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035A -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035A
KR20230143035A KR1020220041837A KR20220041837A KR20230143035A KR 20230143035 A KR20230143035 A KR 20230143035A KR 1020220041837 A KR1020220041837 A KR 1020220041837A KR 20220041837 A KR20220041837 A KR 20220041837A KR 20230143035 A KR20230143035 A KR 20230143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trol
surface current
sheet
adherend
contro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991B1 (ko
Inventor
송연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991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접착제가 일측면에 배치되며 피접착물에 선택적으로 접착 및 접착 해제되는 접착성 시트 및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며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SHEET FOR A SURFACE CURRENT CONTR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접착물에 접착되어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군사 산업 분야에서 스텔스(stealth)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의 연구 개발 및 실제 적용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스텔스 기술은 군사적인 전투기에 사용으로 등장하였으나, 최근에는 스텔스 선박과 같이 군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기본적인 스텔스 기술은 상대방의 레이더로부터 감지되지 않는 기술을 지칭한다.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전파하였을 때 반사된 전자기파를 역으로 추적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고, 스텔스 기술은 레이더로부터 전파된 전자기파가 레이더로 돌아가지 못하게 전자기파의 반사율을 낮추거나 흡수하는 기술이다.
한편, 스텔스 기술은 예를 들어 전투기를 기준으로 레이더로부터 전파된 전자기파의 반사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상을 변경하는 방식, 전투기의 표면에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흡수 물질을 도료하는 방식, 전투기의 복합재 영역을 생산할 때 오토 클레이브 공정 시 복합재와 전자기파 흡수 물질을 함께 형성 및 실런트에 전이소재를 첨가하여 경화제와 섞어서 전자기파를 흡수 또는 산란하도록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전투기의 형상을 변경하는 방식은 비용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고, 도료를 사용하는 방식은 전투기의 비행 후 도막이 벗겨짐에 따라 자주 도료로 도막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방식과 실런트 방식의 적용 시 많은 부자재 및 장비를 요구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에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후처리를 통해 발생하는 분진 및 유독가스가 환경오염 및 작업자에게 환경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9/0061938 A1: RADIO FREQUENCY STEALTHY TETHERED AIRCRAF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 소재를 제조 편의성과 함께 피접착물에 접착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개선된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접착제가 일측면에 배치되며 피접착물에 선택적으로 접착 및 접착 해제되는 접착성 시트와,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며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산란 또는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는 잉크와 교반된 후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전자기파의 산란 또는 흡수 조건에 따라 패턴이 선택적으로 프린팅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컷팅 후 피접착물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으로 형성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 상에 코팅과 도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a)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교반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접착제가 배치된 일측면에 대향된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 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프린팅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d) 상기 (c) 단계에서 건조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과 도포 중 어느 하나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 (d) 단계 후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목표 임피던스 값과 비교하여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의 프린팅 패턴에 기초하여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산란 또는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컷팅 후, 피접착물에 접착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접착성 시트에 프린팅 하여 사용함으로써, 부자재 및 장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접착성 시트에 프린팅한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를 제조하여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를 피접착물에 접착 및 제거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접착물의 접착 영역에 대응하여 컷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로 정의된 전투기 이외에도 선박 등과 같이 레이더를 감지를 피하기 위한 다양한 이동 수단에 접착되어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또는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에 관한 동일한 구성 명칭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음도 미리 밝혀둔다.
<제 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는 접착성 시트(10) 및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포함한다.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는 피접착물(A)에 접착되어 선택적으로 전자기파를 산란 또는 흡수하여 피접착물(A)을 저피탐화 한다. 여기서, 저피탐이란 레이더 반사면적(RCS)를 매우 작게 하여 일반 레이더로 탐지하기 어렵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접착성 시트(10)는 시트(12)와 접착제(14)를 포함한다. 시트(12)는 일측면에 접착제(14)가 배치되고 타측면에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가 배치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시트(12)는 피접착물(A)에 접착되는 영역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커팅되어 사용된다.
접착제(14)는 시트(12)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시트(12)와 피접착물(A)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한다. 접착제(14)는 시트(12)의 일측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고, 테이프로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는 피접착물(A)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 물질로 마련된다.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는 잉크와 교반되어 시트(12)의 타측면에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는 전자기파의 산란 또는 흡수 조건에 따라 패턴이 선택적으로 프린팅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접착물(A)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잉크를 교반한다(S10). S10 단계에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잉크는 교반기(S)에서 교반된다. 교반기(S)에서 교반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잉크를 접착제(14)가 배치되지 않은 접착성 시트(10)의 일측면에 프린팅 한다(S30). S30 단계는 교반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잉크를 프린터(P)에 주입한 후 접착성 시트(10)에 프린팅 한다.
접착성 시트(10)에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프린팅한 후 건조기(D)에서 프린팅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건조한다(S50). S50 단계 후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목표 임피던스 값과 일치하는 지 확인한다(S70).
<제 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는 접착성 시트(10),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 및 보호층(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성 시트(10) 및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의 접착성 시트(10) 및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층(5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프린팅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보호한다. 보호층(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 상에 코팅 도장기(CP)를 이용하여 코팅과 도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보호층(50)은 프라이머(52)와 탑 코트(54)를 포함한다. 프라이머(52)는 프링팅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보호하고, 탑 코트(54)는 프라이머(52) 상에 형성되어 이중으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보호함과 함께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가 접착될 피접착물의 색상을 고려하여 대응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보호층(50)이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보호하여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프린팅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의 박리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1)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접착물(A)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와 잉크를 교반기(S)에서 교반한다(S110). S110 단계는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가 프린터(P)에 의해 프린팅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교반기(S)에서 잉크와 교반된다. 잉크와 교반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접착성 시트(10)의 일측면에 프린팅 한다(S130). S130 단계에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는 접착제(14)가 배치되지 않은 접착성 시트(10)의 일측면에 프린팅 된다.
접착성 시트(10)에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프린팅한 후 건조기(D)에서 프린팅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를 건조한다(S150). S150 단계 후 건조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박리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팅 도장기(CP)를 이용하여 보호층(50)을 형성한다(S17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S170 단계에서 형성된 보호층은 프라이머(52)와 탑 코트(54)로 형성된다.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30)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목표 임피던스 값과 일치하는 지 확인한다(S190).
이에,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접착성 시트에 프린팅 하여 사용함으로써, 부자재 및 장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접착성 시트에 프린팅한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를 제조하여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를 피접착물에 접착 및 제거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접착물의 접착 영역에 대응하여 컷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10: 접착성 시트
14: 접착제 30: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
50: 보호층

Claims (9)

  1.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접착제가 일측면에 배치되며, 피접착물에 선택적으로 접착 및 접착 해제되는 접착성 시트와;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며,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는 잉크와 교반된 후,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전자기파의 산란 또는 흡수 조건에 따라 패턴이 선택적으로 프린팅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컷팅 후,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으로 형성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 상에 코팅과 도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5. (a)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산란 및 흡수하는 전도성의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교반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접착제가 배치된 일측면에 대향된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프린팅 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접착성 시트의 타측면에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프린팅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건조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과 도포 중 어느 하나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e) (d) 단계 후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목표 임피던스 값과 비교하여,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교반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소재와 잉크의 프린팅 패턴에 기초하여, 피접착물로 전파된 전자기파를 산란 또는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는 피접착물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컷팅 후,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220041837A 2022-04-04 2022-04-04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837A KR102626991B1 (ko) 2022-04-04 2022-04-04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837A KR102626991B1 (ko) 2022-04-04 2022-04-04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035A true KR20230143035A (ko) 2023-10-11
KR102626991B1 KR102626991B1 (ko) 2024-01-23

Family

ID=8829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837A KR102626991B1 (ko) 2022-04-04 2022-04-04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240A (ko) * 2004-09-29 2007-08-27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흡수체
KR20170040775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성시트, 이를 포함하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240A (ko) * 2004-09-29 2007-08-27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흡수체
KR20170040775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성시트, 이를 포함하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9/0061938 A1: RADIO FREQUENCY STEALTHY TETHERED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991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83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US4886704A (en) Strippable coating film and coating method using same
EP2635429B1 (en) Quick composite repair template tool and method
TWI568585B (zh) 表面保護膜及貼合有該表面保護膜之光學零件
KR102626991B1 (ko) 표면 전류 제어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22232B (zh) 錐型複合金屬複合材料及其製作方法
KR102196833B1 (ko) 전자파 차폐 시트, 및 전자파 차폐성 배선 회로 기판
US11572480B2 (en) Surface reactivation treatment
KR102037109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US7647809B1 (en) Approach for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 mechanical impact on a material, such as a low-ductility composite material
KR20040055599A (ko)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JP2021082896A (ja) 電磁波周波数選択透過材及び車両用部品
CN109807037B (zh) 一种用于光学屏蔽窗口外露电极的保护方法
KR101434656B1 (ko) 풍력 발전 장치
CN108822752A (zh) 一种吸波材料的柔性贴片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201425843Y (zh) 一种新型宽频多层吸收体
JP2008229911A (ja) 電子情報記録素子付き可逆性感熱記録媒体
KR20110037988A (ko) 수분 감지 라벨
CN110160893A (zh) 一种水性油漆表面质量检测方法
EP3785888B1 (en) Co-curable film layer application
US11559957B2 (en) Reactivation of co-cured film layers
KR20240034429A (ko) 항공기용 투명체 조립체 및 이의 잔류 전하 및/또는 전자기파 배출 방법
CN111500205A (zh) 一种易于撕离的胶带装置及其制备方法
CN107603496A (zh) 一种紫外光固化胶及其制造方法
CN117715756A (zh) 涂膜及涂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