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701A -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701A
KR20230145701A KR1020220044384A KR20220044384A KR20230145701A KR 20230145701 A KR20230145701 A KR 20230145701A KR 1020220044384 A KR1020220044384 A KR 1020220044384A KR 20220044384 A KR20220044384 A KR 20220044384A KR 20230145701 A KR20230145701 A KR 20230145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acceleration
compressor motor
inverter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재
Original Assignee
이경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경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701A/ko
Publication of KR2023014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20Controlling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공조기에 부설된 압축기모터에 과전류가 인가되거나 탈조현상을 방지토록 상기 압축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른 구간별로 가속하여 제어하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Inverter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s in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사용되는 냉난방 공기조화장치용 압축기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압축기모터의 구간별 회전속도에 따라 가속도를 변화시켜 가감속함에 따라 압축기에 가해지는 기계적 압력 및 압축기모터에 입력되는 운전전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압축기의 수명증대 및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서 추진제어를 제외하고 가장 에너지 사용이 많은 부분은 냉난방을 제어하는 공조기이다. 이에 따라 소모에너지를 최대한 저감하고 제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버터를 공조기에 적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이러한 철도차량 공조기에 사용되는 보조전원장치는 가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갖는 교류(AC)전압을 압축기모터에 공급토록 입력 정류기, DC 링크 및 인버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고정 크기와 고정 주파수로 인가되는 선간 교류(AC) 전압은 입력 정류기에 의해서 직류(DC)전압으로 정류된다. 이러한 직류(DC)전압은 DC링크에서 (캐패시터와 같이) 에너지 저장능력을 갖는 수동 부품들에 의해서 필터링되고 안정화되며, DC 링크 출력전압은 인버터에서 가변 크기, 가변 주파수를 갖는 AC 전압으로 전환되어 전기부하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압축기모터의 제어방식을 살펴보면 크게 벡터제어라 부르는 FOC(Field oriented control) 방식과 스칼라제어라 부르는 V/f(Voltage/frequency)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자속(Flux)분과 토크(Torque)분으로 나누고 회전자의 자속 위치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자속에 일치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정밀한 피드백이 필요하므로 정확한 모터의 제어정수가 계산에 포함되어야 하고 회전자 위치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에 따라 고속연산이 가능한 제어기가 필요함에 따라 비용도 많이 소요되므로 자동차 구동장치나 CNC기기 등의 고기능 사용처에 주로 적용된다.
이에 반하여 후자는 모터의 전압과 주파수에 대한 토크 특성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회전수에 대한 전압의 크기를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으로 모터에 대한 제어정수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비용의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므로 정밀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분야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03350호(등록일자 2010년12월16일)에는 "HVAC&R 냉각장치를 위한 전압 저하 순간보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전압 저하를 순간보상하도록 변속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계적인 부하에 연결된 모터와 압축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터로 동력을 인가하도록 변속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변속드라이브는 능동형 컨버터 스테이지 및 DC 링크 스테이지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DC 링크 스테이지의 DC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능동형 컨버터 스테이지의 입력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DC 링크 전압에서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능동형 컨버터를 사용하여 상기 DC 링크 스테이지의 DC전압을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DC전압이 소정의 제 1 임계전압보다 작은 것에 반응하여, 상기 DC링크 스테이지의 DC전압을 상기 인버터 스테이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로부터 기계적인 부하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DC 링크 스테이지로 유동하는 전력을 역전시킴으로써 상기 인버터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상기 DC 링크 스테이지의 DC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기계적인 부하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속도 감소에 반응하여 냉각제 유동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의 냉각제 라인에 삽입된 체크밸브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능등형 컨버터를 사용하고, 모터로부터 상기 DC링크로 유동하는 전력을 역전시키기 위해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와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추가로 필요하여 변속드라이브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능동형 컨버터, 압축기의 부하 제거를 위한 체크밸브 등을 이용하여 상기 DC 링크 스테이지의 DC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인버터 단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방안은 제시하였으나, 모터의 주파수에 따른 구간별 구동 특성을 고려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하토크에 대한 급격한 제어로 인한 스톨이나 과전류 고장을 방지토록 압축기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기초로 압축기모터가 각 속도영역에 따라 구간별로 가감속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하여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은 철도차량 공조기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감지된 실내온도의 차이에 따라 압축기모터의 목표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와 목표회전속도를 비교하여 가속, 감속 및 유지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입력하는 속도명령입력단계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에서 가속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중속영역, 고속영역 구간 중 어느 구간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구간에 따라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가속제어단계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에서 감속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감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감속제어단계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에서 유지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는 유지제어단계와; 상기 가속제어단계, 감속제어단계, 유지제어단계를 정해진 시간동안 수행한 후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를 리턴하는 리턴단계;가 구비되며,
상기 가속제어단계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1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1가속단계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중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2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가속단계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고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3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3가속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크는 증가하고 가속도는 낮아지도록, 상기 제1가속도는 제2가속도보다 더 크고, 상기 제2가속도는 제3가속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제어단계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로 감속되는지를 판별하는 속도판별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제어단계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인버터정지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기모터 실회전속도 제어시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 영역별 구간을 3구간으로 구분하고, 압축기의 상태를 반영하여 가감속 속도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벡터제어라 부르는 FOC(Field oriented control) 방식과 다르게 고비용 정밀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분야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공조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고,
둘째, 상기 압축기 회전속도 가속영역구간인 기동영역, 중속영역 및 고속영역에서 토크가 많이 필요한 고속구간인 고속영역에서 가속도를 낮추어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빠른 응답특성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전상태를 무시한 과도한 가감속으로 인한 모터 정지가 발생되지 않고, 고속영역에서 빠른 가감속에 따른 구동토크 부족으로 발생되는 탈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전력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용 스크롤압축기 ZRHV81KTE-TX7의 운전동작 분석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제어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에 사용되는 전력변환장치의 구성으로, 가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갖는 교류(AC)전압을 압축기모터에 공급하기 위해 입력 정류기,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 DC링크 및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도 2는 철도차량에 적용된 공조기용 스크롤압축기 ZRHV81KTE-TX7의 운전동작분석표로, 증발온도 10℃에서의 운전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냉매의 온도가 30~60℃까지 변동될 때에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30~100Hz까지 10Hz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이 때 각각의 COP(냉난방평균에너지효율), 모터전류, 제냉량, 및 소비전력의 크기를 동작주파수에 대응하여 나타낸 것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COP는 모터의 동작주파수(cycle/sec)에 비례한다.
(2) 모터의 전류, 소비전력(전력)은 속도에 지수적으로 비례한다.
(3) 제냉량은 속도에 비례한다.
압축기모터 구동특성은 기동초기에는 부하량이 적지만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비례되는 특성이 나타나고, 냉매온도에 따라 모터의 COP가 하락됨에 따라 압축기모터의 기동 및 중속도 영역까지는 필요로 하는 속도에 가능한 빨리 도달시키는 것이 공조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된다.
상기의 특징에서 미루어 볼 때 압축기모터의 제어방법에 따라 공조장치의 압축성능이 변동되게 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모터를 안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모터의 토크특성, 공급전압 및 전류의 특성에 대한 하기의 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식 1)
(식 2)
(식 3)
압축기모터 구동관련 약어표
약어 설명 약어 설명
P d 모터 출력 ω m 회전자 각속도
T e 회전자 토크 V s 모터 인가전압
r r 회전자 저항 S 슬립
r s 고정자 저항 ω s 슬립 각속도
X s 고정자 리액턴스 X r 회전자 리액턴스
J 관성 모멘트 m 회전마찰량
T p 압축기 부하토크
(식 1)은 압축기모터의 기계적 총출력을 나타낸 것으로 회전자의 속도와 토크의 곱으로 표현됨을 의미한다.
(식 2)는 압축기모터의 토크는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지만 공급전압주파수(각속도)와 슬립에는 반비례함을 나타낸다.
(식 3)은 관성질량(여기서는 임펠러와 회전자의 질량 합)을 가속해서 원하는 속도에 도달하려면 압축기모터의 회전토크가 부하토크 및 마찰손실의 합보다 커야 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의 식을 종합하면 결국 빠른 가속을 하려면 압축기모터와 인버터의 용량이 증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장치의 경세성과 연관이 있다.
또한, 압축기모터의 입력전압은 최종적으로 정격전압으로 제한되므로 고속에서도 고 토크를 원한다면 역시 압축기모터와 인버터의 용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압축기모터에 공급전압을 작게 공급하면 슬립의 비율이 커지고 토크가 부족되어 탈조(Stall, 압축기모터의 순간정지 및 과전류 발생)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운전상태에 필요한 적절한 주파수와 전압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까다로운 압축기모터의 운전조건을 벡터제어가 아닌 V/f 제어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간단한 V/f 제어를 수행하기 보다 운전영역의 구간에 따라 가감속 기울기를 달리하여 토크의 부족으로 인한 압축기모터의 탈조 현상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공조기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감지된 실내온도의 차이에 따라 압축기모터의 목표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와 목표회전속도를 비교하여 가속, 감속 및 유지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입력하는 속도명령입력단계(S1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가속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중속영역, 고속영역 구간 중 어느 구간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구간에 따라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가속제어단계(S2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감속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감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감속제어단계(S3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유지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는 유지제어단계(S40)와; 상기 가속제어단계(S20), 감속제어단계(S30), 유지제어단계(S40)를 정해진 시간동안 수행한 후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를 리턴하는 리턴단계(S50);가 구비되며,
상기 가속제어단계(S20)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1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1가속단계(S21)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중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2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가속단계(S22)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고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3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3가속단계(S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크는 증가하고 가속도는 낮아지도록, 상기 제1가속도는 제2가속도보다 더 크고, 상기 제2가속도는 제3가속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속제어단계(S20)의 기동영역 구간은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0~30 Hz 사이이고, 중속영역 구간은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30~60 Hz 사이이며, 고속영역 구간은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60~90 Hz 사이로 특정되어 구분되고, 상기 제1가속도는,기동영역 구간인 저전력 영역 구간으로 Hz/0.15s로 가속되고, 상기 제2가속도는, 중속영역 구간인 정토크 영역으로 허용전류 이내에서 빠르게 가속되도록 Hz/0.25s로 가속되며, 상기 제3가속도는, 고속영역 구간인 고속, 정토크 영역으로 과전류 및 탈조가 방지되도록 Hz/0.4s로 가속된다. 즉, 압축기모터의 고속회전 구간으로 갈 수록 가속도 기울기를 저감시켜 목표회전속도에 도달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모터를 안정된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속제어단계(S30)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인버터정지단계(S32)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로 감속되는지를 판별하는 속도판별단계(S31)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른 실시예로써,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감속인 경우, 속도판별단계(S31)에서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를 판별하고,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90~30Hz 사이인 경우에서 -Hz/0.15s 가속도로 감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감하고, 속도판별단계(S31)에서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30Hz 이하인 경우 인버터정지단계(S32)를 수행함으로써, 압축기모터를 정지하여 역기전력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모터의 가속시 목표회전속도에 최대한 빠르게 접근하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가속제어단계(S20)에서 기동영역 구간인 경우에는 제1가속단계(S21)를 실행하여 Hz/0.15s의 기울기를 가지고 가속되며, 중속영역(중속도 영역인 30~60Hz) 구간인 경우에는 제2가속단계(S22)를 실행하여 Hz/0.25s가속도로 상기 제1가속단계(S21) 보다 기울기가 더 완만해진 상태로 가속된다.
그리고, 고속구간인 60Hz~90Hz 구간에서 기울기가 Hz/0.4s 로 더욱 완만해진 제3가속단계(S23)를 실행하여 고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가속단계(S21)와 제2가속단계(S22)는 정해진 가속도로 가속됨으로써, 정해진 시간동안 해당구간의 가속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인버터의 스위칭 주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감속제어단계(S30)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감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게 되는데 선형적인 기울기로 감속되도록 90~30Hz 사이에서 -Hz/0.15s 가속도로 감속되게 된다. 이러한 빠른 감속은 상기 압축기모터가 빠르게 정지되며 기계적 충격이 완화되게 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 구간별 특징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압축기 최적성능을 위한 주파수구간, 가감속 기울기 및 동작시간
속도 영역 동작주파수구간 가감속기울기 동작시간 설명
제1속도 0~30Hz Hz/0.15s 4.5s 저전력 영역에서 최고 가속도로 기동
제2속도 30~60Hz Hz/0.25s 7.5s 정토크 영역에서 허용전류로 빠른 가감속 제어
제3속도 60~90Hz Hz/0.4s 12.0s 고속, 정전력 영역에서 가감속도 제한으로 과전류 및 탈조 방지
감속 ~30Hz -Hz/0.15s 9.0s 빠른 정지, 기계적 충격완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30Hz 정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인버터정지단계(S32)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감속제어단계(S30)에서 30Hz 구간까지 압축기모터를 감속시킨 후 기계적 충격이 최소화 된 상태에서 인버터를 정지시켜 압축기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은 고비용의 벡터제어방식을 운영하지 않더라도, 압축기모터의 구간별 특성을 고려하여 각 구간별 가속도를 선형적으로 가감속함으로써, 압축기를 안정된 영역에서 가감속하여 공조기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 속도명령입력단계 S20 : 가속제어단계
S21 : 제1가속단계 S22 : 제2가속단계
S23 : 제3가속단계 S30 : 감속제어단계
S31 : 속도판별단계 S32 : 인버터정지단계
S40 : 유지제어단계 S50 : 리턴단계

Claims (4)

  1. 철도차량 공조기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감지된 실내온도의 차이에 따라 압축기모터의 목표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와 목표회전속도를 비교하여 가속, 감속 및 유지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입력하는 속도명령입력단계(S1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가속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중속영역, 고속영역 구간 중 어느 구간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구간에 따라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가속제어단계(S2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감속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속도로 감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감속제어단계(S30)와;
    상기 속도명령입력단계(S10)에서 유지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는 유지제어단계(S40)와;
    상기 가속제어단계(S20), 감속제어단계(S30), 유지제어단계(S40)를 정해진 시간동안 수행한 후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를 리턴하는 리턴단계(S50);가 구비되며,
    상기 가속제어단계(S20)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기동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1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1가속단계(S21)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중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2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가속단계(S22)와,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고속영역 구간인 경우, 상기 압축기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진 시간동안 제3가속도로 가속되도록 인버터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3가속단계(S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크는 증가하고 가속도는 낮아지도록,
    상기 제1가속도는 제2가속도보다 더 크고, 상기 제2가속도는 제3가속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제어단계(S30)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로 감속되는지를 판별하는 속도판별단계(S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제어단계(S30)에는
    상기 압축기모터의 실회전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정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인버터정지단계(S3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KR1020220044384A 2022-04-11 2022-04-11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KR20230145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84A KR20230145701A (ko) 2022-04-11 2022-04-11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84A KR20230145701A (ko) 2022-04-11 2022-04-11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701A true KR20230145701A (ko) 2023-10-18

Family

ID=8850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84A KR20230145701A (ko) 2022-04-11 2022-04-11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7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953B1 (ko) 모터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및 모터 구동 방법
US8855474B2 (en) Inhibiting compressor backspin via a condenser motor
US653841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drive system
US9890811B2 (en) Multiple-axis magnetic bearing and control of the magnetic bearing with active switch topologies
JPS63116922A (ja) 電気駆動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と装置
EP2315349B1 (en) Motor driver circuit and vacuum pump equipped with motor driver circuit
KR101988088B1 (ko) 모터 구동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압축기 구동 제어 방법
JPH09310902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230145701A (ko) 철도차량 공조기용 인버터 제어방법
US7091627B2 (en) Controller for a power train
JPS58225617A (ja) 変圧器冷却装置
JP2014020230A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ポンプシステム
JP6887529B2 (ja) 電動機制御装置及び熱交換器ユニット
JPS6054571B2 (ja) 熱源装置
JPH09149690A (ja) インバータエアコン
JPH09196477A (ja) 圧縮式冷凍機及びこの運転制御方法
US11623528B2 (en) Motor driv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JP3827927B2 (ja) インバーター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9077526A (ja) インバータ装置
JP3801702B2 (ja) 往復動圧縮機の容量調整方法
JP7242901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S6315715Y2 (ko)
JPS6212427A (ja) 車両用油圧駆動装置
JPS63161344A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102495146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칠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