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569A -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 Google Patents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569A
KR20230141569A KR1020230040305A KR20230040305A KR20230141569A KR 20230141569 A KR20230141569 A KR 20230141569A KR 1020230040305 A KR1020230040305 A KR 1020230040305A KR 20230040305 A KR20230040305 A KR 20230040305A KR 20230141569 A KR20230141569 A KR 20230141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sulating film
particles
content
powd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마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036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152791A/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5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4Treatment of metallic powder
    • B22F1/142Thermal or thermo-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4Treatment of metallic powder
    • B22F1/145Chemical treatment, e.g. passivation or decarbu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6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in successive or repeated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08Fe-Ni based alloys
    • H01F1/14733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 H01F1/14741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 H01F1/1475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3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2/25Oxide
    • B22F2302/256Silicium oxide (SiO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10Micron size particles, i.e. above 1 micrometer up to 500 micro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bstract

연자성 금속 입자와, 연자성 금속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입계상을 갖고, 입계상에는 Si 및 Ti가 존재하는 압분 자심.

Description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DUST CORE AND MAGNETIC COMPONENT}
본 개시는,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편평 분말의 애스펙트비를 제어하고, 또한, 편평 분말을 피복하는 절연 피복이 티탄알콕시드류를 포함하는 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복수 종류의 산화막에 의해 피복된 연자성 합금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재료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5/033825호 일본국 특허공개 2018-11043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는, 초투자율 μi가 높은 압분 자심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은, 연자성 금속 입자와,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입계상을 갖고,
상기 입계상에는 Si 및 Ti가 존재한다.
상기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이, 상기 압분 자심에 대한 질량 기준으로 100ppm 이상 3000ppm 이하여도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가 Fe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가, 코어 입자와, 상기 코어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가져도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Si의 산화물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에 있어서, 상기 코어 입자가 Fe를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자성 부품은, 상기 어느 하나의 압분 자심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각종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수치, 형상, 재료, 제조 공정 등은, 기술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변하거나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도면에 나타내어진 형상 등은, 실제의 형상 등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설명을 위해서 형상 등을 개변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자성 입자(코어 입자)(11) 및 입계상(12)을 포함한다. 또한, 코어 입자(11)의 표면(11a)에 형성되는 절연막(13)을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연자성 금속 입자는, 코어 입자(11)와, 코어 입자(11)의 표면(11a)에 형성되는 절연막(13)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절연막(13)은 코어 입자(11)를 피복하고 있다.
코어 입자(11)의 성분은 자성을 나타내는 재료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코어 입자(11)가 Fe를 포함해도 된다. 코어 입자(11)가 Fe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화 자화가 높아지기 쉽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S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초투자율 μi가 높아지기 쉽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N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초투자율 μi가 높아지기 쉽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Co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초투자율 μi가 높아지기 쉽다.
또한,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란,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원소 각각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원소의 합계 함유 비율이 40중량% 이상이고, 또한,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원소 이외의 원소 각각의 함유 비율이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원소 중 함유 비율이 가장 낮은 원소의 함유 비율보다 낮음을 가리킨다.
코어 입자(11)가 Fe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Fe의 함유 비율이 40중량% 이상이고, 또한, Fe 이외의 각 원소의 함유 비율이 Fe의 함유 비율보다 낮다. 또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주성분 이외의 성분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주성분(Fe) 이외의 성분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Ni, Co, Si, Zr, V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S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Fe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Si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Fe 및 Si의 합계 함유 비율이 40중량% 이상이고, 또한, Fe 및 Si 이외의 각 원소의 함유 비율이 Fe와 Si 중 함유 비율이 낮은 원소의 함유 비율보다 낮다. 또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주성분 이외의 성분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주성분(Fe 및 Si) 이외의 성분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Ni, Co, Zr, V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입자(11)가 Fe, 또는, Fe 및 S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Fe와 Si의 함유 비율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량비로 Si/Fe=0/100~20/80이어도 된다. 중량비로 Si/Fe=0/100~10/90인 경우에, 포화 자화가 높아지기 쉽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N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Fe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Ni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Fe 및 Ni의 합계 함유 비율이 40중량% 이상이고, 또한, Fe 및 Ni 이외의 각 원소의 함유 비율이 Fe와 Ni 중 함유 비율이 낮은 원소의 함유 비율보다 낮다. 또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주성분 이외의 성분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주성분(Fe 및 Ni) 이외의 성분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Co, Si, Zr, V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입자(11)가 Fe, 또는, Fe 및 N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Fe와 Ni의 함유 비율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량비로 Ni/Fe=0/100~75/25여도 된다.
코어 입자(11)가 Fe 및 Co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Fe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Co의 함유 비율이 1중량% 이상이고, Fe 및 Co의 합계 함유 비율이 40중량% 이상이고, 또한, Fe 및 Co 이외의 각 원소의 함유 비율이 Fe와 Co 중 함유 비율이 낮은 원소의 함유 비율보다 낮다. 또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주성분 이외의 성분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주성분(Fe 및 Co) 이외의 성분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Ni, Si, Zr, V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입자(11)가 Fe, 또는, Fe 및 Co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Fe와 Co의 함유 비율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량비로 Co/Fe=0/100~50/50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1)은, 연자성 금속 입자와,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입계상(12)을 갖는다. 그리고, 입계상(12)에 Si 및 Ti가 존재한다.
입계상(12)에 Si 및 Ti를 존재시키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Si를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에 Ti를 포함시키고, 연자성 금속 입자와 혼합하여 입계상(12)을 형성해도 된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계의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입계상(12)에 Ti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Ti를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등한 밀도로 압분 자심(1)의 초투자율 μi가 향상되기 쉬워진다.
입계상(12)에는, Si를 포함하는 수지에 추가하여 Si를 포함하는 수지 이외의 성분이 혼재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이미드 수지, Si-O계 산화물, Ca-O계 산화물, Ba-O계 산화물, 및/또는, Bi-O계 산화물 등이 Si를 포함하는 수지와 혼재해도 된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크레졸 노볼락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열처리에 의해, 입계상(12)에 포함되는 실리콘 수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SiO2 등의 Si-O계 산화물로 변성되는 경우가 있다.
코어 입자(11)의 함유량, 및, 입계상(12)에 포함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압분 자심(1) 전체에서 차지하는 코어 입자(11)의 함유량은 90중량%~99.9중량%여도 된다. 압분 자심(1) 전체에서 차지하는 입계상(12)에 포함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0.1중량%~10중량%여도 된다.
입계상(12)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압분 자심(1)에 대한 질량 기준으로 100ppm 이상 3000ppm 이하여도 된다.
Ti의 함유 비율이 상기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또한 초투자율 μi가 향상되기 쉬워진다.
절연막(13)은 코어 입자(11)의 표면(11a) 전체를 피복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코어 입자(11)의 표면(11a) 전체의 90% 이상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절연막(13)은 Si의 산화물을 포함해도 된다. 절연막(13)에 포함되는 Si의 산화물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Si-O계 산화물(실리콘 산화물)이어도 된다. 또, Si-O계 산화물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SiO2 등의 Si의 산화물 이외에, Si 및 그 외의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등이어도 된다. 그 외의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이 절연성이 있는 Ba, Ca, Mg, Al, Ti, Nb, Ta, Zr, Ni, Mn, Zn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원소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Si의 함유량에 대한 함유 비율이 각각 1mol% 이하여도 된다.
절연막(13)은 코어 입자(11)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된다. 즉, 코어 입자(11)의 표면(11a)과 절연막(13)이 접하고 있어도 되고, 코어 입자(11)의 표면(11a)과 절연막(13) 사이에 절연막(13) 이외의 막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막(13) 이외의 막의 재질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절연막(13) 이외의 막이 Si 및 O를 포함하고, 또한, 코어 입자(11)에 포함되는 원소(예를 들면 Fe)를 포함하는 막이어도 된다. 또, 절연막(13) 이외의 막이 인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이어도 된다. 절연막(13) 이외의 막이 개재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절연막(13) 이외의 막의 두께는 20nm 이하여도 된다.
절연막(13)은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절연막(13) 이외의 막이 Si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Ti를 포함하지 않는 막이어도 된다.
절연막(13)에 있어서 Ti가 어떻게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절연막(13)에 Ti의 단체가 점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절연막(13)에 Ti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Ti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티탄알콕시드나 티타네이트(Ti를 중심 금속으로 하는 금속 착체) 등의 Ti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Ti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Ti의 단순 산화물이어도 되고, Ti와 다른 원소의 복합 산화물이어도 된다.
절연막(13)에 있어서의 Ti의 함유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절연막(13)이 Ti에 추가하여, Ti 이외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산화물이 절연성이 있는 Ba, Ca, Mg, Al, Zr, Ni, Mn, Zn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a, Mg, Zr, Ni, Mn, Zn은 비교적 절연막에 도입하기 쉽다. Ti 이외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Ti의 함유량에 대한 함유 비율이 1mol% 이하여도 된다.
절연막(13)의 막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5nm 이상 500nm 이하여도 된다.
압분 자심(1)의 단면을 관찰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SEM 또는 TEM을 이용하여 적절한 배율로 압분 자심(1)을 관찰해도 된다. 또한, EDS 분석을 행함으로써, 압분 자심(1)의 각 개소에 있어서의 조성, 특히 Ti의 함유량 및 Si의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막(13)에 있어서의 Ti/(Si+Ti)를 측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Ti의 함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입계상(12)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우선, 상기의 측정으로 코어 입자(11)에 있어서의 Ti의 함유량 및 절연막(13)에 있어서의 Ti의 함유량을 측정한다. 그 후, 압분 자심(1) 전체의 Ti 함유량을 ICP로 정량한다. 그리고, 압분 자심(1) 전체의 Ti 함유량으로부터 코어 입자(11) 전체에 있어서의 Ti의 함유량 및 절연막(13) 전체에 있어서의 Ti의 함유량을 뺌으로써 입계상(12)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1)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나타내는데, 압분 자심(1)의 제조 방법은 하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코어 입자(11)를 제작한다. 코어 입자(11)의 제작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가스 아토마이즈법, 물 아토마이즈법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입자(11)의 입자경 및 원형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입자경의 중앙값(D50)은 1μm~100μm인 경우에는, 초투자율 μi가 높아지기 쉽다. 코어 입자(11)의 원형도는, 예를 들면, 0.5 이상 1 이하여도 되고, 0.7 이상 1 이하여도 되고, 0.8 이상 1 이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코어 입자(11)의 표면(11a)에 인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을 형성해도 된다. 인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음에,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하는 절연막(1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코어 입자(11)의 표면(11a)에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하는 절연막(13)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을 행한다. 또한, 코어 입자(11)의 표면(11a)에 인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인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의 표면에 절연막(13)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을 행한다. 코팅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알콕시실란 및 Ti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코어 입자(11)에 도포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코팅 용액을 코어 입자(11)에 도포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분무 확산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코팅 용액에 어떠한 상태로 Ti가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티탄알콕시드로서 Ti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티타네이트로서 Ti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티타네이트 또는 티탄알콕시드로서 Ti가 포함되고, 또한, 후술하는 압분체의 열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열처리에 의해 티타네이트 또는 티탄알콕시드가 분해된다. 이하, 코팅 용액에 티탄알콕시드를 첨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코팅 용액에 있어서의 알콕시실란의 농도, 티탄알콕시드의 농도, 및 용매의 종류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알콕시실란으로서는, 모노알콕시실란, 디알콕시실란, 트리알콕시실란, 테트라알콕시실란이 예시된다. 모노알콕시실란으로서는,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트리메틸에톡시실란, 트리메틸(페녹시)실란 등이 예시된다. 디알콕시실란으로서는,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t-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 t-부틸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이 예시된다. 트리알콕시실란으로서는,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예시된다. 테트라알콕시실란으로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등이 예시된다. 알콕시실란으로서는, 1종류의 알콕시실란을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알콕시실란을 병용해도 된다.
티탄알콕시드로서는, 티탄테트라메톡시드, 티탄테트라에톡시드, 티탄테트라-n-프로폭시드,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티탄테트라-n-부톡시드 등이 예시된다. 티탄알콕시드로서는, 1종류의 티탄알콕시드를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티탄알콕시드를 병용해도 된다.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티탄알콕시드가 티탄테트라에톡시드 또는 티탄테트라-n-부톡시드여도 된다.
알콕시실란의 농도 및 티탄알콕시드의 농도는 목적으로 하는 Ti/(Si+Ti)의 크기, 목적으로 하는 절연막(13)의 막두께 등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또, 코팅 용액의 용매의 종류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이 예시된다.
또, 분무 확산 시에 있어서, 코어 입자(11) 전량에 대한 알콕시실란의 비율은 0.1중량%~5중량%여도 된다. 또, 알콕시실란이 많을수록 절연막(13)의 막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분무 확산의 조건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0℃~90℃에서 열처리를 행하면서 분무 확산을 행함으로써, 절연막(13)을 형성하는 졸겔 반응이 촉진되기 쉽다.
코팅 용액을 분무 확산한 후의 코어 입자(11)를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에, 200℃~400℃에서 1시간~10시간 가열함으로써, 졸겔 반응이 진행되어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하는 절연막(13)이 형성된다. 이 때의 가열 온도가 높아 가열 시간이 길수록 절연막(13)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코어 입자(11)를 가열하기 전에, 코어 입자(11)를 메시의 체에 통과시켜 정립(整粒)해도 된다.
다음에, 후술하는 열처리 전의 압분체에 있어서의 입계상(12)이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지 용액을 제작한다. 수지 용액에는, 상기한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및/또는 이미드 수지 이외에, 경화제를 첨가해도 된다. 경화제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지 용액의 용매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휘발성의 용매여도 된다. 예를 들면, 아세톤,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지 용액 전체를 100중량%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지 및 경화제의 합계 농도는 10~8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시점에서 수지 용액에 Ti를 첨가함으로써, 입계상(12)에 Si 및 Ti가 존재하는 압분 자심이 얻어진다. 수지 용액에 어떠한 상태로 Ti가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티탄알콕시드로서 Ti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티타네이트로서 Ti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티탄알콕시드로서는, 티탄테트라메톡시드, 티탄테트라에톡시드, 티탄테트라-n-프로폭시드,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티탄테트라-n-부톡시드 등이 예시된다. 티탄알콕시드로서는, 1종류의 티탄알콕시드를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티탄알콕시드를 병용해도 된다.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티탄알콕시드가 티탄테트라에톡시드 또는 티탄테트라-n-부톡시드여도 된다. 또한, Ti의 첨가량을 제어함으로써, 입계상(12)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절연막(13)을 형성한 코어 입자(11), 즉 연자성 금속 입자와, 수지 용액을 혼합한다. 그리고, 수지 용액의 용매를 휘발시켜 과립을 얻는다. 얻어진 과립은 그대로 금형에 충전해도 되지만, 정립하고 나서 금형에 충전해도 된다. 정립하는 경우의 정립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체눈 크기 45~500μm의 메시를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얻어진 과립을 소정의 형상의 금형에 충전하고, 가압하여 압분체를 얻는다. 가압 시의 압력(성형 압력)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500~1500MPa로 할 수 있다. 성형 압력이 높을수록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압분 자심(1)의 초투자율 μi가 높아진다.
입계상(12)에 Ti가 존재하는 경우와 T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면, 성형 압력이 동일해도 입계상(12)에 Ti가 존재하는 경우의 쪽이 압분 자심(1)의 초투자율 μi가 높아진다.
제작한 압분체를 압분 자심으로 해도 된다. 또, 제작한 압분체에 대해, 열처리를 행하고, 당해 열처리에 의해 제작한 소결체를 압분 자심으로 해도 된다. 열처리의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수지로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수지가 소결하는 조건으로 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400℃~1000℃에서 0.1시간~10시간, 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 열처리 시의 분위기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대기 중에서 열처리를 해도 되고, 질소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해도 된다.
압분체에 티타네이트 또는 티탄알콕시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열처리에 의해 티타네이트 또는 티탄알콕시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해되어도 된다. 특히 티타네이트에 관해서는 700℃ 이상 1000℃ 이하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그 전부를 분해시킬 수 있다. 즉, 700℃ 이상 1000℃ 이하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소결체에 티타네이트가 포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분 자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개시의 압분 자심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개시의 압분 자심의 용도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인덕터, 리액터, 초크 코일, 트랜스 등의 자성 부품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자성 부품은 상기의 압분 자심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더욱 상세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예 1)
금속 자성 입자(코어 입자)로서, 중량비로 Si/Fe=4.5/95.5이며, Fe와 Si의 합계량이 99중량% 이상인 Fe-Si계 합금 입자(Fe 및 Si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합금 입자)를 가스 아토마이즈법으로 제작했다. 또한, 당해 Fe-Si계 합금 입자의 입자경의 중앙값(D50)은 30μm였다.
다음에, 상기 금속 자성 입자의 표면에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용액을 제작했다. 코팅 용액은 상기 금속 자성 입자의 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15중량부의 에탄올, 트리메톡시실란, 및, 2.0중량부의 순수를 혼합하여 제작했다. 트리메톡시실란의 함유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절연막의 막두께가 50nm가 되도록 했다.
상기 금속 자성 입자 및 상기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분무 확산하면서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 온도는 80℃, 열처리 시간은 1시간으로 했다. 또한, 열처리 후에 건조함으로써 표면에 절연막을 갖는 금속 자성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금속 자성 입자를 140메시의 체에 통과시킨 후에 열처리를 행했다. 열처리 온도는 300℃, 열처리 시간은 5시간으로 했다.
다음에, 실리콘 수지 및 아세톤을 혼합하여 수지 용액을 제작했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신에츠 실리콘 KR-242A(신에츠화학공업사)를 이용했다. 실리콘 수지 및 아세톤의 중량비가 34:66이 되도록 혼합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용액에 티탄테트라-n-부톡시드를 첨가했다. 티탄테트라-n-부톡시드의 첨가량은,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이, 압분 자심에 대한 질량 기준으로 표 1에 기재되는 값이 되도록 했다.
상기의 금속 자성 입자의 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상기의 수지 용액을 6중량부 첨가하고, 혼합했다. 다음에 건조시켜 아세톤을 휘발시켜 과립을 얻었다. 다음에, 과립을 42메시의 체에 통과시켜 정립했다. 얻어진 과립을 50℃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0.5시간, 건조시켜 조립분(造粒粉)을 제작했다.
조립분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아르산아연을 0.1중량부 첨가하고, 금형 성형을 행하여 토로이달 코어를 얻었다. 조립분의 충전량을 5g으로 했다. 성형압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밀도가 6.4g/cm3 정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했다. 금형의 형상은 외경 Φ17.5mm, 내경 Φ10.0mm, 두께 4.8mm의 토로이달 형상으로 했다.
얻어진 토로이달 코어에 대해 700℃에서 1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토로이달 압분 자심을 얻었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압분 자심 전체를 100중량%로 하고, 금속 자성 입자가 98중량% 정도가 되도록 했다.
TEM-EDS 관찰에 의해, 금속 자성 입자를 피복하고 있는 절연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Ti가 실질적으로 입계상에만 포함되고 절연막에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량을 ICP로 정량하고,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총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절연막의 막두께는 TEM 관찰에 의해 계측했다. 금속 자성 입자의 표면에 측정점을 설정했다. 그리고, 당해 측정점으로부터 절연막의 방향으로 수선을 긋고, 당해 수선 중 절연막에 있는 부분의 길이를 당해 측정점에 있어서의 절연막의 두께로 했다. 측정점을 10점 설정하여 각 측정점에 대해 절연막의 두께를 측정했다. 그리고, 측정한 절연막의 두께의 평균을 당해 금속 자성 입자에 있어서의 절연막의 두께로 했다.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절연막의 두께가 50nm 정도인 것을 확인했다.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초투자율 μi는, 토로이달 압분 자심에 와이어를 권수 50턴으로 감아, LCR 미터(HP사 LCR428A)에 의해 측정했다. 초투자율 μi는 45.0 이상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50.0 이상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했다.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밀도는 얻어진 압분 자심의 치수 및 중량으로부터 산출했다.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6.4g/cm3 정도인 것을 확인했다.
표 1로부터,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밀도를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입계상에 Si 및 Ti가 존재하는 각 실시예는 입계상에 Ti가 존재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초투자율 μi가 높아졌다.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이, 압분 자심에 대한 질량 기준으로 100ppm 이상 3000ppm 이하인 각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초투자율 μi가 더욱 높아졌다.
(실험예 2)
실험예 2는, 코팅 용액에 티탄테트라-n-부톡시드를 첨가한 점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토로이달 압분 자심을 제작했다. 트리메톡시실란과 티탄테트라-n-부톡시드의 비율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코팅막에 있어서의 Ti/(Si+Ti)가 표 2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했다.
실험예 2에서는, TEM-EDS 관찰에 의해, 금속 자성 입자를 피복하고 있는 절연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Ti가 실질적으로 절연막 및 입계상에만 포함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절연막에 있어서의 Ti/(Si+Ti)를 EDS로 정량했다. 절연막에 있어서 측정 개소를 10개소 설정하고, 각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Ti/(Si+Ti)를 평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험예 2에 있어서의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의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절연막 전체에 있어서의 Ti 함유량 및 코어 입자 전체에 있어서의 Ti 함유량을 EDS로 정량하고, 토로이달 압분 자심 전체의 Ti 함유량을 ICP로 정량했다. 그리고, 토로이달 압분 자심 전체의 Ti 함유량으로부터 절연막 전체에 있어서의 Ti 함유량 및 코어 입자 전체에 있어서의 Ti 함유량의 합계를 뺌으로써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그리고, 토로이달 압분 자심의 총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로부터, 입계상에 추가하여 절연막에 Ti가 포함되는 경우여도 양호한 초투자율 μi가 얻어졌다.
1: 압분 자심 11: 금속 자성 입자(코어 입자)
11a: 금속 자성 입자의 표면 12: 입계상
13: 절연막

Claims (8)

  1. 연자성 금속 입자와,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입계상을 갖고,
    상기 입계상에는 Si 및 Ti가 존재하는, 압분 자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계상에 존재하는 Ti의 함유 비율이, 상기 압분 자심에 대한 질량 기준으로 100ppm 이상 3000ppm 이하인, 압분 자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가 Fe를 포함하는, 압분 자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입자가, 코어 입자와, 상기 코어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갖는, 압분 자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Si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압분 자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이 Si의 산화물 및 Ti를 포함하는, 압분 자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어 입자가 Fe를 포함하는, 압분 자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압분 자심을 포함하는, 자성 부품.
KR1020230040305A 2022-03-31 2023-03-28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KR20230141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59097 2022-03-31
JP2022059097 2022-03-31
JPJP-P-2023-036001 2023-03-08
JP2023036001A JP2023152791A (ja) 2022-03-31 2023-03-08 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569A true KR20230141569A (ko) 2023-10-10

Family

ID=8819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305A KR20230141569A (ko) 2022-03-31 2023-03-28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17334A1 (ko)
KR (1) KR202301415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825A1 (ja) 2013-09-03 2015-03-1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磁性部材用絶縁被覆粉末
JP2018011043A (ja) 2016-06-30 2018-01-18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及び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825A1 (ja) 2013-09-03 2015-03-1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磁性部材用絶縁被覆粉末
JP2018011043A (ja) 2016-06-30 2018-01-18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及び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7334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6305B (zh) Iron-based soft magnetic powder and dust core for powder core
JP6504287B1 (ja) 軟磁性金属粉末、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EP1912225B1 (en) Soft magnetic material,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material, powder compressed magnetic cor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magnetic core
JP6504288B1 (ja) 軟磁性金属粉末、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JP7283031B2 (ja) 圧粉磁心
US8241557B2 (en) Method for producing dust core
WO2014157517A1 (ja) リアクトル用圧粉磁心
TW200845056A (en) Soft magnetic alloy powder, compact, and inductance element
JP7179617B2 (ja) シリカ系絶縁被覆軟磁性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45905B2 (ja) 軟磁性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15206A1 (ja) 軟磁性粉末、磁心および電子部品
CN108573786B (zh) 压粉磁芯
KR20230141569A (ko)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JP6617867B2 (ja) 軟磁性粒子粉末及び該軟磁性粒子粉末を含む圧粉磁心
JP7069849B2 (ja) 圧粉磁心
KR20230141548A (ko) 연자성 금속 입자, 압분 자심 및 자성 부품
JP2009059787A (ja) 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2023152791A (ja) 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JP2023152790A (ja) 軟磁性金属粒子、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JP2023150133A (ja) 軟磁性金属粒子、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JP2018206834A (ja) 圧粉磁心
CN116895421A (zh) 压粉磁芯以及磁性部件
JP5405728B2 (ja) 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CN116895419A (zh) 软磁性金属颗粒、压粉磁芯以及磁性部件
JP4723609B2 (ja) 圧粉磁心、圧粉磁心の製造方法、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