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855A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855A
KR20230145855A KR1020220044781A KR20220044781A KR20230145855A KR 20230145855 A KR20230145855 A KR 20230145855A KR 1020220044781 A KR1020220044781 A KR 1020220044781A KR 20220044781 A KR20220044781 A KR 20220044781A KR 20230145855 A KR20230145855 A KR 2023014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s
rewar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놀던친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놀던친구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놀던친구들
Priority to KR102022004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855A/en
Publication of KR2023014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85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는, 콘텐츠 공유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들과, 각각의 이용자에 대해 적립된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이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제1이용자로부터 제1콘텐츠가 새로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되, 상기 제1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content uploaded by users and information about rewards accumulated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used by each user, receives new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newly uploaded from the first user, the uploaded first content is posted, but the exposure ranking of the first content is changed and posted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viewed the first content; ,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allows a reward to be paid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first content of the second user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

Description

이용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Content sharing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 간에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을 제공하고, 콘텐츠 공유를 촉진하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을 이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device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sharing content between users, promoting content sharing, and distributing the resulting profits to users, and the same. It is about the device that performs it.

최근 들어 온라인 통신 기술의 발달로 누구나 콘텐츠를 생성하여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처음부터 수익이나 공익을 목적으로 제작된 각종 미디어 콘텐츠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재미만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타인과 공유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anyone can create content and share it with others. Accordingly, in addition to various media contents created from the beginning for the purpose of profit or public interest, many people are creating content with various ideas and sharing it with others simply for fun.

또한 이처럼 콘텐츠가 다양해지면서, 콘텐츠의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특히 휴대 가능한 개인용 정보처리단말이 보편화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의 소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콘텐츠 소비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문화가 널리 확산하고 있고, 틀에 박히지 않아 재미있고 참신한 개인 제작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Additionally, as content becomes more diverse, the number of consumers of content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as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s become more common, content consumption is possible anytime and anywhere, so the amount of content consumption by individuals is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culture in which everyone produces and consumes content is spreading widely, and the consumption of personally created content that is unconventional, fun, and novel is increasing.

다만 이처럼 개인적인 콘텐츠의 공급과 소비의 과정에서, 콘텐츠를 중개하는 서비스은 꾸준한 광고 수익을 얻는 것이 가능했던 반면, 콘텐츠를 공급하고 소비하는 이용자들은 대체로 무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뿐이 있었다. 특히 콘텐츠를 꾸준히 소비하는 이용자들은 단순히 혜택을 취하는 이용자로 취급되어 광고 수익의 배분에서 완전히 소외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and consuming personal content, it was possible for content brokering services to earn steady advertising revenue, while users who supplied and consumed content generally only used the service for free. In particular, users who consistently consume content were treated as users who simply benefited and we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distribution of advertising revenue.

그러나 이용자들의 입장에서도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꾸준히 광고에 노출되기 때문에 피로를 감당해야 할 뿐 아니라, 광고의 대상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자로서, 상술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가 유지되는데 가장 기여도가 높은 주체라는 점에서 이용자들에게도 수익을 배분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y not only have to deal with fatigue because they are constantly exposed to advertisements in the process of consuming content, but also, as potential consumers of the target of advertisements, they are the entities that contribute the most to maintaining the above-mentioned content sharing service. There is a need to distribute profits to users as well.

본 발명은, 이용자 간에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을 제공하고, 콘텐츠 공유를 촉진하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을 이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for sharing content between users, promote content sharing, and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the resulting profits to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는, 콘텐츠 공유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들과, 각각의 이용자에 대해 적립된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이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제1이용자로부터 제1콘텐츠가 새로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되, 상기 제1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content uploaded by users and information about rewards accumulated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used by each user, receives new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newly uploaded from the first user, the uploaded first content is posted, but the exposure ranking of the first content is changed and posted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viewed the first content; ,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allows a reward to be paid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first content of the second user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기 전에, 상기 제1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콘텐츠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posting the first cont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thumbnai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based on a content quality score giv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data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The first content can be posted by determining the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content list containing the list, and placing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posure ord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2이용자에 의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제2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2콘텐츠를 상기 제2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열람이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content lis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llows the second user to select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list. When a thumbnail is selected, the second content is provided to the second user, and when the second user's viewing of the second content is confirmed, a reward can be paid to the second user.

또한, 상기 저장부는, 각각의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들이 상기 콘텐츠 공유 장치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동작을 요구하는 미리 설정된 미션을 제공하고, 임의의 이용자가 상기 미션을 수행하면 상기 임의의 이용자에게 상기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okens held by each user,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preset missions that require users to perform actions on the content sharing device, and allows any user to If the mission is performed, the token can be paid to the random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은, 콘텐츠 공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제1이용자로부터 제1콘텐츠가 새로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게시된 상기 제1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a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content sharing device, and includes the steps of posting the uploaded first content when the first content is newly uploaded from a first user;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first content and posting it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have viewed the posted first content; and paying a reward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first content by the second user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또한, 상기 콘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콘텐츠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는, 결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용자들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반응에 기초하여 산정한 반응 점수와 상기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haring method, before posting the first content, based on a content quality score giv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data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a plurality of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an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will be placed in a content lis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content, wherein the step of posting the first content includes placing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posure order. A step of posting the first content by arranging a thumbnail of the content,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and posting includes a reaction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users'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It may include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in the content list based on the quality score.

또한, 상기 콘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제2이용자에게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이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제2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2콘텐츠를 상기 제2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2이용자의 열람이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2이용자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가 기 설정된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ent sharing method includes provid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 to the second user; When a thumbnail for second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is selected by the second user,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to the second user; And when the second user's viewing of the second content is confirmed,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aying a reward to the second user, wherein the step of paying the reward to the second user includes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Checking whether rewards accumulated for the second user during a set period have reached a preset maximum rewar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ximum reward has not been reached, it may include paying a reward to the second user.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 간에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을 제공하고, 콘텐츠 공유를 촉진하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을 이용자에게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for sharing content between users, promote content sharing, and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the resulting profits to users.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에 연결된 이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tributing profits according to a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8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have been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configura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However, before explaining this, we first defin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below.

먼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종류의 데이터가 결합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온라인 상에서 게시되고, 공유됨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로 인식되는 객체이다. First, i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ontent is a set of digital data composed by combining one or more types of data among text, audio, image, and video data, and is recognized as a unit when posted and shared online. It is an object that becomes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Terms that require explanation other than those defined above are explained separately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상의 서버장치로 구현되어, 복수의 이용자들이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업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콘텐츠를 게시하여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를 게시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광고가 콘텐츠 내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광고도 독립된 콘텐츠로서 다른 콘텐츠와 함께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content sha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 typical server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network (N), allows multiple users to upload new content, stores the uploaded content, and While managing, content is posted so that users can freely view it.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posting and sharing cont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insert advertisements into the content or allow advertisements to be posted together with other content as independent content.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이용자들이 콘텐츠의 공급자나 소비자로서, 또는 공급자이자 소비자로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광고로 인한 수익이 이용자들에게 모두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llows all profits from advertising to be distributed to users in the process of sharing content as a provider or consumer of content, or as both a provider and consumer.

이러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통상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서버, 후술할 이용자 단말(200)을 클라이언트로 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 단말의 접속에 따른 데이터 처리 로드를 분배하기 위한 로드밸런싱서버 등과 같은 복수의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is content sharing device 100 can be implemented as a typical server device, including a database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content, an application server running a server appl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s a cli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terminal conn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serve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server devices such as a load balancing server for distributing the data processing load according to.

한편 콘텐츠 공유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이하에서 이용자 단말(200)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콘텐츠 공유 장치(100)를 통해 콘텐츠를 게시하는 '콘텐츠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가 공급한 콘텐츠를 제공받아 열람하는 '콘텐츠 소비자'로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으나, 모든 이용자는 콘텐츠 공급자와 소비자가 모두 될 수 있고, 두 유형의 이용자의 계정이 구분되어 관리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콘텐츠 공급자'는 '제1이용자'로, '콘텐츠 소비자'는 '제2이용자'로 지시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used by users wh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ser terminal 2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200 is referred to as a 'content provider' who posts content through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nd a 'content consumer' who receives and views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However, all users can be both content providers and consumers, and the accounts of the two types of users are not managed separately. Additionally, hereinafter, 'content provider' may be referred to as 'first user', and 'content consumer' may be referred to as 'second user'.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용자는 콘텐츠 게시 및 열람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공급자와 소비자에 대해 구분되어 제공되지 않는다. 즉, 콘텐츠 공급자와 콘텐츠 소비자는 동일한 이용자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행 동작에 따라 구분하여 기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user can both post and view content. Additionally, the client program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provided separately for providers and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consumer may be the same user,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ar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erformed operation.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200)은 전자단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전자단말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terminal. In this case, the electronic terminal is a computer, portable terminal, or television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N) or connect to other terminals and servers. , can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etc.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All types of handhelds such as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mart Phone, Mobile WiMAX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etc.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television may includ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nternet TV (Internet Television), terrestrial TV, cable TV, etc. Furthermore, a wearable device is a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an be worn directly on the human body, such as a watch, glasses, accessories, clothing, or shoes, and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other terminal via a network directly or through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be connected to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술한 콘텐츠 공유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using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광고주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광고주 단말(300)을 사용하는 광고주의 의뢰에 기초하여 서비스 내에서 이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에 대한 광고료를 정산하는 정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광고주 단말(300)이 특정 광고 캠페인의 진행을 의뢰하면, 광고 캠페인 진행을 위한 비용을 결제받은 후에, 해당 광고를 서비스내에서 다른 콘텐츠와 함께 이용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출 횟수 등에 따라 결제받은 비용 내에서 광고 수수료를 정산하고, 정산되는 광고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정산 데이터로서 광고주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advertiser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rovide settlement data for calculating advertising fees for advertisements exposed to users within the service based on a request from an advertiser using the advertiser terminal 300. When the advertiser terminal 300 requests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dvertising campaig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receives payment for the advertising campaign and then exposes the advertisement to users along with other content within the service. . Additionally, the advertising fee can be settled within the paid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posures, etc., and information on the settled advertising fee can be provided to the advertiser terminal 300 as settlement data.

이때 광고주 단말(300)도 통상의 전자단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고주 단말(300)에는 콘텐츠 공유 장치(100)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웹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vertiser terminal 3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normal electronic terminal, and a web browser or application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advertiser terminal 300.

한편 이하에서는 콘텐츠 공유 장치(10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저장부(110)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10 may install and stor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files, programs such as applications, and data necessary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access and us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or may store new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execute a program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10.

저장부(110)에는 특히 업로드된 각종 콘텐츠들이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한 이용자에 대한 정보가 연관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0)에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에 대한 정보와, 각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의 양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와 토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particular, various uploaded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Each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o uploaded the content. And the storage unit 11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rewards accumulated for each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kens held by each user. Here, rewards and token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or networks.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hipset.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dditionally, wired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USB or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가령, 통신부(120)는 콘텐츠 공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공급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따른 콘텐츠를 콘텐츠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a content sharing method. For example, data may be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er terminal,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may be provided to a content consumer terminal.

이때 이용자 단말(200)에는 콘텐츠 공유 장치(100)와 이용자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 통신부(120)는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데이터들을 송신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or sends data from the user interface. It can receive input commands or data.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유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관리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콘텐츠 공유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to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dministrator input received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11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execute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read a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or store a new file in the storage unit 110.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다수의 이용자가 접속하여 콘텐츠를 게시하고, 열람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비스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거나, 이용자 단말(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users with an online service that allows multiple users to access, post, and view cont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services through an Internet site o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이용자를 이용자의 식별 정보 또는 이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이용자 각각에 대하여 계정을 부여하고, 계정에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통해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identify a user accessing the service based o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assign an account to each user and identify the user through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account.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를 수신한다는 의미는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는 것뿐 아니라 온라인 상에 게시된 콘텐츠로 연결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t this time, receiving content may include not only receiving the content itself but also receiving information linking to content posted online.

그리고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서비스 상에 게시하여 콘텐츠 소비자가 열람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광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하단에 광고를 첨부하거나 콘텐츠가 음향, 동영상 등일 때, 콘텐츠 재생 이전에 광고를 재생하도록 콘텐츠를 가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의 제공을 통해 콘텐츠 공유를 함에 있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창출한 수익을 이용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수익의 분배 방법은 관련 부분에서 후술한다.And the control unit 130 can pos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n the service so that the content consumer can view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dvertisements while providing content. For example, when an advertisemen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ontent or the content is audio or video, the content can be processed to play the advertisement before playing the content. The control unit 130 can generate revenue by sharing content by providing advertisements as described above, and can activate content sharing by distributing the generated revenue to users. The method of distributing profits in this regar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relevant section.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콘텐츠를 열람하게 하기 위하여 콘텐츠의 썸네일을 나열하여 생성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리스트에는 콘텐츠 썸네일 뿐 아니라, 콘텐츠 제목 등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content consumers with a content list generated by listing thumbnails of content in order to view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content list may include not only content thumbnails but also content titles.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콘텐츠를 게시하되,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콘텐츠의 썸네일이 콘텐츠 리스트에 배치되는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ost content, set an exposure priority of the content, and vary the order in which thumbnails of the content are arranged in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set exposure priority.

최초에 콘텐츠를 게시할 때에는,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의 길이, 이미지의 개수 및 이미지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퀄리티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의 연관성이란,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이나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의 연관성을 말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텍스트의 길이 및 이미지의 개수에 비례하여 퀄리티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미지의 연관성이 높을수록 높은 퀄리티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When initially posting content,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ranking based on the quality score of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assign a quality score to the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ength of text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the number of imag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s. At this time,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s refers to the corre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content or between the images and text included i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grant a quality scor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text and the number of images, and may grant a higher quality score as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s increases.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exposure ranking of content based on the quality score.

그리고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게시된 이후에는, 콘텐츠를 열람한 콘텐츠 소비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반응, 예를 들어 추천 또는 비추천 입력 등의 반응에 기초하여 반응 점수를 산정하고, 반응 점수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게시된 이후에는, 상술한 퀄리티 점수와 반응 점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And after the content is posted,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a reaction score based on the reaction to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consumer who has viewed the content, for example, a reaction such as a recommendation or non-recommendation input, and calculates the content based on the reaction score. The exposure ranking can be determined. Additionally, after the content is posted,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judging the quality score and response score described above.

여기서 '추천'과 '비추천'은 예를 들어, 통상의 온라인 서비스 내의 '좋아요', '싫어요', '올려', '내려' 등과 같이 긍정 또는 부정의 반응을 의미한다. Here, 'recommendation' and 'not recommendation' mean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such as 'like', 'dislike', 'up', 'down', etc. within a typical online service.

그리고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일정 시간마다 갱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반응 점수를 일정 시간마다 갱신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의 반응 점수 또는 퀄리티 점수와 반응 점수의 합을 서로 비교하여 노출 순위를 변동시킬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130 can update the exposure ranking of content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update the reaction score for the content at regular intervals and change the exposure ranking by comparing the reaction score or the sum of the quality score and the reaction score of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ly.

또한, 제어부(130)는 이처럼 결정되고, 갱신되는 콘텐츠의 노출 순위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a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that is determined and updated and provide it to users.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콘텐츠 소비자로부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임의의 콘텐츠 썸네일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선택된 콘텐츠 썸네일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a selection of an arbitrary content thumbnail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consum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thumbnail to the content consumer.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 및 콘텐츠 소비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란, 이용자의 행위에 대응하여 보상으로 지급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교환 가치를 갖는 온라인 상의 재화를 말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리워드를 소정 조건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이용이 가능한 재화, 예를 들면, 현금으로 교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그 외에도 각종 쿠폰이나 티켓, 상품권 등과 같은 사실상의 유가증권으로 교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reward' to at least one of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consumer. At this time, 'reward' refers to an online good with a certain exchange value that is paid as compens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a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rewards by exchanging them for goods that can be used offline, for example, cash,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In addition, various valuable items such as coupons, tickets, gift certificates, etc. It can also be offered in exchange for securities.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의 콘텐츠 게시 행위에 대응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게시하면 콘텐츠 공급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in response to the content posting behavior of the content provid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and pay a reward to the content provider when the received content is posted.

이때,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이용률에 비례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급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열람 횟수 및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용률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를 열람한 횟수 및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 소비자에게 공유한 횟수에 기초하여 이용률을 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의 이용률이 높을수록 해당 콘텐츠의 공급자에 대하여 높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공유는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츠의 URL을 타 이용자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 것이나, 또는 타 서비스의 메시지나 게시물 형식으로 콘텐츠를 타 서비스에 게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to the provider of the content in proportion to the usage rate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calculate the utilization rat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content. In other words, the usag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consumer has viewed the content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consumer has shared the content with other content consumers. The higher the usage rate of content, the more the control unit 130 can pay a higher reward to the provider of the content. Here, sharing content may mean, for example, sending the URL of the selected content to another user or someone who is not subscribed to the service, or posting content to another service in the form of a message or post from another service. there is.

또한, 제어부(130)는 콘텐츠 게시 행위에 대응하는 리워드 지급 기간에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게시 후 24시간 동안의 이용률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지급하고, 이후에는 이용률이 증가하더라도 더이상 리워드를 지급하지 않는 기간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a limit on the reward payment period corresponding to content posting behavior. For example, rewards can be paid based on the usage rate for 24 hours after content is posted, and then a period limit can be set for no longer paying rewards even if the usage rate increases.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게시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콘텐츠의 열람 횟수나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용률을 산정한 후, 그에 대응하는 금액의 리워드를 콘텐츠 공급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may calculate the usage rat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or the number of shares of the content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after the content was posted, and then pay a reward of the corresponding amount to the content provider. there is.

그에 따라 콘텐츠 공급자들은 일정 시간 내에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를 최대화하여 많은 리워드를 지급 받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공급자들은 콘텐츠를 타 이용자들에게 공유하거나, 콘텐츠에 대한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다른 지인들이 서비스에 가입하여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 공급자들은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높임으로써 이용률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토큰을 소진할 수 있다. 여기서 '토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ccordingly, content providers can strive to receive many rewards by maximizing the number of views and share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his end, content providers can share content with other users or encourage other acquaintances who are not subscribed to the service to subscribe to the service and consume content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rate of the content. Furthermore, content providers can try to improve usage rates by increas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ir content, and can use up tokens to do so. Here, ‘toke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어부(130)는 콘텐츠 노출 순위에 기초하여 콘텐츠 공급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노출 순위에 비례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급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노출 순위와 이용률을 종합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련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rewards to content providers based on content exposure ranking. For example, rewards can be paid to the provider of the content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exposure rank,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rewards may be paid by combining the content exposure rank and usage rate. The method for determining exposure ranking has been described above.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 소비자의 콘텐츠 열람 행위에 대응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리워드 지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in response to the content consumer's content viewing behavio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can set predetermined conditions to determine whether to pay a reward.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게시된 인터넷 페이지 상에서 체류한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체류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한 것으로 보고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reward based on the time spent on the Internet page where the content is posted. For example, if the stay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he relevant content is considered to have been viewed and a reward can be paid.

또한, 제어부(130)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열람 비율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설정된 열람 비율 이상 열람하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한 것으로 보고 리워드를 지급하거나, 열람 비율에 비례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해당 콘텐츠를 80% 열람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콘텐츠를 100% 열람했을 때 지급되는 1단위 리워드 대비 80%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콘텐츠를 80% 이상 열람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한 것으로 보고 1단위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based on the viewing rate for one content. That is, if the content is viewed more than a set viewing rate,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has been viewed and provide a reward, or provide a reward in proportion to the viewing rat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80% of the content has been viewed, a reward of 80% can be paid compared to the 1 unit reward paid when the content has been viewed 100%.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more than 80% of the content has been viewed, the content can be considered viewed and a 1-unit reward can be paid.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게시된 인터넷 페이지 상에서 체류한 시간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대한 열람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체류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만족하면 소정 비율을 열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복수의 인터넷 페이지에 게시된 경우, 콘텐츠가 게시된 총 페이지 수 대비 열람한 페이지 수 비율에 기초하여 열람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게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상하 또는 좌우의 길이가 콘텐츠 소비자 단말의 표시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 길이보다 긴 경우, 인터넷 페이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스크롤 입력에 따라 노출된 인터넷 페이지의 비율에 기초하여 열람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포함된 음향, 동영상 등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열람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가령, 콘텐츠의 총 재생 시간 대비 실제 재생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열람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may calculate the viewing rate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time spent on the Internet page where the content is pos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a predetermined rate has been viewed when the residence time satisfies a set time. Additionally, when content is posted on multiple Internet pages, the viewing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pages viewed to the total number of pages on which the content is posted. 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of the Internet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poste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content consumer terminal, the ratio of the Internet page exposed according to the scroll input to move the Internet pag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viewing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 Additionally, the viewing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layback time of sounds, videos, etc. included in the content. For example, the viewing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the actual playback time to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content.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 열람 행위에 대응하는 리워드 지급에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단위 시간당 한 명의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 열람 행위로 지급받을 수 있는 리워드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가령, 한 명의 콘텐츠 소비자에 대하여 1시간 당 5단위 리워드까지만 지급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a limit on reward payment corresponding to content viewing behavi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limit the amount of rewards that one content consumer can receive per unit of time for viewing content. For example, one content consumer may be limited to receiving only 5 units of reward per hour.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특정 이벤트를 수행하였을 때 그 대가로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를 모집하면, 그에 대응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새로운 이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서 추천인에 다른 이용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추천인으로 입력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존 이용자가 새로운 이용자에 대하여 서비스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홍보 정보를 송신한 경우, 예를 들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 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객체 또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홍보 정보를 송신하고, 새로운 이용자가 수신한 홍보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을 수행하면, 해당 홍보 정보를 송신한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회원 가입을 하면서 추천인을 입력하거나 홍보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을 하는 등 기존 이용자로부터 서비스를 추천받은 새로운 이용자에 대해서도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in return when the user performs a specific event. For example, when a user recruits other users, rewards can be paid in response. When a new user registers as a member and enters another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recommender, a rewar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ered as a recommender. In addition, when an existing user transmits promotional information containing a hyperlink object linking to a service to a new us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sends a hyperlink object or content containing the Internet site address of a content sharing service. When promotional information containing a hyperlink object that links to the installation page of an application providing a shared service is transmitted, and a new user accesses the service and registers as a member based on the received promotional information, the user who sent the promotional information Rewards can be paid fo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also provide a reward to a new user who has been recommended the service by an existing user, such as by entering a recommender while registering as a member or accessing the service and registering as a member based on promotional information.

한편, 제어부(130)는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현황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활성 이용자와 비활성 이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가령, 서비스에 접속을 종료한 때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 활성 이용자를 비활성 이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삭제한 후 소정 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 활성 이용자를 비활성 이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classify users into active users and inactive users based on the user's service usage status. For example, if more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access to the service was terminated, an active user can be converted to an inactive user. Additionally, if the application providing the service is deleted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deletion, active users can be converted to inactive users.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다른 활성 이용자에게 '선물'을 보낸 경우, '선물'을 보낸 이용자와 선물을 받은 이용자 모두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선물'은 이용자 간에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상에서 일정한 교환 가치를 가지는 디지털 재화이다.In this regard, when a user sends a 'gift' to another active user, the control unit 130 can pay rewards to both the user who sent the 'gift' and the user who received the gift. At this time, a 'gift' is a digital good that can be exchanged between users and has a certain exchange value on a content sharing service.

또한,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다른 비활성 이용자에게 서비스 이용을 촉구하고, 촉구를 받은 비활성 이용자가 서비스을 이용할 경우, 서비스 이용을 촉구한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이용자로부터 다른 비활성 이용자와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입력받거나 선택받고, 서비스 이용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비활성 이용자에 대하여 푸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비활성 이용자에 대하여 이용을 촉구한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콘텐츠 공유 서비스으로 연결되는 하이퍼 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이용 촉구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 예를 들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객체 또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이용 촉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비활성 이용자가 수신한 이용 촉구 메시지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접속하여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해당 이용 촉구 메시지를 송신한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이용 촉구 메시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는 이용 촉구 메시지를 송신한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촉구를 받은 비활성 이용자가 서비스에 접속하여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촉구 입력을 한 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이용자에 대해서도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who urged another inactive user to use the service when the user urges another inactive user to use the service and the inactive user who received the prompt uses the service.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30 inputs or se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another inactive user from a user and receives a message urging service use, it can transmit a push message to the inactive user. At this time, rewards can be paid to users who urge inactive users to use the service. Or, if the user sends a usage request message that includes a hyperlink object that leads to a content sharing service, for example, a hyperlink object that includes the Internet site address of the content sharing service or an installation page of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content sharing service. A usage request message containing a hyperlink object that connects to is sent, and when an inactive user accesses the service based on the received usage request message and switches to an active state, a reward is paid to the user who sent the usage request message. can do. At this time, the hyperlink object included in the usage urging messag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user who sent the usage urging messag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a reward to the user who entered the prompt when the inactive user who received the prompt accesses the service and becomes active. At this time, rewards can also be paid to activated users.

한편, 제어부(130)는 다른 이용자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용자와 이용자 간 '친구'라는 관계를 설정하고 소정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용자로부터 친구를 맺고자 하는 다른 이용자의 식별정보 및 친구 맺기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이용자간 친구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친구 맺기 요청의 대상이 되는 이용자로부터 수락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친구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를 모집한 경우, 모집한 이용자와 모집된 이용자에 대하여 친구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용자에게 해당 이용자와 친구 관계에 있는 다른 이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친구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메시지 보내기, 선물하기, 비활성 상태인 친구에게 이용 촉구하기 등 친구 관계로 설정된 이용자 간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rewards based on relationships with other us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establish a 'friend'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provide certain funct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can establish a friend relationship between users by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friend request from another user with whom the user wishes to make friend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friend relationship may be established when an acceptanc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who is the target of the friend request. Additionally, when a user recruits another user, the control unit 130 may establish a friend relationship between the recruited user and the recruited u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friend list tha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who are friends with the user, and may send messages, send gifts, urge inactive friends to use, etc.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etween users who are friends can be provided.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단위 시간 당 한 명의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 열람 행위로 지급받을 수 있는 리워드의 양을 제한하되, 친구의 수에 비례하여 지급 가능한 리워드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지급 가능한 리워드 양을 증가시키는 기준이 되는 친구는 활성 상태인 친구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단위 시간 당 지급하는 리워드를, 친구 한 명당 1단위씩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한 명의 콘텐츠 소비자에 대하여 1시간 당 5단위 리워드 이하로 지급이 제한될 때, 5명의 이용자와 친구를 맺으면, 시간 당 10단위까지 지급 가능한 리워드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limit the amount of rewards that can be paid to one content consumer per unit time for viewing content, but may increase the amount of rewards that can be pai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friends. At this time, the friends that serve as a standard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rewards that can be paid may only include friends who are active. For example, the reward paid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by 1 unit for each friend. In other words, when payment is limited to less than 5 units of reward per hour for one content consumer, if you make friends with 5 users, you can increase the amount of reward that can be paid up to 10 units per hour.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상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지불해야 하는 디지털 재화인 '토큰'을 이용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유 서비 상에서 이용자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면 해당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차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용자들이 콘텐츠 공유 서비스 내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을 요구하는 '미션'을 제공하고, 미션을 완성한 이용자에게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토큰이 소비되도록 설정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차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users with 'tokens', which are digital goods that must be paid in order to use certain functions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ice. 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tokens held by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a designated function on the content sharing servic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a 'mission' that requires users to perform actions within the content sharing service and provide tokens to users who complete the mission. And if a user uses a function that is set to consume tokens, the tokens held by the user can be deducted.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가 새로운 콘텐츠를 게시할 때, 토큰을 차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콘텐츠 공급자가 자신의 콘텐츠의 콘텐츠 리스트 상의 노출 순위의 상향을 요청하면, 해당 콘텐츠 공급자의 토큰을 차감하고,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콘텐츠 리스트 상에서 상대적으로 상위에 노출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a token when a content provider posts new content. Additionally, when a content provider requests an increase in the exposure ranking of his or her content on the content list, the control unit 130 may deduct the token of the content provider and expose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at a relatively high level on the content list.

또한, 제어부(130)는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에 '펀딩'을 신청하면, 토큰을 차감할 수 있다. 이때, '펀딩'이란, 소정 콘텐츠에 대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발생한 수익을 해당 콘텐츠에 펀딩을 신청한 이용자에게 분배하는 기능을 말한다. 가령,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펀딩을 신청한 이용자 N명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에서 발생한 수익을 1/N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콘텐츠에 대한 수익은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광고 등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몇 명의 이용자로부터 펀딩을 신청 받았는지에 대한 펀딩 신청수는 해당 콘텐츠의 인기 또는 수익성 판단 시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공급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함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의 이용률 판단 시 해당 콘텐츠의 펀딩 신청수에 기초하여 이용률을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deduct tokens when a content consumer applies for 'funding' for content. At this time, 'funding' refers to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generated profits to users who applied for funding for the content when profits are generated for certain conten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tribute the revenue generated from the content to N users who applied for funding for the content in 1/N ratio. At this time, revenue for certain content may include revenue generated from advertisements included i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umber of funding applications, which refers to how many users have applied for funding, can be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popularity or profitability of the content, and the control unit 130 pays a reward to the content provider of the content.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content, the utilization rat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funding applications for the content.

나아가 이와 같이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에 '펀딩'을 신청하고, 해당 콘텐츠 소비자의 토큰이 차감되면, 이때에도 제어부(130)는 해당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상대적으로 상향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펀딩을 받은 콘텐츠는 펀딩 신청수에 비례하는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콘텐츠 리스트의 상위를 점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콘텐츠 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특정 콘텐츠에 펀딩한 이용자들은 해당 콘텐츠의 공급자가 지급받을 리워드의 일부를 분배받을 수 있다. Furthermore, in this way, when a content consumer applies for 'funding' for content and the content consumer's token is deducted, the control unit 130 can relatively increase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Accordingly, the content that has received funding can continue to occupy the top of the content list for a period of tim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funding applications, and the content usage rate can increase accordingly. Meanwhile, users who fund specific content like this can receive a portion of the rewards to be paid by the provider of the content.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소정 조건에 따라 이용자에게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이용자에 대하여 토큰을 판매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의 판매는 오프라인에서 이용되는 재화의 계좌이체, 카드 결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토큰의 판매는 이용자가 보유한 리워드를 차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ay tokens to user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sell tokens to users. At this time, the sale of tokens may be accomplished through account transfer or card payment for goods used offlin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ale of tokens may be accomplished by deducting rewards held by the user.

또한, 제어부(130)는 토큰과 리워드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보유한 리워드를 차감하고, 리워드의 차감에 대응하여 토큰을 지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차감하며, 토큰의 차감에 대응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도 있다. 이때, 리워드 대 토큰 또는 토큰 대 리워드의 교환은 소정 비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리워드 대 토큰 또는 토큰 대 리워드의 교환 비율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용자의 리워드 및 토큰의 교환 사례를 수집하고, 그에 기초한 교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를 토큰으로 교환한 양이 토큰을 리워드로 교환한 양보다 많을 경우, 리워드의 가치가 상승하여 리워드 교환에 필요한 토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발행되어 존재하는 리워드와 토큰의 양에 기초하여 교환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exchange tokens and rewards. For example, in addition to deducting rewards held by a user and paying tokens in response to the deduction of rewards, tokens held by the user can also be deducted and rewards paid in response to the deduction of tokens. At this time, the exchange of rewards to tokens or tokens to reward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tio,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xchange ratio of rewards to tokens or tokens to rewards may var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llect instances of user exchange of rewards and tokens and set an exchange rate based on them.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rewards exchanged for tokens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tokens exchanged for rewards, the value of the reward may increase, increasing the amount of tokens required for reward exchange.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set the exchange rate based on the amount of rewards and tokens that have been issued.

또한,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소정 미션을 수행하면, 그에 대응하여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에 대하여 소정 개수 이상의 댓글을 작성하거나, 콘텐츠를 소정 개수 이상 조회하거나, 소정 개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추천/비추천의 입력을 하거나 공유하는 등의 활동 미션을 수행하면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관련하여 토큰 지급의 조건이 되는 미션은 하나 이상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용자가 서비스 상에 접속하여 출석 체크를 하면,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출석 체크는 이용자의 접속이 감지되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출석 체크 페이지에 포함된 출석 체크 항목에 대한 선택을 이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이루어질 수도 있다.Additionally, when the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mission, the control unit 130 can provide a token in response. For example, when a content consumer performs an activity mission such as writing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comments on content, viewing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contents, or inputting or sharing recommendations/discommendations for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contents, he/she receives a token. Payment can be made. In relation to this, the mission that is a condition for token payment may include one or more activities.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pay a token when the user accesses the service and checks attendance. At this time, the attendance check can be made when the user's connection is detected, and it can also be made when the user receives a selection of the attendance check item included in the attendance check page.

이와 같이 콘텐츠를 게시하거나 콘텐츠의 순위를 상향하는 등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소진되는 토큰을, 다른 콘텐츠에 댓글을 달거나 다른 콘텐츠를 조회하는 등과 같이, 다른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수반하는 미션을 수행함으로써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는 콘텐츠의 공급자이자 소비자로서,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타인의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되고, 선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okens that are consumed in order to use functions such as posting content or improving the ranking of content are used to perform missions that involve reactions to other content, such as commenting on other content or viewing other content. By allowing users to receive payments, users, as both providers and consumers of content, can be encouraged to consume other people's content to increase the usage rate of their own content. In other words, through this, users can play the role of both providers and consumers, activating service use and creating a virtuous cycl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술한 토큰의 기능을 리워드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리워드의 기능을 토큰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에서 토큰과 리워드는 별개의 재화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이용자에 대하여 토큰과 리워드 중 하나만을 지급하여, 하나의 재화가 상술한 두 가지 재화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above-described token function to a reward or provide the reward function to a token. In other words, it has been explained above that tokens and rewards are separate goods,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pays only one of the tokens and rewards to the user, so that one good has the function of the two goods described above. You can have it all done.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장치(100)가 수행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and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content sharing method performed by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과 2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과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and 4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content described above regarding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 and 2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and 4. there is.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하나의 이용자, 즉 제1이용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S301). 이때 제1이용자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자이므로, 상술한 콘텐츠 공급자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receive new content uploaded from one user, that is, the first user (S301).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user is the person who uploaded the content, he or she can respond to the content provider described above.

그리고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새로 업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한 후, 콘텐츠를 다른 이용자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게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store the newly uploaded content and then post the content so that other users can view it.

이때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를 게시하기에 앞서, 콘텐츠의 썸네일이 콘텐츠 리스트 내에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302). 여기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를 게시하기 전에, 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콘텐츠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before posting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content list (S302). Here, before posting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includes a list of thumbnail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based on a content quality score giv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You can determine the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content list.

그리고 이어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결정된 노출 순위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S303). 이때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결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콘텐츠의 썸네일을 콘텐츠 리스트 상에 배치함으로써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Then,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ost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exposure order (S303). At this time,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ost the content by arranging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on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posure order.

이러한 콘텐츠 리스트는 다른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is content list may be provided to other users.

한편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게시된 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S304). 이를 위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게시된 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대한 제2이용자들의 반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응 점수를 다른 콘텐츠의 반응 점수와 비교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라 노출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hange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based on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have viewed the posted content (S304). To this end,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ollect data on the reactions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have viewed the posted content, and calculate reaction scor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conten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n, this reaction score is compared with the reaction score of other content to determine the exposure rank of the content, and the exposure rank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cision.

이때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반응 점수와 상술한 퀄리터 점수를 합산한 점수에 기초하여 노출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hange the exposure ranking based on a score that is the sum of the reaction score and the above-described quality score.

이어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가 게시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305), 그동안에 카운트된 제2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이용자에게 지급될 리워드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양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306). Subsequently,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content was posted (S305),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sends the content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content of the second user counted in the meantime. The amount of rewards to be paid can be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amount of rewards can be paid (S306).

한편 S304단계에서,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함에 있어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제1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노출 순위 상향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제1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노출 순위 상향이 요청되면, 제1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소정의 양만큼 차감하고, 콘텐츠의 썸네일을 이전의 노출 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304, when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hange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s request to increase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When an increase in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of the first user is requested,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dedu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tokens held by the first user and places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at a relatively higher ranking than the previous exposure ranking.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또한 S304단계에서,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함에 있어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제2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펀딩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제2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펀딩이 요청되면, 제2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소정의 양만큼 차감하고, 콘텐츠의 썸네일을 이전의 노출 순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S306단계에서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펀딩에 따라 콘텐츠가 상위로 노출됨으로 인해 발생한 이익을 제2이용자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제1이용자에게 지급될 리워드의 일부를 제2이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step S304, when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hange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second user's request for funding for the content. When funding for the second user's content is requested,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dedu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tokens held by the second user and places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in a relatively higher ranking than the previous exposure ranking. You can. At this time, in step S306,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distributes a portion of the reward to be paid to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so that the second user can also receive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content being exposed to the top according to funding. You can.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제2이용자, 즉 콘텐츠 소비자에게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401). 이때 콘텐츠 리스트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들은 미리 정해진 노출 순위에 따라 배치된 것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rovide a content list to a second user, that is, a content consumer (S401). At this time, the content list may include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At this time, the thumbnails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posure ranking.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이어서, 제2이용자로부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콘텐츠를 제2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02). Next, when a thumbnail for any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is selected by the second user,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rovide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cond user (S402).

그리고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에 대한 제2이용자의 열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를 열람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기준으로서, 콘텐츠 열람 조건의 완성 여부는 예를 들어, 콘텐츠가 표시된 페이지에 머문 시간 또는 콘텐츠가 표시된 페이지가 화면 크기를 벗어나는 경우, 페이지의 전체 구간 중 화면 내에 표시된 구간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콘텐츠가 표시된 페이지가 끝까지 화면 내에 표시된 경우에 한하여 콘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And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can confirm the second user's viewing of the content. At this tim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has been viewed, whether the conditions for viewing the content have been fulfilled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the time spent on the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or when the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exceeds the screen size, the se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mong the entire section of the page. It can be judg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tios.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 has been viewed only when the page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til the end.

이후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콘텐츠 열람 조건이 완성되어 콘텐츠의 열람이 확인되면,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ntent viewing conditions are completed and viewing of the content is confirmed,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pay a reward to the second user.

다만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그에 앞서, 제2이용자에 대하여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2이용자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가 기 설정된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4). 즉 현재 시점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제2이용자에게 지급된 리워드의 총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리워드에 이미 도달한 경우에는,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지 않고,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405).However, prior to this,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reward accumulated for the second user has reached the preset maximum reward during a prese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for the second user (S404). In other words, if the total amount of rewards paid to the second user during the prese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int has already reached the preset maximum reward, the reward is not paid to the second use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maximum reward has not been reached. In some cases, rewards can be paid to the second user (S405).

예를 들어, 한 시간 동안에 한명의 이용자에게 적립 가능한 최대 리워드가 5단위 리워드로 미리 설정된 경우, 한 시간이라는 주기가 카운팅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해당 주기가 종료하기 이전 현재까지 해당 이용자에게 적립된 리워드가 4단위 리워드 이하일 때에만 S405단계에서, 1단위 리워드가 추가 적립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reward that can be accumulated by a user in one hour is preset to 5 units of reward, the reward accumulated to that user from the time the one-hour cycle starts counting to the present before the end of the cycle is 4 units. Only when the reward is less than 1 unit of reward can be additionally accumulated in step S405.

한편, 이처럼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여 다음 주기가 도래한 경우(S406), 콘텐츠 공유 장치(100)는 기간 내 적립된 리워드를 0으로 초기화하고(S407), 다시 콘텐츠 소비에 따른 리워드 적립을 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period has elapsed and the next cycle has arrived (S406),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initializes the rewards accumulated within the period to 0 (S407) and starts accumulating rewards according to content consumption again. there is.

한편 콘텐츠 공유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단계들 이외에, 이벤트 수행에 따른 리워드의 적립, 토큰 적립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단계들은 따로 도시하지 않았다. Meanwhile, in the content sharing method performed by the content sharing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steps shown in FIGS. 3 and 4, steps such as accumulation of rewards and token accumulation according to event performanc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but in this parallel Steps that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are not shown separately.

위와 같은 콘텐츠 공유 장치(100)와 방법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운영자를 중심으로, 광고주, 콘텐츠 공급자, 콘텐츠 소비자 사이에 균형 있는 수익의 배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tent sharing device 100 and method,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profits in a balanced manner between advertisers, content providers, and content consumers, centered on the operator of the content sharing service.

서비스 운영자는 광고주와의 관계에서, 이용자들에 의해 소비되는 콘텐츠를 통해 자연스럽게 광고를 노출시키면서 광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그 대가로 광고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In a relationship with an advertiser, the service operator can run an advertising campaign by naturally exposing advertisements through content consumed by users and receive advertising fees in return.

콘텐츠 공급자는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타 이용자들이 소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다.Content providers can receive rewards from service operators by uploading content and making it available for consumption by other users.

나아가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와 광고를 열람하고 그 대가로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다.Furthermore, content consumers can view content and advertisements and receive rewards in return.

이때 서비스 운영자는 광고 수수료의 범위 내에서 리워드를 지급함으로써 소정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operator can earn a certain amount of profit by paying rewards within the scope of the advertising fee.

한편 콘텐츠 공급자와 콘텐츠 소비자는 따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이용자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이용자는 콘텐츠 소비자로서 타 이용자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타 이용자의 콘텐츠에 댓글을 달거나 추천/비추천 등의 행위를 하여 토큰을 획득하고, 획득된 토큰을 이용하여 콘텐츠 공급자로서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해당 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상승시켜 더 많은 리워드를 받는다. 결국 많은 리워드를 얻기 위해 단순히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뿐 아니라 타 콘텐츠도 충분히 소비하도록 함으로써 선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consumer are shown separately, they may be one user, and accordingly, as a content consumer, a user may comment on or recommend/not recommend other users' content in the process of consuming the other user's content. Obtain tokens, use the acquired tokens to upload new content as a content provider, and receive more rewards by increas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content. In the end, a virtuous cycle can be induced by not only producing good content to obtain many rewards, but also consuming enough other content.

본 발명은 커팅부, 제 1 트랜스퍼 및 제 2 트랜스퍼, 콤바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ting unit, a first transfer and a second transfer unit, and a combine unit.

커팅부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조각들을 생성하고,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각들의 어드레스는 복수 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tting unit may divide the data to create a plurality of pieces and assign an address to each of the pieces. Here, the addresses of the pieces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tters and numbers.

또한, 커팅부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고려하여 조합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규칙은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각각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하여 분할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cutting unit may generate a combination rule by considering each address. Here, the combination rule refers to a rule that allows combining a plurality of data pieces with data before division based on each address.

제 1 트랜스퍼는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은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may transmit a plurality of data pieces in a random order. Here, a plurality of data pieces may be transmitted with each assigned address.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해 전송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에 대응되는 조합 규칙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의 전송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조합 규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may transmit a combination ru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ata pieces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fer. He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econd transfer to transmit a combination rule with a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data pieces by the first transfer.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The functional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above can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ir structural equivalents, or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do.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compris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or more modules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medium for execution by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The tangible program medium may be a radio signal or a computer-readable medium. A radio signal is an artificially generated signal, such as a machine-generated electrical, optical or electromagnetic signal, that is generated to encode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a suitable receiver device for execution by a computer.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interpreted,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s, as a stand-alone program, or as a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stored within a single file that serves the requested program, or with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storin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as part of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one computer or on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logical flow and structural block diagrams described herein describe corresponding action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ing software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 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can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that execut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Processors suitable for executing computer programs include, for example, both general-purpose and special-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type of digital computer. Typically, the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The core elements of a computer are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Additionally, a computer is typically operably coupled to receive data from or transfer data to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or optical disks, or to perform both such operations. It will be or include this. However, a computer does not need to have such a device.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prepared in this way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effect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to follow all the orders shown in the drawings, and even if not,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may be used. It states that it may fall within the scope.

100: 콘텐츠 공유 장치
110: 저장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00: Content sharing device
110: storage unit
12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30: control unit

Claims (7)

콘텐츠 공유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들과, 각각의 이용자에 대해 적립된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각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이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제1이용자로부터 제1콘텐츠가 새로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되, 상기 제1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장치.
In the content sharing device,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contents uploaded by users and rewards accumulated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used by each user, receives new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first content is newly uploaded from a first user, the uploaded first content is posted, but the exposure ranking of the first content is changed and posted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viewed the first content, A content shar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allows a reward to be paid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first content by the second user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기 전에, 상기 제1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콘텐츠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Before posting the first content, conten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 based on a content quality score giv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data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A content sh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list, and posts the first content by placing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posure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2이용자에 의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제2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2콘텐츠를 상기 제2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열람이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content lis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a thumbnail for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by the second user from the content list, the A content sharing device that provides second content to the second user, and provides a reward to the second user when the second user's viewing of the second content is confi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각의 이용자가 보유한 토큰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들이 상기 콘텐츠 공유 장치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동작을 요구하는 미리 설정된 미션을 제공하고, 임의의 이용자가 상기 미션을 수행하면 상기 임의의 이용자에게 상기 토큰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orage uni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okens held by each user,
The control unit,
A content sharing device that provides users with a preset mission that requires actions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ontent sharing device, and provides the token to any user when the user performs the mission.
콘텐츠 공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제1이용자로부터 제1콘텐츠가 새로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게시된 상기 제1콘텐츠를 열람한 하나 이상의 제2이용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상기 제2이용자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와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용자에 대하여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Performed by a content sharing device,
When new first content is uploaded by a first user, posting the uploaded first content;
Changing the exposure ranking of the first content and posting it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one or more second users who have viewed the posted first content;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aying a reward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shares of the first content by the second user counted during a preset ti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콘텐츠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는,
결정된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 순위를 변경하여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용자들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반응에 기초하여 산정한 반응 점수와 상기 퀄리티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1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치될 노출 순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method of sharing the above content is,
Before the step of posting the first content,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is included based on a content quality score giv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data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content list,
The step of posting the first content is,
Posting the first content by arranging thumbnails of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posure ranking,
The step of changing and posting the exposure ranking is,
Comprising a step of changing the exposure order in which the thumbnail of the first content will be placed in the content list based on the response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users'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quality score. Featured content sharing metho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제2이용자에게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썸네일의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이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제2콘텐츠에 대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2콘텐츠를 상기 제2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2이용자의 열람이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2이용자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가 기 설정된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리워드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method of sharing the above content is,
provid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list of thumbnails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second user;
When a thumbnail for second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is selected by the second user,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to the second user; and
When the second user's viewing of the second content is confirmed,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aying a reward to the second user,
The step of paying rewards to the second user is,
Checking whether rewards accumulated for the second user have reached a preset maximum reward during a prese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aying a reward to the second us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ximum reward has not been reached.
KR1020220044781A 2022-04-11 2022-04-11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KR20230145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81A KR20230145855A (en) 2022-04-11 2022-04-11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81A KR20230145855A (en) 2022-04-11 2022-04-11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855A true KR20230145855A (en) 2023-10-18

Family

ID=8850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781A KR20230145855A (en) 2022-04-11 2022-04-11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85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403B2 (en) Application of dynamic tokens
US20110035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mmerce platform
US20120047008A1 (en) Selective Distribution Of Rewards
CN103460235A (en) Offering social deals based on activities of connection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30218652A1 (en) Split Rewards
KR102071069B1 (en) System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e based sale management service for offline store using online booking and commercial
US20130238410A1 (en) Registering User with Reward Incentive System
US20130218660A1 (en) Networked Incentive System
KR102453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nline shopping platform
US20120303418A1 (en) Dynamic pricing of access to content where pricing varies with user behavior over time to optimize total revenue and users are matched to specific content of interest
CN101836226A (en) Flexible revenue sharing and referral bounty system
KR1025584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20150051964A1 (en) Providing offers for local discounted goods and services
US20160267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onsorship management
US9225786B1 (en) Intelligence marketplace system and method
KR102516956B1 (en) A platform system that matches influencers and businesses
KR102452603B1 (en) The method and program for continual advertisement by friends in online service
US20190147487A1 (en) Apparatus for exchanging advertising media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50096569A (en) Funding system for social funding service
US20130218691A1 (en) Reward Posting Search
KR202301458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s' onlin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KR20160018565A (en) View-based pricing of advertisements in scrollable advertisement units
KR20120087211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point in news base advertisement service
KR20130029571A (en) Advertising system and the method of advertising system for cash rewarding by lottary based on social network system
US20130218648A1 (en) Reward Incentive Mon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