021-07-28 2022-12-29 박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79058U (zh) * 2011-06-30 2012-04-04 崔振海 钓台
KR101546322B1 (ko) * 2014-03-07 2015-08-24 유덕하 낚시용 좌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414A (ja) * 1994-02-28 1995-10-31 Yamakou:Kk 折り畳み台脚装置
KR200366927Y1 (ko) 2004-07-27 2004-11-06 박남수 낚시용 좌대
KR200442567Y1 (ko) 2007-03-08 2008-11-19 최용식 낚시용 기능성 좌대
KR101089688B1 (ko) 2008-11-10 2011-12-07 중앙알칸(주) 낚시자리용 접이식 좌대
KR101347160B1 (ko) * 2010-12-16 2014-01-07 배태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79058U (zh) * 2011-06-30 2012-04-04 崔振海 钓台
KR101546322B1 (ko) * 2014-03-07 2015-08-24 유덕하 낚시용 좌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82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964B2 (en) Folding table
KR100951282B1 (ko) 휴대용 낚시 좌대
US3547054A (en) Folding-telescoping support
KR10166785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CA2561456A1 (en) Easel with support structure
US20090261627A1 (en) Stool with telescopic legs
KR10134716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US9572425B2 (en) Tray table apparatus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US9980562B2 (en) Tray table apparatus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WO2017188854A1 (ru) Мольберт
US1717908A (en) Folding stool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US20190254417A1 (en) Collapsible Table System
RU2614967C1 (ru) Мольберт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KR101819860B1 (ko) 낚시받침대 장착용 꽂이대
US20120012094A1 (en) Freestanding barbecue
CN208909244U (zh) 一种底部角度可调的谱架底座
CN208108921U (zh) 一种便携式折叠弓架
CN217784753U (zh) 一种支撑脚架和支撑装置
CN108391988A (zh) 一种多功能工艺美术画架
KR101755666B1 (ko) 파라솔 고정장치
RU167716U1 (ru) Мольбер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