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047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047A
KR20230143047A KR1020220041858A KR20220041858A KR20230143047A KR 20230143047 A KR20230143047 A KR 20230143047A KR 1020220041858 A KR1020220041858 A KR 1020220041858A KR 20220041858 A KR20220041858 A KR 20220041858A KR 20230143047 A KR20230143047 A KR 2023014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inclination angle
water
dishwash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047A/ko
Publication of KR2023014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0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의 본체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Tub);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는 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댐부는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들은 세척 동작 중에 상기 홈부를 향해 이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터브의 중심부로 되돌려보내도록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된 식기세척기일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터브 하단부에서 발생되는 물넘침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및 그의 본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하부의 비드 형상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하부에서 물 회수시 물 흐름 방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는 식기를 적재하기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11)와, 터브(11)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12), 터브 바닥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3) 등으로 구성되어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10)는 도어(12)를 폐쇄하면 터브(11) 내측 외곽에 패킹 실(PACKING SEAL)과 도어(12)의 하측에 패킹 실이 형성되어 있어, 세척 동작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12)의 하측 모서리부(15)는 실링이 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서, 세척 동작 중에 내부에 남아있는 물과, 세척 로터(rotor)(14)에서 나오는 강한 물살에 따라 터브(11) 하부를 타고 하측 모서리부(15)로 물이 넘어가면서 물넘침 현상에 따른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하측 모서리부(15)의 물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터브(11)의 하단부에 비드 형상을 만들어 물넘침을 방지하거나, 물이 터브(11) 하단부의 비드 형상으로 국부적으로 실링을 강화하고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동작 중에 터브(11)에서 섬프(13)로 집수되는 물과 내부에서 흘러내리는 세척 로터(14)에서 살수되는 강한 물살에 밀려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비드의 높이를 물이 넘어가게 되어 물넘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비드 형상의 뒤쪽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잔수가 있는 경우에 세척 로터(14)의 강한 물살에 의하여 터브(11) 바닥면의 가장자리로 물넘침에 따른 누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넘침 방지를 위해 비드 형상이 적용된 식기 세척기는 누수 방지를 위해 비드 형상의 비드 높이를 더 높이면 되겠지만, 일반적으로 비드 형상은 금형 및 제품 구조상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벽히 물넘침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별도의 부자재를 붙이거나 실(SEAL) 조립시 접어서 누수를 방지하고 있으나, 세척 후 음식물이 끼어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식기 세척기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누수를 방지하거나, 비드의 형상으로는 물넘침 방지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으나, 물넘침 현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지속적으로 누수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터브의 바닥면 일측에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면이 조합된 댐부를 형성함으로써 세척 행정 중 터브 내부에서 회수되는 물이 도어 방향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Tub);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는 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댐부는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들은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댐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각의 모서리부 중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에 인접하게 위치한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면에 위치되고,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1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2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상기 터브의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하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3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경사각도는 제3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또는 상기 제3 경사각도는 제1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 경사각도는 제1 경사각도와 제3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댐부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며, 상기 터브의 중심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기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서브 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서브 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서브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Tub);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Sump)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고,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들은 세척 동작 중에 상기 홈부를 향해 이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터브의 중심부로 되돌려보내도록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터브의 바닥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댐부가 형성되고, 댐부가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조합되어 비선형적인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댐부로 이동되는 물이 회오리 현상으로 원심력을 갖으며 터브 중심부로 되돌아나가게 되고, 기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물이 힘이 크게 작용하여 물의 흐름 속도가 증가하여 섬프로의 물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터브의 사각 지대(모서리부)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한 번 더 쓸어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하부의 비드 형상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하부에서 물 회수시 물 흐름 방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터브 하단부의 각도에 따른 구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절단한 단면 형상을 대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적용하여 터브 내 회수되는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터브 하단부의 각도에 따른 구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절단한 단면 형상을 대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적용하여 터브내 회수되는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100),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Tub)(110),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터브(110)를 개폐하는 도어(120), 터브(11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회수되어 저장되는 섬프(Sump)(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본체(100)는 터브(110)의 내벽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터브(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제1 높이(H1)로 상방 돌출되는 댐부(140)를 포함한다. 댐부(140)는 터브(110)의 내벽 하측에서 터브(110)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경사면은 세척 동작 중에 홈부(150)를 향해 이동하는 세척수를 터브(110)의 중심부로 되돌려보내도록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된다.
댐부(140)의 상방 돌출 높이, 즉 제1 높이(H1)는 도어(120) 하단부의 폭 길이를 초과하지 않거나, 터브(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의 일정한 수직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부(140)는 댐부(140)는 터브(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각의 모서리부 중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된 도어(120)에 인접하게 위치한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부(140) 터브(110)의 모서리가 직각으로 꺾이는 형상인 경우에 대략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111), 터브(110)의 바닥면과 연결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면(113), 상부면(111)과 하부면(113) 사이에 연결되는 경사면들(141, 142, 143)이 서로 조합된 형태이다. 이때, 댐부(140)의 경사면들(141, 142, 143)은 제1 내지 제3 경사면(141, 142, 143)의 조합으로 완만한 라운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2개, 4개, 5개 등 복수개 경사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부면(111)은 도어 방향으로 바라보면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면이거나 약한 하향 경사가 있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113)도 수평면이거나 약한 하향 경사가 있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경사면들(141, 142, 143)은 터브(110)의 모서리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면에 위치되면서 제1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141), 제1 경사면(141)과 연결되면서 터브(110)의 중심부를 향해 제2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142) 및 제2 경사면(142)에서 터브(110)의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하부면에 제3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댐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고, 경사면들(141, 142, 143)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어 하향 경사지는 다단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댐부(140)의 각 경사면(141, 142, 143)은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댐부(140)의 하부면(113)을 기준면으로 할 경우에, 기준면에 수평 방향으로 제1 경사면(141)과 제2 경사면(142)을 연결하는 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1 수평선(L1)을 설정하고, 기준면에 수평 방향으로 제2 경사면(142)과 제3 경사면(143)을 연결하는 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2 수평선(L2)을 설정한다.
이때, 제1 수평선(L1)과 제1 경사면(141) 간의 제1 경사 각도(θ1)는 5°~20°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제2 수평선(L2)과 제2 경사면(142) 간의 제2 경사각도(θ2)는 대략 45°로 형성되며, 기준면과 제3 경사면(143) 간의 제3 경사각도(θ3)는 5°~20°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각도(θ1)는 제3 경사각도(θ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제3 경사각도(θ3)가 제1 경사각도(θ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2 경사각도(θ2)는 제1 경사각도(θ1)와 제3 경사각도(θ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경사각도(θ1)가 제3 경사각도(θ3)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면(111) 측으로 유출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고 터브(110)의 중앙부분으로 회수되는 물의 양이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제3 경사각도(θ3)가 제1 경사각도(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경사면(141)이 제1 경사각도(θ1)를 따라 완곡하게 형성되어 본체의 성형이 수월해지고, 완성도 높은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사각도(θ2)가 제1 경사각도(θ1)와 제3 경사각도(θ3)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회오리 유동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회수되는 물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고,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댐부(170)는 댐부(14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터브(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2 높이(H2, H2<H1)로 상방 돌출되며, 섬프(130) 방향으로 개방되어 기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서브 댐부(170)는 제1 경사면(14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단차부(171), 제2 경사면(1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단차부(172) 및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 사이에 홈부(150)의 오목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서브 홈부(175)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는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갖으며, 터브(110)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는 바닥면이 서브 댐부(170)와 댐부(140)가 기 설정된 높이의 단차를 이루고 있어, 터브 바닥면의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고 섬프(130) 방향으로 물빠짐이 매우 원활해질 수 있다. 즉, 터브(110)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특히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댐부(140)와 서브 댐부(170)의 단차로 인해 물빠짐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부(140)는 경사면들(141, 142, 143)이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조합되어 완만한 라운드 형상의 홈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댐부(140)의 비선형적인 형상, 즉 곡면적인 형상으로 인해 홈부(150)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회오리(화살표 방향 참조) 현상을 형성하면서 터브(110)의 중심부로 흐르게 된다.
즉, 댐부(140)는 제1 경사면(141), 제2 경사면(142), 제3 경사면(143)이 서로 다른 각도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댐부(140)를 향해 이동되는 물이 각 경사면(141, 142, 143)에 의해 터브(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아나가는 비선형적인 특성의 물 흐름(회오리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터브(110) 하단의 취약 부분(홈부(150)가 형성된 부분)에서 물이 댐부(140)의 돌출 높이(H1)를 초과하지 않도록 낮게 형성될 수 있어 도어(120) 방향으로 물넘침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누수도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댐부(140)에서 물이 회오리 현상을 갖으며 회수되기 때문에 회수되는 물의 힘이 강해져서 하부측의 세척 로터(160)에서 살수되는 강력한 물살에 대응할 수 있어, 기존에 터브(110) 하단의 취약 부분인 사각지대에서 물의 힘이 크게 작용하지 않게 되고, 터브(110) 하단면을 타고 넘어가는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에는 터브(110) 하단의 취약부분인 사각지대가 동일한 경사 각도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한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물의 흐름으로 인해 하부측의 세탁 로터(160)에서 살수되는 물의 힘이 사각지대에서 흐르는 물의 힘보다 더 강하여 사각지대로 물이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댐부(140)의 각 경사면의 각도 차이로 인해 물이 회오리 현상으로 원심력을 갖게 되고, 기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여 물의 흐름 속도가 증가하여 섬프(130)로의 물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회수율이 높아지게 되면 섬프(130)의 용량이 크더라도 사용 물량을 줄일 수 있고, 사각 지대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한 번 더 쓸어내릴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식기 세척기
110 : 터브
120 : 도어
130 : 섬프
140 : 댐부
141 : 제1 경사면
142 : 제2 경사면
143 : 제3 경사면
150 : 홈부
160 : 세척 로터
170 : 서브 댐부

Claims (8)

  1. 식기세척기 본체에 있어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Tub);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는 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댐부는 상기 터브의 내벽 하측에서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들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들은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인,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각의 모서리부 중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에 인접하게 위치한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인,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1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2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상기 터브의 바닥면으로 연결되는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중심부를 향해 제3 경사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인,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도는 제3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인,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각도는 제1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인,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각도는 제1 경사각도와 제3 경사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인,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상방 돌출되며, 상기 터브의 중심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기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서브 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서브 홈부를 포함하는 것인, 식기세척기.
KR1020220041858A 2022-04-04 2022-04-04 식기세척기 KR20230143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858A KR20230143047A (ko) 2022-04-04 2022-04-0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858A KR20230143047A (ko) 2022-04-04 2022-04-0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047A true KR20230143047A (ko) 2023-10-11

Family

ID=8829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858A KR20230143047A (ko) 2022-04-04 2022-04-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0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459B1 (ko) 식기세척기용세제첨가장치
KR101054115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100658845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가이드 체결 구조
CN108209801A (zh) 用于洗碗机的密封条和具有其的洗碗机
EP1281345A1 (en) Seal for dishwasher door
KR20230143047A (ko) 식기세척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KR102662674B1 (ko) 식기세척기
KR100567506B1 (ko) 식기 세척기
CN100431469C (zh) 洗碗机门密封件结构
US20040177869A1 (en) Tub lip alignment system for a dishwasher
EP4000491A1 (en) Dishwasher
JP2858373B2 (ja) 食器洗浄機
JP3666351B2 (ja) 食器洗い機
JP2011045452A (ja) 食器洗い機
CN209437187U (zh) 一种洗碗机
KR20060085782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9980082399A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CN208404449U (zh) 一种清洗机中洗碗装置的柜门密封机构
KR100239518B1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KR200215082Y1 (ko) 식기세척기용 도어실패킹구조
CN109938658A (zh) 一种高盖水槽式洗碗机
JP3494164B2 (ja) 食器洗い機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JP3465693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