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48B1 -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48B1
KR102564948B1 KR1020210111448A KR20210111448A KR102564948B1 KR 102564948 B1 KR102564948 B1 KR 102564948B1 KR 1020210111448 A KR1020210111448 A KR 1020210111448A KR 20210111448 A KR20210111448 A KR 20210111448A KR 102564948 B1 KR102564948 B1 KR 10256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urrent
sharing
unit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098A (ko
Inventor
김동진
권완성
김용수
박재효
서상원
최창현
Original Assignee
선광엘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광엘티아이(주) filed Critical 선광엘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21011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은, 소정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관통홈의 끝단에 위치하면서 플러그가 결합되는 연결구(120)와, 연결구(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통홈에 위치하면서 좌우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관통홈을 차단하는 트리거(130)가 형성되며, 트리거(130)의 열림/닫힘과 연결구(12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세어링 콘센트(1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요청을 받으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와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충전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전류사용비용의 결제가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관리센터(200)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사용요청하고,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체결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공급을 요청하며, 전류공급이 종료되면 전류공급 종료를 통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smart sharing concentric plug}
본 발명은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어링 콘센트를 야외에 설치하면서 무단으로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승인된 사용자에게만 전류를 공급하는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차, 전기 오토바이, 전기 보드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충전소는 도로변이나 주차장 등에 입식 설치되어 필요시 충전 필요시에 접근하여 충전서비스를 받는다.
그러나 충전소는 개인적으로 소유하기에 비용 부담이 크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어 기존의 충전소 이외에 일반 건물, 가정의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일반 건물에 장착된 콘센트는 건물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된 전용 플러그를 사용해야만 정확하게 과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도 플러그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기장치에 충전할 수 있는 콘센트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2355호 (2016.02.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6136호 (2021.02.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어링 콘센트를 야외에 설치하면서 무단으로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승인된 사용자에게만 전류를 공급하는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세어링 콘센트의 전류를 공급받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소비전력을 증감시켜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세어링 콘센트에서 전류를 공급받을 때에만 플러그를 연결하도록 하고, 연결된 플러그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은, 소정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관통홈의 끝단에 위치하면서 플러그가 결합되는 연결구(120)와, 연결구(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통홈에 위치하면서 좌우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관통홈을 차단하는 트리거(130)가 형성되며, 트리거(130)의 열림/닫힘과 연결구(12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세어링 콘센트(1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요청을 받으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와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충전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전류사용비용의 결제가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관리센터(200)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사용요청하고,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체결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공급을 요청하며, 전류공급이 종료되면 전류공급 종료를 통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 제어부(140)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콘센트 식별정보 등록부(141)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를 오픈시키는 트리거 열림부(142)와; 열려 있는 트리거(130)를 닫는 트리거 닫힘부(143)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공급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전류공급부(144)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차단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전류차단부(145)와; 연결구(120)를 통해 플러그에게 공급된 전류사용량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전류사용량 확인부(146)와; 전류사용량 확인부(146)에서 확인된 전류사용량을 콘센트 관리센터(200)로 전송하는 전류사용량 알림부(147);를 포함하고,
콘센트 관리센터(200)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콘센트 관리부(201)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전류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202)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실시간 사용정보를 관리하는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요청신호를 수신받는 콘센트 사용요청 수신부(204)와;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받은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콘센트 확인부(205)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된 세어링 콘센트(100)가 사용가능으로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비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는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 닫침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는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207)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을 수신받는 전류공급 수신부(208)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이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전류공급인가부(209)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종료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전류공급종료부(210)와;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 전류사용량 수신부(211)와; 전류사용량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된 전류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류사용비용을 계산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전류사용비용 알림부(212)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전류사용비용 처리완료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용결제를 확인하고 비용결제가 확인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가 제공되도록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로 통지하는 전류사용비용 결제확인부(213);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콘센트 인식부(301)와;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세어링 콘센트(100) 사용요청신호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콘센트 사용요청부(302)와;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삽입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을 요청하는 전류공급요청부(303)와;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플러그로 공급되는 전류가 종료되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충전종료를 요청하는 전류공급종료 요청부(304)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내역을 제공받으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전류사용비용 확인부(305)와; 전류사용비용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면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비용처리완료를 통지하는 전류사용비용 결제통지부(3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수신받는 소비전류 변경수신부(148)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소비전류가 연결구(120)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추가로 작동시키는 소비전류 변경부(149);를 더 포함하고, 콘센트 관리센터(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제공되는 기준 소비전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콘센트 소비전류 안내부(214)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제공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과 함께 소비전류의 변경을 수신받는 콘센트 소비전류변경 수신부(215)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요청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면서 변경을 요청하는 콘센트 소비전류 변경요청부(216);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콘센트의 기준 소비전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소비전류 표시부(307)와;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필요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제공하면서 콘센트의 소비전력 변경을 요청하는 소비전류 변경요청부(3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13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세어링 콘센트(100)에 연결된 플러그의 전선이 통과되도록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수신받는 소비전류 변경수신부(148)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소비전류가 연결구(120)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추가로 작동시키는 소비전류 변경부(14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어링 콘센트(100)의 식별정보는 QR코드(111)로 몸체(11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 닫힘부(143)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130) 닫힘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를 닫거나 또는 트리거 열림신호 이후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트리거(130)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류사용량 확인부(146)는 전류공급부(144)에서 스위치가 연결되면 전류사용량을 카운트하고 전류차단부(145)에서 스위치가 차단되면 전류사용량의 카운트를 종료하여 그 동안의 전류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외에 설치된 세어링 콘센트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승인된 사용자에게만 전류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소비전력을 증감시켜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콘센트의 전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어링 콘센트에서 전류를 공급받을 때에만 플러그를 연결하도록 하고, 연결된 플러그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업기 때문에 전류사용비용을 용이하게 정산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쉐어링 콘센트에 플러그가 장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쉐어링 콘센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쉐어링 콘센트에 플러그가 장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제어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관리센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은, 옥외에 설치되어 연결된 플러그에 전류를 공급하는 세어링 콘센트(1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요청을 받으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관리센터(200)와;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세어링 콘센트(100)는 옥외에 설치되어 연결된 플러그에 전류를 공급한다. 세어링 콘센트(100)는 소정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관통홈의 끝단에 위치하면서 플러그가 결합되는 연결구(120)와, 연결구(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통홈에 위치하면서 좌우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관통홈을 차단하는 트리거(130)가 형성되며, 트리거(130)의 열림/닫힘과 연결구(12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 제어부(140)가 형성한다. 이때, 트리거(1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세어링 콘센트(100)에 연결된 플러그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플러그의 전선이 통과되도록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에 플러그가 꽃인 상태에서 트리거(130)가 닫히게 되면 플러그를 뽑을 수 없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제어부(140)는 콘센트 식별정보 등록부(141), 트리거 열림부(142), 트리거 닫힘부(143), 전류공급부(144), 전류차단부(145), 전류사용량 확인부(146), 전류사용량 알림부(147), 소비전류 변경수신부(148), 소비전류 변경부(149)를 포함한다.
콘센트 식별정보 등록부(141)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한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의 식별정보는 QR코드(111)로 몸체(11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어링 콘센트(100)에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구(120)에 서브식별정보가 부여된다.
트리거 열림부(142)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를 오픈시킨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에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서브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연결구(120)의 트리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연결구(120)의 트리거(130)를 오픈시키게 된다.
트리거 닫힘부(143)는 열려 있는 트리거(130)를 닫는다. 트리거 닫힘부(143)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130) 닫힘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트리거 열림신호 이후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트리거(130)를 닫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트리거(130)가 닫히게 되어 세어링 콘센트(100)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플러그가 위치한 상태에서 트리거(130)가 닫히게 되면 플러그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전류공급부(144)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공급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는 기준 소비전류로 공급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구(120)의 서브식별정보로 구분되어 전류공급신호를 수신받게 된다. 그리고, 전류공급부(144)의 스위치는 릴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차단부(145)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차단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전류차단부(145)가 작동함에 의해서 플로그로 더 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구(120)의 서브식별정보로 구분되어 전류차단신호를 수신받게 된다.
전류사용량 확인부(146)는 연결구(120)를 통해 플러그에게 공급된 전류사용량을 확인하여 저장한다. 전류사용량 확인부(146)는 전류공급부(144)에서 스위치가 연결되면 전류사용량을 카운트하고 전류차단부(145)에서 스위치가 차단되면 전류사용량의 카운트를 종료하여 그 동안의 전류사용량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구(120)의 서브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전류사용량을 저장한다.
전류사용량 알림부(147)는 전류사용량 확인부(146)에서 확인된 전류사용량을 콘센트 관리센터(200)로 전송한다. 이때,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구(120)의 서브식별정보와 함께 전류사용량을 전송한다.
소비전류 변경수신부(148)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수신받는다.
소비전류 변경부(149)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소비전류가 연결구(120)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추가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기준 소비전류에서 추가로 전류가 공급되어 콘센트 관리센터(200)에서 요청한 맞춤형태의 소비전류를 연결구(12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센트 관리센터(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요청을 받으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와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충전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전류사용비용의 결제가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콘센트 관리센터(200)는 콘센트 관리부(201), 사용자 관리부(202),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 콘센트 사용요청 수신부(204), 콘센트 확인부(205),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207), 전류공급 수신부(208), 콘센트 전류공급인가부(209), 콘센트 전류공급종료부(210), 전류사용량 수신부(211), 전류사용비용 알림부(212), 전류사용비용 결제확인부(213), 콘센트 소비전류 안내부(214), 콘센트 소비전류변경 수신부(215), 콘센트 소비전류 변경요청부(216)를 포함한다.
콘센트 관리부(201)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한다. 이때, 콘센트 관리부(201)는 세어링 콘센트(100)에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존재하는 경우에 연결구(120)에 부여된 서브식별정보를 함께 등록하고 저장한다. 또한, 콘센트 관리부(201)는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공급되는 기준 전류와 허용가능한 전류값을 등록한다.
사용자 관리부(202)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전류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이때, 등록된 사용자에게는 전화번호 등으로 고유식별정보가 부여되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실시간 사용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에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존재하는 경우에 연결구(120) 마다 실시간 사용정보가 저장된다.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에 의해 플러그가 연결된 세어링 콘센트(100) 또는 연결구(120)는 사용불가로 관리되고, 플러그가 제거된 세어링 콘센트(100) 또는 연결구(120)는 사용가능으로 관리된다.
콘센트 사용요청 수신부(204)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요청신호를 수신받는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에 다수개의 연결구(120)가 존재하는 경우 직접 연결부의 서브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요청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콘센트 확인부(205)는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받은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가능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가 사용불가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사용불가능 메시지를 제공한다.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된 세어링 콘센트(100)가 사용가능으로 확인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비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단으로 플러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 삽입할 수 없으며, 또한, 충전이 완료되어 전류공급비용이 결제된 후에 플러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207)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 닫침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류가 공급되는 동안에 플러그가 위치한 상태에서 트리거(130)가 닫히게 되어 플러그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전류공급 수신부(208)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을 수신받는다. 전류공급 수신부(208)는 전류공급요청이 수신되면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207)로 제공한다.
콘센트 전류공급인가부(209)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이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세어링 콘센트(100)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류를 연결구(120)로 공급하게 된다.
콘센트 전류공급종료부(21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종료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세어링 콘센트(100)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전류사용량 수신부(211)는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다.
전류사용비용 알림부(212)는 전류사용량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된 전류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류사용비용을 계산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전류사용비용 결제확인부(213)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전류사용비용 처리완료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용결제를 확인하고 비용결제가 확인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가 제공되도록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로 통지한다. 이때, 전류사용비용의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미결제내용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전류사용비용이 정산되어야 세어링 콘센트(100)의 트리거(130)가 열리게 되어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콘센트 소비전류 안내부(214)는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제공되는 기준 소비전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제공한다. 이때, 기준 소비전류은 범용으로 사용되는 소비전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센트 소비전류변경 수신부(215)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제공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과 함께 소비전류의 변경을 수신받는다.
콘센트 소비전류 변경요청부(216)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요청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면서 변경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기준 소비전류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소비전력으로 변경하여 기준 소비전류보다 큰 소비전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사용요청하고,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체결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공급을 요청하며, 전류공급이 종료되면 전류공급 종료를 통지한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각 구성들은 앱으로 설치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콘센트 인식부(301), 콘센트 사용요청부(302), 전류공급요청부(303), 전류공급종료 요청부(304), 전류사용비용 확인부(305), 전류사용비용 결제통지부(306)를 포함한다.
콘센트 인식부(301)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인식하거나 또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QR코드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마다 서브식별정보가 부여된 경우에는 코뇨센트 연결구(120)의 서브식별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콘센트 사용요청부(302)는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세어링 콘센트(100) 사용요청신호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전류공급요청부(303)는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삽입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을 요청한다.
전류공급종료 요청부(304)는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플러그로 공급되는 전류가 종료되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충전종료를 요청한다.
전류사용비용 확인부(305)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내역을 제공받으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전류사용비용 결제통지부(306)는 전류사용비용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면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비용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콘센트 관리센터(200)에서 비용결재가 확인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의 트리거(130)가 열리게 되어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소비전류 표시부(307)는 콘센트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콘센트의 기준 소비전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소비전류 변경요청부(308)는 콘센트 관리센터에게 필요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제공하면서 콘센트의 소비전력 변경을 요청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세어링 콘센트 110 : 몸체
120 : 연결구 130 : 트리거
140 : 콘센트 제어부 141 : 콘센트 식별정보 등록부
142 : 트리거 열림부 143 : 트리거 닫힘부
144 : 전류공급부 145 : 전류차단부
146 : 전류사용량 확인부 147 : 전류사용량 알림부
148 : 소비전류 변경수신부 149 : 소비전류 변경부
200 : 콘센트 관리센터 201 : 콘센트 관리부
202 : 사용자 관리부 203 :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
204 : 콘센트 사용요청 수신부 205 : 콘센트 확인부
206 :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 207 :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
208 : 전류공급 수신부 209 : 콘센트 전류공급인가부
210 : 콘센트 전류공급종료부 211 : 전류사용량 수신부
212 : 전류사용비용 알림부 213 : 전류사용비용 결제확인부
214 : 콘센트 소비전류 안내부 215 : 콘센트 소비전류변경 수신부
216 : 콘센트 소비전류 변경요청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01 : 콘센트 인식부 302 : 콘센트 사용요청부
303 : 전류공급요청부 304 : 전류공급종료 요청부
305 : 전류사용비용 확인부 306 : 전류사용비용 결제통지부
307 : 소비전류 표시부 308 : 소비전류 변경요청부

Claims (7)

  1. 소정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관통홈의 끝단에 위치하면서 플러그가 결합되는 연결구(120)와, 연결구(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통홈에 위치하면서 좌우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관통홈을 차단하는 트리거(130)가 형성되며, 트리거(130)의 열림/닫힘과 연결구(12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세어링 콘센트(1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요청을 받으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와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충전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전류사용비용의 결제가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관리센터(200)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사용요청하고,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체결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공급을 요청하며, 전류공급이 종료되면 전류공급 종료를 통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세어링 콘센트(100)의 식별정보는 QR코드(111)로 몸체(110)에 표시되고,
    트리거(13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세어링 콘센트(100)에 연결된 플러그의 전선이 통과되도록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콘센트 제어부(140)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콘센트 식별정보 등록부(141)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를 오픈시키는 트리거 열림부(142)와;
    열려 있는 트리거(130)를 닫는 트리거 닫힘부(143)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공급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전류공급부(144)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차단신호가 수신되면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전류차단부(145)와;
    연결구(120)를 통해 플러그에게 공급된 전류사용량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전류사용량 확인부(146)와;
    전류사용량 확인부(146)에서 확인된 전류사용량을 콘센트 관리센터(200)로 전송하는 전류사용량 알림부(147)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수신받는 소비전류 변경수신부(148)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소비전류가 연결구(120)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추가로 작동시키는 소비전류 변경부(149);를 포함하고,
    트리거 닫힘부(143)는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트리거(130) 닫힘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를 닫거나 또는 트리거 열림신호 이후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트리거(130)를 닫고,
    전류사용량 확인부(146)는 전류공급부(144)에서 스위치가 연결되면 전류사용량을 카운트하고 전류차단부(145)에서 스위치가 차단되면 전류사용량의 카운트를 종료하여 그 동안의 전류사용량을 확인하고,
    콘센트 관리센터(200)는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콘센트 관리부(201)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전류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202)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실시간 사용정보를 관리하는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요청신호를 수신받는 콘센트 사용요청 수신부(204)와;
    콘센트 사용정보 관리부(203)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받은 세어링 콘센트(100)의 사용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콘센트 확인부(205)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요청된 세어링 콘센트(100)가 사용가능으로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비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트리거 열림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는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130) 닫침신호를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는 트리거 닫힘신호 제공부(207)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을 수신받는 전류공급 수신부(208)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요청이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전류공급인가부(209)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공급종료가 수신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연결구(120)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류차단신호를 제공하는 콘센트 전류공급종료부(210)와;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 전류사용량 수신부(211)와;
    전류사용량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된 전류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류사용비용을 계산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전류사용비용 알림부(212)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전류사용비용 처리완료신호를 제공받으면 비용결제를 확인하고 비용결제가 확인되면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트리거 열림신호가 제공되도록 트리거 열린신호 제공부(206)로 통지하는 전류사용비용 결제확인부(213)와;
    사용자 단말기(300)로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제공되는 기준 소비전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제공하는 콘센트 소비전류 안내부(214)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세어링 콘센트(100)의 연결구(120)로 제공되는 소비전류의 변경값과 함께 소비전류의 변경을 수신받는 콘센트 소비전류변경 수신부(215)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요청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세어링 콘센트(100)에게 제공하면서 변경을 요청하는 콘센트 소비전류 변경요청부(216);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콘센트 인식부(301)와;
    세어링 콘센트(1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세어링 콘센트(100) 사용요청신호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와 세어링 콘센트(1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콘센트 사용요청부(302)와;
    세어링 콘센트(100)에 플러그를 삽입한 후에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공급을 요청하는 전류공급요청부(303)와;
    세어링 콘센트(100)에서 플러그로 공급되는 전류가 종료되도록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전류충전종료를 요청하는 전류공급종료 요청부(304)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전류사용비용에 대한 내역을 제공받으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전류사용비용 확인부(305)와;
    전류사용비용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면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비용처리완료를 통지하는 전류사용비용 결제통지부(306)와;
    콘센트 관리센터(200)로부터 수신된 콘센트의 기준 소비전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소비전류 표시부(307)와;
    콘센트 관리센터(200)에게 필요한 소비전류의 변경값을 제공하면서 콘센트의 소비전력 변경을 요청하는 소비전류 변경요청부(3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11448A 2021-08-24 2021-08-24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KR10256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8A KR102564948B1 (ko) 2021-08-24 2021-08-24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8A KR102564948B1 (ko) 2021-08-24 2021-08-24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98A KR20230030098A (ko) 2023-03-06
KR102564948B1 true KR102564948B1 (ko) 2023-09-08

Family

ID=8550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48A KR102564948B1 (ko) 2021-08-24 2021-08-24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13B1 (ko) * 2016-02-29 2016-11-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용 전원박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355A (ko) 2014-07-23 2016-02-03 주식회사 파워큐브 전기자동차 충전 및 역전송 전력 운영시스템
KR20180108971A (ko) * 2017-03-24 2018-10-05 한국토지주택공사 IoT 콘센트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216136B1 (ko) 2018-04-25 2021-02-16 이재진 유료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충전 관리시스템
KR20200111933A (ko) * 2019-03-20 2020-10-05 한찬희 공유형 콘센트 사용시스템
KR20190089802A (ko) * 2019-07-22 2019-07-31 (주)아이비허브 자동 결제 기능을 가진 전기 소켓
KR20210019368A (ko) * 2019-08-12 2021-02-22 김지용 사용자인증 전력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728A (ko) *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콘센트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13B1 (ko) * 2016-02-29 2016-11-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용 전원박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볼트 안내자료(카탈로그), "과금(계량/정산) 기능형 전기자동차 이동형 충전기", 2019.0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98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120C2 (ru) Система пункта подсчета и измерения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подс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US91563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exchange of energy between an electrical power network and a load
KR101666035B1 (ko) 포터블 충전기 무인 대여장치
US9804624B2 (en) Electrical vehicle battery charger mounted on lamp post
US8967466B2 (en) Automatic authentication for service access for fueling of vehicles
US20140191718A1 (en) Secure authentication for fueling of vehicles
US20100065627A1 (en) Recharge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US2010024156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ity to electric vehicles, monitoring the distribution thereof, and/or providing automated billing
US20100241542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US20110246014A1 (en) Conductive power refueling
US20160012657A1 (en) Efficient authentication for fueling of vehicles
KR20170107088A (ko) 사용자인증 콘센트 또는 커넥터, 전력중개용 모듈 및 전력수요장치
KR102139956B1 (ko) 레일콘센트를 구비한 생체인식 이동형 차량충전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140048129A (ko) 전기 에너지/전력을 측정하고 계량하는 계량 및 측정 포인트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84672A1 (en) Electricity meter
KR101233717B1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JP2007329719A (ja) コンセント使用による課金システム及び電力線通信モデムユニット
KR102564948B1 (ko) 스마트 쉐어링 콘센트의 관리 시스템
KR102216136B1 (ko) 유료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충전 관리시스템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10052773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853234B1 (ko)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20130041851A1 (en) Implementing direct energy metering, authentication and user billing
KR20200087293A (ko) 멀티 접속구를 갖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EP3311458B1 (en)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in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