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718A -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718A
KR20230143718A KR1020220042691A KR20220042691A KR20230143718A KR 20230143718 A KR20230143718 A KR 20230143718A KR 1020220042691 A KR1020220042691 A KR 1020220042691A KR 20220042691 A KR20220042691 A KR 20220042691A KR 20230143718 A KR20230143718 A KR 2023014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grow
seedlings
pepper
j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병록
Original Assignee
선병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병록 filed Critical 선병록
Priority to KR102022004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718A/ko
Publication of KR2023014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제1포트가 구비된 제1모종판(110)에 고추씨앗을 발아시켜 파종하여 첫번째 본잎이 올라올때까지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 제1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1단계(S110), 제1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2포트가 구비된 제2모종판(120)으로 제1모종을 1차 점핑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 제2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2단계(S120),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130)으로 제2모종을 2차 점핑하고, 첫번째 원순을 적심하여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3단계(S130), 및 제3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4포트가 구비된 제4모종판(140)으로 제3모종을 3차 점핑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두번째 원순이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고, 두번째 원순을 적심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다른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 다분지가 생장된 제4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하여,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METHOD OF CULTIVATING MULTI STEM PEPPER SEEDING BY JUMPING}
본 발명은 상이한 크기를 포트를 구비한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2분지, 4분지, 6분지, 8분지 등의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여 하나의 고추모종을 통해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좋은 고추모종을 키우는 것은 다수확 고추농사의 핵심이고, 고추는 잎이 3개 이상 나기 시작할 때부터 꽃눈이 생기기 시작하고, 꽃눈이 고추가 되며, 육묘가 끝나고 밭에 나갈 시점엔 30개 이상의 꽃눈이 생긴다.
한편, 고추 초기 수량은 육묘에 달려있는데, 고추씨앗을 직접 모종판의 포트에 심는 직파법 또는 고추모의 영양생장에 따라 시기별로 다른 모종판에 임시적으로 옮겨 심는 가식법이 있다.
통상, 하나의 포트에 하나 이상의 고추모종을 심고 건강한 고추모종만을 관리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밭에 옮겨 심어서, 하나의 고추모종으로부터 영양생장한 하나의 고추줄기를 생식생장시켜 꽃눈이 생기도록 하여 고추를 수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나의 고추줄기로부터 고추를 수확하는 경우, 원하는 만큼의 수확량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상이한 크기를 포트를 구비한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2분지, 4분지, 6분지, 8분지 등의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여 하나의 고추모종을 통해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6452호 (식물공장육묘시스템 고추 접수 및 대목의 재배방법)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1085호 (모종컵 지지대를 구비한 식물재배 장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이한 크기를 포트를 구비한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2분지, 4분지, 6분지, 8분지 등의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여 하나의 고추모종을 통해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제1포트가 구비된 제1모종판에 고추씨앗을 발아시켜 파종하여 23일 내지 27일 동안 첫번째 본잎이 올라올 때까지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제1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2포트가 구비된 제2모종판으로 상기 제1모종을 1차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18일 내지 22일 동안 제2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으로 상기 제2모종을 2차 점핑하고, 첫번째 원순을 적심하여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4포트가 구비된 제4모종판으로 상기 제3모종을 3차 점핑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두번째 원순이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고, 두번째 원순을 적심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다른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50일 내지 55일 동안 다분지가 생장된 제4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적심시에, 원순 줄기를 1㎝ 내지 2㎝의 길이를 남겨두고 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으로 상기 제2모종을 2차 점핑한 후, 하나의 줄기에 4개의 곁가지가 다분지로 생장한 원순을 적심하고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적심된 첫번째 원순 또는 두번째 원순을 다른 모종판에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영양생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종판 내지 상기 제4모종판의 저면에 열선을 배치하여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이한 크기를 포트를 구비한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2분지, 4분지, 6분지, 8분지 등의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여 하나의 고추모종을 통해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에 의한 모종판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모종판에서의 다분지 생장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의한 모종판에서의 다분지 생장의 변형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모종판에 의해 다분지 생장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고추대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온실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은, 다수의 제1포트가 구비된 제1모종판(110)에 고추씨앗을 발아시켜 파종하여 23일 내지 27일 동안 첫번째 본잎이 올라올때까지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제1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1단계(S110), 제1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2포트가 구비된 제2모종판(120)으로 제1모종을 1차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18일 내지 22일 동안 제2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2단계(S120),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130)으로 제2모종을 2차 점핑하고, 첫번째 원순을 적심하여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3단계(S130), 및 제3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4포트가 구비된 제4모종판(140)으로 제3모종을 3차 점핑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두번째 원순이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고, 두번째 원순을 적심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다른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50일 내지 55일 동안 다분지가 생장된 제4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하여,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단계(S110)는, 고추씨앗을 발아시키는 단계로서, 도 3의 (a)에서와 같이, 모종이 개별적으로 영양생장하도록 하는 다수의 제1포트가 구비된 제1모종판(110)에 고추씨앗을 발아시켜 파종하여서, 23일 내지 27일 동안 첫번째 본잎이 올라올때까지 25일 전후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제1모종으로 영양생장시킨다.
다음, 제2단계(S120)는 제2모종 생장 단계로서, 도 3의 (b) 및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1모종판(110)으로부터 제1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2포트가 구비된 제2모종판(120)으로 제1모종을 1차 점핑하여서(가식하여서), 25일 전후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18일 내지 22일 동안 제2모종으로 영양생장시킨다.
다음, 제3단계(S130)는 2분지로 자란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단계로서, 도 3의 (c) 및 도 5의 (a,b)에서와 같이,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130)으로 제2모종을 2차 점핑하고, 줄기의 첫번째 원순을 적심하여 한 쌍의 곁가지가 충분히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25일 전후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도 5의 (c)와 같은 제3모종으로 영양생장시킨다.
여기서, 원순의 적심시에, 원순 윗단 줄기를 1㎝ 내지 2㎝의 길이를 남겨두고 자르도록 하여서, 윗단 줄기가 중심을 잡도록 하여 곁가지가 한 쪽으로 치우쳐 치치 않고 영양생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단계(S130)에서,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130)으로 제2모종을 2차 점핑한 후, 하나의 원순 윗단 줄기에 4개의 곁가지가 다분지로 생장한 원순을 적심하고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도록 하여서, 하나의 줄기에 4개의 곁가지가 동시에 영양생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제4단계(S140)는 4분지로 자란 제4모종으로 생장시키는 단계로서, 도 5의 (d)와 같이, 제3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4포트가 구비된 제4모종판(140)으로 제3모종을 3차 점핑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두번째 원순이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고, 두번째 원순을 적심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다른 한 쌍의 곁가지가 각각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50일 이상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50일 내지 55일 동안 다분지, 예컨대 4분지가 생장된 제4모종으로 영양생장시킨다.
여기서, 제4모종을 제4모종판(140)으로부터 고추밭에 옮겨심으면 도 6의 (a)와 같이 2분지 또는 (b)와 같이 4분지 고추로 생식성장시킬 수 있어서, 하나의 고추모종으로부터 고추의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S130) 또는 제4단계(S140)에서, 적심된 첫번째 원순 또는 두번째 원순을 다른 모종판에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영양생장시키도록 하여서, 적심된 원순을 버리지 않고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고추모종으로 영양생장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도 1의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온실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은 계절별 기온차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는 비닐, 보온천 등의 보온재(211)와, 보온재(211)에 의해 커버되는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212)와,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별로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모종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열선(213)과,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으로 물을 분사하는 수분 공급부(214)와, 열선(213)과 수분 공급부(214)를 제어하는 제어부(215)를 포함하는 온실에서 영양생장하도록 하고, 제어부(215)는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의 온도 및 습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서,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키고, 영양생장에 필요한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버리는 고추모종없이 균일하게 생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실에는 조도센서(216)와 LED 조명부(217)를 더 포함하여, 해가 뜨지 않거나 흐린날에 LED 조명부(217)에 의해 제1모종판(110) 내지 제4모종판(140)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서, 납품일정에 차질없이 고추모종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모종판(140)이 배치되는 배치대의 저면에는 캠실린더와, 캠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비대칭 상하회전하는 모종 추출판이 구비되어 캠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모종 추출판이 제4모종판(140)으로부터 다분지 모종을 위로 밀어내어 뿌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손쉽게 분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상토가 채워진 모종판을 예시하였으나, 수경재배가 가능한 수경 모종판이 적용될 수도 있고, 수경모종판은 주차타워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천정에 배치된 조명에 의해 균일하게 빛을 조사받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에 의해서, 상이한 크기를 포트를 구비한 모종판을 점핑하면서 영양생장시켜 다수확이 가능한 2분지, 4분지, 6분지, 8분지 등의 다분지 고추모종을 제공하여 하나의 고추모종을 통해 다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S110 : 고추씨앗 발아 단계 S120 : 제2모종 생장 단계
S130 : 제모종 생장 단계 S140 : 제4모종 생장 단계
110 : 제1모종판 120 : 제2모종판
130 : 제3모종판 140 : 제4모종판
211 : 보온재 212 : 센서
213 : 열선 214 : 수분 공급부
215 : 제어부 216 : 조도센서
217 : LED 조명부

Claims (5)

  1. 다수의 제1포트가 구비된 제1모종판에 고추씨앗을 발아시켜 파종하여 23일 내지 27일 동안 첫번째 본잎이 올라올때까지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제1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2포트가 구비된 제2모종판으로 상기 제1모종을 1차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18일 내지 22일 동안 제2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으로 상기 제2모종을 2차 점핑하고, 첫번째 원순을 적심하여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4포트가 구비된 제4모종판으로 상기 제3모종을 3차 점핑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두번째 원순이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고, 두번째 원순을 적심하고 한 쌍의 곁가지별로 다른 한 쌍의 곁가지가 자랄때까지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50일 내지 55일 동안 다분지가 생장된 제4모종으로 생장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적심시에, 원순 줄기를 1㎝ 내지 2㎝의 길이를 남겨두고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2포트보다 큰 다수의 제3포트가 구비된 제3모종판으로 상기 제2모종을 2차 점핑한 후, 하나의 줄기에 4개의 곁가지가 다분지로 생장한 원순을 적심하고 생장시키기 위해,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25일 내지 30일 동안 제3모종으로 생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적심된 첫번째 원순 또는 두번째 원순을 다른 모종판에 점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고,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켜 영양생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종판 내지 상기 제4모종판의 저면에 열선을 배치하여 낮에는 28℃ 내지 30℃로 유지하고 밤에는 18℃ 내지 20℃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KR1020220042691A 2022-04-06 2022-04-06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KR2023014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91A KR20230143718A (ko) 2022-04-06 2022-04-06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91A KR20230143718A (ko) 2022-04-06 2022-04-06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718A true KR20230143718A (ko) 2023-10-13

Family

ID=8828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91A KR20230143718A (ko) 2022-04-06 2022-04-06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7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085A (ko) 2020-03-02 2021-09-10 유문관 모종컵 지지대를 구비한 식물재배 장치
KR20210156452A (ko) 2020-06-18 2021-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공장육묘시스템 고추 접수 및 대목의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085A (ko) 2020-03-02 2021-09-10 유문관 모종컵 지지대를 구비한 식물재배 장치
KR20210156452A (ko) 2020-06-18 2021-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공장육묘시스템 고추 접수 및 대목의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59458A (ja) マンゴー通年栽培方法
JP4858693B2 (ja) カキ苗の周年生産方法及び苗
CN102487705A (zh) 烤烟地膜方锥形孔移栽方法及其地间栽种后结构
CN104838851A (zh) 一种豌豆芽苗菜的栽培方法
CN110506620A (zh) 一种基于轮作的温室蔬菜岩棉循环使用方法
CN115918464A (zh) 一种冬小麦一年多代育种方法
CN106416798B (zh) 利用草莓繁殖容器的草莓繁殖方法
CN105594438A (zh) 一种杜鹃花育苗方法
CN114128611A (zh) 一种高山杜鹃室内周年播种育苗方法
CN106386036A (zh) 一种盆栽牡丹一年两次开花的方法
CN105265193B (zh) 花椰菜嫁接留种方法
CN107624402A (zh) 一种苹果新品种的培育方法
CA2835468C (en) Container and method for raising a plant
KR101870813B1 (ko) 두상 또는 안개 관수방법을 이용한 하절기 '매향' 딸기 삽목묘의 발근율 및 생육 향상 방법
JP2004187540A (ja) 乳苗育成方法及び乳苗用移植機
CN115486335A (zh) 一种番茄快繁加代方法
KR20230143718A (ko) 고추 점핑 다분지 모종 재배방법
CN105145039A (zh) 冰叶菊种子繁育及阳台盆裁技术
CN104322269B (zh) 野生嘉兰百合鲜切花驯化栽培方法
KR101125080B1 (ko) 무균 씨감자 대량생산 방법
CN111034557B (zh) 一种大麦黄花叶病室内接种用幼苗及接种后幼苗的培养方法
CN109169115B (zh) 特长胡萝卜的种植方法
CN106613689B (zh) 一种滇牡丹快速繁育的方法
CN110432093A (zh) 空心菜快速育苗方法
CN104996113A (zh) 一种雏菊种植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