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247A -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 Google Patents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247A
KR20230141247A KR1020220040582A KR20220040582A KR20230141247A KR 20230141247 A KR20230141247 A KR 20230141247A KR 1020220040582 A KR1020220040582 A KR 1020220040582A KR 20220040582 A KR20220040582 A KR 20220040582A KR 20230141247 A KR20230141247 A KR 2023014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supply
plug
supply outle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정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웅 filed Critical 정재웅
Priority to KR102022004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247A/ko
Priority to PCT/KR2023/002333 priority patent/WO2023191309A1/ko
Publication of KR2023014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공급되는 기존 콘센트에 장착되는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는, 내부에 제어기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허가에 대한 코드를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키패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홈;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존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자체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플러그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결합 방향으로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자체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 후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POWER SUPPLYING CONCENT WITH KEY PAD}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콘센트에 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고유의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와 같은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되, 기존 콘센트에 결합 방향을 바꾸어 쉽게 장착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에 대한 것이다.
배기가스 규제 및 탄소 배출의 저감을 위한 각국의 노력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주요 자동차 회사가 전기 자동차를 생산 판매를 하더라도, 보다 빠른 전기차 시장의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와 같은 사회적 인프라가 구축이 필요하다.
종래의 전기 자동차는 정해진 전기 자동차 충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 비용에 대한 요금 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전기 자동차 등, 개인 소유의 전기 차량이 아파트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함께 거주하는 공공 주택과 공공 시설물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 전기 사용량에 대한 과금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공 시설물에서 전기 차량을 충전할 때, 전기를 사용하는 자에게 사용량에 상응하는 정확한 과금을 지불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충전소의 경우, 전기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기로부터 실제 사용한 전력량을 계측하고 이에 대한 전력요금을 산출한 후 사용자가 직접 충전기기에 설치된 결제장치를 통하여 신용카드 등으로 지불하는 후불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기는 제한된 사업자가 대규모의 시설 투자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수의 사업자 만이 전기 충전소의 사업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 주차장과 같은 공동 시설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의 경우 전기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확한 과금을 하지 못하여 다른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콘센트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전기 사용자에게 사용량에 따라 정확한 과금을 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큰 시설 투자 없이 자신이 소유한 전기시설을 이용하여 타인에게 전기를 공급하면서 과금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콘센트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61603호 (2014.5.22)
본 발명은 기존 전원 콘센트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전기차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간편하게 과금을 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암호화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안성이 우수한 전원 공급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콘센트에 결합 방향을 변환시키면서 다양한 각도로 장착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공급되는 기존 콘센트에 장착되는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는, 내부에 제어기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허가에 대한 코드를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키패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홈;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존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자체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플러그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결합 방향으로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자체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 후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결합홈과 상기 자체 플러그는 서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홈은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자체 플러그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전차단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존 콘센트가 마련된 벽면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벽면 고정용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발열을 발산하기 위한 복수의 열 방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코드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는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를 통해 전원 활성화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는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는 기존의 과금 체계를 개선할 수 있고, 전기 공급이 가능한 시설물의 소유자가 복잡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결제와 관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전원 콘센트에 간단하게 장착함으로써 과금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개소를 확대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 보급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매번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매번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콘센트에 결합 방향을 변환시키면서 다양한 각도로 장착하면서 사용되지 않는 기존 콘센트를 가릴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면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를 벽체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장착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를 벽체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장착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에서 플러그 결합홈의 기본위치에 있는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에서 플러그 결합홈이 90도 회전한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면 부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벽체 등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장착되어, 전기 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또는 전기 자전거와 같은 전기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전기 충전이 가능한 외부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개인 주택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공공 시설물 등의 전력공급 망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전기가 공급되는 기존의 전기 콘센트 상에 간단히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하우징(110), 키패드(140), 플러그 결합홈(150), 및 자체 플러그(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서 내부에 제어기(13), 인쇄회로기판(120) 및 다른 부속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하우징(110a)과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110b)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이 결합하여 전체적인 하우징(110)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전면 하우징(110a)에는 플러그 결합홈(150)을 노출하기 위한 제1 플러그 노출홀(114)이 마련될 수 있고, 후면 하우징(110b)에는 자체 플러그(16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2 플러그 노출홀(115)이 마련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10b)에는 후술하는 기존 콘센트(10; 도 5 참조)에 장착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가이드(112b)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하우징(110) 내부의 제어기(130)나 인쇄회로기판(1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열 방출구(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열 방출구(113)는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누전의 발생시 누전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118)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전원 공급 콘센트(100)로부터 전원 공급 콘센트(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제어기(130)는 후술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또는 요구되는 전력량만큼 전원 공급 콘센트(1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키패드(14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허가에 대한 코드를 입력받을 수 도록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140)는 3 X 4의 형태로 숫자 0부터 9까지의 버튼키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패드나 한글 및/또는 영어가 함께 입력 가능한 키 입력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140)를 통하여 숫자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18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플러그 결합홈(150)은 하우징(110)의 전면에 노출형태로 마련되어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플러그의 한 쌍의 전극봉(미도시)은 대응되는 플러그 결합홈(150)의 접속홀(152)에 삽입될 수 있다.
자체 플러그(160)는 하우징(110)의 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벽체 등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다. 자체 플러그(160)는 상기 기존 콘센트의 접속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전극봉(16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 플러그(160)는 후면 하우징(110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기존 플러그에 대해 하우징(110)의 결합 방향을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결합홈(150)과 자체 플러그(160)는 서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플러그에 대한 하우징(110)의 결합 방향에 따라 자체 플러그(160)가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하면, 플러그 결합홈(150)도 자체 플러그(1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사용자가 함부로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기존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여, 기존 콘센트에 외부 기기의 외부 플러그를 임의로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사용자가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기존 콘센트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기존 콘센트에 외부 플러그를 연결하여 몰래 전기를 사용하는 것, 즉 도전(盜電)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대략 90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벽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벽면 체결공(172)과 하우징(110)의 브라켓 고정부재(117)와 볼트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체결공(1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강성을 위해 절곡된 부위에 강성 증강 부재(174)가 마련될 수 있다.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금속소재,또는 TPU와 같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이 절곡된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은 설치위치에 따라 절곡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되어 키패드(140)를 통해 입력되는 코드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는 코드가 정확히 입력되는지를 알 수 있고,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사용에 대한 방법을 안내받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작동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 램프(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램프(19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 소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색상을 발휘할 수 있는 하나의 LED 램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제품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고유 번호는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로서, 각각의 전원 공급 콘센트(100)마다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해당 고유 번호는 하우징(110)의 전면부나 측면부에 표시될 수도 있거나,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기될 수도 있다. 또한, QR코드 형태로 하우징(110)에 표기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에 통신하여 상기 제품 고유 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키패드(14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사용자의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정보 램프(19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램프(190)가 녹색이면 현재 전원 공급 콘센트(100)가 정상적으로 전원공급 중인 것을 나타내며, 정보 램프(190)가 적색이면 현재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내부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어,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상태를 음성으로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품 고유 번호는 숫자가 아닌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방식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QR 코드 이미지를 중앙 관리 센터에 통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수신한 상기 QR 코드 이미지를 통하여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식별한 후, 대응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상기 제품 고유 번호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화를 걸어 상기 중앙 관리 센터에 전화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하며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문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를 벽체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장착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를 벽체에 매립된 기존 콘센트에 장착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벽체(2)에는 기존 콘센트(10)가 매립되어 있다. 일례로 기존 콘센트(10)는 2개의 외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홈(14, 12)이 상하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기존 콘센트(10)의 하측 플러그 결합홈(12)에 장착되고, 벽체(2)에 벽면 고정용 브라켓(170)이 고정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콘센트(100)가 기존 콘센트(10)의 하측 플러그 결합홈(12)에 장착됨으로써,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하우징(110)은 기존 콘센트(10)의 상측 플러그 결합홈(14)을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플러그를 상측 플러그 결합홈(14)에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전(盜電)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기존 콘센트(10)의 하나의 플러그 결합홈(14)에 다른 전원 플러그(16)가 장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자체 플러그(160)를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기존 콘센트(10)에 장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복수의 전원 공급 콘센트(100)를 수평으로 상하로 배치시킨 상태로, 복수의 결합홈을 갖는 기존 콘센트(1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플러그 결합홈(12, 14)이 2구 형태인 기존 콘센트(1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존 콘센트(10)는 더 많은 복수구의 플러그 결합홈(12, 14)을 가질 수 있으며, 일렬 형태가 아닌 복수열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다양한 형태의 콘센트에 다양한 방향으로 적합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에서 플러그 결합홈의 기본위치에 있는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전원 공급 콘센트에서 플러그 결합홈이 90도 회전한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의 하우징(110) 내에는 자체 플러그(16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전차단 부재(165a, 165b)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차단 부재(165a, 165b)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후면 하우징(110b) 내에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 차단벽(119a, 119b)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자체 플러그(16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회전차단 부재(165a, 165b)는 대략 9시 방향에 마련되고, 후면 하우징(110b)의 차단벽(119a, 119b)는 각각 2시와 10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자체 플러그(160)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 내에서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100)는 자체 플러그(160)가 하우징(110) 내에서 지지되면서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후면 하우징(110b) 내에 원호 형상의 회전 가이드(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13b)난 후면 하우징(110b)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자체 플러그(160)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이드(113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돌기(161)가 마련될 수 있다. 자체 플러그(160)의 돌기(161)가 회전 가이드(113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체 플러그(16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는 기존의 과금 체계를 개선할 수 있고, 전기 공급이 가능한 시설물의 소유자가 복잡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결제와 관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전원 콘센트에 간단하게 장착함으로써 과금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개소를 확대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 보급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매번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매번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콘센트에 결합 방향을 변환시키면서 다양한 각도로 장착하면서 사용되지 않는 기존 콘센트를 가릴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110: 하우징
110a: 전면 하우징
110b: 후면 하우징
120: 인쇄회로기판
130: 제어기
140: 키패드
150: 플러그 결합홈
160: 자체 플러그
170: 벽면 고정용 브라켓
180: 디스플에이
190: 정보 램프

Claims (10)

  1. 전원이 공급되는 기존 콘센트에 장착되는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로서,
    내부에 제어기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허가에 대한 코드를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키패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홈;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노출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존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자체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플러그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결합 방향으로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자체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 후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결합홈과 상기 자체 플러그는 서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홈은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자체 플러그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돌기가 마련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자체 플러그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전차단 부재가 마련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콘센트가 마련된 벽면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벽면 고정용 브라켓이 마련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발열을 발산하기 위한 복수의 열 방출구가 마련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코드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는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를 통해 전원 활성화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 콘센트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는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되는 것인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KR1020220040582A 2022-03-31 2022-03-31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KR2023014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82A KR20230141247A (ko) 2022-03-31 2022-03-31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PCT/KR2023/002333 WO2023191309A1 (ko) 2022-03-31 2023-02-17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82A KR20230141247A (ko) 2022-03-31 2022-03-31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247A true KR20230141247A (ko) 2023-10-10

Family

ID=8820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582A KR20230141247A (ko) 2022-03-31 2022-03-31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1247A (ko)
WO (1) WO202319130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603A (ko) 2012-11-13 2014-05-22 영후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234B1 (ko) * 2017-11-03 2018-04-27 정재웅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2302831B1 (ko) * 2020-01-16 2021-09-15 주식회사 제이엠테크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603A (ko) 2012-11-13 2014-05-22 영후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309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6185T3 (es) Una unidad de carga móvil, en particular para vehículos eléctricos, y un sistema de gestión de la misma para la entrega de cargas a pedido
ES2523415B1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recarga de vehículos eléctricos
TW201434005A (zh) 用於運載工具之加燃料的安全驗證
CN111654089A (zh) 一种电池智能充电换电平台
KR20230141247A (ko)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US20220161670A1 (en)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JP6901813B2 (ja) 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を使用する方法
US20240198827A1 (en) Electric Vehicle Smart Charging Stations
KR20220058807A (ko) 전기운송장치의 충전기
CN209904549U (zh) 电动车用充电终端
KR102193383B1 (ko)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이동형 충전기
WO2023101545A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3634838U (zh) 一种停车场出入口车牌识别系统
CN204614106U (zh) Poe集中供电缴费装置
AU2020206983B2 (en) Charging assembly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JP2011101451A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218896901U (zh) 一种通用86型联网共享插座
CN217598380U (zh) 壁挂式充电桩
KR102564948B1 (ko)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CN115091994A (zh) 壁挂式充电桩
KR10243993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75330A (ko) 미소전류를 기반하는 교류 단상 및 3상을 혼용하여 빠른 충전속도와 충전접근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이동형 충전시스템
ES2902887T3 (es) Sistem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eléctrica en movilidad
KR102686334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충전 조립체
RU2779621C1 (ru) Зарядный узел для зарядк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