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039A -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039A
KR20230144039A KR1020237029702A KR20237029702A KR20230144039A KR 20230144039 A KR20230144039 A KR 20230144039A KR 1020237029702 A KR1020237029702 A KR 1020237029702A KR 20237029702 A KR20237029702 A KR 20237029702A KR 20230144039 A KR20230144039 A KR 2023014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actuating device
housing
bearing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그라이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4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1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10), 하우징(6), 및 이 하우징(6)과 강성으로 연결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1)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 샤프트(11)는, 유압 피스톤이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전기 모터(10)는 하우징(6)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6)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11)에 의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 하우징, 및 이 하우징과 강성으로 연결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는, 유압 피스톤이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작동 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유압 제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다. 마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한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마찰 브레이크 장치가 유압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마찰 브레이크 장치의 슬레이브 실린더와 유체공학적으로 연결된다.
자동차 제조에서 전기 기계 작동 장치는 점점 더 빈번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러한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공개공보 WO 2017 108 228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작동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를 갖는다. 상기 구동 샤프트는, 유압 피스톤이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즉, 유압 피스톤이 구동 샤프트를 이용하여 전기 모터에 의해 변위될 수 있음으로써, 궁극적으로 마찰 브레이크 장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또한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가 강성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이전에 공지된 전기 기계 작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강성으로 연결된 하우징 외부에 전기 모터가 배치된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는, 이 작동 장치가 특히 컴팩트하게 그리고 그에 따라 공간 절약적으로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전기 모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제공된다. 즉, 전기 모터는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강성으로 연결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전기 모터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추가적인 모터 하우징이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는 모터 하우징 없이 구성된다. 이를 통해 작동 장치를 위한 설치 공간의 절약에 추가로 비용도 절약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강성으로 연결되거나 하우징에 강성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2개의 몸체 사이의 강성 연결은, 이들 몸체가 서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없게 하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은 예를 들어, 축방향 힘과 반경방향 힘을 모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축방향으로" 및 "반경방향으로"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용어는, 이들 용어에 대한 다른 기준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과 관련된다. 즉, 축방향 힘은 회전축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상응하게, 반경방향 힘은 회전축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유압 피스톤은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정렬된 변위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제공되거나 구현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이 축방향 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에 의해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그 외에 일반적으로 이전에 공지된 작동 장치에서 강성 연결을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요소가 절약될 수 있다. 이로부터도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공간 절약적 구성이 도출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제1 베어링 링 및 제2 베어링 링을 갖는, 축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베어링을 가지며, 제1 베어링 링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강성으로 연결되고, 제2 베어링 링은 구동 샤프트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즉,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베어링에 의해 제공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이 축방향 힘은 제1 베어링 링 및 제2 베어링 링에 의해 구동 샤프트로 전달된다. 제1 베어링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회전 가능한 장착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높은 축방향 힘이 구동 샤프트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베어링 링은 제1 베어링의 외부 베어링 링이다. 그에 상응하게 제2 베어링 링은 제1 베어링의 내부 베어링 링이다. 바람직하게 제2 베어링 링은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 샤프트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2 베어링 링은 구동 샤프트의 제1 단부 섹션과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1 베어링은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다. 그에 상응하게 구동 샤프트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섹션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제3 베어링 링 및 제4 베어링 링을 갖는, 축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베어링을 가지며, 제3 베어링 링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제4 베어링 링은 구동 샤프트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즉,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베어링에 의해 제공된다. 구동 샤프트에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이 축방향 힘은 제4 베어링 링 및 제3 베어링 링에 의해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제2 베어링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회전 가능한 장착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높은 축방향 힘이 구동 샤프트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베어링 링은 제2 베어링의 외부 베어링 링이다. 그에 상응하게 제4 베어링 링은 제2 베어링의 내부 베어링 링이다. 바람직하게 제4 베어링 링은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 샤프트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4 베어링 링은 구동 샤프트의 제2 단부 섹션과 연결된다. 제1 베어링이 구동 샤프트의 제1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고, 제2 베어링이 구동 샤프트의 제2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면, 전기 모터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제1 베어링과 타측의 제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구동 샤프트의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한 장착이 상기 두 베어링에 의해 달성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베어링 및/또는 제2 베어링은 롤링 요소 베어링, 특히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베어링에 의해 한편으로 구동 샤프트의 저마찰 회전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베어링에 의해 충분히 높은 축방향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높은 축방향 힘의 전달의 관점에서, 베어링을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컵 형상의 만입부를 가지며, 제2 베어링이 이 만입부 내에 배치된다. 만입부가 제공되고, 이 만입부 내에 제2 베어링이 배치됨으로써, 하우징과 제3 베어링 링의 특히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베어링 링이 상기 만입부 내로 압입된다. 즉, 제3 베어링 링은, 만입부의 측벽과 제3 베어링 링의 측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연결 플랜지를 가지며, 제1 베어링 링은 연결 플랜지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연결 플랜지를 통해 하우징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안정적인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플랜지는, 내부에 제1 베어링이 배치된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1 베어링 링은, 축방향 관통 구멍의 측벽과 제1 베어링 링의 측벽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 플랜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전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가지며, 이 경우 연결 플랜지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와 타측의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의 이러한 배치는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에서, 한편으로는 제어 장치가 전기 모터에 공간적으로 매우 근접하게 위치함으로 인해 전기 모터로의 제어 장치의 전기적 연결이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장치가 연결 플랜지에 대한 공간적 근접성으로 인해 작동 중에 연결 플랜지에 의해 냉각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 특히 제어 장치의 제어 장치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직접 연결 플랜지에 인접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에 의해 전기 모터의 모터 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되며, 연결 플랜지는 상기 라인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즉, 라인은 연결 플랜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그로 인해 라인은 연결 플랜지에 의해 보호되며, 라인이 연결 플랜지 주위에 유도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제어 장치와 모터 권선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구동 샤프트의 주연 홈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링을 갖는다. 그로 인해, 구동 샤프트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축방향 힘의 양이 증가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링은 축방향으로 직접 제1 베어링의 제2 베어링 링 또는 제2 베어링의 제4 베어링 링에 인접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링은 제2 베어링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1 베어링의 측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직접 제1 베어링의 제2 베어링 링에 인접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구동 샤프트의 추가 주연 홈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고 제1 베어링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베어링의 측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직접 제2 베어링의 제4 베어링 링에 인접하는 추가 리테이닝 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하우징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를 가지며, 작동 요소의 안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제공된다. 작동 요소는, 이 작동 요소의 변위에 의해 유압 피스톤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는 작동 요소에 의해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작동 요소의 안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구성 부재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작동 요소와 강성으로 연결된 회전 방지판을 가지며, 이 경우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모터의 한 요소는, 작동 요소의 안내를 위해 회전 방지판의 리세스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가이드 돌출부를 갖는다. 이를 통해 작동 요소의 안정적인 안내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돌출부는 이 가이드 돌출부와 회전 방지판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코팅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방지판은,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모터의 요소의 리세스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가이드 돌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결착 로드를 가지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 및 작동 요소의 안내가 각각 부분적으로 상기 결착 로드에 의해 제공된다. 결착 로드의 제공을 통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하우징의 강성 연결의 안정성 및 작동 요소의 안내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정확히 하나의 결착 로드를 갖는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종방향 중심축, 결착 로드의 종방향 중심축 및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동일한 평면 내에 놓이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반경방향으로 일측의 결착 로드와 타측의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이 바람직하게 결착 로드와 구동 샤프트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청구항 제14항의 특징부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로부터도 이미 언급한 장점들이 도출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징 조합은 설명부 및 청구항을 참조한다.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며, 이 마찰 브레이크 장치는, 유압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상기 마찰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유체공학적으로 연결된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작동 장치(1)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를 갖는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시되지 않은 유압 피스톤이 변위축(3)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경우에,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브레이크 탠덤 마스터 실린더(2)이다. 이에 상응하게,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는 2개의 유압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서로 연이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변위축(3)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종방향 중심축(3)에 해당한다. 작동 장치(1)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장착되는 경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마찰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 장치(5) 내로의 유압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복수의 유압 연결부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의 슬레이브 실린더와 연결되며, 도 1에는 상기 유압 연결부들 중 단 하나의 유압 연결부(4)만 도시되어 있다.
작동 장치(1)는 또한 하우징(6)을 갖는다. 하우징(6)은 다중 부재로 구성된다. 본 경우에, 하우징(6)은 베이스 몸체(7) 및 커버(8)를 갖는다. 베이스 몸체(7)와 커버(8)는 고정 수단(9)에 의해 서로 강성으로 연결된다.
작동 장치(1)는 또한, 하우징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하우징(6) 내에 배치된 전기 모터(10)를 갖는다. 전기 모터(10)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1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회전축(12)은 변위축(3)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구동 샤프트(11)는 축방향으로 양측이 전기 모터(10)를 넘어 돌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 샤프트(11)는, 축방향으로 전기 모터(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단부 섹션(13) 및 축방향으로 전기 모터(1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단부 섹션(14)을 갖는다. 구동 샤프트(11)의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해 제1 베어링(15) 및 제2 베어링(16)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베어링(15)이 구동 샤프트(11)의 제1 단부 섹션(13)을 지지한다. 제2 베어링(16)은 구동 샤프트(11)의 제2 단부 섹션(14)을 지지한다. 본 경우에, 베어링(15 및 16)은 롤링 요소 베어링(15 및 16)으로서 형성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연결 플랜지(17)를 갖는다. 연결 플랜지(17)는 축방향으로, 회전축(12)에 수직으로 정렬된 커버(8)의 벽(18)의 외면에 인접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하우징(6)과 강성으로 연결되거나 하우징에 강성으로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측의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와 타측의 하우징(6) 사이에 작용하는 연결부가 존재하며, 이 연결부를 통해 축방향 힘과 반경방향 힘이 모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에 작동 방향(5)으로 작용하는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이 축방향 힘은 하우징(6)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하우징(6)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강성 연결은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11)에 의해 제공된다. 제1 베어링(15)과 제2 베어링(16)은 축방향 힘과 반경방향 힘을 모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베어링(15)은 제1 베어링 링(19) 및 제2 베어링 링(20)을 가지며, 이들 베어링 링(19 및 20)은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링(19)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 제1 베어링 링(19)은 연결 플랜지(17)의 제1 축방향 관통 구멍(21) 내로 압입된다. 제2 베어링 링(20)은 구동 샤프트(11)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 구동 샤프트(11)는 제2 베어링 링(20) 내로 압입된다. 제2 베어링(16)은 제3 베어링 링(22) 및 제4 베어링 링(23)을 가지며, 이들 베어링 링(22 및 23)은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3 베어링 링(22)은 하우징(6)과 강성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는, 제3 베어링 링(22)이 하우징(6)의 베이스 몸체(7)의 컵 형상의 만입부(24) 내로 압입된다. 제4 베어링 링(23)은 구동 샤프트(11)와 강성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 구동 샤프트(11)는 제4 베어링 링(23) 내로 압입된다. 즉,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에 작동 장치(5) 내로 작용하는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이 축방향 힘은 제1 베어링 링(19), 제2 베어링 링(20), 구동 샤프트(11), 제4 베어링 링(23) 및 제3 베어링 링(22)을 통해 하우징(6)으로 전달된다.
작동 장치(1)는 또한 결착 로드(25)를 갖는다. 결착 로드(25)는, 이 결착 로드(25)의 종방향 중심축(26)이 회전축(12)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하우징(6)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강성 연결은 부분적으로 결착 로드(25)에 의해서도 제공된다. 이를 위해, 축방향으로 결착 로드(25)는 하우징(6) 및 연결 플랜지(17)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축방향 정지부(27)에 의해 축방향으로 하우징(6) 및 연결 플랜지(17)에 고정된다.
작동 장치(1)는 또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28)를 갖는다. 작동 요소(28)는, 이 작동 요소(28)의 변위에 의해 유압 피스톤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회전 방지판(29)은 작동 요소(28)에 강성으로 연결되며, 이와 관련하여 작동 요소(28)와 함께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장치(1)는, 축방향으로 일측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에 그리고 타측이 작동 요소(28)에 또는 이 작동 요소(28)와 강성으로 연결된 요소에 지지되는 리턴 스프링(30)을 갖는다.
구동 샤프트(11)는, 작동 요소(28)가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요소(28)와 작동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압 피스톤은 전기 모터(10)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 장치(1)는 변속 장치(31)를 포함한다. 변속 장치(31)는 결합 회전(conjoint rotation)을 하도록 구동 샤프트(11)와 연결된 제1 기어휠(32)을 갖는다. 제1 기어(32)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10)와 타측의 제2 베어링(16)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1 기어휠(32)은, 변속 장치(31)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어휠(33)을 이용하여 변속 장치(31)의 스핀들 너트(34)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요소(28)의 수나사부는, 스핀들 너트(34)의 회전에 의해 작동 요소(28)가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스핀들 너트(34)의 암나사부와 맞물린다.
작동 요소(28)의 안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모터(10)에 의해 제공된다. 본 경우에,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모터(10)의 요소, 예를 들어 전기 모터(10)의 캐리어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35)를 갖는다. 회전 방지판(30)은, 축방향으로 이 회전 방지판(29)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리세스(36)를 갖는다. 가이드 돌출부(35)는 작동 요소(28)의 안내를 위해 반경방향으로 리세스(36) 내에 맞물린다. 가이드 돌출부(35)는 이 가이드 돌출부(35)와 회전 방지판(3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코팅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방지판(30)은, 작동 요소(28)의 안내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모터(10)의 리세스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가이드 돌출부를 갖는다.
작동 요소(28)의 안내는 또한 부분적으로 결착 로드(25)에 의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회전 방지판(30)은, 작동 요소(28)의 안내를 위해 결착 로드(25)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37)을 갖는다.
작동 장치(1)는 또한 전기 모터(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38)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8)는, 작동 장치(1)의 도시되지 않은 작동 센서의 센서 신호에 따라 전기 모터(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플랜지(17)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10)와 타측의 제어 장치(38)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38)는 축방향으로 직접 연결 플랜지(16)에 인접한다.
연결 플랜지(17)는, 커버(8)의 축방향 관통 구멍(41)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2 축방향 관통 구멍(39)을 갖는다. 제어 장치(38)는 복수의 전기 라인(40)에 의해 전기 모터(10)의 모터 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라인(40)은 연결 플랜지(17)의 제2 축방향 관통 구멍(39)을 통과하여 그리고 커버(8)의 축방향 관통 구멍(41)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11)의 회전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11)의 제1 단부 섹션(13)의 자유 단부와 결합 회전을 하도록 연결된 자기 요소(42)가 제공된다. 또한, 자기 요소(42)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도시되지 않은 수신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수신기는 예를 들어 자기 요소(42)의 반경방향 반대편 또는 축방향 반대편에 놓인다.
구동 샤프트(11)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리테이닝 링(43)이 제공된다. 리테이닝 링(43)은 반경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1)의 주연 홈에 맞물린다. 이 경우, 리테이닝 링(43)은 축방향으로 일측의 자기 요소(42)와 타측의 제1 베어링(15) 사이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직접 제2 베어링 링(20)에 인접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동 샤프트(11)는 축방향으로 제2 베어링(16)을 넘어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라, 제1 베어링(15)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베어링(16)의 측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직접 제4 베어링 링(23)에 인접하는 추가 리테이닝 링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추가 리테이닝 링은 반경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1)의 추가 주연 홈에 맞물린다.
도 2는 작동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확인되듯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결착 로드(25) 및 구동 샤프트(11)는, 결착 로드(25)의 종방향 중심축(26),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종방향 중심축(3) 및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축(12)이 동일 평면 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반경방향으로 결착 로드(25)와 구동 샤프트(1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결착 로드(25)의 종방향 중심축(26)과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축(12)은 반경방향으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종방향 중심축(3)으로부터 등거리에 떨어져 있다.
구동 샤프트(11)가 부분적으로 하우징(6)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강성 연결을 제공하고, 전기 모터(10)가 부분적으로 작동 요소(28)의 안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결착 로드(25)와 함께 강성 연결뿐만 아니라 안내도 제공할 수 있는 추가 결착 로드가 생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동 장치(1)는 도 2에서 확인되듯이 전체적으로 공간 절약적으로 구성된다.

Claims (14)

  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1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10), 하우징(6), 및 이 하우징(6)과 강성으로 연결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1)이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샤프트(11)는, 상기 유압 피스톤이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에 있어서,
    전기 모터(10)는 하우징(6)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6)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강성 연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샤프트(11)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제1 베어링 링(19) 및 제2 베어링 링(20)을 갖는, 축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베어링(15)을 가지며, 제1 베어링 링(19)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와 강성으로 연결되고, 제2 베어링 링(20)은 구동 샤프트(11)와 강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제3 베어링 링(22) 및 제4 베어링 링(23)을 갖는, 축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베어링(16)을 가지며, 제3 베어링 링(22)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제4 베어링 링(23)은 구동 샤프트(11)와 강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베어링(15) 및/또는 제2 베어링(16)은 롤링 요소 베어링, 특히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6)은 컵 형상의 만입부(24)를 가지며, 제2 베어링(16)이 이 만입부(24)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연결 플랜지(17)를 가지며, 제1 베어링 링(19)은 연결 플랜지(17)와 강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전기 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38)를 가지며, 연결 플랜지(17)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10)와 타측의 제어 장치(3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38)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40)에 의해 전기 모터(10)의 모터 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 플랜지(17)는 상기 라인(40)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관통 구멍(3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구동 샤프트(11)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구동 샤프트(11)의 주연 홈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링(4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하우징(6)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28)를 가지며, 작동 요소(28)의 안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모터(10)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작동 요소(28)와 강성으로 연결된 회전 방지판(29)을 가지며,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모터(10)의 한 요소는, 작동 요소(28)의 안내를 위해 회전 방지판(29)의 리세스(36) 내에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가이드 돌출부(3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1)는 결착 로드(25)를 가지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하우징(6)의 강성 연결 및 작동 요소(28)의 안내가 각각 부분적으로 결착 로드(25)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의 종방향 중심축(3), 결착 로드(25)의 종방향 중심축(26) 및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축(12)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동일한 평면 내에 놓이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반경방향으로 일측의 결착 로드(25)와 타측의 구동 샤프트(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장치(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237029702A 2021-02-05 2022-01-25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KR20230144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1079.2 2021-02-05
DE102021201079.2A DE102021201079A1 (de) 2021-02-05 2021-02-05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Bremsanlage
PCT/EP2022/051575 WO2022167265A1 (de) 2021-02-05 2022-01-25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039A true KR20230144039A (ko) 2023-10-13

Family

ID=8016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702A KR20230144039A (ko) 2021-02-05 2022-01-25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91308A1 (ko)
EP (1) EP4288313A1 (ko)
JP (1) JP2024503747A (ko)
KR (1) KR20230144039A (ko)
CN (1) CN116829425A (ko)
DE (1) DE102021201079A1 (ko)
WO (1) WO20221672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92215A1 (en) * 1999-11-24 2001-05-31 William Lunceford Barnett Hydraulic brake system for vehicles
DE102016113802A1 (de) * 2015-07-28 2017-02-0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Kraftunterstützungssystem mit Spindelmutter, Bremsverstärkungsaktor und Verfahren
DE102015226508A1 (de) 2015-12-22 2017-06-22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system
DE102019205975A1 (de) * 2019-04-25 2020-10-29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 antreibbarer Bremsdruckerzeuger für ein hydraulisches Bremssystem eines Fahrzeuges sowie Fahrzeug, umfassend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druckerze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7265A1 (de) 2022-08-11
DE102021201079A1 (de) 2022-08-11
JP2024503747A (ja) 2024-01-26
EP4288313A1 (de) 2023-12-13
CN116829425A (zh) 2023-09-29
US20230391308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256B2 (en) Hydrostatic actuator and arrangement of a hydrostatic actuator in a motor vehicle
US9003903B2 (en) Linear unit
JP5693572B2 (ja) 電気的にブーストされた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7130624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07923459B (zh) 盘式制动器,尤其是用于商用车辆的盘式制动器
US20070068748A1 (en) Combined service and auxilliary brake apparatus
JP2017505601A (ja) 遊星転動型ねじ山付きスピンドル(pwg)を備えるアクチュエータ
US10919510B2 (en) Integrated hydraulic module of an electrohydraulic servo brake
US10344813B2 (en) Brake actuator and brake apparatus
WO2017169657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10696797B (zh) 用于车辆的制动系统的压力产生设备
US11441620B2 (en) Electric clutch actuator with a one-piece housing
CN111306214A (zh) 离合器装置
KR20230144039A (ko)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
JP2012081799A (ja) 電動倍力装置
CN114954406B (zh) 用于制动系统的压力供应单元
KR20160123412A (ko) 유압 공급장치
CA2980202C (en) Gear system
WO2017199741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13631439A (zh) 用于制动装备的操纵装置
KR10266365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압력 공급 유닛
US20230037330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000074A (ko) 차량용 전동부스터
KR20220005910A (ko) 액압 공급장치
KR20220159136A (ko) 차량용 전동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