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913A - 에어로졸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913A
KR20230055913A KR1020220014699A KR20220014699A KR20230055913A KR 20230055913 A KR20230055913 A KR 20230055913A KR 1020220014699 A KR1020220014699 A KR 1020220014699A KR 20220014699 A KR20220014699 A KR 20220014699A KR 20230055913 A KR20230055913 A KR 20230055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tainer
wall
generating devi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한대남
박상규
정우석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2/0158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8733A1/en
Publication of KR2023005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의 사이에 액상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삽입공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을 흡수하는 심지; 상기 심지의 주변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컨테이너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구비된 유입구; 상기 베이스의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덮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카트리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와 필터가 일체로 교체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의 사이에 액상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삽입공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을 흡수하는 심지; 상기 심지의 주변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컨테이너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구비된 유입구; 상기 베이스의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덮는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카트리지의 외부로 에어로졸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내부에 필터가 장착되어, 카트리지와 필터를 일체로 교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는: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하는 케이싱(30), 어퍼파트(31)에 결합되는 캡(20),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카트리지(40), 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10)은 캡(2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장치(1)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싱(30)은 캡(20)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30)은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케이싱(30)의 내부에는 카트리지(40)와 본체(50)가 배치될 수 있다. 어퍼파트(31)의 내면은 카트리지(40)의 외면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파트(32)의 내면은 본체(50)의 외면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파트(31)와 로어파트(32)는 각각 카트리지(40)와 본체(50)에 결합되면,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싱(30)의 외면을 감싸 에어로졸 생성장치(1)를 파지할 수 있다.
캡(20)은 스틱(10)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캡(20)은 어퍼파트(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20)의 홀은 스틱(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6, 도 4 참조)과 연통될 수 있다. 캡(20)은 상기 스틱(10)이 삽입되는 홀을 개폐할 수 있다. 어퍼파트(31)는 캡(20)과 로어파트(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의 내부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본체(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와 본체(50)는 돌기와 홈에 의한 강제 체결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의 일단에는 스틱(10)이 삽입되는 개구(425, 도 4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케이싱(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체(50)의 내부에는 배터리, PCB 등 전자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40)가 본체(50)에 장착되면, 본체(50)는 카트리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50)는 카트리지(4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50)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50)는 케이싱(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3은 카트리지(40)와 본체(5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40)는 본체(50)에 장착될 수 있고, 본체(5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홈(411)을 외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체(50)는 카트리지(40)의 홈(411)과 체결되는 돌기(512)를 외면에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40)의 홈(411)과 본체(50)의 돌기(51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카트리지(40)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본체(50)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40)는 홈(421)을 외면에 구비할 수 있다. 케이싱(30)은 카트리지(40)의 홈(421)과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의 홈(421)은 케이싱(30)의 어퍼파트(31)와 체결될 수 있다.
본체(50)는 돌기(54)를 외면에 구비할 수 있다. 케이싱(30)은 본체(50)의 돌기(54)와 체결될 수 있다. 본체(50)의 돌기(54)는 케이싱(30)의 어퍼파트(31)와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의 길이방향 상의 본체(50)의 외측단에는 카트리지(40)가 장착되는 안착부(51)와 안착부(51)의 일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컬럼(52)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51)는 본체(5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카트리지(40)가 삽입 및 장착되는 공간(513)을 정의할 수 있다. 안착부(51)의 내측면에는 돌기(5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51)의 일측에는 컬럼(52)이 구비될 수 있다.
컬럼(52)은 카트리지(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컬럼(52)은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52)은 카트리지(40)의 측면(lateral surface)을 지지할 수 있다. 컬럼(52)은 안착부(51)와 함께 카트리지(40)가 장착되는 공간(513)을 정의할 수 있다.
컬럼(52)은 센싱부(53), 통공(521, 522)을 구비할 수 있다. 컬럼(52)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센서, PCB 등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센싱부(53)는 카트리지(40)와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카트리지(40) 내부의 액상 유무, 잔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통공(521)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통공(521, 522)들은 컬럼(52)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의 외부의 공기는 컬럼(52)의 내부 공간 및 통공(521, 522), 유입구(412a, 도 4 참조)을 차례로 통과하여 카트리지(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40)를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는 컨테이너(42), 베이스(41), 심지(61), 히터(62)를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40)의 내부에는 필터(70)가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42)는 스틱(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26), 삽입공간(426)을 정의하고 길게 연장된 내벽(423), 내벽(423)을 둘러싸고 내벽(42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외벽(422), 내벽(423)과 외벽(422)의 사이에 위치되고 액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2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42)의 내벽(423)과 외벽(422)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422)은 내벽(423)을 둘러쌀 수 있다. 내벽(423)은 외벽(42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내벽(423)과 외벽(422)은 카트리지(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422)과 내벽(423)의 사이에는 기화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액상이 수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42)의 내벽(423)과 외벽(422)은 반투명 혹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423)의 내측에는 삽입공간(426)이 위치할 수 있다. 내벽(423)의 내측에 삽입공간(426)이 위치되므로, 컨테이너(42)의 외부에 삽입공간(426)이 마련된 경우와 비교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카트리지(4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컨테이너(42)의 일단에 구비되는 개구(425)를 통해 카트리지(4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공간(426) 내벽(423)에 의해 둘러 싸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26)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히터(62)에 의해 기화된 에어로졸은 삽입공간(426), 개구(425)를 통해 카트리지(40)의 외부로 유동(b)할 수 있다.
베이스(41)는 컨테이너(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1)는 카트리지(40)의 길이방향에서 컨테이너(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1)는 심지(6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1)는 바닥(413), 측벽(412), 내부공간(4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1)의 바닥(413)은 심지(61)에 대하여 삽입공간(426)과 대향할 수 있다. 베이스(41)의 바닥(413)은 컨테이너(42)의 개구(425)와 마주할 수 있다. 베이스(41)의 측벽(412)은 바닥(413)으로부터 컨테이너(4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41)의 측벽(412)은 컨테이너(42)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62)는 베이스(41)의 바닥(413)을 통해 본체(50)의 상기 전기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41)의 측벽(412)에는 유입구(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베이스(41)의 측벽(412)을 관통하여 개구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베이스(41)의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통공(522)과 연통될 수 있다. 유입구(41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심지(61)로 유동(a)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카트리지(40)의 길이방향에서, 컨테이너(42)와 베이스(41)의 바닥(41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412a)는 컨테이너(42)와 베이스(41)의 바닥(413) 중 컨테이너(42)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은 심지(61)의 주변, 삽입공간(426)과 연통될 수 있다. 내부공간(414)에는 액화된 에어로졸이 체류할 수 있다. 내부공간(414)은 심지(61)의 주변과 카트리지(40)의 외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심지(61)는 컨테이너(42)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61)는 일부가 컨테이너(4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일부가 내벽(423)과 외벽(422)의 사이에 수용된 액상에 연결될 수 있다. 심지(61)는 일부가 수용공간(42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심지(61)는 컨테이너(42)의 내벽(423)을 관통하여 수용공간(424)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심지(61)는 삽입공간(426)과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61)는 수용공간(424)에 수용된 액상을 흡수할 수 있다.
히터(62)는 길게 연장되고, 전기가 흐르도록 구비되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62)는 심지(61)에 수회 감길 수 있다. 히터(62)는 발열되어 심지(61)에 흡수된 액상을 기화시킬 수 있다. 히터(62)는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을 통해 베이스(4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혹은 히터(62)는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을 관통하여 베이스(4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62)는 본체(50)의 내부에 실장된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필터(7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에어로졸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70)는 에어로졸이 카트리지(4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필터(70)는 베이스(4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는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 내를 유동하는 에어로졸(g)과 충돌할 수 있다. 필터(70)와 충돌한 에어로졸은 액화되어 필터(70)에 맺힐 수 있다.
필터(70)는 카트리지(40)와 일체로 본체(50)에 탈착될 수 있다. 필터(70)는 카트리지(40)와 일체로 교체될 수 있다. 에어로졸을 다량 흡수한 필터(70)는 카트리지(40)와 일체로 교체될 수 있다. 필터(70)는 컨테이너(42)에 수용된 액상의 양에 상응하는 흡수율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에서 본 필터(7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필터(70)는 복수개의 스트링이 엮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70)는 메쉬(mesh)의 형상이나 네트(ne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70)의 상기 복수개의 스트링 사이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스트링 사이의 간격은 1mm 내지 2mm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70)는 유입구(412a)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는 유입구(412a)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필터(70)와 부딪혀 액화된 에어로졸은 중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중력에 의해 액화된 에어로졸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70)와 필터(170)를 지지하는 리브(412b)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41)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유입구(412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412b)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412b)는 베이스(41)의 내측면 상에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412b)는 베이스(41)의 내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412b)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리브(412b)의 형상은 환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리브(412b)는 유입구(412a)를 둘러쌀 수 있다. 리브(412b)는 유입구(412a)의 둘레로부터 유입구(412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브(412b)는 베이스(41)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일정하게 돌출될 수 있다. 리브(412b)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170)는 리브(412b)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170)는 리브(412b)와 접할 수 있다. 필터(170)는 리브(412b)에 접착될 수 있다. 필터(170)는 리브(412b)의 외측 둘레면에 접착될 수 있다. 필터(170)는 유입구(412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41)의 내부공간(414)에서 유동하는 에어로졸(g)은 필터(170)에 부딪혀 액화될 수 있고,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필터(70, 170)와 부딪혀 액화된 에어로졸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베이스의 내부공간(414)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유입구(412a)를 통해 카트리지(4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는, 내벽(423)과 상기 내벽(423)을 둘러싸는 외벽(422)의 사이에 액상이 수용되는 컨테이너(42); 상기 컨테이너(42)의 내벽(423)의 내측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삽입공간(426);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을 흡수하는 심지(61); 상기 심지(61)의 주변을 가열하는 히터(62); 상기 삽입공간(426)과 연통되는 내부공간(414)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426)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컨테이너(42)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41); 상기 내부공간(414)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412)에 구비된 유입구(412a); 상기 베이스(41)의 측벽(412)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412a)를 덮는 필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간(426)은 외부로 개방된 개구(42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41)는: 상기 심지(61)에 대하여 상기 삽입공간(426)의 개구(425)와 대향하는 바닥(413); 및 상기 바닥(413)과 상기 컨테이너(42)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413)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42)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측벽(412)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412a)는 상기 바닥(413) 보다 상기 컨테이너(4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412a)는 상기 베이스(41)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41)의 측벽(412)을 관통하여 개구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는 상기 히터(62)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구비하는 본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41)는 상기 본체(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41)와 상기 컨테이너(42)는 일체로 상기 본체(5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50)에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42)를 덮는 케이싱(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41)의 측벽(412)의 내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70)는 상기 내측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41)는 상기 측벽(4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입구(412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412b)를 포함하고, 필터(170)는 상기 리브(412b)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412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스틱 20: 캡
30: 케이싱 40: 카트리지
50: 본체 61: 심지
62: 히터 70, 170: 필터
412a: 유입구 412b: 리브

Claims (8)

  1.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외벽의 사이에 액상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삽입공간;
    일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을 흡수하는 심지;
    상기 심지의 주변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컨테이너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구비된 유입구;
    상기 베이스의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덮는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은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심지에 대하여 상기 삽입공간의 개구와 대향하는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바닥 보다 상기 컨테이너에 가깝게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개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컨테이너는 일체로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를 덮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의 내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내측면 상에 구비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0014699A 2021-10-19 2022-02-04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5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5827 WO2023068733A1 (en) 2021-10-19 2022-10-18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06 2021-10-19
KR20210139806 202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913A true KR20230055913A (ko) 2023-04-26

Family

ID=860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699A KR20230055913A (ko) 2021-10-19 2022-02-04 에어로졸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9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466B2 (en) Electronic cigarette and soft absorption stem thereof
EP2614732A1 (en) Cartridge of electric cigarette for preventing leakage
KR20130084789A (ko) 전자담배
AU2020243278B2 (en) Flow directing member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CA3149750A1 (en) Electronic atomizing device and atomizer thereof
KR2023005591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5916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60715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3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2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910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458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156171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CN215936302U (zh) 雾化器
KR102589103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173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5958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1736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2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382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8245678U (zh) 电子雾化装置
KR102542022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327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354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