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50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250B1
KR102237250B1 KR1020200025347A KR20200025347A KR102237250B1 KR 102237250 B1 KR102237250 B1 KR 102237250B1 KR 1020200025347 A KR1020200025347 A KR 1020200025347A KR 20200025347 A KR20200025347 A KR 20200025347A KR 102237250 B1 KR102237250 B1 KR 10223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eight
leg
screw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식
박재연
Original Assignee
박호식
박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식, 박재연 filed Critical 박호식
Priority to KR102020002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B9/08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spreading means inside a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가 내부에 구비된 메인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가 구비된 조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조절다리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스크류을 조여 고정시키는 너트뭉치부 및 상기 너트뭉치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너트뭉치부가 풀리도록 구성된 너트해제부를 포함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넓은 범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미세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 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SEAT LEG FOR POSSIBILITY OF REGULATING HIGH AND LOW}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의 다양한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손쉬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인공적으로 조성된 낚시터에서는 어장의 주변에 각기 좌대가 배치되어 각 좌대에 앉아 낚시를 즐기거나 좌대에 마련된 낚시 로드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좌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낚시터가 아닌 자연 상태의 강이나 바다에서는 별도의 좌대를 구비하고,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자연조건의 바닥은 동일한 조건의 다리를 가지고는 평탄한 효과를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좌대는 각 다리마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파이프에 텐션돌기가 내장되고 규격이 다른 파이프를 삽입하여 선택된 홀과 텐션돌기를 일치시킴으로 다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홀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관계로 미세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삽입되는 파이프 말단에 조임을 주어 높이 조절 후 고정시키는 형태가 있으나 일정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시 높이가 변화되거나 표면에 압착흔적이 발생되어 조여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301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으로 넓은 범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미세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 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가 내부에 구비된 메인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가 구비된 조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조절다리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스크류을 조여 고정시키는 너트뭉치부 및 상기 너트뭉치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너트뭉치부가 풀리도록 구성된 너트해제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는 간편한 조작으로 넓은 범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미세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 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다리의 상단에 결합되는 코너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뭉치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뭉치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해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다리의 상단에 결합되는 코너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뭉치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뭉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해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는 메인다리(100) 및 조절다리(2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다리(100)는 좌대의 프레임(도면 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좌대의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코너브라켓(11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브라켓(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의 일단부로 삽입되는 브라켓삽입부(111)와 메인다리(100)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다리결합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브라켓(110)의 브라켓삽입부(111)가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좌대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112)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다리(100)의 결합 시 일정한 각도로 삽입결합되도록 2개의 끼움부재(113)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재(113)에는 2개의 돌기(114)와 1개의 타공홀(115)이 형성되어 돌기(114)는 다리결합부(112)에 형성된 홀(115)에 삽입되고, 타공홀(115)은 다리결합부(112)에 형성된 볼트홀(116)과 연통되어 볼트(도면 미도시)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다리(100)와 코너브라켓(110)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113) 사이에는 메인다리(100)가 삽입결합되는 다리삽입부(1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리삽입부(117)의 내측 상단에는 다리삽입부(117)의 상단을 막는 코너브라켓마개(118)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다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2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다리(100)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중심에는 스크류(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120)의 상단은 스크류(120)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미세높이조절부(121)이 결합될 수 있으며, 미세높이조절부(121)는 코너브라켓마개(118)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회전시 스크류(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노출된 미세높이조절부(121)를 회전시키면 미세높이조절부(121)에 결합된 스크류(120)가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120)의 하부에 결합된 조절다리(200)는 스크류(120)가 회전한 만큼 이동함으로써,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120)의 하단에는 조절다리(2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조절다리(2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시 조절다리(200)의 상면이 걸림부재(122)에 걸려 조절다리(200)가 메인다리(100)의 하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다리(200)는 메인다리(100)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스크류(12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다리(200)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다리(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메인다리(100)의 하부로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메인다리(100)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뭉치부(310), 너트해제부(320) 및 손잡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뭉치부(310)는 조절다리(20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면 스크류(120)을 조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크류(120)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스크류(120)를 조여 조절다리(200)를 고정시키거나 스크류(120)를 풀러 조절다리(2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너트뭉치부(3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1), 제1너트(312) 및 제2너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3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너트(312)는 몸체(31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되, 절개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311)의 내측 하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1너트(312)가 양측방향 또는 중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너트(312)의 외측에는 각각 제1스프링(3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는 스크류(120)의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314)의 탄성력에 의해 제1너트(312)는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크류(120)를 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너트(312)가 제1스프링(314)의 탄성력에 의해 제1너트(312)는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크류(120)를 조이면 조절다리(200)가 고정되고, 제1너트(312)가 양측으로 벌어지면 스크류(120)를 풀러 조절다리(2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너트(313)는 제1너트(312)의 상부에 몸체(311)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절개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양측으로 벌어지고, 하부로 이동하면 스크류(120)를 조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너트(313)의 외주면은 몸체(311)의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311)의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체(311)의 내측면을 따라 제2너트(31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절개된 제2너트(313)는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몸체(311)의 내측면을 따라 제2너트(31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양측으로 벌어졌던 제2너트(313)는 가운데로 모여 스크류(120)를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너트(313)의 외부 일측에평면(313a)이 형성되고, 제2너트(313)의 평면(313a)과 접하는 몸체(311)의 내측면도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너트(313)가 스크류(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 스크류(12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높이조절부(121)에 의해 스크류(120)가 회전할 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너트(313)의 상부에는 제2너트(313)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315)이 구비되어 제2너트(313)가 몸체(311)의 상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너트(31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너트(313)의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편(315)의 하면이 제2너트(313)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너트(313)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너트(313)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315)의 상부에는 탄성력에 의해 제2너트(313)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31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너트(313)는 상부로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2스프링(316)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크류(120)를 조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스프링(316)의 상부에는 몸체(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3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311)의 하부에는 하부마개(318)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마개(317)의 하면과 지지편(315)의 상면에는 제2스프링(316)에 삽입되어 제2스프링(31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해제부(3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다리(2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너트뭉치부(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너트뭉치부(310)가 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너트해제부(320)는 너트해제몸체(321), 너트분리부(322) 및 상승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해제몸체(321)는 조절다리(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다리(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분리부(322)는 너트해제몸체(32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너트해제몸체(321)가 상부로 이동하면 제1너트(312) 사이로 삽입되어 양측으로 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분리부(322)는 너트해제몸체(321)의 상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해제부(3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너트분리부(322)는 제1너트(312)의 절개된 사이로 삽입되고,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에 의해 제1너트(312)는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너트분리부(322)의 끝단에는 상부방향으로 상승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승핀(323)는 너트해제몸체(321)가 상부로 이동하면 제2너트(313)를 밀어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너트해제몸체(321)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승핀(323)은 제2너트(313)를 밀어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너트(313)가 스크류(120)를 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해제몸체(321)의 하단에는 레버(333)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325)가 형성된 몸체결합부(32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25)는 몸체결합부(324)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레버(333)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333)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30)는 너트해제부(3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너트해제부(320)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조절다리(2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너트해제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다리(200)의 하단에 레버결합부(331)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결합부(331)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축(332)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332)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레버(33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333)는 조절다리(2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통해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333)가 상하로 회전시 손잡이(333)가 몸체결합부(324)를 상부로 밀어 너트해제부(320)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너트뭉치부(310)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가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리를 이용하여 손잡이(333)를 동작시킬 수 있어 물에 젓지 않고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다리(200)의 하부에는 발판(50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500)은 소정의 길이를 지니면서 조절다리(200)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상하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지면으로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판 형태의 받침대(5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인다리 110 : 코너브라켓
120 : 스크류 121 : 미세높이조절부
200 : 조절다리 300 : 높낮이조절부
310 : 너트뭉치부 311 : 몸체
312 : 제1너트 313 : 제2너트
314 : 제1스프링 315 : 지지편
316 : 제2스프링 317 : 상부마개
318 : 하부마개 319 : 돌출부
320 : 너트해제부 321 : 너트해제몸체
322 : 너트분리부 323 : 상승핀
330 : 손잡이부 333 : 손잡이

Claims (7)

  1.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가 내부에 구비된 메인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가 구비된 조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조절다리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스크류을 조여 고정시키는 너트뭉치부; 및
    상기 너트뭉치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너트뭉치부가 풀리도록 구성된 너트해제부;
    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는
    상기 스크류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미세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뭉치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절개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되,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조이는 제1너트; 및
    상기 제1너트의 상부에 상기 몸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절개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양측으로 벌어지고,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를 조이도록 형성된 제2너트;
    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뭉치부는
    상기 제2너트의 상부에 상기 제2너트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너트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의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하면이 상기 제2너트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해제부는
    상기 조절다리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너트해제몸체;
    상기 너트해제몸체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너트해제몸체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너트 사이로 삽입되어 양측으로 벌리는 너트분리부; 및
    상기 너트분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해제몸체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2너트를 밀어 상부로 이동시키는 상승핀;
    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너트해제부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조절다리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너트해제부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KR1020200025347A 2020-02-28 2020-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KR10223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47A KR102237250B1 (ko) 2020-02-28 2020-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47A KR102237250B1 (ko) 2020-02-28 2020-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250B1 true KR102237250B1 (ko) 2021-04-06

Family

ID=7547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47A KR102237250B1 (ko) 2020-02-28 2020-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3385A1 (en) * 2002-06-11 2003-12-18 Dong I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fishing chair
KR20130103011A (ko) 2012-03-09 2013-09-23 손원일 휴대가 용이한 조립식 좌대
KR20150054325A (ko) * 2013-11-12 2015-05-20 (주)케이앤에이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KR101546322B1 (ko) * 2014-03-07 2015-08-24 유덕하 낚시용 좌대
KR20160076682A (ko) * 2014-12-23 2016-07-01 배태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200488363Y1 (ko) * 2018-07-27 2019-01-17 이희선 낚시좌대의 높이조절용 지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3385A1 (en) * 2002-06-11 2003-12-18 Dong I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fishing chair
KR20130103011A (ko) 2012-03-09 2013-09-23 손원일 휴대가 용이한 조립식 좌대
KR20150054325A (ko) * 2013-11-12 2015-05-20 (주)케이앤에이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KR101546322B1 (ko) * 2014-03-07 2015-08-24 유덕하 낚시용 좌대
KR20160076682A (ko) * 2014-12-23 2016-07-01 배태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200488363Y1 (ko) * 2018-07-27 2019-01-17 이희선 낚시좌대의 높이조절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973A (en) Adjustable seat pedestal
KR101562288B1 (ko)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KR10223725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KR102176754B1 (ko) 낚시대 거치대용 받침장치
KR200408061Y1 (ko) 파라솔 각도조절장치
KR20220012527A (ko) 낚시 좌대용 프레임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KR10248333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용 다리
KR102418561B1 (ko) 낚시대용 받침대의 고정장치
KR20160000132U (ko) 낚시 좌대
KR20130103011A (ko) 휴대가 용이한 조립식 좌대
KR20220001787U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낚시대 받침대
KR102275316B1 (ko) 낚싯대용 받침장치
KR20090012744A (ko) 낚싯대용 받침기구
KR200275831Y1 (ko) 낚싯대 받침대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200101644A (ko)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200455256Y1 (ko)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20200030991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KR200200158Y1 (ko) 스탠드의 높이 조절장치
KR102182313B1 (ko) 낚시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KR200459298Y1 (ko) 낚시 받침대용 상하 좌우 각도 조절장치
KR200376999Y1 (ko)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KR200240555Y1 (ko) 가구용 다리의 발
KR200332810Y1 (ko)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