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458A -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 Google Patents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458A
KR20230142458A KR1020237023231A KR20237023231A KR20230142458A KR 20230142458 A KR20230142458 A KR 20230142458A KR 1020237023231 A KR1020237023231 A KR 1020237023231A KR 20237023231 A KR20237023231 A KR 20237023231A KR 20230142458 A KR20230142458 A KR 2023014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val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쿠미 요시미네
슌스케 미야우치
šœ스케 미야우치
다쿠야 곤도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14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5889B2/en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4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데이터 유지부와, 작업 종별 판정부와, 데이터 간격 변경부와, 출력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유지부는,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작업 종별 판정부는,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출력부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includes a data holding unit, a job type determination unit, a data interval changing unit, and an output unit. The data holding unit holds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on the packaging using the work devic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The output unit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Description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기억 매체, 및 궤적 정보 출력 방법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본 발명은,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기억 매체, 및 궤적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a storage medium, and a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최근, 재배 관리의 분석에 포장에 있어서의 작업에 관한 정보로서,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차량이 이동한 궤적이 기록되어 있다.Recently, in the analysis of cultivation management, the movement trajectories of work vehicles performing work on the field have been recorded as information on field work.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91353호) 에는,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를 이용하여, 작업 차량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측정한 측위 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작업 차량의 위치에 있어서 측위 정보를 샘플링함으로써, 기록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한다.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9-91353) discloses a system that records positioning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position of a work vehicle at each time using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is system reduces the amount of data to be recorded by sampling positioning information at the location of the work vehicl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91353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91353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시스템은, 예를 들면 포장에 있어서,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이 일정하게 설정된다. 그러나, 발명자들은, 포장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이 실시되고, 작업의 종류나 작업 차량의 차이에 의해, 작업 차량의 궤적을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이 상이한 것을 알아내었다.In the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n packaging, the data interval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is set to be constant. However, the inventors found that various types of work are performed in paving, and that the data interval of the position information required to confirm the trajectory of the work vehicl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or work vehicle.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본 개시는, 작업 차량의 측위 정보에 대해, 데이터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데이터 간격으로 작업 차량의 궤적을 출력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다른 목적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재 및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on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that outputs the trajectory of a work vehicle at an appropriate data interval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for the positioning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Other purposes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데이터 유지부와, 작업 종별 판정부와, 데이터 간격 변경부와, 출력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유지부는,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작업 종별 판정부는,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출력부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ata holding unit, a job type determination unit, a data interval changing unit, and an output unit. The data holding unit holds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on the packaging using the work devic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The output unit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데이터 유지부와, 데이터 간격 변경부와, 출력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유지부는,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출력부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ata holding unit, a data interval changing unit, and an output unit. The data holding unit holds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The output unit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maintain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determine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on the pavement using the work device.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and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generat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기억 매체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은,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킨다.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tores a locus information output program.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instructs the computing device to maintain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In addition,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work device, and executes the operation unit to generat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 order it.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maintaining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a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includes determining the work type of work performed on the pavement using a work device. Additionally,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Additionally,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includes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은,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maintaining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a working device used for packaging work. Additionally,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Additionally,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includes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상기 형태에 의하면, 작업 차량의 측위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데이터 간격으로 작업 차량의 궤적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by changing the data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positioning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the trajectory of the work vehicle can be output at an appropriate data interval.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이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설정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이 실행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설정 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표시되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설정 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표시되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image displayed by a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work data in one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isplay setting data in on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functional blocks executed by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system in one embodiment.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processing b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in one embodiment.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processing b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in on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ocessing for changing the data interval of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displayed when changing display setting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displayed when changing display setting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실시형태 1) (Embodiment 1)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와, 단말 (200) 을 구비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네트워크 (20),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단말 (200) 과, 작업 차량 (30) 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includes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and a terminal 200.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and the work vehicle 30 via the network 20, for example, the Internet.

작업 차량 (30) 은, 포장 내를 이동함으로써 작업을 실시한다. 작업 차량 (30) 은, 측위 장치, 예를 들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의 수신기를 구비하고, 이동한 각 시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정보를 취득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 포장에서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영역, 작업 종별,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내는 작업 데이터를 산출하여 격납한다. 가동 정보는,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작업 차량 (30) 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작업 차량 (30) 의 속도, 조타각, 엔진 회전수, 각종 클러치의 ON/OFF 상황, 작업 차량 (30) 의 각 시각의 위치 정보, 작업 기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 차량 (30) 이 작업 기계를 견인하는 차량, 예를 들어, 트랙터일 때, 가동 정보에는, 작업 기계에 동력을 전달할 때의 PTO (power take-off) 회전수, 작업 기계의 자세를 나타내는 히치 높이나 리프트 아암 각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The work vehicle 30 performs work by moving within the pavement. The work vehicle 30 is equipped with a positioning device, for example,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 and acquires positio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movement.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pavement from the work vehicle 30 and, based on the acquire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work area, work typ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etc. Work data is calculated and sto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work vehicle 30 when working on the pavement,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work vehicle 30, steering angle, engine speed, and ON of various clutches. /OFF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at each time, work period, etc. Work vehicle 30 When the vehicle towing the work machine, for example, is a tractor,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TO (power take-off) rotation speed when transmitting power to the work machine, and the hitch indicating the posture of the work machine. Information such as height or lift arm angle may be included.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단말 (200) 로부터 요구에 따라, 단말 (200) 에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 데이터에는, 작업 차량 (30) 의 궤적을 나타내는 표시용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단말 (200) 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때, 기록용 위치 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작업 종별에 따라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 (200)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간격이 변경된 표시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포장 영역 (400) 과,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outputs display data for displaying a display image on the terminal 20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200 . The display data includ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jectory of the work vehicle 30. When outputting display data to the terminal 200,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data interval chang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job type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 , the terminal 200 generates a display image showing the pavement area 400 and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on the map based 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data interval changed. Display.

이와 같이,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로부터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필요한 정밀도로 나타내면서,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와 단말 (200) 사이의 통신 부하나, 단말 (200) 이 표시 화상을 표시할 때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포장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임의의 작업 장치, 예를 들어 비행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드론의 궤적 (410) 을 표시해도 된다.In this wa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can generat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data interval changed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As a result,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displays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with necessary precision, while reducing the communication load between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200. The processing load when displaying a display image can be reduced. Additionall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may display the trajectory 410 of any work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the pavement, for example, a drone that flies and performs work.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 (Configuration of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에 포함되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구성을 설명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력 장치 (110) 와, 연산 장치 (120) 와, 통신 장치 (130) 와, 기억 장치 (140) 를 구비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는, 예를 들면, 컴퓨터이다. 입출력 장치 (110) 에는, 연산 장치 (120) 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 입출력 장치 (110) 는, 연산 장치 (120) 가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입출력 장치 (110) 는, 여러 가지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110) 는 생략되어도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included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includes an input/output device 110, an arithmetic device 120, a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a storage device 140.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is, for example, a computer. Information for the arithmetic unit 120 to execute processing is input to the input/output device 110. Additionally, the input/output device 110 outputs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arithmetic device 120. The input/output device 110 includes various input devices and output devices, for example, a keyboard, mouse, microphone, display, speaker, touch panel, etc. The input/output device 110 may be omitted.

통신 장치 (130) 는, 네트워크 (2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각각의 장치와의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 장치 (130) 는,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 취득하는 가동 정보를 연산 장치 (120) 에 전송한다. 또, 연산 장치 (120) 가 생성한 신호를 단말 (200) 에 전송한다. 통신 장치 (130) 는, 예를 들어, NIC (Network Interface Card), 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의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20 and communicates with each device through the network 20. The communication device 130 transmits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ork vehicle 30 to the arithmetic device 120 . Additionall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mputing device 12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device 130 includes various interfaces, such as, for example, NIC (Network Interface Card) and USB (Universal Serial Bus).

기억 장치 (140) 는, 작업 차량 (30) 의 궤도를 지도 상에 나타낸 표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면 작업 데이터 (300) 와,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와,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격납한다. 기억 장치 (140) 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 (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 로서 사용된다.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 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 으로서 제공되어도 되고,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The storage device 140 stores various data for generating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work vehicle 30 on a map, such as work data 300,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Contains (320). The storage device 140 is used as a 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 to store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 or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downloadable from a server.

작업 데이터 (300) 는, 포장의 작업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어,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의 가동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작업 데이터 (30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ID (301) 와, 작업 기간을 나타내는 작업 기간 정보 (302) 와, 작업 종별을 나타내는 작업 종별 정보 (303) 와,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를 포함한다. 작업 ID (301) 와, 작업 기간 정보 (302) 와, 작업 종별 정보 (303) 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서로 관련지어서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되어 있다. 작업 ID (301) 는, 포장에서 실시된 각 작업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식별자를 나타내고, 작업마다 상이한 값이 할당된다.The work data 300 includes data related to paving work, for example, data calculated from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 vehicle 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job data 300 includes a job ID 301, job period information 302 indicating the job period, job type information 303 indicating the job type, and job 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304 for recording of the vehicle 30. The job ID 301, job period information 302, job type information 303, and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304 are registered in job data 300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 job ID 301 represents an identifier used to distinguish each job performed in packaging, and a different value is assigned to each job.

작업 기간 정보 (302) 는, 포장의 작업을 개시한 시각과 종료한 시각을 나타낸다. 작업 기간 정보 (302) 는, 예를 들어, 작업 차량 (30) 이 포장에 들어간 시각과, 포장으로부터 나온 시각을 나타낸다. 또, 작업 기간 정보 (302) 는, 작업 차량 (30) 이 기동, 예를 들어, 엔진이 시동하는 시각과, 작업 차량 (30) 이 정지, 예를 들어, 엔진이 정지하는 시각을 나타내도 된다. 작업 기간 정보 (302) 는, 포장의 작업이 실시된 기간을 나타내는 임의의 형식을 선택해도 된다.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indicates the time when the packaging work started and ended.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indicates, for example, the time the work vehicle 30 entered the pavement and the time it exited the pavement. Additionally,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may indicate the time when the work vehicle 30 starts, for example, the engine starts, and the time when the work vehicle 30 stops, for example, the engine stops. .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may select any format indicat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packaging work was performed.

작업 종별 정보 (303) 는,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종류, 예를 들어, 경기, 정지, 시비, 식부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 의 작업 데이터 (300) 의 작업 종별 정보 (303) 는, 작업 ID (301) 가「OP01」로 나타낸 작업이「경기」인 것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작업 데이터 (300) 는, 「OP01」에 나타낸 작업 기간 정보 (302) 가 나타내는 기간에 「경기」가 실시된 것을 나타낸다. 작업 데이터 (300) 는, 동일하게 「OP02」에 나타낸 작업 기간 정보 (302) 가 나타내는 기간에 「제초」가 실시된 것을 나타낸다.Work type information 303 indicates the type of work performed in the field, for example, planting, planting, fertilizing, planting, etc. For example, the job type information 303 of the job data 300 in FIG. 3 indicates that the job indicated by the job ID 301 as “OP01” is “game.” For this reason, the work data 300 indicates that the “gam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indicated by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indicated in “OP01.” The work data 300 indicates that “weeding” wa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indicated by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which is similarly indicated in “OP02.”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작업 기간 정보 (302) 가 나타내는 기간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 (30) 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작업 차량 (30) 에서 측정된 측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측위 정보의 일부의 정보를 삭제하여 산출되어도 된다.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work vehicle 30 at each time during the period indicated by the work period information 302. For example,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represents position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ork vehicle 30. Additionally,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may be calculated by deleting part of the positioning information.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종별에 관련지어진 표시용 위치 정보의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작업 종별이 「경기」일 때, 표시용 위치 정보는 10 초 간격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 (30) 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도 3 에 나타내는 「OP01」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10 초 간격으로 변환되어, 표시용 위치 정보로서 단말 (200) 로 송신된다. 단말 (200) 은, 수신한 표시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의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거리로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용 데이터 간격이 1 m 일 때,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는, 1 m 간격으로 변환되어, 단말 (200) 에 송신된다.As shown in FIG. 4, display setting data 310 represents the display data interval of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job type.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when the work type is "competiti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work vehicle 30 at each time at 10-second intervals. For this reaso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of the work vehicle 30 in “OP01” shown in FIG. 3 is converted at 10-second intervals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a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200 displays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based on the received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display data interval of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may be expressed as a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1 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of the work vehicle 30 is converted to an interval of 1 m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작업 데이터 (300) 와,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는, 연산 장치 (120) 에 판독 출력되어,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지도 상에 나타낸 표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처리에 사용된다. 연산 장치 (120) 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기억 장치 (140) 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실행한다. 예를 들어, 연산 장치 (120) 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한다.The work data 300 and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re read and output to the arithmetic unit 120 and subjected to various data processing to generate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on a map. It is used. The arithmetic unit 120 reads and outputs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from the storage unit 140 and executes it. For example, the computing unit 12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etc.

연산 장치 (120) 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유지부 (150) 와, 작업 종별 판정부 (160) 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와 출력부 (180) 를 실현한다. 데이터 유지부 (150) 는, 작업 데이터 (300) 와,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를 유지한다.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의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30) 에 의해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작업 데이터 (300) 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30) 의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여,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출력부 (180) 는, 단말 (200) 의 표시부 (250) 에 표시용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arithmetic unit 120 reads and outputs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and executes it, as shown in FIG. 5 , to form a data holding unit 150, a job type determination unit 160, and a data interval change unit ( 170) and the output unit 180 are implemented. The data holding unit 150 holds work data 300 and display setting data 310.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work vehicle 30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 vehicle 30 .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of the work vehicle 30 based on the work data 300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80 transmits display data includ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50 of the terminal 200.

다음으로, 단말 (20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말 (20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력 장치 (210) 와, 연산 장치 (220) 와, 통신 장치 (230) 와, 기억 장치 (240) 를 구비한다. 단말 (200) 은, 예를 들어, 컴퓨터, 태블릿, 휴대 전화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210) 에는, 연산 장치 (220) 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 입출력 장치 (210) 는, 연산 장치 (220) 가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입출력 장치 (210) 는, 여러 가지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 the terminal 200 includes an input/output device 210, an arithmetic device 220, a communication device 230, and a storage device 240. The terminal 200 includes, for example, a computer, tablet, mobile phone, etc. Information for the arithmetic unit 220 to execute processing is input to the input/output device 210. Additionally, the input/output device 210 outputs the results of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arithmetic device 220. The input/output device 210 includes various input devices and output devices, and includes, for example, a keyboard, mouse, microphone, display, speaker, touch panel, etc.

통신 장치 (230) 는, 네트워크 (2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네트워크 (20) 를 통하여 각각의 장치와의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 장치 (230) 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로부터 취득하는 표시 데이터를 연산 장치 (220) 에 전송한다. 또한, 연산 장치 (220) 가 생성한 신호를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에 전송한다. 통신 장치 (230) 는, 예를 들어, NIC (Network Interface Card), 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의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20 and communicates with each device through the network 20.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transmits display data acquired from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to the arithmetic device 220 . Additionall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mputing device 220 is transmitted to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includes various interfaces, such as, for example, NIC (Network Interface Card) and USB (Universal Serial Bus).

기억 장치 (240) 는,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면 표시 프로그램 (330) 을 격납한다. 기억 장치 (240) 는, 표시 프로그램 (330) 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 (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 로서 사용된다. 표시 프로그램 (330) 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 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 으로서 제공되어도 되고,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표시 프로그램 (330) 은, 기억 매체 (1) 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된다.The memory device 240 stores various data, such as a display program 330, for displaying a display image represent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on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 The storage device 240 is used as a 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 to store the display program 330. The display program 330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 or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can be downloaded from a server. The display program 330 may be provided by being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1.

연산 장치 (220) 는 표시 프로그램 (330) 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력 장치 (210) 와 협동하여,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250) 를 실현한다. 표시부 (250) 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취득하고,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The arithmetic unit 220 reads and outputs the display program 330 and executes it, thereby displaying a display image represent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in cooperation with the input/output device 210, as shown in FIG. 5 . A display unit 250 that does this is realized. The display unit 250 acquires display data from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and displays a display image.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의 동작) (Operation of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도 1 에 나타내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연산 장치 (120) 는,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 가동 정보를 수신하면,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실행하고,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의 일부인 도 6 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110 에 있어서, 연산 장치 (120) 에 의해 실현되는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의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종별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기계 학습에 의해 얻어진 학습이 끝난 모델을 사용하여, 작업 종별을 추정한다. 이 경우, 학습이 끝난 모델은, 가동 정보로부터 작업 종별 (340) 을 판정하도록 학습되어 있다. 또한,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종별을, 작업 차량 (30) 의 기종에 기초하여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 장치 (140) 는, 작업 차량 (30) 의 기종과, 작업 종별 (340) 로 나타내는 작업을 관련짓는 작업 대응 데이터를 격납한다.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대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 종별을 판정한다.When the calculation unit 120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shown in FIG. 1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 vehicle 30, it executes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which is part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in FIG. 6. The processing shown in starts. In step S110,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realized by the arithmetic device 120 determines the work typ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 vehicle 30. For example, the job type determination unit 160 estimates the job type using a trained model obtained through machine learning. In this case, the learned model is trained to determine the job type 340 from operation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may calculate the work type based on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In this case, the storage device 140 stores job corresponding data linking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and the job indicated by the job type 340. The job type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job type based on job correspondence data.

스텝 S120 에 있어서,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판정한 작업 종별을 작업 종별 정보 (303) 로서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 유지부 (150) 는, 작업 차량 (30) 의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이 실시된 작업 기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작업 기간을 작업 기간 정보 (302) 로서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 유지부 (150) 는, 가동 정보로부터 작업 차량 (30) 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로서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한다.In step S120, the job type determination unit 160 registers the determined job type as job type information 303 in the job data 300. Additionally, the data holding unit 150 calculates the work period during which work was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and registers the calculated work period in the work data 300 as work period information 302. do. Additionally, the data holding unit 150 extra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in the work data 300 as positional information 304 for recording.

이와 같이, 데이터 유지부 (150) 와,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차량 (30) 의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정보를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한다.In this way, the data holding unit 150 and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register each information in the work data 300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다음에, 도 1 에 나타내는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 (200) 의 연산 장치 (220) 는,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표시 프로그램 (330) 을 실행하여, 궤적 정보 출력 방법의 일부인 도 7 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210 에 있어서, 연산 장치 (220) 로 실현되는 표시부 (250) 는,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산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연산 장치 (120) 에 송신한다.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연산 장치 (120) 는,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 (320) 을 실행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요구 신호에는, 작업 데이터 (300) 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표시 화상에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Next, an operation for displaying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on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hen an operation to display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is input to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the arithmetic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generates a display program 330. is executed to start the process shown in Fig. 7, which is part of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In step S210, the display unit 250 realized by the arithmetic unit 220 sends a request signal requesting display data for calculat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to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It is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120. 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the arithmetic unit 120 of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executes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program 320 and execute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7 . Additionally, the request signal includes a signal indicating extraction information for extracting information shown in the display image from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job data 300.

스텝 S220 에 있어서,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연산 장치 (120) 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여,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데이터 (300) 로부터 표시 화상에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의 작업 종별 정보 (303) 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를 취득한다. 예컨대,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작업 ID (301) 가 「OP01」과 「OP02」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In step S220,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realized by the arithmetic unit 120 of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changes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o change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Create. Specifically,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extracts information shown in the display image from the job data 300 based on the request signal, and provides job type information 303 and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of the extracted information. ) acquire.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job IDs 301 for “OP01” and “OP02”.

다음으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기초하여, 추출된 작업 종별 정보 (303) 에 따라 표시용 위치 정보의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한다. 예컨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3 에 나타내는 「OP01」의 작업 종별 정보 (303) 를 취득한다. 이어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4 에 나타내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로부터, 취득한 작업 종별 정보 (303) 인 「경기」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추출하여 결정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OP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OP02」의 작업 종별 정보 (303) 인 「제초」에 대응하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추출하여 결정한다.Next,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of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the extracted job type information 303.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acquires the job type information 303 of “OP01” shown in FIG. 3. Next,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extracts and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corresponding to “game”, which is the acquired job type information 303, from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shown in FIG. 4 . Additionally, similarly to “OP02” shown in FIG. 3 ,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extracts and determines the display data interval corresponding to “weeding” which is the job type information 303 of “OP02.”

다음으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추출된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작업 종별 정보 (303) 에 따라 취득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 변경하여,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추출된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데이터 간격이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 되도록 일부를 제외하고,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기」에 대한 데이터 간격이 「10 초」일 때,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3 에 나타내는 「OP01」에 있어서,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정보로부터, 데이터 간격이 10 초가 되도록, 일부의 정보를 삭제하고,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Next,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data interval of the extracted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acquired according to the job type information 303,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do.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excluding some of the extracted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so that the data interval becomes the display data interval. For example, when the data interval for "game" is "10 seconds" as shown in FIG. 4,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 "OP01" shown in FIG. 3. ) From the information, some information is deleted so that the data interval is 10 seconds, and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 is generated.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포함되지 않을 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가장 가까운 위치 정보를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 초 간격의 데이터 간격을 갖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로부터, 10 초 간격의 데이터 간격을 갖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최초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0」초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를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시킨다. 다음으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2 번째의 표시용 위치 정보가 되는 「10」초에 가장 가까운 「7」초의 위치 정보를,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시킨다. 동일하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20」초에 가장 가까운 「21」초의 위치 정보가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된다.Additionally,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changes the display data interval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when at least one piece of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not included i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he location information closes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10 seconds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with a data interval of 7 seconds. It is done by creating. In this cas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includes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for example, the position information at "0" second, i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Next,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7” seconds closest to “10” seconds, which is the second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among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as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 it. Similarly, among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he position information of “21” seconds, which is closest to “20” seconds, is included i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포함되지 않을 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기초하여,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보간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포함되지 않을 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인접하는 2 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가, 7 초 간격의 데이터 간격을 갖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로부터, 10 초 간격의 데이터 간격을 갖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2 번째의 표시용 위치 정보가 되는 「10」초에 인접하는 「7」초의 위치 정보와, 「14」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10」초의 위치 정보를 선형 보간에 의해 산출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산출한 위치 정보를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Additionally,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when at least one piece of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not included i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ased o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display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interval may be interpolated.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piece of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not included i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selects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304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calculated using two pieces of position information adjacent to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interv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10 seconds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with a data interval of 7 seconds. It is done by creating. In this cas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7” seconds adjacent to “10” seconds, which is the second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among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and the position of “14” seconds. Based on th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10” seconds is calculated by linear interpolation.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로부터 복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보간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중, 복수의 위치 정보를 사용한 근사 곡선을 산출한다. 산출된 근사 곡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과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산출한 위치 정보를 표시용 위치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Additionally,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may use a plurality of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o interpolat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alculates an approximate curve using a plurality of position information among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Using the calculated approximate curv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alcul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도 7 에 나타내는 스텝 S230 에 있어서, 출력부 (180) 는, 생성된 표시용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 표시 데이터를 단말 (200) 의 표시부 (250) 에 출력한다.In step S230 shown in FIG. 7 , the output unit 180 outputs display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50 of the terminal 200.

스텝 S240 에 있어서, 단말 (200) 의 표시부 (250) 는, 출력부 (180) 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 (250) 는, 표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표시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산출한다. 표시부 (250) 는, 산출한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In step S240, the display unit 250 of the terminal 200 generates a display image based on the display data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8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50 calculates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based 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splay data. The display unit 250 generates a display image representing the calculated trajectory 410 and displays the display image on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이와 같이,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작업 차량 (30) 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작업 종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 (200) 은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나타내는 표시 화상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can change the data interval of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30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ccordingly, the terminal 200 can easily output a display image show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실시형태 2)(Embodiment 2)

도 5 에 나타내는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사용자, 예를 들면 포장의 소유자, 작업자 등이 작업 종별에 따른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입력함으로써,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를 갱신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출력 장치 (210) 에 각 작업 종별의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입력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단말 (200) 의 표시부 (250) 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데이터 유지부 (150) 에, 입력된 작업 종별의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데이터 유지부 (150) 는, 수신한 정보로부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추출하고, 추출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를 갱신한다.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shown in FIG. 5 allows a user, such as a packaging owner, worker, etc., to input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into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shown in FIG. 1. By doing so,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may be updated. Specifically, when the display data interval for each job type is input into the input/output device 210, the display unit 250 of the terminal 200 shown in FIG. 5 displays the data holding unit 150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play data interval of the input job type is transmitted. The data holding unit 150 extracts the display data interval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updates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shown in FIG. 4 with the extracted display data interval.

예를 들어, 표시부 (250) 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을 표시한다.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은, 변경 종별 설정란 (510) 과,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과, 설정 버튼 (530) 과, 캔슬 버튼 (540) 을 포함한다.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은,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에 입력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하여 유효 또는 무효의 설정을 나타낸다.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이 선택되면,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에 입력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이 유효하게 설정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50 displays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as shown in FIG. 9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includes a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a data interval setting field 520, a setting button 530, and a cancel button 540. The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indicates a valid or invalid setting for the display data interval entered in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When the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is selected, the display data interval entered into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is set valid.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에는, 각 작업 종별에 대응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이 입력된다.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은, 작업 종별마다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은, 작업 종별이 「경기」일 때의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과, 작업 종별이 「파종」일 때의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과, 작업 종별이 「제초」일 때의 데이터 간격 설정란 (520) 을 포함한다.In the data interval setting field 520, the display data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job type is input. The data interval setting column 520 is formed for each job type.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includes a data interval setting field 520 when the work type is “game”, a data interval setting field 520 when the work type is “seeding”, and a data interval setting field 520 when the work type is “seeding”. Includes the data interval setting column 520 for “weeding”.

설정 버튼 (530) 이 선택되면, 표시부 (250) 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에 입력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반영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표시부 (250) 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에 입력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데이터 유지부 (150) 에 송신한다. 또한, 표시부 (250) 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의 표시를 종료한다.When the setting button 530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250 starts processing to reflect the display data interval input into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250 shown in FIG. 5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play data interval input to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to the data holding unit 150 of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250 ends displaying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캔슬 버튼 (540) 이 선택되면, 표시부 (250) 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에 입력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반영하지 않고,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의 표시를 종료한다.When the cancel button 540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250 does not reflect the display data interval entered into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displays the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500. Terminate.

이와 같이,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사용자가 입력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작업 차량 (30) 의 궤적 (410) 을 산출하기 위한 표시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해도 된다.In this wa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may change the data interval of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trajectory 410 of the work vehicle 30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nput by the user.

(변형예) (variation example)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은 일례로서,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작업 차량 (30) 의 기종, 예를 들어 트랙터, 콤바인, 이식기 등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포장에서 실시되는 작업은, 작업 차량 (30) 의 기종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작업 차량 (30) 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0) 은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와 단말 (200) 사이의 통신 부하나, 단말 (200) 이 표시 화상을 표시할 때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 (30) 의 기종은, 데이터 유지부 (150) 에 의해, 작업 차량 (30) 으로부터 취득하는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되어도 되고, 사용자가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입력함으로써 데이터 유지부 (150) 에 등록되어도 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chang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function. For example, the display data interval may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30, such as a tractor, combine, transplanter, etc. Work performed on pavement ofte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30. For this reason, by changing the display data interval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1000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load between the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or the terminal 200. The processing load when displaying this display image can be reduced. Additionally,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may be determined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ork vehicle 30 by the data holding unit 150, and the user may enter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It may be registered in the data holding unit 150 by inputting it.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복수의 조건에서 선택된 하나의 조건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200) 의 표시부 (250) 는, 작업 차량 (30) 의 기종과, 작업 종별로부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는 조건을 선택하는 데이터 간격 설정 화면 (500) 을 표시해도 된다. 사용자는,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는 조건을 복수의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에서 선택한다. 표시부 (250) 는, 선택된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 5 에 나타내는 궤적 정보 출력 장치 (100) 의 데이터 유지부 (150) 에 송신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도 7 에 나타내는 스텝 S220 에 있어서, 데이터 유지부 (150) 에서 선택된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을 취득하고, 취득한 변경 종별 설정란 (510) 에 따른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작업 차량 (30) 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isplay data interv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one conditio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ondi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unit 250 of the terminal 200 displays a data interval setting screen ( 500) may be displayed. The user selects the conditions for changing the display data interval from the plurality of change type setting fields 510. The display unit 25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lected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to the data holding unit 150 of the locus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shown in FIG. 5 . In step S220 shown in FIG. 7,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acquires the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selected in the data holding unit 150, and set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acquired change type setting field 510. Extract. In this way,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display data interval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display data interval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또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작업 종별이나 작업 차량 (30) 의 기종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선택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작업 차량 (30) 의 작업 상태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작업 차량 (30) 이 포장 내에서의 작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와,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을 때에,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용 데이터 간격은, 사용자의 입력된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onditions for changing the display data interval are not limited to the type of work or the model of the work vehicle 30, and may be selected arbitrarily. For example, the display data interval may change depending on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30. The display data interval may be changed when the work vehicle 30 is performing work within the pavement or when moving without performing work. Additionally, the display data interval may be set to a constant interval input by the user.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과, 작업 데이터 (300) 에 포함되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기초하여, 표시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결정해도 된다. 예컨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이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의 정수배가 아닐 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의 정수배가 되는 데이터 간격을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한다. 예컨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배한 복수의 데이터 간격 (예컨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2 배한 데이터 간격, 3 배한 데이터 간격 등) 중,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보다 작고, 또한, 가장 큰 데이터 간격을,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결정한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배한 복수의 데이터 간격 중,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보다 크고, 또한, 가장 작은 데이터 간격을,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해도 된다.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the data interval of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cluded in the work data 300. You can decide.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changes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whe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is not an integer multiple of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A data interval that is an integer multiple of is determined as the display data interval.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may set a plurality of data intervals that are integer multiples of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e.g., a data interval that is twice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and a data interval that is three times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terval, etc.), the data interval that is smaller than and largest tha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is determined as the new display data interval.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ew display data interval. Additionally,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selects data that is larger tha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is the smallest among a plurality of data intervals obtained by integer multiples of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The interval may be determined as a new display data interval.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작업 데이터 (300) 에 포함되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를 보간하여, 기록용 위치 정보 (304) 보다 데이터 간격이 작은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포함되지 않는 표시용 위치 정보를,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기초하여 보간한다.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may interpolate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cluded in the work data 300 to generat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smaller tha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interpol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ased o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과, 작업 데이터 (300) 에 포함되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에 기초하여, 표시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결정해도 된다. 예컨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이,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이 아닐 때,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을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한다. 예컨대,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로 제산한 복수의 데이터 간격 (예컨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2 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 3 으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 등) 중,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보다 크고, 또한, 가장 작은 데이터 간격을,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한다.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결정한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간격 변경부 (170) 는,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정수로 제산한 복수의 데이터 간격 (예컨대, 기록용 위치 정보 (304) 의 데이터 간격을 2 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 3 으로 제산한 데이터 간격 등) 중, 표시 설정 데이터 (310) 에 나타낸 표시용 데이터 간격보다 작고, 또한, 가장 큰 데이터 간격을, 새로운 표시용 데이터 간격으로서 결정해도 된다.Additionally,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changes data of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and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included in the work data 300. You can decide the interval.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is not the data interval obtained by divid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y an integer,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170 provides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The data interval obtained by dividing the data interval of (304) by an integer is determined as the display data interval. For example,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may set a plurality of data intervals obtained by divid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y an integer (e.g., a data interval obtained by dividing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y 2). , data interval divided by 3, etc.), the data interval that is larger than and smallest tha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is determined as the new display data interval.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ew display data interval. In addition,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170 is configured to divide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by an integer (e.g.,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304 divided by 2). , data interval divided by 3, etc.), the data interval that is smaller than and largest than the display data interval shown in the display setting data 310 may be determined as the new display data interval.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작업 차량 (30) 에 의해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할 수 있으면, 임의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종별은, 사용자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입력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 종별 판정부 (160) 는 입력된 작업 종별을, 작업 차량 (30) 에 의해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로서 판정한다.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can select any method as long as it can determine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work vehicle 30. For example, the job type may be input by the user into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input work type as the work typ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work vehicle 30.

출력부 (180) 는, 생성된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면 되고, 예를 들면 단말 (200) 의 입출력 장치 (210) 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출력부 (180) 는 표시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장치 (210) 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표시 화상은, 출력부 (180) 로부터 표시부 (250) 에 전달되고, 표시부 (250) 에 의해 표시된다.The output unit 180 may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e generated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may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image displayed on the input/output device 210 of the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80 generates a display image displayed on the input/output device 210 based 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display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unit 180 to the display unit 250 and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250.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일례이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은,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해도 되고, 또는/및,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또한, 필요하게 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일부의 기능을 생략해도 된다.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described above are examples, and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and modifications may be arbitrarily changed and/or combined arbitrarily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function. Additionally,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nd modified examples may be omitted if the necessary functions can be realized.

본 출원은, 2021년 2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01432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1-014326 filed on February 1, 2021, and the entire disclosure thereof is incorporated herein.

Claims (10)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부와,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하는 작업 종별 판정부와,
상기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간격 변경부와,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a data holding unit that holds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packaging work;
a work typ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work type of work performed on the packaging using a work device;
a data interval changing unit that determines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comprising an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 종별에 따른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설정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wherein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set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f the display data interval by a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보간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has a trajectory for interpolating the at least one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is not included in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상기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wherein the data interval changing unit determines a data interval for displa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간격 변경부와,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a data holding unit that holds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packaging work;
a data interval changing unit that determines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nd generates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by changing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comprising an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간격 변경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른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설정하는 궤적 정보 출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A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wherein the data interval change unit sets the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display data interval by a user.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과,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하는 것과,
상기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키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
Mai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work in packaging,
determining the work type of work performed on the pavement using a work device;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a trace information output program that causes an arithmetic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키는 궤적 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
Mai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work in packaging,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a trace information output program that causes an arithmetic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과,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실시된 작업의 작업 종별을 판정하는 것과,
상기 작업 종별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궤적 정보 출력 방법.
Mai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work in packaging,
determining the work type of work performed on the pavement using a work device;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job typ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ata interval;
A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포장에 있어서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장치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용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작업 장치의 기종에 따라 표시용 데이터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용 데이터 간격에 따라 상기 기록용 위치 정보의 데이터 간격을 변경한 표시용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표시용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궤적 정보 출력 방법.
Mai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ecording indicating the position at each time of the work equipment used for work in packaging,
determining a display data interv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device, and generating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with a data interval of the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interval;
A locus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KR1020237023231A 2021-02-01 2022-01-19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KR202301424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4326 2021-02-01
JP2021014326A JP7495889B2 (en) 2021-02-01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and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PCT/JP2022/001728 WO2022163453A1 (en) 2021-02-01 2022-01-19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458A true KR20230142458A (en) 2023-10-11

Family

ID=8265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231A KR20230142458A (en) 2021-02-01 2022-01-19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42458A (en)
CN (1) CN116724326A (en)
WO (1) WO2022163453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353A (en) 2017-11-16 2019-06-13 ヤンマー株式会社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7998B2 (en) * 2018-06-13 2021-02-02 Cnh Industrial Canada, Lt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ampling rate of a sensor mounted on an agricultural machine
JP7153577B2 (en) * 2019-01-29 2022-10-14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353A (en) 2017-11-16 2019-06-13 ヤンマー株式会社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7696A (en) 2022-08-12
CN116724326A (en) 2023-09-08
WO2022163453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2458A (en) Trace information output system, storage medium, and trace information output method
JP7495889B2 (en)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system,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program, and trajectory information output method
EP4141758A1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JP2022146358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managing region
JP7482061B2 (en) Work plan management method, work plan management device, work plan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7458300B2 (en)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ork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work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230104860A (en) Job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ob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orage medium, and job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22146349A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WO2022176601A1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WO2022176539A1 (en) Field management method, field management device, field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23037741A (en) Method for managing farm field, farm field management system, and farm field management program
WO2022168605A1 (en) Work management system, storage medium, and work management method
JP7426960B2 (en) Working area estimation method, working area estimation system, and working area estimation program
KR20230089545A (en)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WO2022097552A1 (en) Work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storage medium, and work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23141280A (en) Method for managing farm field, farm field management system, and farm field management program
JP2024027923A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JP2023031375A (en) Farm field management method, farm field management system, and farm field management program
JP2022149476A (en) Area management method, area management device and area management program
CN115759506A (en) Job management method, job management system, and job management program
KR20230141767A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20147018A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JP2023102334A (en) Work managing method, work managing system and work managing program
JP2023102387A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KR20230107793A (en) Job judgment system, job judg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