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923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923A
KR20230055923A KR1020220030270A KR20220030270A KR20230055923A KR 20230055923 A KR20230055923 A KR 20230055923A KR 1020220030270 A KR1020220030270 A KR 1020220030270A KR 20220030270 A KR20220030270 A KR 20220030270A KR 20230055923 A KR20230055923 A KR 2023005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ck
container
wall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이종섭
정우석
조병성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2/0158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8744A1/en
Priority to EP22883967.6A priority patent/EP4418903A1/en
Priority to CN202280069023.0A priority patent/CN118102908A/zh
Publication of KR2023005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본체; 액상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액상에 연결되는 심지; 상기 심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지에 감긴 제1 코일;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유도 가열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과 상기 컨테이너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서셉터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액상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액상에 연결되는 심지; 상기 심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지에 감긴 제1 코일;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유도 가열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원과 컨테이너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원과 컨테이너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셉터를 가열하는 코일을 팬 코일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서셉터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셉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팬 코일의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서셉터를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하는 케이싱(30), 어퍼파트(31)에 결합되는 캡(20),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컨테이너(40),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10)은 캡(2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싱(30)은 캡(20)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30)은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케이싱(3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40)와 본체(50)가 배치될 수 있다. 로어파트(32)의 내면은 본체(50)의 돌기(54, 도 3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파트(31)의 외면과 로어파트(32)의 외면은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싱(30)의 외면을 감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파지할 수 있다.
캡(20)은 스틱(10)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캡(20)은 어퍼파트(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20)의 홀은 스틱(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6, 도 4 참조)과 연통될 수 있다. 어퍼파트(31)는 캡(20)과 로어파트(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컨테이너(40)의 내부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40)는 본체(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40)와 본체(50)는 강제 체결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40)는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의 일단에는 스틱(10)이 삽입되는 개구(425,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40)의 일부는 케이싱(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체(50)의 내부에는 배터리(100, 도 4 참조), PCB 등 전자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40)가 본체(50)에 장착되면, 본체(50)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50)의 일부는 케이싱(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40)와 본체(50)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컨테이너(40), 본체(50), 심지(60), 제1 코일(70), 제2 코일(80), 제어부(90), 전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40)는 제1 파트(42), 제2 파트(41), 스토퍼(4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40)의 내부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40)는 액상(l)을 수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40)는 내측에 유로(flow path)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파트(42)는 외벽(422), 내벽(423), 수용공간(424), 삽입공간(4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2)의 내벽(423)은 일단(427)과 타단(428)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파트(42)의 내벽(423)은 내측에 삽입공간(426)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파트(42)의 내벽(423)은 컨테이너(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42)의 외벽(422)은 제1 파트(42)의 내벽(423)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파트(42)의 외벽(422)은 컨테이너(4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트(42)의 내벽(423)과 외벽(422)의 사이에는 수용공간(424)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내벽(415)과 제1 파트(42)의 외벽(422)의 사이에는 수용공간(424)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424)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l)이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l)은 상온에서 액상(liquid st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l)은 액상(l)으로 명명될 수 있다.
삽입공간(426)에는 스틱(1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스틱(10)은 개구(425)를 통해, 삽입공간(426)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제1 파트(42)의 내벽(42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내벽(423)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41)는 제1 파트(4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41)는 제1 파트(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41)는 내벽(415), 측벽(lateral wall, 412), 바닥(413), 홈(411), 유동공간(4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내벽(415), 측벽(412) 및 바닥(413)은 내측에 유동공간(4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측벽(412)에는 유동공간(414)과 컨테이너(4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내벽(415)은 제1 파트(42)의 내벽(42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내벽(415)은 제1 파트(42)의 내벽(4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측벽(412)은 제1 파트(42)의 외벽(42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측벽(412)은 제1 파트(42)의 외벽(4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컬럼(52)의 통공(521, 522)과 연통될 수 있다. 컬럼의 통공(521, 522)을 통해 유입구(412a)로 유입된 공기는 유동공간(414), 삽입공간(426)을 차례로 통과하여 컨테이너(4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파트(41)의 바닥(413)은 제2 파트(41)의 내벽(415)과 측벽(412)을 연결할 수 있다. 바닥(413)은 함몰부(413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413)의 일부는 제1 파트(42)의 개구(425)와 마주할 수 있다. 함몰부(413a)는 바닥(413)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60)에서 누출된 액상은 함몰부(413a)에 수용될 수 있다. 함몰부(413a)는 심지(60)와 마주할 수 있다. 함몰부(413a)는 개구(425)와 마주할 수 있다. 함몰부(413a)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함몰될 수 있다.
본체(50)는 마운트(51), 컬럼(52), 돌기(54), 하우징(5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의 내부에는 전원(1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50)의 내부에는 전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90)와 제2 코일(80)이 설치될 수 있다.
마운트(51)는 하우징(55)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51)는 하우징(55)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운트(51)는 하우징(55)의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51)는 컨테이너(4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513)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운트(51)는 컬럼(52)과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51)는 컨테이너(40)의 제2 파트(41)의 바닥(413)과 마주하는 대향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면(511)은 함몰부(511a)를 포함할 수 있다. 대향면(511)의 함몰부(511a)는 컨테이너(40)의 제2 파트(42)의 함몰부(413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코일(80)의 형상은 대향면(511)의 함몰부(511a), 제2 파트(42)의 함몰부(413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향면(511)의 함몰부(511a)는 컨테이너(40)의 제2 파트(42)의 함몰부(413a)와 같은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대향면(511)의 함몰부(511a)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함몰될 수 있다.
컬럼(52)은 하우징(55)으로부터 하우징(55)의 외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컬럼(52)은 중공(hollow)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52)은 장착공간(513)에 장착된 컨테이너(40)를 지지할 수 있다. 컬럼(52)은 컨테이너(40)의 제1 파트(42)의 외벽(422)을 지지할 수 있다. 컬럼(52)은 컨테이너(40)의 제2 파트(41)의 측벽(412)을 지지할 수 있다. 컬럼(52)은 컬럼(52)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공(521, 522)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52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통공(521)은 컬럼(5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5)은 내측에 실장공간(551)을 제공할 수 있다. 실장공간(551)에는 전원(100), 제어부(90), 제2 코일(8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100)은 제어부(90) 및 제2 코일(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원(100)으로부터 제2 코일(8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100)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00)은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지(60)는 일부가 수용공간(424)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60)는 액상(l)을 흡수할 수 있다. 심지(60)는 다공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60)는 제2 파트(41)의 내벽(415)을 관통하여 액상(l)에 연결될 수 있다. 심지(6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심지(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6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70)은 심지(60)에 복수 회 감길 수 있다. 제1 코일(70)은 심지(6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70)은 심지(6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코일(70)은 길게 연장된 심지(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심지(60)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70)은 서셉터 코일(susceptor coil)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본체(5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하우징(5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제1 코일(70)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개구(425), 삽입공간(426), 제1 코일(70), 제2 코일(80)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복수개의 턴(turn)을 가진 팬 코일(pan coil, 도 9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100)은 제2 코일(80)로 교류 전압을(AC)을 인가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유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코일(8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도 자기장은 제1 코일(7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코일(70)은 제2 코일(80)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히팅 코일(heating coil)로 명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코일(80)은 마운트(5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마운트(51)의 바닥(5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와 달리, 제1 코일(70)과 제2 코일(80)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80)에 의해 유도되어 제1 코일(70)을 관통하는 자기력선의 수가 더 많아지므로, 제1 코일(70)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40)의 내부를 도시한다. 컨테이너(40)는 스토퍼(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제1 파트(42)의 내벽(423)으로부터 삽입공간(426)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삽입공간(426)으로 삽입된 스틱(1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제1 파트(42)의 내벽(423)의 일단(427)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삽입공간(426)과 유동공간(4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제1 파트(42)의 내벽(42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제1 파트(42)의 내벽(423)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43)는 제1 파트(42)의 내벽(42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80)에 의해 형성된 유도 자기장(M)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원(100)은 제2 코일(80)로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 자기장(M)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유도 자기장(M)은 심지(60)에 감겨진 제1 코일(70)을 관통할 수 있다. 유도 자기장(M)에 의해 제1 코일(70)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80)은 심지(60)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상기 함몰부들(413a, 511a)의 소정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굽어질 수 있다. 굽어진 제2 코일(80)에 의해 생성된 유도 자기장(M)은 제1 코일(70)로 더 밀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80)은 제1 코일(70)을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코일(80)은 심지(60)의 일부의 종단면(611LS)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심지(60)는 제1 코일(70)이 감겨진 권선부(611)와 제1 코일(70)이 감겨지지 않은 비권선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심지(6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심지(60)는 길게 연장되어 양단(62, 63)을 갖고, 심지(60)의 양단(62, 63)은 수용공간(424)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60)는 양 측에 각각 비권선부(612)를 구비할 수 있다.
심지(60)의 비권선부(612)의 사이에 권선부(611)가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40)의 길이방향에서 심지(60)의 권선부(611)와 제2 코일(80)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권선부(611)의 심지(60)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611LS)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권선부(611)의 종단면(611LS)과 마주하는 제2 코일(80)의 크기는 권선부(611)의 종단면(611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80)은 권선부(611)에 배치된 제1 코일(70)을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60), 제1 코일(70), 제2 코일(80, 80`)을 도시한다. 도 9와 도 10은 서로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코일(80, 80`)은 심지(60)의 길이방향(LD)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심지(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코일(80, 80`)은 심지(60)의 직경방향(DD)에서 심지(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 8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83)으로 복수회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최내측 턴(82)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81)와 최외측 턴(83)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 8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83`)으로 복수회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최내측 턴(82`)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3 와이어(81`)와 최외측 턴(83`)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4 와이어(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심지(60)의 원주방향(CD)을 따라 굽어질 수 있다. 제2 코일(80, 80`)은 심지(60)의 외면(61)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코일(80, 80`)은 심지(60)의 외주면(61)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심지(60)의 외주면(61)에 대응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제2 코일(80`)은 심지(60)의 길이방향(LD)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80`)은 심지(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코일(70)을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60), 제1 코일(70), 제2 코일(180, 180`)을 도시한다. 도 11과 도 12는 서로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코일(180, 180`)은 심지(60)의 길이방향(LD)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심지(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코일(180, 180`)은 심지(60)의 직경방향(DD)에서 심지(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 18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183)으로 복수회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최내측 턴(182)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5 와이어(181)와 최외측 턴(183)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6 와이어(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 18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183`)으로 복수회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최내측 턴(182`)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7 와이어(181`)와 최외측 턴(183`)과 전원(100)을 연결하는 제8 와이어(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심지(60)의 원주방향(CD)을 따라 굽어질 수 있다. 제2 코일(180, 180`)은 심지(60)의 외주면(61)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심지(60)의 외주면(61)에 대응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제2 코일(180`)은 심지(60)의 길이방향(LD)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180`)은 심지(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코일(70)을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180, 18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형의 심지(60)의 권선부(611)의 종단면(611LS)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코일(180, 180`)은 권선부(611)의 종단면(611LS)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권선부(611)에 감긴 제1 코일(70)을 효과적으로 유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일(80, 80`, 180, 180`)이 심지(60)의 외주면(61)을 마주한다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80, 80`, 180, 18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심지(60) 및 제1 코일(70)을 관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2 코일(80, 80`, 180, 180`)이 심지(60)의 외주면(61)을 마주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체(50); 액상(l)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40); 상기 컨테이너(40)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액상(l)에 연결되는 심지(60); 상기 심지(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지(60)에 감긴 제1 코일(70); 상기 본체(50)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70)을 유도 가열하는 제2 코일(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40)는: 길게 연장되고, 일부(423)가 내측에 삽입공간(426)을 제공하는 내벽(423, 415); 및 상기 내벽(423, 415)을 둘러싸고, 상기 내벽(423, 415)과의 사이에 상기 액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24)을 형성하는 외벽(4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40)는: 상기 내벽(423)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427)과 타단(428)이 개구되고 내측에 삽입공간(426)을 제공하는 제1 파트(42); 및 상기 제1 파트(42)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벽(415)이 상기 삽입공간(426)과 연통하는 유동공간(414)을 내측에 제공하는 제2 파트(41)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60)는 상기 제2 파트(41)의 내벽(415)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424)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상기 제1 파트(42)의 내벽(423)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426)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심지(60)에 인접한 상기 제1 파트(42)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토퍼(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40)는, 상기 컨테이너(40)의 외벽(422)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공간(414)과 상기 컨테이너(4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412a)를 더 포함하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50)는: 상기 제2 코일(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100)을 수용하는 하우징(55); 및 상기 하우징(55)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코일(80)이 배치되는 마운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심지(60)는, 길게 연장되어 일단(62)과 타단(63)을 구비하고, 상기 일단(62)과 타단(63)을 연결하는 외면(6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80)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 82)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 83)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pan coil)로 형성되고, 상기 심지(60)의 외면(61)을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코일(80)은, 상기 제1 코일(70)이 감겨진 상기 심지(60)의 외면(61)의 일부(611)로부터 상기 심지(60)의 길이방향(LD)과 교차하는 방향(DD)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코일(80)은, 상기 제1 코일(70)이 감겨진 상기 심지(60)의 일부(611)의 종단면(611LS)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심지(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80)은, 상기 심지(60)의 외주면(61)에 대응되도록 상기 심지(60)의 원주방향(CD)을 따라 굽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스틱
20: 캡 30: 케이싱
40: 컨테이너 50: 본체
60: 심지 70: 제1 코일
80: 제2 코일 90: 제어부
100: 전원

Claims (10)

  1. 본체;
    액상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액상에 연결되는 심지;
    상기 심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지에 감긴 제1 코일;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유도 가열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길게 연장되고, 일부가 내측에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을 둘러싸고, 상기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액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내벽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개구되고 내측에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벽이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하는 유동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벽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심지에 인접한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외벽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코일이 배치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길게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을 구비하고, 상기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최내측 턴(innermost turn)으로부터 최외측 턴(outermost turn)으로 복수 회 감긴 팬 코일(pan coil)로 형성되고, 상기 심지의 외면을 마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이 감겨진 상기 심지의 외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심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이 감겨진 상기 심지의 일부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심지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심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굽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0030270A 2021-10-19 2022-03-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5841 WO2023068744A1 (en) 2021-10-19 2022-10-18 Aerosol generating device
EP22883967.6A EP4418903A1 (en) 2021-10-19 2022-10-18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02280069023.0A CN118102908A (zh) 2021-10-19 2022-10-18 气溶胶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9803 2021-10-19
KR1020210139803 202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923A true KR20230055923A (ko) 2023-04-26

Family

ID=8609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270A KR20230055923A (ko) 2021-10-19 2022-03-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3710B2 (ja) 電子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US20220079230A1 (en)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KR102453309B1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EP3316713B1 (en)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EP2614732A1 (en) Cartridge of electric cigarette for preventing leakage
KR102667280B1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JP2022510132A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誘導加熱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559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52031B1 (ko) 유도가열식 미세입자발생장치의 액상 카트리지
CN118102908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5592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068744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0246067A1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の受電装置、電子機器
WO2022215255A1 (ja)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CN118102905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5591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WO202304236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2023014225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19002A (ko) 유도가열식 미세입자발생장치
US12070070B2 (en) Electronic vapor provision system
KR2023006234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9949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210130744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CN116998776A (zh) 气溶胶产生装置
KR20230152939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