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830A -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830A
KR20230145830A KR1020220044721A KR20220044721A KR20230145830A KR 20230145830 A KR20230145830 A KR 20230145830A KR 1020220044721 A KR1020220044721 A KR 1020220044721A KR 20220044721 A KR20220044721 A KR 20220044721A KR 20230145830 A KR20230145830 A KR 2023014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pin
battery pack
connector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순
황조연
이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4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830A/ko
Priority to EP23788534.8A priority patent/EP4429043A1/en
Priority to PCT/KR2023/004670 priority patent/WO2023200183A1/ko
Priority to CN202380015048.7A priority patent/CN118369824A/zh
Publication of KR2023014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 커넥터의 (-) 핀은 (+) 핀보다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시, 외부 장치 커넥터에 (+) 핀보다 (-) 핀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Battery pack connector for connecting to external devices}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와 배터리 팩 커넥터 체결 시 배터리 IC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배터리 팩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심각한 충돌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응급 전화를 걸거나 또는 비상 상황 발생 시 탑승자가 직접 전화를 걸어 신고 및 구조 요청을 하는 응급 전화 시스템(이하, 'E-call 시스템' 으로 지칭함)이 개발되었다.
E-call 시스템은 자동차에 탑재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의해 동작된다. 그런데,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의 비상 상황 시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E-call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별도의 E-call 시스템용 배터리가 사용된다.
한편, E-call 시스템용 배터리에 적용되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수/암(Male/Female) 체결 시 역 삽입 방지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나, 접지선 접촉을 통한 전기적 안정성 측면에서는 구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과 외부 장치 체결 시에, 외부 장치 커넥터에 배터리 팩의 GND pin((-) 핀)이 선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별도의 작업자 삽입 작업으로 인해 접지(GND)가 전기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배터리 관리 IC의 오동작 발생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JP 2007 - 280872 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장치 연결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팩 (+) 핀보다 팩 (-) 핀이 선행하여 접촉되도록 배열된 배터리 팩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도전성 플레이트;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상기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팩 (+) 핀; 상기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팩 (-)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은, 상기 팩 (+) 핀보다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 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팩 (+) 핀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온도감지소자에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핀;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핀은, 상기 팩 (-) 핀과 함께 상기 팩 (+) 핀보다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는,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연결핀은, 배터리 팩의 (+) 출력단과 연결되는 팩 (+) 핀; 배터리 팩의 (-) 출력단과 연결되는 팩 (-)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팩 (+) 핀은, 그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상기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온도감지소자에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핀;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핀은, 상기 팩 (-) 핀과 함께, 상기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셀 연결 단계;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상에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핀을 배치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 연결 단계는,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출력단 구성 단계;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이용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출력단 구성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을 연결하는 팩 (-) 핀 연결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을 연결하는 팩 (+) 핀 연결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팩 (+) 핀은, 그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 배터리 팩 간의 체결 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배터리 팩 커넥터의 (+) 핀보다 (-) 핀이 선행하여 접촉되어, 접지선 미 접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자 삽입 작업으로 인한 배터리 관리 IC의 오동작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외부장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팩의 외부 연결단자와 외부장치 커넥터 간 체결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외부 연결단자와 외부장치 커넥터 간 체결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외부 장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00)과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연결은 접속홈(110)에 형성된 핀 삽입구(120)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21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커넥터 핀(210)이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 팩(100)의 핀 삽입구(120) 측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 팩의 (+), (-) 핀과 상기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210)이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배터리 팩(100)과 외부 장치(미도시) 간에 전기적 연결경로가 형성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 팩(100) 내부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단을 각각 구성하는 (+), (-) 도전성 플레이트가 구성되어 있다. (+), (-) 도전성 플레이트는 니켈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의 (+), (-) 단과 (+), (-)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는 PTC 소자가 개재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핀삽입구(120), 커넥터 핀(210)이 각각 3개씩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의 종류/형태에 따라 다양한 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배터리 팩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의 도면부호 100으로 지칭되는 구성은 반드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도면부호 100의 장치는 별도의 배터리 팩(미도시)에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100)일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팩 커넥터와 외부 장치 커넥터 간 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a)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4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b)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5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종래의 배터리 팩 커넥터(10)는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12) 상에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핀(14: 142a, 142b, 144a, 144b, 144c)이 구성되고, 이 때 다수의 연결핀(14)을 구성하는 팩 (+) 핀(144: 144a, 144b, 144c)과 팩 (-) 핀(142: 142a, 142b)은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외부 장치 커넥터(200)와 체결 시에,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210)과 배터리 팩 커넥터(120)의 팩 (-) 핀(GND pin, 142)이 팩 (+) 핀(144)보다 먼저 접촉되지 않아, 작업자 삽입에 따른 GND가 전기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배터리 관리 IC(Battery Management IC)에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커넥터와 외부 장치 커넥터 간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a)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4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b)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5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c)는 배터리 팩 커넥터 핀 중의 하나를 확대하여 그 구조를 표시한 것이다.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배터리 팩 커넥터(130)는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 (132) 상에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핀(134)이 구성되는데, 이 때 종래의 달리 다수의 연결핀(134)을 구성하는 팩 (+) 핀(1344: 1344a, 1344b, 1344c)와 팩 (-) 핀(1342:1342a, 1342b)은 상호 길이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연결핀들은 도 3 (c) 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메일(female) 단자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외부장치 커넥터 핀들(210)이 삽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팩 (-) 핀(1342a, 1342b)이 팩 (+) 핀(1344a, 1344b, 1344c)보다 돌출 연장된 구조이다. 다시 말해, 팩 (+) 핀(1344a, 1344b)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터리 팩(100)과 외부 장치(미도시) 체결 시,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210)에 팩 (+) 핀(1344a, 1344b, 1344c)보다 팩 (-) 핀(1342a, 1342b)이 선행하여 접촉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들(210:210a, 210b, 210c, 210d)이 도면상 하방으로 진행하여, 각각 하나의 팩 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팩 (-) 핀(1342a, 1342b)의 단부가 도면상 상부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핀 210b, 210c가 210a, 210b 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이때, 도 3(c)에 보이는 것과 같이, 연결핀(134)의 각각은 도체로 구성된 도체패턴(13441)이 내부에 커넥터 핀 수용부(13443)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의 접속부(13442)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이다. 외부장치 커넥터 핀들(210)은 핀삽입구를 통하여 배터리 팩 커넥터(130)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이 더욱 진행되면서, 커넥터 핀들(210)의 측면은 연결핀(134)들의 도체패턴(13441) 사이의 커넥터 핀 수용부(13443)로 삽입되어 도체패턴(13441)의 내측면과 접속되며, 팩 (-) 핀(1342a, 1342b)에 먼저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팩과 외부 장치 체결 시,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GND pin)이 선 접촉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IC(Battery Management IC) 오동작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커넥터(130)는, 온도감지소자에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핀(미도시)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팩 (-) 핀(1342a, 1342b)와 함께 상기 팩 (+) 핀(1344a, 1344b, 1344c)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커넥터와 외부 장치 커넥터 간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a)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4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b)는 배터리 팩의 커넥터 핀이 5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c)는 도 4(a) 및 도 4(b)를 구성하는 각 팩 (+) 핀 및 팩 (-) 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배터리 팩 커넥터(140: 142, 144)는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142) 상에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핀(144)이 구성되는데, 다수의 연결핀(144)들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다수의 연결핀(144)를 구성하는 (+) 팩 핀과 (-) 팩핀들의 도체 패턴들의 길이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다.
팩의 연걸핀들(144)은 팩 핀 베이스(144a1, 144b1, 144c1, 142a1, 142b1), 도체패턴(144a2, 144b2, 144c2, 142a2, 142b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도체패턴은 내측에 핀 수용부(1441)가 형성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다.
팩 핀 베이스(144a1, 142a1)은 비도체로 형성되며, 팩 핀 베이스내측의 도체패턴(144a2, 142a2)을 지지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체패턴의 사이에 형성된 핀 수용부에 외부장치 커넥터 핀들(210)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때, 도 3에서와는 달리 팩 핀 베이스들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팩 핀들의 높이는 동일하다. 반면, 팩 (+)핀들(144)에 형성되는 팩(+) 핀 도체패턴들(144a2, 144b2, 144c2)은 그 높이가 팩 (-)핀들(142)에 형성되는 팩 (-) 핀 도체패턴들(142a2, 142b2)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외부장치 커넥터 핀들(210a~e)이 각 팩 핀들에 형성된 핀 수용부(14443)에 삽입될 때, 팩 (-) 핀 도체패턴들(142a2, 142b2)에 먼저 접속되도록 한다.
각 팩 핀들의 하부는 도체패턴들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각각 배터리의 (+) 도전성 플레이트, (-) 도전성 플레이트, GND에 연결되며, 각 도체패턴들의 상단부는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경사부(144a3, 144b3, 144c3, 142a3, 142b3)가 형성되어 외부장치 커넥터 핀들(21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
2.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1.배터리 셀 연결 단계
배터리 셀 연결 단계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고,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할 수 있다.
2.2.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는, 외부 장치와 배터리 팩 간에 전기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배터리 팩 커넥터를 구성하는 단계로,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130) 상에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팩 연결핀(134,144)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2.2.1.팩 (-) 핀 연결 단계
팩 (-) 핀 연결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 연결 단계를 통해 구성된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팩 (-) 핀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팩 (-) 핀(1342a, 1342b)는,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팩 (+) 핀보다 돌출 연장된 구조로 형성한다. 이에, 배터리 팩(100)과 외부 장치(미도시) 연결 시, 외부 장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핀(210)에 배터리 팩(100)의 팩 (+) 핀(1344a, 344b, 1344c)보다 팩 (-) 핀(1342a, 1342b)이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팩 (+) 핀의 도체패턴(144a2, 144b2, 144c2)보다 팩(-) 핀의 도체패턴(142a2, 142b2)을 길게 연장하여 형성한다.
2.2.2.팩 (+) 핀 연결 단계
팩 (+) 핀 연결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 연결 단계를 통해 구성된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팩 (+) 핀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팩 (+) 핀(1344a, 1344b, 1344c)은,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그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팩 (-) 핀(1342a, 1342b)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팩(-) 핀의 길이는 팩(+)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되, 도체패턴(142a2, 142b2)이 먼저 연결된 이후, 팩 (+) 핀의 도체패턴들이 먼저, 외부장치에 접속되도록 팩(+)핀의 도체패턴들(144a2, 144b2, 144c2)을 팩 (-) 핀의 도체패턴들(142a2, 142b2) 보다 짧게 형성한다.
2.2.3.애플리케이션 핀 연결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는, 애플리케이션 핀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 팩(100)의 온도감지소자(미도시)에 애플리케이션 핀(미도시)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핀(미도시)은, 상기 팩 (-) 핀(1342a, 1342b)과 함께 상기 팩 (+) 핀(1344a, 1344b, 1344c)보다 돌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배터리 팩
110:접속홈
120:핀 삽입구
130:배터리 팩 커넥터
132:베이스 기판
134:연결핀
200:외부 장치 커넥터
210:커넥터 핀

Claims (13)

  1. 다수의 배터리 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도전성 플레이트;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팩 (+) 핀;
    일단이 상기 (-) 도전성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팩 (-)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은,
    상기 팩 (+) 핀보다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 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팩 (+) 핀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온도감지소자에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핀;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핀은, 상기 팩 (-) 핀과 함께 상기 팩 (+) 핀보다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은,
    상기 팩 (+) 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되,
    그 내부의 도체패턴이 상기 팩 (+) 핀 내부의 도체패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 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팩 (+) 핀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배터리 팩과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연결핀은,
    배터리 팩의 (+) 출력단과 연결되는 팩 (+) 핀;
    배터리 팩의 (-) 출력단과 연결되는 팩 (-)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팩 (+) 핀은, 그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상기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는,
    온도감지소자에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핀;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핀은,
    상기 팩 (-) 핀과 함께, 상기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팩 (-) 핀은,
    상기 팩 (+) 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되,
    그 내부의 도체패턴이 상기 팩 (+) 핀 내부의 도체패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 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팩 (+) 핀보다 선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
  10.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셀 연결 단계;
    절연성의 베이스 기판상에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핀을 배치하는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연결 단계는,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 연결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출력단 구성 단계;
    (-) 도전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들을 이용하여 (-) 출력단을 구성하는 (-) 출력단 구성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커넥터 구성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을 연결하는 팩 (-) 핀 연결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의 (+) 출력단에 배터리 팩 커넥터의 팩 (+) 핀을 연결하는 팩 (+) 핀 연결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팩 (+) 핀은, 그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이 팩 (-) 핀의 도전패턴의 외부장치측 일단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KR1020220044721A 2022-04-11 2022-04-11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KR20230145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21A KR20230145830A (ko) 2022-04-11 2022-04-11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EP23788534.8A EP4429043A1 (en) 2022-04-11 2023-04-06 Battery pack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
PCT/KR2023/004670 WO2023200183A1 (ko) 2022-04-11 2023-04-06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CN202380015048.7A CN118369824A (zh) 2022-04-11 2023-04-06 用于连接至外部设备的电池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21A KR20230145830A (ko) 2022-04-11 2022-04-11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830A true KR20230145830A (ko) 2023-10-18

Family

ID=8832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721A KR20230145830A (ko) 2022-04-11 2022-04-11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429043A1 (ko)
KR (1) KR20230145830A (ko)
CN (1) CN118369824A (ko)
WO (1) WO20232001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872A (ja) 2006-04-11 2007-10-25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144B2 (ja) * 2008-11-21 2013-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KR101373597B1 (ko) * 2012-06-22 2014-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연결장치
KR20180090572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312443B1 (ko) * 2018-06-12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서지 방지 기능을 가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KR20210031290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소자 통합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872A (ja) 2006-04-11 2007-10-25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429043A1 (en) 2024-09-11
CN118369824A (zh) 2024-07-19
WO2023200183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344B2 (en) Module connector
US6464542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small profile
US6767257B2 (en) Communication jack that withstands insertion of a communication plug that the jack is not specifically configured to mate with without being damage
US20060246751A1 (en) Module connector
EP0672309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KR20200071614A (ko) 배터리 모듈용 fpcb 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131265A (ko) 배터리 팩
US6811433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9990029945A (ko) 상이한 칩 모듈 수용 캐리어와, 회로 기판 및 칩 모듈의 조합과, 상이한 칩 모듈 부착 방법
US2793354A (en) Plug-in connector type terminal board
JP3879750B2 (ja) 電気接続箱
KR20230145830A (ko)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US7445463B2 (en) Land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CN102037369A (zh) 高温陶瓷芯片封装和在测板插座
US6379193B1 (en) Substrate connector assembly for a computer system
JP2007059393A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と端子コネクタとの配置装置
CN101843179B (zh) 具有至少两个电路板的装置
JP3746599B2 (ja) コネクタ用積層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CN110689910B (zh) 内存配置结构
US5240421A (en) Connector
CN218084761U (zh) 芯片
JPH09312186A (ja) 活線挿抜コネクタ
JP3639059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接続構造
CN202817244U (zh) 电连接器
JPH05267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