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254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254A
KR20230142254A KR1020220041259A KR20220041259A KR20230142254A KR 20230142254 A KR20230142254 A KR 20230142254A KR 1020220041259 A KR1020220041259 A KR 1020220041259A KR 20220041259 A KR20220041259 A KR 20220041259A KR 20230142254 A KR20230142254 A KR 2023014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wall
aerosol generating
coil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안휘경
류한슬
이재민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04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254A/ko
Publication of KR2023014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서셉터를 구비하는 스틱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의 최외측 턴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서셉터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하여 발열량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서셉터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하는 코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서셉터를 구비하는 스틱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의 최외측 턴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셉터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을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하는 케이싱(30), 어퍼파트(31)와 결합되는 캡(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10)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틱(10)의 일부는 캡(2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삽입될 수 있다. 스틱(10)의 나머지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30)은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파트(31)의 외면과 로어파트(32)의 외면은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캡(20)은 스틱(10)이 삽입되는 홀(21, 도 2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캡(20)은 어퍼파트(31)에 결합될 수 있다. 캡(20)의 홀(21)은 스틱(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 도 2 참조)과 연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하우징(40), 히팅부(50), 센싱부(60), 출력부(70), 사용자 입력부(80), 제어부(controller, 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캡(20)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어퍼파트(31) 및 로어파트(32)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비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내부에 히팅부(50), 센싱부(6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내벽(43, 45), 외벽(46)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43, 45)은 측부(lateral part, 43)와 베이스부(base part, 45)를 포함할 수 있다. 내벽(43, 45)은 내측에 삽입공간(42)을 제공할 수 있다. 내벽(43, 45)은 일단(43e)이 개구될 수 있다. 내벽(43, 45)의 개구(44)는 캡(20)의 홀(21)과 연통될 수 있다. 내벽(43, 45)의 개구(44)를 통해 스틱(10)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내벽(43, 45)의 개구(44)는 베이스부(45)와 마주할 수 있다.
베이스부(45)는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된 스틱(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44)와 마주하는 베이스부(45)의 일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45)는 측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측부(43)는 베이스부(45)로부터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43)의 일단(43e)에는 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2)은 내벽(43, 4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2)은 내벽(43, 45)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10)의 일부는 캡(20)의 홀(21)과 내벽(43, 45)의 개구(44)를 통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42)의 일부(S)에는 삽입된 스틱(10)의 서셉터(15, 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 외부의 공기(f)는 캡(20)의 홀(21)을 통해 삽입공간(4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42)으로 유입된 공기(f)는 내벽(43, 45)과 삽입된 스틱(10)의 사이를 통해 스틱(1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삽입된 스틱(10)을 통해
하우징(40)의 외벽(46)은 내벽(43, 45)을 둘러쌀 수 있다. 외벽(46)은 내벽(43, 45)과 연결될 수 있다. 외벽(46)은 내벽(43, 4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46)에는 전원(101)과 연결된 단자(103)가 배치될 수 있다. 외벽(46)은 케이싱(30) 및 캡(20)과 결합될 수 있다. 외벽(46)은 내벽(43, 45)과의 사이에 수용공간(41)을 제공할 수 있다. 외벽(46)은 내벽(43, 45)의 측부(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팅부(50)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코일의 개수가 3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코일의 수가 3개인 경우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측부(43)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원통형의 측부(43)의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내벽(43, 45)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단일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은 수용공간(41)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101)은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로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은 주변에 유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은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히팅부(50)는 전원(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101)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히팅부(50)는 서셉터(15)를 가열할 수 있다. 히팅부(50)는 제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히팅부(50)는 센싱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싱부(60)는 제1 전류 센서(61), 제2 전류 센서(62), 제3 전류 센서(63), 스틱 감지 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 감지 센서(6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스틱(1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스틱 감지 센서(64)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전류 센서(61)는 제1 코일(5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류 센서(62)는 제2 코일(5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전류 센서(63)는 제3 코일(5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류 센서(61)는 제1 코일(51)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전류 센서(62)는 제2 코일(52)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전류 센서(63)는 제3 코일(53)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70)는 히팅부(50)의 교체 필요 여부, 전원(101)의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70)는 디스플레이부(71), 햅틱부(72) 및 음향출력부(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1)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7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전원(101)의 충/방전 상태, 스틱(10)의 삽입/제거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이 제한되는 상태(예: 이상 물품 감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는 상기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LED 발광 소자 형태일 수도 있다.
햅틱부(72)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부(72)는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7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출력부(73)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0)는 히팅부(50)와 센싱부(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102)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102)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메모리(102)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메모리(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0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101)은 복수개의 코일(51, 52, 53)로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101)은 복수개의 코일(51, 52, 53)로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101)은 단자(103)를 통해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101)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01)은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원(101)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단속할 수 있다. 전원(101)은 상기 스위치를 통해, 복수개의 코일(51, 52, 53) 각각으로 전기 에너지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10)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틱(10)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1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틱(10)은 매질부(11), 냉각부(12), 필터부(13), 래퍼(14), 서셉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11), 냉각부(12), 필터부(13)는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냉각부(12)는 매질부(11)와 필터부(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래퍼(14)는 매질부(11), 냉각부(12), 필터부(13)를 감쌀 수 있다. 매질부(11)는 매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11)는 제1 매질커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11)는 제2 매질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113)은 제1 매질커버(111)와 제2 매질커버(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는 스틱(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매질부(11)의 길이는 24mm 일 수 있다.
매질(113)은 서셉터(15)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에어로졸로 기화 및/또는 무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인 매질(113)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매질(113)은 서셉터(15)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향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질(113)은 복수의 과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과립 각각은, 0.4mm 내지 1.12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매질(113)의 길이(L2)는 10mm 일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112)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112)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와 제2 매질커버(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주름진 형상으로 뭉쳐지고, 그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복수의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틈은 매질(113)의 각 과립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의 길이(L1)는 매질(113)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매질커버(111)의 길이(L3)는 매질(113)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111)의 길이(L1)는 7mm 일 수 있다. 제2 매질커버(111)의 길이(L2)는 7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질(113)의 각 과립은 매질부(11) 및 스틱(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부(12)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12)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12)는 매질부(11) 및 필터부(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12)는 제2 매질커버(112)와 필터부(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12)는, 내부의 냉각패스(121)를 둘러싸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12)는 래퍼(14)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냉각부(12)는 래퍼(14)보다 두꺼운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12)의 길이(L4)는 매질(113)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냉각부(12) 및 냉각패스(121)의 길이(L4)는 10mm 일 수 있다. 스틱(1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냉각부(12)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12)는 매질부(11)와 필터부(13)를 지지하며, 스틱(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2)는 매질부(11)와 필터부(13)의 사이에서, 래퍼(14)를 지지하고, 래퍼(14)가 접착될 수 있는 부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공기 및 에어로졸은, 냉각부(12) 내부의 냉각패스(121)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필터부(13)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3)는 스틱(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1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필터부(13)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부(13)를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필터부(13)의 길이(L5)는 14mm 일 수 있다.
래퍼(14)는 매질부(11), 냉각부(12) 및 필터부(13)를 감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래퍼(14)는 스틱(1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래퍼(14)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143)는 래퍼(14)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래퍼(14)는 매질부(11), 냉각부(12) 및 필터부(13)를 감싸며,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착부(143)와 타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매질부(11), 냉각부(12) 및 필터부(13)를 감싼 래퍼(14)는, 스틱(10)의 일단과 타단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래퍼(14)는 매질부(11), 냉각부(12) 및 필터부(13)를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스틱(10)의 일측에는 매질(113)과 서셉터(15)가 배치될 수 있다. 서셉터(15)는 매질(113)의 내부에 매립(embedded)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5)는 매질(113)의 내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서셉터(15)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서셉터(15)는 유도 가열되어 매질(113)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서셉터(15) 방향성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5)는 판형(plate shap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틱(10)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면, 방향성이 있는 서셉터(15)의 배치(DD) 방향이 기 설정된 배치 방향과 다를 수 있으며, 서셉터(15)가 복수개의 코일(51, 52, 53)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는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
제1 코일(51)은 제1 와이어(511), 최내측 턴(512), 최외측 턴(513), 제2 와이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511)는 전원(101)과 최내측 턴(5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코일(51)은 최내측 턴(512)으로부터 최외측 턴(513)으로 복수 회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514)는 전원(101)과 최외측 턴(51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코일(51)은 팬 코일(pan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52)은 제3 와이어(521), 최내측 턴(522), 최외측 턴(523), 제4 와이어(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521)는 전원(101)과 최내측 턴(5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코일(52)은 최내측 턴(522)으로부터 최외측 턴(523)으로 복수 회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제4 와이어(524)는 전원(101)과 최외측 턴(5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코일(52)은 팬 코일(pan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코일(53)은 제5 와이어(531), 최내측 턴(532), 최외측 턴(533), 제6 와이어(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와이어(531)는 전원(101)과 최내측 턴(53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코일(53)은 최내측 턴(532)으로부터 최외측 턴(533)으로 복수 회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제6 와이어(534)는 전원(101)과 최외측 턴(533)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코일(53)은 팬 코일(pan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와이어(511)와 제2 와이어(514)는 최외측 턴(513)의 일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와이어(511)와 제2 와이어(514)는 상기 최외측 턴(513)의 일 영역으로부터 전원(10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3 와이어(521)와 제4 와이어(524)는 최외측 턴(523)의 일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와이어(521)와 제4 와이어(524)는 상기 최외측 턴(523)의 일 영역으로부터 전원(10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5 와이어(531)와 제6 와이어(534)는 최외측 턴(533)의 일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5 와이어(531)와 제6 와이어(534)는 상기 최외측 턴(533)의 일 영역으로부터 전원(10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코일(51)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코일(52)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제3 코일(53)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코일(51), 제2 코일(52), 제3 코일(53)은 내벽(43, 45)의 측부(4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서셉터(15)는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셉터(15)의 형상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폭(x), 제2 폭(y), 제3 폭(z)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서셉터(15)는 제1 폭(x), 제2 폭(y), 제3 폭(z)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plate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서셉터(15)의 형상은 판형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6은 제1 폭(x)과 제2 폭(y)이 다르고, 제2 폭(y)과 제3 폭(z)이 다른 경우를 도시한다. 서셉터(15)의 일면(151)은 내벽(43, 45)의 측부(43)와 마주할 수 있다. 서셉터(15)의 일면(151)의 크기(size)를 결정하는 제1 폭(x)과 제3 폭(z)은 제2 폭(y)보다 더 길 수 있다. 서셉터(15)가 삽입공간(42)에 삽입되면, 서셉터(15)의 일면(151)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서셉터(15)의 일면(151)을 기준으로, 서셉터(15)가 바라보는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도 7의 (a)는 제1 코일(51)을 도시한다. 도 7의 (b)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코일(51)은 제1 코일(51)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최외측 턴(513)을 포함할 수 있다. 최외측 턴(513)은 루프(loop)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51)의 최외측 턴(513)은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 복수개의 연결부(5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513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5131)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513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의 사이에 제1 코일(51)의 최내측 턴(51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5132)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5132)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과 교차하는 방향(ID)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세그먼트(5132)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과 직교하는 방향(ID)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513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의 사이에 제1 코일(51)의 최내측 턴(512)이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5133)는 제1 세그먼트(5131)와 제2 세그먼트(513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133)는 곡률진(curve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5133)는 소정의 곡률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5133)는 제1 세그먼트(513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5133)는 제2 세그먼트(513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5133)는 제1 세그먼트(5131) 또는 제2 세그먼트(51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굽어져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133)의 길이는 제1 세그먼트(5131) 및 제2 세그먼트(513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코일(51)의 최외측 턴(513)의 형상은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 복수개의 연결부(513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세그먼트(5131)가 연장되는 방향(AD)과 제2 세그먼트(5132)가 연장되는 방향(ID)에 의해 제1 코일(51)의 최외측 턴(513)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제1 세그먼트(5131)가 연장되는 방향(AD)과 제2 세그먼트(5132)가 연장되는 방향(ID)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이 때, 제1 코일(51)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7의 (a)는 대표적으로 제1 코일(51)의 최외측 턴(513)의 구성(elements)을 개시하지만, 이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52)의 최외측 턴(523) 및 제3 코일(53)의 최외측 턴(53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제1 세그먼트(5131)가 연장되는 방향(AD)과 제2 세그먼트(5132)가 연장되는 방향(ID1)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의 (b)와 도 8의 (c)는 제1 세그먼트(5131)가 연장되는 방향(AD)과 제2 세그먼트(5132)가 연장되는 방향(ID2, ID3)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을 따라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가 연장되고,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과 교차하는 방향(ID1, ID2, ID3)으로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가 나란하게 연장됨으로써,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을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개의 코일(51, 53, 151, 153)을 통해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에 도시된 직선의 화살표는 코일(51, 53, 151, 153)에 의해 형성된 유도 자기장이다. 도 9의 (a)와 (b)는 본 개시의 서로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코일(151, 153)은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형의 복수개의 코일(151, 153)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코일(151, 153)의 사이에 음영 지역(H)이 형성될 수 있다. 음영 지역(H)은 복수개의 코일(151, 153)의 사이에 형성되어 코일(151, 153)의 와이어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도 9의 (b)는 하우징(40)의 측부(43)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코일(51, 53)을 도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복수개의 코일(151, 153)과 달리, 도 9의 (b)에 도시된 복수개의 코일(51, 53)의 사이에는 음영 지역(H)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복수개의 코일(51, 53)의 최외측 턴(513, 533)의 형상에 의해 음영 지역(H)에 코일(51, 53)의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강력한 유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유도 가열에 의한 서셉터(15)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코일(51)과 제3 코일(53)은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에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코일(51)과 제3 코일(53)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에 스틱 감지 센서(64)가 배치될 수 있다.
스틱 감지 센서(64)는 스틱(10)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 감지 센서(64)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스틱 감지 센서(64)는 서셉터(15)가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스틱 감지 센서(64)는 내벽(43, 45)의 측부(4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코일(251, 252, 351, 352, 353, 354)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코일(251, 252)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251, 252)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251, 25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복수개의 코일(251, 252)에 의해 생성된 유도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코일(251, 252)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15)의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코일(351, 352, 353, 354)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351, 352, 353, 354)은 내벽(43, 45)의 측부(43)를 마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351, 352, 353, 354)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복수개의 코일(351, 352, 353, 354) 중 서로 마주보는 코일들(351, 353)로 전압을 인가하여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코일들(351, 353)에 의해 생성된 유도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코일(251, 252)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가열되는 서셉터(15)의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151a, 151b, 153a, 153b)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2의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51a, 51b, 53a, 53b)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된 서셉터(15)가 내벽(43, 45)의 측부(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서셉터(15)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서셉터(15)가 내벽(43, 45)의 개구(44)와 베이스부(45) 중 개구(44)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일부 코일(151a, 153a, 51a, 53a)로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서셉터(15)가 내벽(43, 45)의 개구(44)와 베이스부(45) 중 베이스부(45)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일부 코일(151b, 153b, 51b, 53b)로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삽입되는 스틱(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서셉터(115)는 하우징(40)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하우징(40)에 설치된 서셉터(115)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스틱(10`)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면, 하우징(40)의 내벽(43, 45)에 고정된 서셉터(115)는 스틱(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하우징(40)의 내벽(43, 45)에 설치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내벽(43, 45)의 베이스부(45)로부터 삽입공간(42)을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측부(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삽입공간(42)에 배치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삽입공간(42)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코일(51, 52, 53)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된 스틱(10`)의 제1 매질커버(111)를 관통할 수 있다. 서셉터(115)는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된 스틱(10`)의 매질(11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셉터(115)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매질(113)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서셉터(115)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셉터(115)는 팁(115t), 제1 파트(115a), 제2 파트(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115)의 제1 파트(115a)와 제2 파트(115b)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팁(115t)은 제1 파트(115a)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팁(115t)은 제1 파트(115a)에 가까운 위치에서의 폭(W2)이 제1 파트(115a)와 먼 위치에서의 폭(W1)보다 클 수 있다. 팁(115t)은 제1 파트(115a)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팁(115t)은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115a)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115a)의 횡단면(CS)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트(115a)의 횡단면(CS)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의 횡단면(CS)을 갖는 제1 파트(115a)는 스틱(10`)이 삽입공간(42)으로 삽입되더라도 스틱(10`)이 서셉터(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파트(115b)는 제1 파트(115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115b)는 하우징(40)의 내벽(43, 45)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15b)는 내벽(43, 45)의 베이스부(45)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15b)는 제1 파트(115a)와 베이스부(45)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트(115a)는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파트(115b)는 비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일(51, 52, 53)에 의해 제1 파트(115a)는 유도 가열되지만, 제2 파트(115b)는 유도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트(115b)가 유도 가열되어 하우징(40)의 수용공간(41)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13)과 서셉터(15)를 구비하는 스틱(10)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있어서, 일단(43e)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1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43, 45) 및 상기 내벽(43, 45)을 둘러싸는 외벽(46)을 포함하는 하우징(40);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 512, 522, 53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513, 523, 533)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의 내벽(43, 45)과 외벽(46)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43, 45)의 적어도 일부(43, 45)를 둘러싸고, 상기 삽입공간(42)에 배치되는 상기 서셉터(15)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51, 52, 53)의 최외측 턴(513, 523, 533)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ID)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는 상기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코일(51, 52, 53)은, 한 변(5132)이 상기 내벽(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코일(51)과 제2 코일(5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상기 제1 코일(51)과 상기 제2 코일(5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틱(10)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상기 내벽(43, 45)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코일(251, 252)은, 서로 마주하는 제1 코일(251) 및 제2 코일(25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1 코일(251)과 상기 제2 코일(252)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서셉터(15)를 관통하는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코일(251)과 상기 제2 코일(252)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셉터(15)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42)에 삽입되어 상기 내벽(43, 45)의 일부(43)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벽(43, 45)은, 상기 일단(43e)으로부터 상기 내벽(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lateral part, 4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51, 52, 53)과 상기 서셉터(15)는 상기 내벽(43, 45)의 측부(43)와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벽(43, 45)의 측부(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은, 상기 내벽(43, 45)의 측부(4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코일(51, 52, 53)은, 상기 내벽(43, 45)의 측부(43)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13)을 구비하는 스틱(10`)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있어서, 일단(43e)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1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43, 45)) 및 상기 내벽(43, 45)을 둘러싸는 외벽(46)을 포함하는 하우징(40); 상기 하우징(40)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42)으로 연장되는 서셉터(115);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 512, 522, 53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513, 523, 533)으로 복수 회 감겨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의 내벽(43, 45)과 외벽(46)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43, 45)의 적어도 일부(43, 45)를 둘러싸고, 상기 서셉터(115)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51, 52, 53)의 최외측 턴(513, 523, 533)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5131);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51, 52, 53)이 배열되는 방향(AD)과 교차하는 방향(ID)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5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셉터(115)는, 상기 내벽(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단면(CS)이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셉터(115)는: 상기 삽입공간(42)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51, 52, 53)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전도성의 제1 파트(115a); 및 상기 제1 파트(115a)와 상기 하우징(40)을 연결하는 비전도성의 제2 파트(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스틱
20: 캡 30: 케이싱
40: 하우징 50: 히팅부
60: 센싱부 70: 출력부
80: 사용자 입력부 101: 전원
100: 제어부

Claims (13)

  1.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서셉터를 구비하는 스틱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의 최외측 턴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세그먼트는 상기 한 쌍의 제1 세그먼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한 변이 상기 내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틱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일은,
    상기 내벽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일은,
    서로 마주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서셉터를 관통하는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벽의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내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later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과 상기 서셉터는 상기 내벽의 측부와 마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측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코일은,
    상기 내벽의 측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내벽의 측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일측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구비하는 스틱이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스틱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으로 연장되는 서셉터; 및
    최내측 턴(innermost turn)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으로 복수 회 감겨 팬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는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일의 최외측 턴은: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상기 내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전도성의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비전도성의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0041259A 2022-04-01 2022-04-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59A KR20230142254A (ko) 2022-04-01 2022-04-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59A KR20230142254A (ko) 2022-04-01 2022-04-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254A true KR20230142254A (ko) 2023-10-11

Family

ID=8829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259A KR20230142254A (ko) 2022-04-01 2022-04-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2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22811B2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CN110771258B (zh) 气溶胶生成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EP3313212B1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KR102590702B1 (ko) 전극 쌍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30019912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WI612441B (zh) 產生可感知觸覺刺激的技術
KR2023014225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225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7333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48191A (ko)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12556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7982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дисплей (варианты)
KR20230163263A (ko) 풀 브릿지의 구동 회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894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0131A (ko) 에어로졸 발생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7299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24521933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に空気を供給するための支持部を具備し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7529245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5591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392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KR2023010567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545379A (zh) 有向气溶胶生成制品提供空气的支撑件的气溶胶生成装置
CN118119299A (zh) 气溶胶生成装置
CA3216634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upport providing air to aerosol generat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