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451A -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451A
KR20230145451A KR1020237031466A KR20237031466A KR20230145451A KR 20230145451 A KR20230145451 A KR 20230145451A KR 1020237031466 A KR1020237031466 A KR 1020237031466A KR 20237031466 A KR20237031466 A KR 20237031466A KR 20230145451 A KR20230145451 A KR 2023014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andle
medical device
dist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데이비스 알하데프
오로라 분텐
에반 쿠사토
레이첼 황
해리슨 영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3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designed for sing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ndoscop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료 디바이스는 제1 본체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와 맞물리고, 제1 본체가 제2 본체와 맞물림 해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2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151,336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는 전반적으로 모듈식 의료 시스템,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무엇보다도 다른 양태 중에서, 모듈식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의료 디바이스는 다수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수많은 절차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 디바이스는, 재사용하기 전에, 후속 절차에 사용하도록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준비하기 위해 광범위한 멸균 및/또는 재처리 절차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세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환자 간 교차 오염이 여전히 다수의 절차에 걸쳐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으로부터 발생함으로써, 환자에게 가능한 감염 및 기타 절차 후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의료 디바이스 대신에 일회용 의료 디바이스를 채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단일 사용을 제공하면 비용 증가가 초래될 수 있다. 오염 최소화와 비용 절감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하거나 일회용일 수 있는 의료 디바이스는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특히, 무엇보다도 다른 양태 중에서, 일회용 및 재사용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를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양태는 임의의 다른 개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는 제1 본체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와 맞물리고, 제1 본체가 제2 본체와 맞물림 해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의료 디바이스는 다음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는 베이스와 팁을 갖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개구를 갖는 미늘과 개구를 통해 팁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내부 공동을 포함하며; 베이스는 미늘과 맞물려 플러그와 미늘 사이에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커넥터는 최대 힘 공차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제1 구동 와이어가 최대 힘 공차를 초과하는 힘을 제1 커넥터에 인가할 때 제2 커넥터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구동 와이어는 제1 구동 와이어가 제1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본체에 대해 이동한다. 제2 커넥터는 제2 본체의 포트에 고정되고; 제1 구동 와이어는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맞물리고 제1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포트에서 제2 커넥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제2 커넥터는 포트로부터 제거될 때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제2 커넥터는 포트에 다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본체는 제1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제1 유체 포트와 정합하는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한다. 제2 본체가 복수의 축방향 위치에서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제1 유체 포트와 제2 유체 포트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된다. 제2 본체는 제1 본체와 맞물려 제2 본체에 대해 제1 본체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는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한 볼 베어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하우징 내에서 볼 베어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볼 베어링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을 통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을 허용하고,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을 통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은 협폭 부분과 협폭 부분보다 넓은 광폭 부분을 갖는 공동을 정의하며; 볼 베어링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더 넓은 부분에 인접하여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고,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협폭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된다. 제1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제2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이 제2 비대칭 프로파일과 정렬될 때 제1 배향으로 제1 본체와 정합하고,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이 제2 비대칭 프로파일과 오정렬될 때 제2 배향으로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는 핸들로서, 제1 본체; 제1 구동 와이어; 및 제1 구동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제1 구동 와이어의 이동에 응답하여 제1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핸들; 및 원위 부분을 포함하고, 원위 부분은: 제2 본체; 제2 구동 와이어; 및 제2 구동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2 커넥터는 제2 구동 와이어의 이동에 응답하여 제2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핸들은 핸들이 원위 부분과 정합되고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맞물릴 때 제1 구동 와이어와 제2 구동 와이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커넥터는 핸들이 원위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의료 디바이스는 다음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핸들이 원위 부분과 정합되고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맞물릴 때 제2 본체에 대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원위 부분은 핸들과 맞물려 제1 본체를 제2 본체에 고정하는 이동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고; 이동 가능한 래치는 제1 본체의 맞물림에 응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원위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이 원위 부분과 정합될 때 핸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링을 더 포함하고; 링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하고, 제1 구동 와이어와 제2 구동 와이어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예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는 제1 본체로서, 제1 구동 와이어; 제1 구동 와이어에 결합되고 제1 본체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및 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본체;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구동 와이어; 제2 구동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및 제2 본체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튜브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체 채널은 유체 튜브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와 맞물릴 수 없도록 제2 커넥터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유체 채널은 제1 본체가 제2 본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유체 튜브와 맞물림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추가 예에 따르면, 모듈식 내시경은, 핸들; 핸들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본체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튜브; 및 핸들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배꼽을 포함하고; 핸들과 본체가 서로 결합될 때 배꼽과 가요성 튜브는 서로 유체 연통하며; 이에 따라, 핸들이 본체에 결합될 때 배꼽은 가요성 튜브를 통해 유체 전달 및 흡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핸들과 본체가 서로 분리될 때 배꼽과 가요성 튜브 사이의 유체 연통이 영구적으로 제거되어, 본체와 핸들의 재부착이 억제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태를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제1(재사용 가능한) 핸들과 제2(일회용) 부분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 내부의 부분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 내부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과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내부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사시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은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사시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은 제1 커넥터를 포함하며;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의 부분 사시도로서, 일회용 부분은 유체 튜브를 포함하고;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정렬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사시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유체 포트는 일회용 부분의 유체 튜브와 정렬되어 있으며;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과 수용하도록 정렬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측면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의 제2 커넥터와 정렬되어 있고;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로서, 일회용 부분의 유체 튜브는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유체 포트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측면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의 제2 커넥터에 결합되어 있고;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의 제2 커넥터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로서, 일회용 부분의 유체 튜브는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유체 포트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측면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에 대해 제2 커넥터를 이동시키고;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로서,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의 제2 커넥터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로서, 일회용 부분의 유체 튜브는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유체 포트 내에 수용되어 있고;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압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배치된 도 17의 압축 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의 로킹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으로부터 제거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측면도로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제1 커넥터는 일회용 부분의 제2 커넥터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핸들과 일회용 부분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로킹 링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2의 로킹 링의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에 결합된 도 22의 로킹 링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6a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일회용 부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26b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에 맞물린 일회용 부분의 부분 측면도이며;
도 27a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수용하도록 정렬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7b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일회용 부분 내에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7c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에 맞물린 도 22의 로킹 링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7d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도 22의 로킹 링, 및 일회용 부분 내로부터 제거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8a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1의 의료 디바이스의 커넥터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로서, 커넥터 메커니즘은 로킹 해제 상태에 있고;
도 28b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28a의 커넥터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로서, 커넥터 메커니즘은 로킹 상태에 있으며;
도 2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커넥터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키이형 메커니즘으로 서로 결합된 재사용 가능한 핸들과 일회용 부분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1a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결합 해제된 상태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과 일회용 부분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1b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도 31a의 의료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한 핸들과 일회용 부분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양태에서, 재사용 가능한 구성요소 및 일회용 구성요소를 갖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절차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환자에 대한 이전 절차에서 이전에 이용되었던 의료 디바이스(예를 들어, 내시경)를 디바이스가 멸균 및/또는 재처리 조치를 받은 후에 재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일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불완전할 수 있는데, 후속 환자가 이전 의료 절차로부터 디바이스의 교차 오염에 기인한 질병(예를 들어, 감염)에 걸릴 위험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회용 의료 디바이스를 채용하면 후속 절차에서 오염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일회용 디바이스의 폐기는 비용 절감과 오염 최소화의 효율적인 균형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대상(예를 들어, 환자) 내의 표적 치료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일회용 부분 및 재사용 가능한 핸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를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을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핸들은 절차 중에 표적 치료 부위 외부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음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핸들이 환자들 사이의 교차 오염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후속 절차에서 재이용되게 할 수 있다. 일회용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절차 동안 표적 치료 부위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절차 완료 시 재사용 가능한 핸들로부터 분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일회용 부분의 폐기가 후속 환자의 오염을 최소화하게 할 수 있다. 예에서, 표적 치료 부위에 접근하는 것은, 예컨대 천연 오리피스를 통한 해부학적 통로를 통해 의료 디바이스를 환자에게 관내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는, 예를 들어 코, 입 또는 항문일 수 있고 배치는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또는 소장을 포함한 위장관의 임의의 부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위장관, 다른 신체 루멘, 또는 신체의 개구를 통해 도달 가능한 다른 기관이나 다른 신체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의료 절차 또는 신체 내 치료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다양한 의료 절차를 수행하고 및/또는 대장(결장), 소장, 맹장, 식도, 위장관의 임의의 다른 부분,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환자의 해부구조(본 명세서에서 "표적 치료 부위"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됨)를 치료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의료 디바이스 또는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신체 내의 임의의 적절한 부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의료 도구 및/또는 의료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대해 상세히 참조할 것이며, 그 예는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가능한 경우,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지칭할 것이다. "원위"라는 용어는 디바이스를 환자에게 도입할 때 사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을 지칭한다. 이와 달리, "근위"라는 용어는 디바이스를 대상에게 배치할 때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부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반드시 그러한 요소만을 포함하지 않고,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았거나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 포함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이상적인"이 아니라 "예"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약", "실질적으로" 및 "대략"이라는 용어는 기재된 값의 +/-10% 내의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의료 디바이스(100)는 제1(재사용 가능한) 핸들(110), 제2(일회용) 부분(130), 및 (일회용) 배꼽 조립체(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100)는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이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고, 제1 핸들(110)과 배꼽 조립체(190)가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모듈식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제1 핸들(110)이 다수의 절차에 걸쳐 재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부분(130) 및/또는 배꼽 조립체(190)는 단일 사용 후 제2 부분(130) 및/또는 배꼽 조립체(190)가 일회용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는 절차에 사용된 후 분해되어 폐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과 같은 배꼽 조립체(190)는 다수의 절차에 걸쳐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원위 단부(114)와 근위 단부(118)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원위 단부(114)에서 본체(112)의 적어도 측면에 배치된 홈(116)을 포함할 수 있고, 원위 단부(114)는 제2 부분(130) 내에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근위 단부(118)에 적어도 제1 버튼(120), 제2 버튼(122), 및 복수의 노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버튼(120)과 제2 버튼(122)은 의료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노브(123)는 의료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예를 들어 배꼽(194)과 같은 배꼽 조립체(19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포트(119)를 근위 단부(118)에 포함할 수 있다. 배꼽 조립체(190)는 원위 배꼽 커넥터(191), 근위 배꼽 커넥터(192), 및 배꼽 커넥터(191, 192)에 결합된 배꼽(194)을 포함할 수 있다. 배꼽(194)은 포트(119)에서 제1 핸들(110)과의 연결을 통해 원위 배꼽 커넥터(191)를 제1 핸들(110) 및 제2 부분(130)에 유체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꼽 커넥터(191, 192) 및 배꼽(194)은 제1 핸들(110) 및 제2 부분(130)의 대응하는 유체 튜브를 하나 이상의 유체 소스(도시되지 않음)와 유체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꼽 조립체(190)는 배꼽 커넥터(191, 192) 및 배꼽(194)을 통해 연장되는 흡입 채널, 가압 공기 채널, 및 물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체 소스(예를 들어, 부압 매체 소스, 물 공급 소스, 가압 공기 소스 등)는 배꼽 커넥터(192)를 통해 배꼽 조립체(190)에, 특히 배꼽 커넥터(192) 상의 하나 이상의 노즐(196)에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버튼(120) 및 제2 버튼(122)은 제1 핸들(110)의 대응하는 유체 튜브와 배꼽 조립체(190)의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또는 연결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꼽 커넥터(191, 192) 및 배꼽(194)은 제1 핸들(110)의 대응하는 전자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은 본체(112) 내에 배치되고 포트(119)에서 종료되며 포트(119)로부터 접근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제1 전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제1 전자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를 제2 전자 케이블의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제1 전자 케이블은 배꼽 커넥터(191, 192) 내에 배치된 제2 전자 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자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의료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는 제1 핸들(110)이 배꼽 조립체(190)에 결합될 때 서로 자동으로 정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연결부 및/또는 전자 케이블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은 배꼽 조립체(190)로부터 제1 핸들(110)의 맞물림 해제 시 변경, 변형, 파손, 및/또는 추가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제2 부분(130)은 원위 단부(134)와 근위 단부(138)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30)은 근위 단부(138)에서 본체(132)의 적어도 측면에 배치된 슬롯(136), 및 원위 단부(134)에 인접한 본체(132)의 적어도 다른 측면에 배치된 포트(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30)은 근위 단부(138)에서 본체(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킹 메커니즘(148)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36)은 내부에 로킹 메커니즘(148)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로킹 메커니즘(148)은 본체(132)에 대해 피봇 가능하고 슬롯(136)을 통해 수용 가능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로킹 메커니즘(148)은 슬롯(136)을 통해 제1 핸들(110)과 맞물려 제2 부분(130)을 제1 핸들(1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트(139)는, 예를 들어 샘플 수집 디바이스, 생검 겸자, 그래스퍼, 또는 임의의 다른 치료 또는 진단 도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제2 부분(130)에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포트(139)가 (제1 핸들(110)과 달리) 제2 부분(130)에 위치되면, 더 적은 수의 디바이스가 본체(112)를 통해 횡단됨으로써, 제1 핸들(110)(즉, 재사용 가능한 핸들)의 마모 및 파열이 최소화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의료 디바이스(100)는 원위 단부(134)에서 제2 부분(130)에 결합된(일회용) 튜브 조립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조립체(180)는 원위 단부(184)와 근위 단부(188)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샤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단부(188)는 샤프트(182)가 제2 부분(130)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원위 단부(134)에 결합될 수 있다. 원위 단부(184)는 하나 이상의 도구, 전자 기기, 또는 다른 부품을 갖는 원위 팁(18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팁(186)은 샤프트(182)의 하나 이상의 채널(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미징 디바이스, 조명 디바이스, 센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경사로, 및/또는 출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82)는 가요성 본체를 가질 수 있고, 근위 단부(188)와 원위 단부(184)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82)는 보조 도구(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작업 채널, 흡입 채널, 물 채널, 가압 공기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본체(112)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유체 튜브(124A), 제2 유체 튜브(124B), 및 제3 유체 튜브(124C)(본 명세서에서는 집합적으로 "유체 튜브(124)"라고 지칭됨)를 수용하는 본체(112)의 내부 공동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튜브(124A)는 배꼽 조립체(190)를 통해 음의 가압 매체 소스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흡입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체 튜브(124B)는 배꼽 조립체(190)를 통해 물 소스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물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체 튜브(124C)는 배꼽 조립체(190)를 통해 공기 소스에 유체 결합될 수 있는 공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 튜브(124)는 배꼽 조립체(190)를 통해 다양한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유체 튜브(124A)는 절차에 의료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동안 표적 치료 부위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질(예를 들어, 생물학적 물질, 고체 미립자, 유체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튜브(124B) 및/또는 유체 튜브(124C)는 각각, 예를 들어 물 및/또는 가압 공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표적 치료 부위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튜브(124)는 절차에 사용한 후 유체 튜브(124)의 기계적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튜브(124)는 본체(112)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선형 및/또는 직선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체 튜브(124)는 본체(112)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길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세정을 위해 각각의 유체 튜브(124)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체 튜브(124)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금속, 금속 합금, 오토클레이브 안전 열가소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튜브(124)는 유체 튜브(124)의 열화를 최소화하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 프로세스를 통한 세정을 위해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유체 튜브(124)는 수많은 세정 조치를 받고 및/또는 스크래치 저항을 갖기 위해 유체 튜브(124)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강성일 수 있다. 제1 핸들(110)이 의료 디바이스(100)의 재사용 가능한 구성요소인 경우, 강성 유체 튜브(124)를 제공하면 제1 핸들(110)이 다수의 용도로 재처리될 수 있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본체(112)의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메커니즘(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메커니즘(126)은 하나 이상의 구동 라인(도 4)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노브(123)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위 팁(186)(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에 있는 디바이스를 구동(예를 들어, 이동, 편향,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메커니즘(126)은 엘리베이터 구동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되는 슬롯 또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버튼(120)은 제1 유체 튜브(124A)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버튼(122)은 제2 유체 튜브(124B) 및 제3 유체 튜브(124C)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버튼(120)과 제2 버튼(122) 각각은 버튼(120, 122)과 그 대응하는 유체 튜브(124) 사이에 배치된 밀봉 메커니즘(예를 들어, 밸브, 격막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120)과 제2 버튼(122)은 유체 튜브(124)와 배꼽 조립체(190)의 유체 채널 사이의 유체 연통을 확립하기 위해 밀봉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본체(112)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구동 라인(128A)(예를 들어, 풀 와이어) 및 제2 구동 라인(128B)(예를 들어, 푸시-풀 와이어)(본 명세서에서는 집합적으로 "구동 라인(128)"이라고 지칭됨)을 수용하는 본체(112)의 내부 공동을 예시하고 있다. 구동 라인(128)은 제1 핸들(110)에 대해 이동 가능(예를 들어, 병진 가능 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구동 라인(128A)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케이블(129)을 통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라인(128A)의 이동은 그 사이에 결합된 구동 케이블(129)을 통해 적어도 다른 제1 구동 라인(128A)의 대응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구동 케이블(129)은, 예를 들어 금속, 금속 합금 등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구동 케이블(129)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동 케이블(129)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관절 샤프트(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관절 샤프트(109)는 노브(123)의 구동(예를 들어, 이동)이 관절 샤프트(109), 구동 케이블(129), 및 복수의 제1 구동 라인(128A)의 대응하는 이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브(123)(도 1 및 도 2 참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라인(128B)은 엘리베이터 메커니즘(126)을 통해 복수의 노브(123) 및 관절 샤프트(109)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라인(128)은 원위 단부(114)에서 본체(112)의 내부 공동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160)(예를 들어, 제1 커넥터)를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는 강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오토클레이브 재료, 경질 플라스틱, 및/또는 다양한 적절한 고강도 수지와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부분(130)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와 상호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예를 들어,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 각각은 근위 단부(154)와 원위 단부(156)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본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2)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및/또는 본체(152)를 플러그 커넥터(160)에 비교하여 가요성으로 만드는 다양한 적절한 저강도 수지와 같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의 재료보다 비교적 더 연질인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근위 단부(154)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16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된 근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의 각각의 본체(152)는 미늘 커넥터(150)의 대응하는 이동에 응답하여 제2 부분(130)에 대해 이동 가능한 와이어 또는 케이블(141)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141)은 본체(132)를 통해 샤프트(182) 내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부분(130)에 대한 케이블(141)의 이동이 근위 단부(188)에 대한 원위 단부(184)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위 단부(184)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141)은,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 케이블(141)은 길어지지 않고 가요성일 수 있다. 이 예에서, 근위 단부(188)에 대한 원위 단부(184) 및/또는 원위 팁(186)(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위쪽 및 아래쪽 등)의 이동은 노브(123)의 회전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관절 샤프트(109) 및 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가 회전된다. 이에 응답하여, 구동 케이블(129) 및 관절 라인(128A)은 제1 핸들(110)에 대해 병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부분(130)에 대해 케이블(141)의 병진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부분(130)은 원위 팁(186)을 분절하기 위해 제1 핸들(110) 내의 4개의 관절 라인(128A)에 대응하는 4개의 케이블(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원위 단부(114)에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 포트(111), 유체 포트(115), 및 구동 포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114)는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을 관통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전자 케이블 포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은 본체(112) 내에 배치되고, 원위 단부(114)에서 종료되며 케이블 포트(111)에서 접근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제1 전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제1 전자 케이블은 제1 전자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를 제3 전자 케이블의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제2 부분(130) 내에 배치된 제3 전자 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전자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는 의료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때 서로 자동으로 정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케이블 커넥터는 제2 부분(130)으로부터 제1 핸들(110)의 맞물림 해제 시 변경, 변형, 파손, 및/또는 추가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원위 단부(114)는 제1 유체 포트(115A), 제2 유체 포트(115B), 및 제3 유체 포트(115C)(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유체 포트(115)"라고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포트(115A)는 제1 유체 튜브(124A)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제2 유체 포트(115B)는 제2 유체 튜브(124B)와 유체 연통할 수 있으며, 제3 유체 포트(115C)는 제3 유체 튜브(124C)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원위 단부(114)는 복수의 구동 포트(11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동 포트 각각은 복수의 구동 라인(128)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114)는 적어도 제1 외부 측벽(113A) 및 제2 외부 측벽(113B)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 측벽(113A)과 제2 외부 측벽(113B) 각각은 서로에 대해 달라지는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측벽(113A)은 제2 외부 측벽(113B)에 비교하여 원위 단부(114)의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 사이의 더 작은 표면적 및/또는 측방향 폭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적으로, 외부 측벽(113A, 113B)은 원위 단부(114)에서 비대칭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1 핸들(110)을 위한 키이형 컬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대해 특정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때 제1 핸들(110)은 제2 부분(1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원위 단부(114)가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제2 부분(130)은 원위 단부(114)가 근위 단부(138)에 대해 특정 배향으로 이동(예를 들어, 회전)될 때 제1 핸들(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고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30)은 원위 단부(114)의 비대칭 프로파일을 보완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근위 단부(138)(도 7 참조)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단부(114)에 형성된 키이형 컬럼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서로 조립하기 위해 제2 부분(130)에 대해 제1 핸들(110)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핸들(110)에 수용된 복수의 구동 라인(128)은 복수의 구동 포트(117)를 통해 원위 단부(114)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는 본체(112) 내의 구동 와이어(128)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위 단부(114)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병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60)는 근위 베이스(162)와 원위 팁(164)에 의해 정의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근위 베이스(162)는 원위 팁(164)보다 큰 반경방향 단면 치수를 갖는다. 예에서, 각각의 구동 와이어(128)의 근위 베이스(162)는 구동 포트(11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60)의 제1 핸들(110) 내로의 근위 후퇴는 근위 베이스(162)가 원위 단부(114)와 맞물릴 때 억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위 단부(114)의 원위 방향 면과 근위 베이스(162) 사이의 상호 작용은 하드 스톱을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와이어(128)의 원위 팁(164)은 근위 단부(154)의 근위 개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60)는 원위 팁(164)이 본체(152)의 근위 개구를 통해 수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미늘 커넥터(150)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팁(164)은 다양한 적절한 형상, 크기, 프로파일,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원위 팁(164)은 둥근형, 필렛형(filleted), 챔퍼링형 및/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근위 단부(138)는 원위 단부(114)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되는 키이형 개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이형 개구(140)는 제1 내부 측벽(133A) 및 제2 내부 측벽(133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내부 측벽(133A)은 제2 내부 측벽(133B)에 비교하여 더 작은 표면적 및/또는 측방향 폭을 가질 수 있고, 집합적으로 내부 측벽(133A, 133B)은 근위 단부(138)에서 제2 부분(130)을 위한 비대칭 개구(즉, 키이형 개구(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내부 측벽(133A)은 제1 외부 측벽(113A)의 크기 및 형상과 관련하여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고, 제2 내부 측벽(133B)은 제2 외부 측벽(113B)과 관련하여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측벽(133A, 133B)에 의해 정의된 근위 단부(138)의 키이형 개구(140)는 외부 측벽(113A, 113B)에 의해 정의된 원위 단부(114)의 키이형 컬럼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130)은 제1 외부 측벽(113A)이 제1 내부 측벽(133A)과 정렬되고, 제2 외부 측벽(113B)이 제2 내부 측벽(133B)과 정렬될 때 제1 핸들(11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부분(130)은 제1 외부 측벽(113A)이 제1 내부 측벽(133A)과 오정렬되고, 및/또는 제2 외부 측벽(113B)이 제2 내부 측벽(133B)과 오정렬될 때 제1 핸들(110)의 수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제2 부분(130)은 키이형 개구(140) 내에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 포트(131), 유체 포트(135) 및 구동 포트(137)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38)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때 전자 케이블 포트(111)로부터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전자 케이블 포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단부(138)는 제1 유체 포트(135A), 제2 유체 포트(135B), 및 제3 유체 포트(135C)(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유체 포트(135)"라고 지칭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포트(135A)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때 제1 유체 포트(115A)와 유체 연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유체 튜브(124A)를 제2 부분(130)에 유체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유체 포트(135B)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때 제2 유체 포트(115B)와 유체 연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유체 튜브(124B)를 제2 부분(130)에 유체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유체 포트(135C)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때 제3 유체 포트(115C)와 유체 연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3 유체 튜브(124C)를 제2 부분(130)에 유체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유체 포트(135)는 유체 포트(135)가 키이형 개구(14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도록 근위 단부(138)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관형 도관은 제2 부분(130)이 제1 핸들(110)에 결합될 때 대응하는 유체 포트(115) 내에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 길이방향 길이 및/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체 포트(135)는 유체 포트(115)의 내부 표면에 대한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관형 도관의 적어도 외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밀봉 메커니즘(146)(예를 들어, O-링)을 가질 수 있다(도 8 참조).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근위 단부(138)는 복수의 구동 포트(137)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 포트는 정지 벽(137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포트(137) 각각은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정지 벽(137A)은 각각의 미늘 커넥터(150)의 원위 단부(156)를 수용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정지 벽(137A)은 본체(152)의 단면 치수보다 비교적 작게 크기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미늘 커넥터(150)는 정지 벽(137A)에 의해 구동 포트(137)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미늘 커넥터(150)의 원위 단부(156)가 케이블(141)에 결합된 경우, 케이블(141)이 구동 포트(137)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8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근위 단부(138)는 로킹 메커니즘(148)을 제2 부분(130)에 결합하기 위해 본체(132)의 측면을 따라 한 쌍의 래치 개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로킹 메커니즘(148)은 한 쌍의 래치 개구(147) 사이에 위치 설정된 힌지 및 볼 조인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메커니즘(148)(예를 들어, 래치, 레버 등)은 래치 개구(147) 둘레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근위 단부(138)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로킹 메커니즘(148)은 제2 부분(130)에 대해 제1 핸들(110)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2 부분(130)과 제1 핸들(110) 사이에 간섭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각각의 유체 포트(135)의 관형 도관은 관형 도관의 외부 표면을 따라 그리고 유체 포트(135)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밀봉 메커니즘(146)(예를 들어,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밀봉 메커니즘(146)은 복수의 유체 포트(135)가 복수의 유체 포트(115) 내에 수용될 때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리고 의료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원위 단부(114)를 근위 단부(138)와 정렬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측벽(113A, 113B)에 의해 정의된 키이형 컬럼은 내부 측벽(133A, 133B)에 의해 정의된 키이형 개구(140)와 정렬되어, 근위 단부(138) 내에 원위 단부(114)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핸들(110)의 키이형 컬럼이 키이형 개구(140)와 오정렬될 때 제2 부분(130)은 근위 단부(138) 내에 원위 단부(114)의 수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키이형 컬럼이 키이형 개구(140)와 정렬된 경우, 복수의 구동 라인(128) 및 플러그 커넥터(160)는 대응하는 구동 포트(137) 내에 위치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늘 커넥터(150)와 정렬될 수 있다. 구동 라인(128)은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50)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 전에 최소한의 처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60)를 미늘 커넥터(150)에 연결할 때, 구동 라인(128)은 복수의 케이블(141) 둘레에 배치된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
예에서, 원위 단부(156)는 구동 포트(137)에 압입되고 정지 벽(137A)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핸들(110)과 조립되기 전에 미늘 커넥터(150)를 제2 부분(130)에 대해 고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근위 단부(154)와 같은 본체(152)의 적어도 일부는 원위 단부(156)가 구동 포트(137)에 수용됨에 따라 키이형 개구(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원위 단부(156)와 구동 포트(137) 사이의 압입 연결은 원위 단부(156)를 (예를 들어, 반경방향 압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미늘 커넥터(150)는 플러그 커넥터(160)에 의해 추출될 때까지 고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됨).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위 단부(114)가 근위 단부(138)를 향해 원위 방향으로 푸시됨에 따라, 유체 포트(135)는 유체 포트(11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유체 포트(135)에 있는 한 쌍의 밀봉 메커니즘(146)은 유체 포트(115)의 내부 채널에 맞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핸들(110)의 유체 튜브(124)(도 2)와 밀봉된 유체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유체 포트(135)가 유체 포트(115)를 통해 복수의 위치로 병진함에 따라, 제2 부분(130)은 한 쌍의 밀봉 메커니즘(146)을 통해 가변 거리에서 밀봉된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달리 말해서, 밀봉 메커니즘(146)은, 원위 단부(114)에 대한 근위 단부(138)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유체 포트(135)가 유체 포트(115)에 수용될 때 연속적인 밀봉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포트(115)는 구동 라인(128)이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50)의 맞물림을 통해 케이블(141)과 결합되기 전에 유체 포트(135)와의 유체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로킹 메커니즘(148)은 로킹 메커니즘(148)이 슬롯(136) 내에 수용된 로킹 위치(도 9)로부터 로킹 메커니즘(148)이 슬롯(136)으로부터 제거된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는 제2 부분(130) 내로 연장되고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와 맞물림으로써, 구동 라인(128)(본체(112) 내에 배치됨)을 본체(132) 내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141)에 결합할 수 있다. 원위 단부(114)는,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5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제1 핸들(110)이 하드 스톱을 경험할 때까지 근위 단부(138)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원위 단부(156)가 정지 벽(137A)에 맞접하고 구동 포트(137)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60)는 본체(152)와 스냅 체결 연결을 형성할 때까지 근위 단부(154)에 대해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 각각의 원위 팁(164)(플러그 커넥터(160)의 근위 방향으로 인접한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됨)은 근위 단부(154)의 근위 개구를 통해 압박되어 본체(152)의 소켓 공동(15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근위 베이스(162)는 소켓 공동(158)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드 스톱에 도달할 때 근위 단부(154)와 맞물릴 수 있다. 미늘 커넥터(150)의 원위 이동은 정지 벽(137A)에 대한 원위 단부(156)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될 수 있어, 플러그 커넥터(160)는 원위 팁(164)이 근위 단부(154)를 통해 수용될 때까지 미늘 커넥터(150)에 대해 푸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 및/또는 제2 부분(130)은 원위 팁(164)이 소켓 공동(158) 내에 수용될 때 피드백(예를 들어, 촉각, 청각 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원위 팁(164)은 소켓 공동(158)의 내부 평면형 벽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근위 레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늘 커넥터(15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60)의 근위 후퇴는 근위 레지와 평면형 벽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원위 팁(164)의 근위 레지가 소켓 공동(158)의 평면형 벽에 맞접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160)는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60)에 근위 방향으로 향하는 힘의 양)까지 미늘 커넥터(15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핸들(110) 내의 복수의 구동 라인(128)의 이동(예를 들어, 노브(123)를 통한)은 제2 부분(130) 내의 미늘 커넥터(150) 및 케이블(141)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핸들(110)은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보다 큰 근위 당기는 힘의 인가 시 미늘 커넥터(15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60)를 결합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156)는 케이블(141)이 본체(15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케이블(141) 각각은 원위 개구를 통해 대응하는 미늘 커넥터(150)의 소켓 공동(15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41)은 소켓 공동(158) 내에 수용되는 근위 단부(143)를 포함할 수 있고, 근위 단부(143)는 원위 단부(156)에서 미늘 커넥터(150)의 원위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41)은 미늘 커넥터(15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근위 단부(143)는 크림프, 매듭, 돌출부, 확개형 단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141)은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60) 사이의 중간 연결을 통해 케이블(141)과, 이에 결합된 대응하는 구동 라인(128)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메커니즘은 의료 디바이스(100)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원위 방향으로(예를 들어, 원위 팁(184)을 향해) 케이블(141)을 편향시킬 수 있다.
도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위 단부(114)가 근위 단부(138) 내에 완전히 수용된 경우, 유체 포트(135)는 실질적으로 유체 포트(115)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메커니즘(146)은 밀봉 메커니즘(146)을 통해 유체 포트(115)에 대한 유체 포트(135)의 복수의 위치에 걸쳐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 사이의 밀봉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위 단부(114)는 근위 단부(13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어 키이형 개구(14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60)를 당길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60)가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에 결합된 경우, 제1 핸들(110)은 근위 당기는 힘의 인가 시 복수의 구동 포트(137)로부터 미늘 커넥터(160)를 결합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늘 커넥터(150) 및 케이블(141)은 절차에 의료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동안 키이형 개구(140) 내에서(예를 들어, 노브(123)의 구동에 응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141)은 미늘 커넥터(150)가 정지 벽(137A)에 대해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처진 구성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지 벽(137A)으로부터 미늘 커넥터(150)의 근위 후퇴는 케이블(141) 및 구동 라인(128)에 길이방향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148)은 로킹 해제 위치(도 11)로부터 로킹 위치로 구동되어 원위 단부(114)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메커니즘(148)은 슬롯(136)에 수용될 수 있고, 로킹 메커니즘(148)의 적어도 일부는 홈(116)과 맞물려 제2 부분(130)을 제1 핸들(110)에 고정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148)은 절차에 의료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동안 고정된 축방향 길이로 제1 핸들(110)을 제2 부분(130)에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라인(128)은 로킹 메커니즘(148)이 로킹 위치에 있는 동안 제1 핸들(110) 및 제2 부분(13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메커니즘(148)은 홈(116)과 맞물릴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148)의 변형은 절차 완료 후 제2 부분(130)의 후속 사용을 억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핸들(110)은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50)의 맞물림을 통해 복수의 케이블(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128)로 인해 하나 이상의 노브(123)를 통해 원위 단부(184)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123)의 구동은 하나 이상의 구동 와이어(128), 플러그 커넥터(160), 및 미늘 커넥터(150)를 통해 그에 결합된 대응하는 케이블(141)의 병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병진 케이블(141)은, 예를 들어 원위 단부(184)를 근위 단부(188)에 대해 분절, 굽힘, 편향, 피봇, 및/또는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원위 단부(184) 및/또는 원위 팁(186)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라인(128) 및 케이블(141)의 길이방향 운동 범위는 키이형 개구(140), 특히 원위 단부(114)의 원위 방향으로 향하는 표면과 근위 단부(138)의 근위 방향으로 향하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포켓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이형 개구(140)는, 예를 들어 구동 와이어(128)의 이동에 응답하여 의료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동안 미늘 커넥터(150)가 병진하도록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 사이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포트(137)와의 압입 연결로부터 미늘 커넥터(150)를 제거할 때, 원위 단부(156)는 구동 포트(137)의 프로파일보다 상대적으로 큰 디폴트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미늘 커넥터(150)는 정지 벽(137A)으로부터 원위 단부(156)의 근위 후퇴 시 구동 포트(137)로 복귀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절차 완료 후 의료 디바이스(100)의 후속 사용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체 포트(135)는, 제1 핸들(110)이 제2 부분(130)에 대해 고정 위치에 로킹될 때, 밀봉 메커니즘(146)을 통해 유체 포트(115) 내에 유체 밀봉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부분(130)은 하나 이상의 개구가 있는 본체(172)를 갖는 압축 플레이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플레이트(170)는 본체(172)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유체 개구(174A), 제2 유체 개구(174B), 및 제3 유체 개구(174C)(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유체 개구(174)"라고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개구(174) 각각은 제2 부분(130)을 통해 유체 포트(135)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도시되지 않음)과 정렬되고 이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압축 플레이트(170)는 복수의 구동 개구(17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 개구는 정지 벽(17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개구(176)는 제2 부분(130)을 통해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141)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케이블(141) 각각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보우덴(Bowden) 케이블일 수 있다. 스프링은 편향 메커니즘으로 작용하고 압축 플레이트(170)와 원위 팁(186)에 있는 케이블(141)의 말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은 케이블(141)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의료 디바이스(100)의 조립 및 사용 동안 케이블(141)을 인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스프링은 케이블(141)의 외부 표면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141)의 길이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60)와 미늘 커넥터(150) 사이의 연결을 통해 케이블(141)에 구동 라인(128)이 결합된 경우, 스프링은 의료 디바이스(100) 사용 동안 구동 라인(128)을 추가로 인장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프링은 케이블(141)이 압축 플레이트(170)와 원위 팁(186) 사이를 통과하도록 가이드 및/또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141)의 비틀림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7을 계속 참조하면, 정지 벽(177)은 각각의 케이블(141) 둘레에 배치된 스프링의 단면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크기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은 정지 벽(177)과 맞물릴 수 있고, 구동 개구(176)를 통해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스프링은 정지 벽(177)에 대해 압축됨으로써, 케이블(141)에 인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압축 플레이트(170)는 전자 케이블 포트(111)(도 5) 및 전자 케이블 포트(131)(도 7)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케이블 개구(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압축 플레이트(170)는 원위 단부(134)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된 공동(145)에서 제2 부분(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동(145)은 제1 내부 레지(144A)와 제2 내부 레지(144B)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공동(145)은 압축 플레이트(170)와 한 쌍의 내부 레지(144A, 144B) 사이에 배치된 제2 편향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제2 편향 메커니즘은 한 쌍의 내부 레지(144A, 144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압축 플레이트(170)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예를 들어, 웨이브 디스크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편향 메커니즘은 제1 내부 레지(144A)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압축 플레이트(170)는 제2 내부 레지(144B)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어, 제2 편향 메커니즘은 본체(172)에 대해 원위 방향의 압축력을 인가함으로써 압축 플레이트(170)를 공동(145) 내의 고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절차 동안, 제1 핸들(110)은 대상 외부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튜브 조립체(180)와 같은 제2 부분(130)의 적어도 일부는 대상 내에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추가로, 대상 내의 표적 치료 부위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물질(예를 들어, 생물학적 물질, 고체 미립자, 유체 등)은 배꼽 조립체(190)로의 전달을 위해 튜브 조립체(180), 제2 부분(130)(예를 들어, 제1 유체 포트(135A)를 통해), 및 제1 핸들(110)(예를 들어, 제1 유체 포트(115A) 및 제1 유체 튜브(124A)를 통해)을 통해 (예를 들어, 흡입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체 튜브(124B) 및 제3 유체 튜브(124C)는 절차 동안 표적 치료 부위에 각각 물 및/또는 가압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원위 팁(184)은 노브(123)(도 1)의 구동에 응답하여 구동(예를 들어, 분절)됨으로써, 복수의 제1 구동 라인(128A) 중 하나 이상이 원위 팁(184)에 부착된 대응 케이블(141)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원위 팁(184)에 있는 도구(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노브(123)의 구동에 응답하여 구동(예를 들어, 피봇)됨으로써, 제2 구동 라인(128B)이 도구에 부착된 대응 케이블(141)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의료 디바이스(100)로 절차를 완료하면, 사용자는 로킹 메커니즘(148)을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킴으로써 제2 부분(130)으로부터 제1 핸들(110)을 분해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148)을 슬롯(136)으로부터 외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핸들(110)은 근위 단부(138) 내부로부터 원위 단부(114)를 후퇴시키기 위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원위 단부(114)가 근위 단부(138)로부터 외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60)를 통해 복수의 구동 라인(128)과의 지속적인 맞물림으로 인해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가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예에서, 미늘 커넥터(150)는 케이블(141)이 근위 범위(예를 들어, 최근위 위치)까지 연장될 때까지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부분(130)에 대한 미늘 커넥터(150)의 추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원위 팁(164)이 소켓 공동(158) 내에 수용된 경우, 플러그 커넥터(160)는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까지 미늘 커넥터(15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보다 큰 근위 당기는 힘의 인가 시 미늘 커넥터(15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60)를 결합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60)가 강성이고 미늘 커넥터(150)가 상대적으로 더 가요성이며 상대적으로 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경우, 플러그 커넥터(160)는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 시 미늘 커넥터(150)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 각각은 본체(152)가 변형을 경험하기 전에 최대 힘 공차까지 힘의 인가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대 힘 공차는 약 30 파운드(lbs)에서 약 50 lbs, 특히 약 40 lbs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예에서, 제2 부분(130)이 5개의 미늘 커넥터(150)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예를 들어, 각각의 본체(152)의 최대 힘 공차의 누적)은 약 150 lbs에서 약 250 lbs, 특히 약 200 lbs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최대 힘 공차 및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은 절차에서 의료 디바이스(100)의 일상적인 사용 동안 구동 와이어(128) 및/또는 케이블(141)이 견디는 임의의 인장력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기 연결 해제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최대 힘 공차 및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은 플러그 커넥터(160) 및/또는 미늘 커넥터(150) 중 하나 이상의 재료 조성, 기하형상, 및/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약 200 lbs의 총 힘을 초과하는 근위 당기는 힘이 제1 핸들(110)에 인가되면,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60)가 소켓 공동(158) 내로부터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단부(154)의 개구는 힘의 인가 시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근위 단부(154)의 근위 개구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증가시켜 원위 팁(164)이 이를 통해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본체(152)는 근위 단부(154)와 원위 단부(156) 사이에서 파열되어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파열된 부위에서 본체(152) 내부로부터 원위 팁(164)이 제거될 수 있다. 미늘 커넥터(150)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보다 다양한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은 미늘 커넥터(15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60)를 분리하기 위한 근위력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버튼, 레버, 노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미늘 커넥터(150)의 변형을 통해 제2 부분(130)의 후속 사용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130)과 튜브 조립체(180)가 제1 핸들(110)로부터 결합 해제된 경우, 제2 부분(130)과 튜브 조립체(180)는 의료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폐기될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원위 단부(115)의 유체 포트(115)를 통해 복수의 유체 튜브(124)에 접근함으로써 추가 사용을 위해 재처리 및 세정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유체 튜브(124)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강성일 수 있어, 다양한 세정 기구(예를 들어, 브러시)로 제1 핸들(110)을 더욱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배꼽 조립체(190)는 제2 부분(130) 및 제1 핸들(110)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핸들(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 포트(119)와 원위 배꼽 커넥터(19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각각 원위 단부(114)와 근위 단부(138) 사이의 제1 핸들(110)과 제2 부분(13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꼽 조립체(190)는 배꼽 조립체(190)의 추가 사용을 억제하는 방식으로(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체 및/또는 전자 케이블 연결을 변경함으로써) 제1 핸들(110)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제2 부분(130), 튜브 조립체(180), 및 배꼽 조립체(190)가 제1 핸들(110)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폐기된 경우, 의료 디바이스(100)는 대상 사이에서 및/또는 다수의 절차에 걸쳐 교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절차에서 제1 핸들(110)을 재이용함으로써, 의료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절차 후에 폐기되는 구성요소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재료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핸들(110)은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제2 부분(130)과 유사한 연결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근위 단부(138), 키이형 개구(140), 미늘 커넥터(150) 등)를 갖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에 따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2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달리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의료 디바이스(200)는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의료 디바이스(100)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의료 디바이스(200)는 각각 제1 핸들(110) 및 제2 부분(130)과 유사할 수 있는 제1 핸들(210) 및 제2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210)은 복수의 구동 라인(128)(예를 들어, 제1 구동 라인(128A) 및/또는 제2 구동 라인(128B))이 관통 연장되는 원위 단부(214)를 갖는 본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라인(128) 각각은 구동 라인(128)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양한 적절한 연결부(예를 들어, 용접, 크림핑, 리벳, 피닝 등)에 의해 원위 단부에 고정되는 연장 라인(22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라인(228)은 구동 라인(128)의 원위 단부에 있는 슬롯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장 라인(228)은 구동 라인(128)의 원형 및/또는 원통형 형상에 대해 평탄한 및/또는 평면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라인(228)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강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장 라인(228) 각각은 제1 핸들(210)이 그에 결합될 때 제2 부분(23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핸들(210)은 원위 단부(214)에서 본체(212)의 원주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위 플랜지 또는 레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레지(216)는 제2 부분(23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수용함으로써 제2 부분(230)을 제1 핸들(210)에 결합하도록 크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개구(도 2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230)은 원위 단부(233)와 근위 단부(234)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본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단부(233)는 튜브 조립체(180)의 근위 단부(184)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근위 단부(234)는 제1 핸들(210)의 원위 단부(21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핸들(210)과 제2 부분(230)은 각각 본체(212)와 본체(232)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튜브 및/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핸들(210)의 유체 튜브(들)는 유체 튜브(124)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제2 부분(230)의 유체 포트(들)는 유체 포트(115)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21을 계속 참조하면, 제2 부분(230)은 근위 단부(234)에서 본체(232)의 개구 내에 배치된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단부(234)의 개구는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키이형 개구(14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2 부분(230)은 제1 핸들(210)의 복수의 구동 라인(128)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커넥터(260) 및 케이블(14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 각각은 마찰 커넥터(260)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위 다리(27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는 원위 다리(270)를 따라 복수의 케이블(141)에 결합(예를 들어, 크림핑)될 수 있다. 원위 다리(270)는 돌출부, 탭, 핀, 및/또는 마찰 커넥터(260)의 외부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141)은 하나 이상의 구동 포트(137)를 통해 근위 단부(234)의 개구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200)는 근위 단부(234)를 따라 본체(232)의 외부 표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킹 링(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로킹 링(240)은 근위 단부(234)의 외주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제1 핸들(210)과 맞물리기 위해 본체(242)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44)을 갖는 본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메커니즘(244)은 원위 레지(216)의 하나 이상의 개구가 체결 메커니즘(244)을 관통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위 레지(216)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44)은 제1 환형 어레이에서 본체(242)의 주연부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 메커니즘(244)은 후크, 클립, 걸쇠, 및/또는 원위 레지(216)와 기계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제1 핸들(210)이 제2 부분(230)에 수용될 때 연장 라인(228)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로킹 링(240)의 본체(242)는 중앙 개구 둘레에서 연장되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242)에 의해 정의된 중앙 개구 내에 배치된 중앙 바닥(246)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중앙 바닥(246)을 따라 위치 설정된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플랜지 커넥터(2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라인(228)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 바닥(246)을 통해 배치된 슬롯(252)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랜지 커넥터(250)는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커넥터(2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찰 커넥터(260)의 원위 다리(270)는 각각의 플랜지 커넥터(250)의 슬롯(252)을 통해 연장된다.
로킹 링(240)은 중앙 바닥(246)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링(240)은 유체 개구(247), 케이블 개구(248), 및 복수의 주연부 개구(249)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개구(247)는 제2 부분(230)으로부터 중앙 바닥(24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유체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개구(248)는 제1 핸들(210)로부터 중앙 바닥(24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전기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연부 개구(249)는 로킹 링(240)을 제2 부분(230)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본체(232)(도 24 및 도 26a 및 도 26b 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찰 커넥터(260)는 플랜지 커넥터(250)의 상단 표면 위에 배치될 수 있어, 마찰 커넥터(260)가 중앙 바닥(246)을 따라 안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3에서 추가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 각각은 플랜지 커넥터(250)의 하단 표면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254)은 슬롯(252)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차에 의료 디바이스(200)를 사용하는 동안 제2 부분(23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위 다리(270)는 슬롯(252)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아암(254)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 24를 참조하면, 로킹 링(240)은 복수의 주연부 개구(249) 각각을 통해 본체(232)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238)를 수용함으로써, 본체(242)를 근위 단부(234)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근위 단부(234)는 본체(232)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23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본체(232)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병진)하고, 특히 근위 단부(234)에서 복수의 다리(238)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230)은 근위 단부(234)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36)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메커니즘(236)은 원위 레지(216)의 하나 이상의 개구가 체결 메커니즘(236)을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위 레지(216)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36)은 로킹 링(240) 상의 체결 메커니즘(244)의 제1 환형 어레이와 상이한 제2 환형 어레이에서 근위 단부(234)의 주연부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 메커니즘(236)은 후크, 클립, 걸쇠, 및/또는 원위 레지(216)와 기계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위 레지(216)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224) 및 하나 이상의 제2 개구(2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개구(224)는 제2 부분(230)의 체결 메커니즘(236)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제2 개구(226)는 로킹 링(240)의 체결 메커니즘(244)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예에서, 제1 개구(224)는 한 쌍의 인접한 체결 메커니즘(236)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고, 제2 개구(226)는 단일 체결 메커니즘(244)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메커니즘(236, 244)은 그에 인가되는 반경방향 힘을 받는 것에 응답하여 유연하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224)는 근위 단부(234) 둘레의 체결 메커니즘(236)의 상대 위치(예를 들어, 제2 환형 어레이)에 대응하는 제1 패턴으로 원위 레지(216)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개구(226)는 본체(242) 둘레의 체결 메커니즘(244)의 상대 위치(예를 들어, 제1 환형 어레이)에 대응하는 제2 패턴으로 원위 레지(216)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 메커니즘(236)의 제2 환형 어레이 및 복수의 제1 개구(224)의 대응하는 제1 패턴은 각각 본체(232) 및/또는 본체(212)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핸들(210)과 제2 부분(230)은 의료 디바이스(200)를 조립할 때 제1 핸들(210)과 제2 부분(23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개구(224)가 체결 메커니즘(236)과 오정렬되도록 제1 핸들(210)이 제2 부분(230)에 대해 배향될 때 제2 부분(230)은 제1 핸들(210)의 수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제,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의료 디바이스(2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제1 핸들(210)은 근위 단부(234)가 원위 단부(214)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부분(23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36)은 복수의 제1 개구(224)를 통해 원위 레지(216)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메커니즘(236)의 각각의 쌍은 제1 개구(224)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외향 연장될 때까지 제1 개구(224)를 통해 수용될 때 서로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메커니즘(236)은 다른 것으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고(예를 들어, 반경방향 외향으로) 원위 레지(216)의 근위 표면과 맞물림으로써, 제2 부분(230)을 제1 핸들(21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230)은 절차 중에 제1 핸들(210)에 대해 고정된 축방향 길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27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핸들(210)이 제1 개구(224)를 통해 체결 메커니즘(236)을 수용하도록 제2 부분(230)에 대해 배향된 경우, 연장 라인(228)은 근위 단부(234) 내에 배치된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와 정렬될 수 있다. 예에서, 마찰 커넥터(260)는 제2 부분(230)이 제1 핸들(210)을 수용하기 전에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 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는, 예를 들어 슬롯(252)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함으로써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는 본체(24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찰 커넥터(260)는 로킹 링(240)이 제2 부분(23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본체(242)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7b를 참조하면, 원위 단부(214)가 근위 단부(234) 내로 수용되면, 복수의 연장 라인(228)은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라인(228)의 원위 부분은 마찰 커넥터(260)의 근위 개구(272)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도 28a 및 도 28b 참조).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근위 단부(234)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로킹 링(240)을 이동시키면(도 27c 참조), 케이블(141)에 결합되는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로 인해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가 본체(242)를 맞물림 해제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찰 커넥터(260)는 제2 부분(230)의 케이블(141)과의 연결을 통해 로킹 링(240)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어, (예를 들어, 근위) 제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제1 핸들(210)을 향한 로킹 링(240)의 이동은 마찰 커넥터(260)가 본체(242)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제2 본체(230)에 대해 원위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44)이 원위 레지(216)로부터 축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링(240)은 제2 부분(23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제1 핸들(2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에 대해 위치 설정된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는 마찰 커넥터(250)를 통해 압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찰 커넥터(260)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1)에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케이블(141)은 로킹 링(240)의 근위 이동 시 마찰 커넥터(260)에 대해 (원위 방향의)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커넥터(260)가 케이블(141)에 연결된 경우, 로킹 링(240)이 핸들(210)을 향해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케이블(14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때 마찰 커넥터(260)는 플랜지 커넥터(250)를 통해 당겨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찰 커넥터(260)는 로킹 링(240)이 케이블(141)에 대해 이동할 때까지 장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도 27c).
도 28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 각각은 근위 단부(264) 및 원위 단부(266)에 의해 정의된 하우징(262)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단부(264)는 근위 개구(272)를 포함할 수 있고, 원위 단부(266)는 원위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 각각은 연장 라인(228)을 관통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하우징(262)은 적어도 제1 벽(261) 및 협폭 부분(263)과 확장된 부분(268)에 의해 정의된 적어도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62)은 제1 벽(261), 협폭 부분(263), 및 확장된 부분(268) 사이에 정의된 공동(2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동(269)의 크기는 제1 벽(261)과 협폭 부분(263)에 비교하여 제1 벽(261)과 확장된 부분(268) 사이에서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벽(261)과 협폭 부분(263)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1 벽(261)과 확장된 부분(268)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에서, 하우징(262)은 공동(269) 내에 배치된 이동 가능한 볼(265)(예를 들어,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볼(265)은 강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금속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볼(265)은 공동(269) 내에서 이동하고 연장 라인(228)과 맞물려 하우징(262) 내에 연장 라인(228)을 로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찰 커넥터(260)는 연장 라인(228)이 공동(269)을 통해 단일(예를 들어, 원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고, 반대(예를 들어, 근위) 방향으로 연장 라인(228)의 상대 이동에 대해 마찰 저항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단방향 마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a를 계속 참조하면, 이동 가능한 볼(265)이 확장된 부분(268)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된 경우, 연장 라인(228)은 근위 단부(264)의 개구를 통해 수용되고, 공동(269)을 통해 병진하며, 제약 없이 원위 단부(226)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262)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협폭 부분(263)에 있는 공동(269)의 대응 공간에 비교하여 확장된 부분(268)의 공동(269) 내 공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볼(265)은 확장된 부분(268)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때 하우징(26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 28b를 참조하면, 이동 가능한 볼(265)은 서로에 대한 연장 라인(228) 및/또는 하우징(262)의 이동에 응답하여 공동(269)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62)은, 연장 라인(228)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확장된 부분(268)에 인접한 공동(269)의 부분으로부터 협폭 부분(263)에 인접한 공동(269)의 부분으로 이동 가능한 볼(265)을 당길 수 있다.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 각각의 하우징(262)은 원위 다리(270)를 통해 각각의 하우징(262)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141)에 의해 하우징에 인가되는 (원위 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262)에 대한 연장 라인(228)의 원위 이동은 이동 가능한 볼(265)을 협폭 부분(26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협폭 부분(263)은 이동 가능한 볼(265)에 반경방향 힘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동 가능한 볼(265)이 연장 라인(228)에 맞접하게 할 수 있다. 연장 라인(228)은 이동 가능한 볼(265)과 제1 벽(26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마찰 커넥터(260)와 연장 라인(228)의 축방향 위치를 서로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커넥터(260)는 이동 가능한 볼(265)과 연장 라인(228) 사이에 마찰 저항을 생성하여 하우징(262)에 대해 연장 라인(228)의 축방향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커넥터(260)는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볼(265)을 통해) 연장 라인(228)과 맞물림으로써, 케이블(141)에 의해 마찰 커넥터(260)에 인가된 인장력의 결과로서 연장 라인(228)에 결합된 복수의 구동 라인(128)을 인장시킬 수 있다.
도 27c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로킹 링(240)은 원위 레지(216)에 맞물린 체결 메커니즘(244)을 이용하여 근위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체결 메커니즘(244)은 제2 개구(226)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외향 연장될 때까지 제2 개구(226)를 통해 수용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 이 경우, 체결 메커니즘(244)은 원래 위치로 다시 휘어지고 원위 레지(216)의 근위 표면과 맞물림으로써, 로킹 링(240)을 제1 핸들(21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230)은 절차 중에 제1 핸들(210)에 대해 고정된 축방향 길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마찰 커넥터(260)가 복수의 연장 라인(22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병진할 때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링(240)이 제2 부분(23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마찰 커넥터(260)는 슬롯(252)을 거쳐 플랜지 커넥터(25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 커넥터(250)는 슬롯(252)을 통한 마찰 커넥터(260)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변형되고 및/또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커넥터(250)는 스프링-하중식이고 마찰 커넥터(260)를 수용할 때 확장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링(240)이 근위 위치에 있을 때,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는 복수의 플랜지 커넥터(25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본체(242)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찰 커넥터(260)는 원위 다리(270)를 통해 복수의 케이블(141) 중 적어도 하나의 근위 단부에 결합(예를 들어, 크림핑)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장 라인(228)은 마찰 커넥터(260)에 대한 중간 연결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1)에 결합될 수 있다. 로킹 링(240)은 본체(242)가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141)의 장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플랜지 커넥터(250)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이 연장 라인(228) 및/또는 케이블(141)에 생성될 때 마찰 커넥터(260)가 슬롯(252)을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 라인(228)과 케이블(141)이 로킹 링(240)에 의해 인장된 경우, 원위 팁(184)(도 1)은 노브(123)의 구동에 응답하여 구동(예를 들어, 분절)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의 구동 라인(128) 중 하나 이상이 마찰 커넥터(260)를 통해 함께 부착된 대응 케이블(141)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원위 팁(184)에 있는 도구(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노브(123)의 구동에 응답하여 구동(예를 들어, 피봇)됨으로써, 제2 구동 라인(128B)이 도구에 부착된 대응 케이블(141)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200)로 절차를 완료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를 로킹 구성(도 28b 참조)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도 28a 참조)으로 초기에 천이시킴으로써 제1 핸들(210)과 제2 부분(230)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킹 링(240)은 공동(269) 내의 이동 가능한 볼(265)을 협폭 부분(263)(도 28b)으로부터 확장된 부분(268)(도 28a)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장 라인(228)을 로킹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레지(216)로부터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44)을 맞물림 해제할 때, 로킹 링(240)은 아암(254)이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와 맞물릴 때까지 근위 단부(234)를 따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 메커니즘(244)은, 체결 메커니즘(244)이 원위 레지(216)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해제하도록 (예를 들어, 도구를 통해 또는 손으로) 체결 메커니즘(244)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위 레지(216)를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체결 메커니즘(244)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로킹 링(240)의 회전에 응답하여 원위 레지(216)를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도 27d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아암(254)은 (예를 들어, 근위 단부(264)에서) 마찰 커넥터(260)의 개구를 통해 수용되어 협폭 부분(263)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볼(265)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한 볼(265)이 확장된 부분(268)을 향해 공동(269) 내에서 원위 방향으로 푸시되는 경우(도 28a 참조), 복수의 마찰 커넥터(260)와 연장 라인(228) 사이의 마찰 저항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라인(228)과 하우징(262)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체결 메커니즘(236)은 원위 레지(216)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제1 핸들(210)은 제2 부분(230) 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체결 메커니즘(236)은 (예를 들어, 도구를 통해 또는 손으로) 체결 메커니즘(236)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위 레지(216)를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제2 부분(230)이 제1 핸들(210)로부터 연결 해제된 경우, 의료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제2 부분(230)을 폐기하고 후속 사용을 위해 제1 핸들(210)을 재처리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에 따른 예시적인 커넥터(360)를 도시한다. 커넥터(360)는 전술한 의료 디바이스(100, 200)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많은 측면에서, 커넥터(360)는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커넥터(150, 160, 250, 260)와 유사하게 기능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360)는 너트 단부(362) 및 볼트 단부(372)(예를 들어, 벤트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 단부(362)는 원위 단부(364)와 근위 단부(366) 사이에 정의된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1 구동 라인(128A)은 근위 단부(366)에서 너트 단부(362)를 통해 연장되고 너트 단부 내에 크림핑됨으로써 제1 구동 라인(128A)의 원위 단부를 커넥터(360)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너트 단부(362)는 원위 단부(364)에 원위 개구(368)를 포함할 수 있고, 너트 단부(362)의 내부 표면은 원위 개구(368)로부터 근위 단부(366)로 연장되는 나사 부분을 갖는다. 복수의 구동 라인(128) 각각은 라인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너트 단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9를 계속 참조하면, 볼트 단부(372)는 너트 단부(362)의 대응 나사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 부분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갖는 근위 단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단부(372)는 케이블(141)의 근위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예를 들어, 크림핑)될 수 있어, 커넥터(360)는 너트 단부(362)가 원위 개구(368)를 통해 볼트 단부(372)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구동 라인(128A)을 케이블(141)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141) 각각은 케이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 단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절차 동안 커넥터(360)의 예시적인 사용에서, 원위 단부(374)는 너트 단부(362)와 볼트 단부(372)의 대응하는 나사 부분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원위 개구(368)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트 단부(362) 및/또는 볼트 단부(37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 쌍의 볼트(362, 372)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 라인(128A)은 커넥터(360)를 통한 중간 연결을 통해 케이블(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128A)은 커넥터(360)에 의한 연결을 통해 케이블(141)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노브(123)(도 1 참조)의 구동은 연장 라인(128)을 통한 케이블(141)의 대응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에 따른 예시적인 의료 디바이스(4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달리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의료 디바이스(400)는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의료 디바이스(100, 200)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의료 디바이스(400)는 제1 핸들(410) 및 제2 부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410)은 원위 단부(412)의 외부 표면 둘레에 배치된 외부 나사 부분(414)을 갖는 원위 단부(412)를 갖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나사 부분(414)은 원위 단부(414)의 외주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2 부분(430)은 근위 단부(432)의 내부 표면 둘레에 배치된 내부 나사 부분(434)을 갖는 근위 단부(432)를 갖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나사 부분(434)은 근위 단부(432)의 내주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30을 계속 참조하면, 의료 디바이스(400)는 제1 핸들(410)을 제2 부분(43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키이형 메커니즘(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이형 메커니즘(420)은 제1 본체(422)의 내부 표면 내에 배치된 내부 나사 부분(424)을 갖는 제1 본체(4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나사 부분(424)은 원위 단부(412)가 제1 본체(422)의 근위 개구를 통해 수용될 때 외부 나사 부분(414)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이형 메커니즘(420)은 제2 본체(425)의 외부 표면 둘레에 배치된 외부 나사 부분(428)을 갖는 제2 본체(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나사 부분(428)은 제2 본체(425)가 근위 단부(432)에서 제2 부분(430)의 근위 개구를 통해 수용될 때 내부 나사 부분(434)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본체(422)는 조인트 인터페이스(426)를 통해 제2 본체(42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인터페이스(426)는 제1 본체(422)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구멍(427), 및 제2 본체(425)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돌출부(4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425)의 돌출부(429)는 제1 본체(422)의 구멍(427) 내에 수용됨으로써, 조인트 인터페이스(426)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본체(422) 및/또는 제2 본체(425)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고, 조인트 인터페이스(426)에서의 연결을 통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429)는 제1 본체(422) 및/또는 제2 본체(425)의 서로에 대한 축방향 병진을 유발하지 않고 구멍(427)을 통해 이동(예를 들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본체(422) 및 제2 본체(425)는 서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예를 들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예를 들어, 근위 및/또는 원위 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400)의 예시적인 사용에서, 원위 단부(412)는 제1 본체(422)의 근위 개구를 통해 수용될 수 있어, 외부 나사 부분(414)은 내부 나사 부분(424)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핸들(410) 및/또는 제1 본체(42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제1 핸들(410)을 키이형 메커니즘(4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425)는 근위 단부(432)의 근위 개구를 통해 수용될 수 있어, 외부 나사 부분(428)이 내부 나사 부분(434)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부분(430) 및/또는 제2 본체(425)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제2 부분(430)을 키이형 메커니즘(4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포트(115A, 115B)는 키이형 메커니즘(420)에 의한 중간 연결을 통해 유체 포트(135A, 135B)에 유체 결합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1 핸들(510)과 제2 부분(530)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달리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제1 핸들(510) 및 제2 부분(530)은 각각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제1 핸들(110) 및 제2 부분(130)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제1 핸들(510)은 원위 단부(514)의 외부 표면 둘레에 배치된 홈(516)을 갖는 원위 단부(514)를 갖는 본체(512)를 포함할 수 있다. 홈(516)은 원위 단부(514)의 외주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홈(516)은 원위 단부(514)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홈(516)은 제2 부분(5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제1 핸들(510)을 제2 부분(530)에 결합하도록 크기 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를 계속 참조하면, 제2 부분(530)은 근위 단부(534) 둘레에 배치된 플랜지(536)를 갖는 근위 단부(534)를 갖는 본체(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본체(532)는 근위 단부(534)에 근위 개구(538)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536)는 근위 개구(538)의 외부 에지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536)는 본체(532)와 일체화될 수 있고 근위 단부(534)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어, 플랜지(536)는 플랜지에 인가되는 반경방향 힘을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536)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536)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4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536)의 세그먼트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시적인 사용에서, 제2 부분(530)은 원위 단부(514)가 근위 단부(534)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핸들(510)을 수용할 수 있다. 플랜지(536)는 제2 부분(530)이 근위 개구(538)를 통해 원위 단부(514)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본체(532)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핸들(510)은 홈(516)이 플랜지(536)와 정렬될 때까지 근위 개구(538)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536)는 본체(532)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홈(516) 내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핸들(510)을 제2 부분(5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536)는 제1 핸들(510)을 제2 부분(530)으로부터 분해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힘 임계값까지 서로에 대한 제1 핸들(510)과 제2 부분(530)의 이동(예를 들어, 축방향, 회전 등)을 억제할 수 있는 홈(516)과 스냅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부분(530)은 홈(516)에 수용하기 위해 근위 단부(534)를 따라 하나 이상의 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디바이스, 조립체 및 방법 각각은 선택적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로 표적 치료 부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서로 기계적, 전기적 및 유체 연결을 확립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구성요소와 일회용 구성요소를 갖는 의료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완전 일회용 디바이스로부터의 재료 낭비 사례와 완전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한 환자 사이의 교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디바이스 및 방법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의 실행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와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의료 디바이스이며,
    제1 본체로서,
    제1 본체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로서,
    제2 본체 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와 맞물리고, 제1 본체가 제2 본체와 맞물림 해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커넥터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베이스와 팁을 갖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개구를 갖는 미늘과 개구를 통해 팁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내부 공동을 포함하며;
    베이스는 미늘과 맞물려 플러그와 미늘 사이에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최대 힘 공차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제1 구동 와이어가 최대 힘 공차를 초과하는 힘을 제1 커넥터에 인가할 때 제2 커넥터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구동 와이어는 제1 구동 와이어가 제1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의료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제2 본체의 포트에 고정되고;
    제1 구동 와이어는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맞물리고 제1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포트로부터 제2 커넥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포트로부터 제거될 때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제2 커넥터는 포트에 다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되는, 의료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본체는 제1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제1 유체 포트와 정합하는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제2 본체가 복수의 축방향 위치에서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제1 유체 포트와 제2 유체 포트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본체는 제1 본체와 맞물려 제2 본체에 대해 제1 본체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한 볼 베어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제2 본체가 제1 본체와 정합할 때 하우징 내에서 볼 베어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볼 베어링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을 통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을 허용하고,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을 통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협폭 부분과 협폭 부분보다 넓은 광폭 부분을 갖는 공동을 정의하며;
    볼 베어링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더 넓은 부분에 인접하여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고,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협폭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는, 의료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 비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본체는,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이 제2 비대칭 프로파일과 정렬될 때 제1 배향으로 제1 본체와 정합하고, 제1 비대칭 프로파일이 제2 비대칭 프로파일과 오정렬될 때 제2 배향으로 제1 본체와 정합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KR1020237031466A 2021-02-19 2022-02-18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KR20230145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1336P 2021-02-19 2021-02-19
US63/151,336 2021-02-19
PCT/US2022/017070 WO2022178306A1 (en) 2021-02-19 2022-02-18 Modula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451A true KR20230145451A (ko) 2023-10-17

Family

ID=8095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466A KR20230145451A (ko) 2021-02-19 2022-02-18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65967A1 (ko)
EP (1) EP4255278A1 (ko)
JP (1) JP2024508364A (ko)
KR (1) KR20230145451A (ko)
CN (1) CN117177701A (ko)
AU (1) AU2022223771A1 (ko)
CA (1) CA3207909A1 (ko)
WO (1) WO20221783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2974A (en) * 1991-11-08 1993-06-29 Kensey Nash Corporation Hemostatic puncture closure system and method of use
US9675329B2 (en) * 2009-07-27 2017-06-13 Multi Scopic Instruments, Ll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KR101091999B1 (ko) * 2009-11-30 2011-12-08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KR102161974B1 (ko) * 2019-09-11 2020-10-06 (주) 태웅메디칼 착탈분리형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23771A1 (en) 2023-07-20
CN117177701A (zh) 2023-12-05
EP4255278A1 (en) 2023-10-11
CA3207909A1 (en) 2022-08-25
WO2022178306A1 (en) 2022-08-25
US20220265967A1 (en) 2022-08-25
JP2024508364A (ja)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4280B (zh) 带有备用机械闭锁的磁性组织压缩装置
EP2214549B1 (en) Endoscopic overtubes
AU2006205106B2 (en) Hemostatic multiclip deployment apparatus
US20150282813A1 (en) Endoscopic Hemostatic Clipping Apparatus
CN114449939A (zh) 内窥镜组件和系统
US11974773B2 (en) Latchless obturator with interference fit feature
WO2010126824A1 (en) Adaptor for an endoscope
WO2016114089A1 (ja) オーバーチューブおよび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KR20230145451A (ko)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 및 그 사용 방법
US20220167836A1 (en) Steerable instrument comprising a detachable part
US9730718B2 (en) Medical device with quick-release mechanism
US20230023094A1 (en) Modula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18739048U (zh) 内窥镜手术器械及用于其的近端输送装置和远端操作装置
US11857174B2 (en) Tissue manipulation device
US20240050117A1 (en) Tissue manipulation device
WO2024040176A1 (en) Tube connector for endoscope systems
CN115211925A (zh) 内窥镜手术器械及用于其的近端输送装置和远端操作装置
JP2003102670A (ja) 内視鏡カバ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