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94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947A
KR20230068947A KR1020220020207A KR20220020207A KR20230068947A KR 20230068947 A KR20230068947 A KR 20230068947A KR 1020220020207 A KR1020220020207 A KR 1020220020207A KR 20220020207 A KR20220020207 A KR 20220020207A KR 20230068947 A KR20230068947 A KR 2023006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enerating device
aerosol
aerosol generating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989B1 (ko
Inventor
김동성
권영범
김용환
임헌일
장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EP22893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12612A1/en
Priority to CN202280040150.8A priority patent/CN117529245A/zh
Priority to PCT/KR2022/017508 priority patent/WO2023085750A1/en
Publication of KR2023006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도전성 패드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임의 분해가 검출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멈출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를 통해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라이터와 같은 부가 용품 없이도 흡연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흡연이 가능해지는 등 사용자의 흡연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최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사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히터의 온도 프로파일을 설정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에어로졸의 발생양(또는 '무화량')을 늘리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시간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분해한 후, 히터의 온도 프로파일을 변경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는 등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임의로 튜닝(또는 '커스텀 튜닝')하는 사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임의 튜닝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작동 과정에서 히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게 상승하거나, 배터리가 폭발하는 등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임의 튜닝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임의 분해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임의 분해가 발생된 경우에 장치의 동작을 멈출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도전성 패드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탈착된 커버가 하우징에 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의 탈착 여부에 기초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르면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히터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궐련은 담배 로드 및 필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로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필터 로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트리지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주입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기체 상태, 겔(gel)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 및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액상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자를 통해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고,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약 100kHz 내지 약 3.5MHz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자에 전압(예: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진동자로부터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은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전달될 수 있다.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로부터 전달되는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기체의 상(phase)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점도가 낮아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미세 입자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서셉터(susceptor)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일은 서셉터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코일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코일의 내부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셉터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서셉터가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여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서셉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크래들(crad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서 구현 가능한 형태로 실시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이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110)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히터,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으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상에는 하우징(100)과 커버(110)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단면이 반원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기둥(예: 삼각형 기둥 또는 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00h)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은 수용 공간(100h)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또는 수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은 하우징(100)의 내부의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이 가열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과 수용 공간(100h)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어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예: 인쇄 회로 기판)을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시각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0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의 퍼프 동작의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의 남은 퍼프 횟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D)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히터의 동작 여부 및/또는 히터의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 (예: 도 1의 하우징(100)), 커버(110)(예: 도 1의 커버(11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인쇄 회로 기판(200)이 배치될 수 있으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10)는 도전성 패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드(120)는 커버(110)의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또는 '접지층')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드(120)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외부의 노이즈가 인쇄 회로 기판(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전성 패드(120)는 금속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도전성 패드(120)는 금속 외에 도전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형성된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 회로 기판(200)은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 영역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히터 및 배터리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히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작동적으로 연결된다(operatively connected)'는 표현은 구성 요소들이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거나, 광학적 신호 및/또는 자기 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센서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의 제어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의 구체적인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기적 연결 부재(210)는 커버(110)의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이 도전성 패드(120)와 접촉하고,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다른 영역이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접촉함에 따라,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200)은 도전성 패드(120)에 접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인쇄 회로 기판(200)에 유입되는 노이즈가 차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210)는 도전성 클립 또는 C-클립(C-clip)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는 전선(wire),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또는 케이블(cab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일 영역에 배치되고,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파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는 표현은 전기적 연결 관계가 해제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 연결 관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커버(110)가 탈착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의 발생양을 늘리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시간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분해하여 임의로 튜닝(또는 '커스텀 튜닝')하는 상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임의 튜닝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히터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동작 과정에서 배터리가 폭발하는 등의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파손 구조체(300)를 통해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킴으로써, 커버(110)의 탈착 여부를 검출하고, 커버(110)의 탈착이 검출되는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켜 사용자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가 파손 구조체(300)에 의해 파손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 커버(110),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 시에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는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파손 구조체(300)가 커버(11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커버(11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 구조체(300)에 의해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는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 과정에서 커버(110)가 파손 구조체(300)와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접촉하지 않도록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결합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00)과 커버(110)가 결합됨에 따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은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접촉하고, 다른 영역은 커버(110)에 배치된 도전성 패드(120)와 접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손 구조체(3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우징(100)과 커버(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파손 구조체(3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일 영역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310) 및 제1 부분(310)의 일 영역에서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의 일 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파손 구조체(3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미도시)에서,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의 일단에서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예: 약 60° 내지 80°)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은 하우징(100)과 커버(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은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임의로 탈착 또는 분리되기 시작함에 따라, 파손 구조체(3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전기적 연결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0)의 탈착에 의해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예: 도 3a의 제2 부분(320))은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접촉할 수 있다.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에는 압력 또는 응력(strees)이 가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은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은 제2 부분(320)에 의한 압력 또는 응력에 의해 구부러져(bended)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식으로 파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탈착된 커버가 하우징에 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커버(110)의 탈착에 의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이 파손된 후, 커버(110)가 하우징(100)에 재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는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됨에 따라, 커버(110)가 하우징(100)에 재결합되더라도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버(110)의 탈착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예: 도 3b의 일 영역(211))이 파손됨에 따라,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도전성 패드(120)와는 접촉할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커버(110)가 하우징(100)에 재결합되더라도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한 번이라도 탈착되는 경우,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 구조체(300)에 파손되게 함으로써, 커버(110)가 하우징(100)에 재결합되는 경우에도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파손에 따른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110)의 탈착 여부를 검출하고, 커버(110)가 탈착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으나, 프로세서의 제어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 커버(110),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파손 구조체(300)의 형상이 변형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될 때, 커버(110)의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을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파손 구조체(3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curved-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파손 구조체(3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0)과 커버(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일 영역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10) 및 제1 부분(310)의 일 영역에서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향해 만곡된(curved) 제2 부분(32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은 하우징(100)과 커버(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제2 부분(320)은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0)은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에 압력 또는 응력을 가함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는 제2 부분(320)이 제1 부분(310)의 일 영역에서 제1 부분(310)의 길이 방향(또는 '제1 방향)을 향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연결 부분에 필렛(fillet)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연결 부분이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을 위해 커버(11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와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연결 부분이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커버(11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커버(110)의 탈착에 의해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커버(110)가 탈착되지 않았음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연결 부분에 필렛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하우징(100)과 커버(110)의 결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커버(110)의 탈착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 커버(110),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파손 구조체(300)의 형상이 변형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파손 구조체(300)는 커버(110)의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될 때, 커버(110)의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을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파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손 구조체(300)는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및 제3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커버(110)의 일 영역에서 인쇄 회로 기판(200)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0)은 커버(110)의 인쇄 회로 기판(200)을 마주보는 일 영역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의 일 영역에서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의 인쇄 회로 기판(200)과 인접한 일단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부분(330)은 제2 부분(320)의 일 영역에서 제2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30)은 제2 부분(320)의 일단에서 제2 방향과 수직하고, 제1 방향과 평행한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및 제3 부분(330)의 상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파손 구조체(300)는 측면에서 봤을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손 구조체(300)는 제2 부분(320)과 제3 부분(330)은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 구조체(300)의 제2 부분(320) 및 제3 부분(330)은 커버(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될 때,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물리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은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제2 부분(320)과 제3 부분(330)의 사이의 연결 영역에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부분(320)과 제3 부분(330)은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에 압력 또는 응력을 가함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상술한 파손 구조체(300)를 통해 커버(110)의 탈착 시, 전기적 연결 부재(210)와 파손 구조체(300)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효과적으로 파손시킬 수 있어, 커버(110)의 탈착 여부 검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하우징(100), 커버(110),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파손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파손 구조체(300)의 제3 부분(330)의 형상이 변형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파손 구조체(300)의 제3 부분(330)은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접촉하는 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선단부(또는 '첨단부')'는 끝단이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단부는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와 접촉하는 제3 부분(33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30)의 선단부는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에 압력 또는 응력을 가함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211)을 파손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상술한 파손 구조체(300)를 통해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 구조체(300)의 날카로운 선단부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 구조체(300)의 날카로운 선단부와 접촉함에 따라, 파손 구조체(300)의 평평한 부분과 접촉할 때에 비해 전기적 연결 부재(210)에 더 큰 압력 또는 응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커버(110)의 탈착 시에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손시켜 커버(110)의 탈착 여부 검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101), 도전성 패드(120), 인쇄 회로 기판(200), 전기적 연결 부재(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a 내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히터(101)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히터(101)는 유도 가열식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교번적인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또는 '전기 전도성 코일') 및 코일에서 생성되는 교번적인 자기장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히터(101)는 전기 저항성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필름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히터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필름 히터가 열을 발생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히터(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침 형 히터, 봉 형 히터 및 관 형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히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 영역에 삽입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히터(101)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지정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면 히터의 실시예는 가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지정된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기 설정된 온도일 수 있으나, 해당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종류 및/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D)는 적어도 일 영역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스플레이(D)는 사용자의 퍼프 동작의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남은 퍼프 횟수에 관한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D)에서 출력되는 시각적인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에 대한 사용자이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D)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모드, 히터(101)의 동작 여부 및/또는 히터(101)의 온도 프로파일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및/또는 호버링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사용자 입력의 종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 영역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히터(101) 및/또는 디스플레이(D)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히터(10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D)에서 출력되는 시각적인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커버(예: 도 3a의 커버(110))의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검출하고,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의 탈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가 하우징(예: 도 3a의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파손 구조체(예: 도 3a 내지 도 6의 파손 구조체(300))에 의해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일 영역이 파손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파손에 따른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의 탈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커버의 탈착이 검출된 경우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된 경우, 커버가 하우징에 재결합되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프로세서(220)의 커버의 탈착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의 탈착 여부에 기초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의 탈착 여부에 기초한 제어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220)는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이 전기적 연결 부재(2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가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해제되는 경우,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일 예시에서, 커버(예: 도 3a의 커버(110))가 하우징(예: 도 3a의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됨에 따라, 파손 구조체(예: 도 3a 내지 도 6의 파손 구조체(300))에 의해 전기적 연결 부재(210)가 파손되어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해제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20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20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나,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전류 또는 전압 변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가 탈착됨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200)의 커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하고, 프로세서(2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8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220)는 801 단계에서 검출된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인지 또는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이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량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전기적 연결 부재(210)의 파손에 의해 도전성 패드(120)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고,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값'은 커버의 탈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인쇄 회로 기판(20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량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20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량이 지정된 값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이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220)는 802 단계에서 커버의 탈착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히터(101)의 가열 온도를 높이는 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임의 튜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프로세서(22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임의 튜닝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80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220)는 803 단계에서 커버의 탈착이 검출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튜닝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경우, 작동 과정에서 히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게 상승하거나, 배터리가 폭발하는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프로세서(22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된 경우, 히터(10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이 삽입되더라도 히터(101)의 동작을 중단시켜 사용자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커버의 탈착이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D)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803 단계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프로세서(220)는 801 단계 내지 803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커버의 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상술한 801 단계 내지 804 단계를 통해 커버의 탈착 검출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임의 튜닝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상술한 801 단계 내지 804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임의 튜닝을 방지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는 제어부(910), 센싱부(920), 출력부(930), 배터리(940), 히터(950), 사용자 입력부(960), 메모리(970) 및 통신부(9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내부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설계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센싱부(9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9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95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궐련, 카트리지 등)의 삽입 여부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920)는 온도 센서(922), 삽입 감지 센서(924) 및 퍼프 센서(9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 센서(922)는 히터(95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는 히터(95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히터(950)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922)는 배터리(94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배터리(940)의 주위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삽입 감지 센서(92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감지 센서(924)는 필름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저항성 센서, 용량성 센서, 유도성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및/또는 제거됨에 따른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센서(926)는 기류 통로 또는 기류 채널의 다양한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926)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920)는 전술한 센서(922 내지 926) 외에, 온/습도 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출력부(9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930)는 디스플레이부(932), 햅틱부(934) 및 음향 출력부(9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932)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93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배터리(940)의 충/방전 상태, 히터(950)의 예열 상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제거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사용이 제한되는 상태(예: 이상 물품 감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932)는 상기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3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932)는 LED 발광 소자 형태일 수도 있다.
햅틱부(934)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부(934)는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9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936)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9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940)는 히터(95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9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예: 센싱부(920), 출력부(930), 사용자 입력부(960), 메모리(970) 및 통신부(9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9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94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950)는 배터리(9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는 배터리(940)의 전력을 변환하여 히터(950)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예: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는 배터리(940)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10), 센싱부(920), 출력부(930), 사용자 입력부(960), 메모리(970) 및 통신부(980)는 배터리(9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940)의 전력을 변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 예를 들면 LDO(low dropout) 회로 또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95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950)는 금속 열선(heat 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터(950)는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950)는 코일에 의해 인가된 자기장을 통해 발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9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connection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배터리(940)를 충전할 수 있다.
메모리(9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제어부(9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98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80)는 근거리 통신부(982) 및 무선 통신부(984)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982)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984)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부, 인터넷 통신부,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984)는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를 확인 및 인증할 수도 있다.
제어부(9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배터리(940)의 전력을 히터(95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히터(9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10)는 배터리(940)와 히터(950) 사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9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열직접회로가 히터(9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910)는 센싱부(9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분석하고, 이후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10)는 센싱부(9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95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9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910)는 센싱부(9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95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95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센싱부(9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926)를 통해 카운트 된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910)는 디스플레이부(932), 햅틱부(934) 및 음향 출력부(93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900)가 곧 종료될 것을 예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10)는 센싱부(920)에 의해 감지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의 상태에 따라 히터(950)에 대한 전력 공급 시간 및/또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이 과습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910)는 유도 코일(예: 도 2의 유도 코일(124))에 대한 전력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이 일반적인 상태인 경우보다 예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20: 에어로졸 생성 물품
100: 하우징
101: 히터
110: 커버
120: 도전성 패드
200: 인쇄 회로 기판
210: 전기적 연결 부재
220: 프로세서
300: 파손 구조체
310: 제1 부분
320: 제2 부분
330: 제3 부분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며,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도전성 패드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파손 구조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구조체는 상기 커버의 일 영역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의 탈착 시에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구조체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bent shape)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구조체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curved shape)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구조체는,
    상기 커버의 일 영역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커버의 탈착 시에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구조체는,
    상기 제2 부분의 일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3 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탈착 시에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파손시키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커버의 탈착 시에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 영역과 접촉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일 영역이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하고, 다른 영역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는 도전성 클립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라운드(ground)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교번적인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교번적인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파손에 따른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도전성 패드의 사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의 탈착 여부를 검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 또는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의 탈착 여부를 검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량 또는 전압의 변화량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었다고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탈착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탈착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히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20020207A 2021-11-11 2022-02-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6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93170.5A EP4312612A1 (en) 2021-11-11 2022-11-09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02280040150.8A CN117529245A (zh) 2021-11-11 2022-11-09 气溶胶生成装置
PCT/KR2022/017508 WO2023085750A1 (en) 2021-11-11 2022-11-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5181 2021-11-11
KR1020210155181 2021-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947A true KR20230068947A (ko) 2023-05-18
KR102660989B1 KR102660989B1 (ko) 2024-04-26

Family

ID=8654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207A KR102660989B1 (ko) 2021-11-11 2022-02-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9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476A (ko) * 2013-03-15 2015-11-25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흡연기
WO2016208757A1 (ja) * 2015-06-26 2016-12-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
KR20170129704A (ko) * 2015-03-25 2017-11-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접점을 구비한 일체형 평면
WO2021069520A1 (en) * 2019-10-07 2021-04-15 Jt International Sa Energy storage assembl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476A (ko) * 2013-03-15 2015-11-25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흡연기
KR20170129704A (ko) * 2015-03-25 2017-11-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접점을 구비한 일체형 평면
WO2016208757A1 (ja) * 2015-06-26 2016-12-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
WO2021069520A1 (en) * 2019-10-07 2021-04-15 Jt International Sa Energy storage assembly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989B1 (ko)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894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348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00665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7529245A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67333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34020A (ko)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6894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88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1772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3171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7356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451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3362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413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8187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20240044117A (ko) 가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4521934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23003171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872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7651507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附件及包括附件的气溶胶生成系统
KR20230173568A (ko)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6972A (ko)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92637A (ko) 알림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2108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0131A (ko) 에어로졸 발생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