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28B1 -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28B1
KR102618128B1 KR1020220124034A KR20220124034A KR102618128B1 KR 102618128 B1 KR102618128 B1 KR 102618128B1 KR 1020220124034 A KR1020220124034 A KR 1020220124034A KR 20220124034 A KR20220124034 A KR 20220124034A KR 102618128 B1 KR102618128 B1 KR 10261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harging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스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스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스이브이
Priority to KR102022012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충전시스템 기술을 전기차에 탑재하여 가정용 콘센트와 기존 설치형 충전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설치형 충전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건물 계량기; 상기 설치형 충전기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설치형 충진기 연결 소켓과, 상기 건물 계량기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콘센트 연결 커넥터을 함께 구비하고, 차량 및 소유주 정보를 충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에서 차량정보 및 소유주 확인 결과와 충전시작 신호에 따라 해당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 및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소유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서 수신된 차량번호 및 소유주 정보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충전 전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충전시작 신호를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서 수신된 상기 건물 계량기의 충전기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충전 관리서버; 및 상기 충전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건물 계량기의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과금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전력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Dual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충전시스템 기술을 전기차에 탑재하여 가정용(220V) 콘센트만 있으면 어느 곳에서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 가능하며 기존 설치형 충전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 인프라 시스템(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이하 AMI라 한다)은 전력시스템(PLC)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연동해 에너지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스마트미터기, 데이터관리시스템, 과금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AMI 시스템은 ‘지능형 원격 검침 장치’ 혹은 ‘지능형 검침 인프라’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검침하고, 양방향 정보 교환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가정, 충전소, 회사등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위한 복수의 충전장치를 설치하고, 충전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22년 03월 23일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9543호를 통하여 수용가 고객측에 설치되는 충전기에 멀티기능을 결합하여 원격검침, 변압기 부하감시, 배터리 충전장치 관련 감시, 제어, 계측 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MI를 이용한 멀티기능을 결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출원 등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슬에 의하면 원격 검침 인프라 시스템의 전력시스템(PLC)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연동해 에너지 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미터기, 데이터관리시스템, 과금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 특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설치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 많은 사회적 비용이 수반되고, 또한 설치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더라도 인구밀도가 적은 산간, 벽지 등의 지역까지 전기차 인프라 구축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9543호(2022년03월23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충전시스템 기술을 전기차에 탑재하여 가정용 콘센트만 있으면 어느 곳에서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 가능하며 기존 설치형 충전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되어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설치형 충전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기 정보(전력 사용량 및 작동상태 정보를 포함)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건물 계량기; 상기 설치형 충전기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설치형 충진기 연결 소켓과, 상기 건물 계량기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콘센트 연결 커넥터을 함께 구비하고, 차량 및 소유주 정보를 충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에서 차량정보 및 소유주 확인 결과와 충전시작 신호에 따라 해당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 및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소유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서 수신된 차량번호 및 소유주 정보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충전 전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충전시작 신호를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서 수신된 상기 건물 계량기의 충전기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충전 관리서버; 및 상기 충전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건물 계량기의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과금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전력 관리서버(AMI)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는 등록된 차량 정보와 소유주 정보, 기기별 고유번호를 갖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가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충전 및 과금을 제어하되,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에 따른 사용자 카드 승인 결제가 가능하다.
상기 전력 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로부터 서명된 충전종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가 서명을 검증하여 검증된 경우, 상기 충전종료 정보를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종료정보는 상기 충전기가 충전한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서버는 전력량을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과금은 상기 전력 관리서버와 통신을 통해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의 건물 계량기 정보를 인식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 계량기 전력 사용량을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의 건물 계량기의 전력 사용량(전력 사용요금)을 차감함으로써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 계량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서는 과금이 되지 않고, 전기차 탑재용 충전 계량기에만 과금된다.
충전기의 설정온도 안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기 설정온도 안전 상태 모듈; 충전기의 과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과충전 상태 모듈; 충전기의 도난방지 상태를 감시하는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 충전기의 전력 차단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전력 차단 작동 상태 확인 모듈;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 표시 모듈; 미수금 발생시 충전기를 사용 차단 및 해제하는 미수금 발생시 상용 차단 및 해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은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를 탈착할 경우, 탈착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충전기 충격감지센서; 전기차 내부의 전기선 단선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전력차단 감지센서; 와이파이 무선인식감지되어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위치가 전기차로부터 일정거리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와이파이 무선인식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더욱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에 의하면, 이동식 충전시스템 기술을 전기차에 탑재하여 가정용(220V) 콘센트만 있으면 어느 곳에서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 가능하며 기존 설치형 충전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충전 커넥터는 급속/완속 등 설치형 충전기에서 충전할 수 있어 설치형 충전 인프라가 없는 곳에서도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형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므로 전기차가 조기에 보급될 수 있어 2050년 정부의 탄소중립화 계획에 기여하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또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 계량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서는 과금이 되지 않고, 전기차 탑재용 충전 계량기에만 과금됨에 따라 도전(盜電) 이슈를 해결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편리하게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한편, 전기충전기로 범죄자, 도난 차량 등에는 한전에서 불승인하도록하여 충전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미수금차량은 충전하지 못하도록 락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내부에 탑재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서버와 전력관리서버의 연결 및 과금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의 아날로그용 계량기와 디지털용 계량기에 따른 충전기 인식 및 과금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내부에 탑재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도난 방지 현재 상태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내부에 탑재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서버와 전력관리서버의 연결 및 과금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은 건물 계량기(100), 220V 콘센트(101), 듀얼 충전 소켓(200),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 설치형 충전기 연결 소켓(202), 전력관리(AMI)서버(300), 충전관리서버(301), 설치형 충전기(401),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 통신모듈(502), 차량용 계량기(503), 충전 전력선(500, 504), 전기차 배터리(505)를 포함한다.
설치형 충전기(401)는 도로에 설치되어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
건물 계량기(100)는 건물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기 정보(전력 사용량 및 작동상태 정보를 포함)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건물 계량기(100는 콘센트와 연결된 계량기로 주택, 공공건물, 상업시설 등 모든 전력 계량기를 포함하며, 220V콘센트(101)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 220V콘센트(101)는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와 연결되어 전기차 충전을 한다.
Dual 충전소켓(200)은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와 설치형 충전기 연결 소켓(202)으로 구성된다.
이때,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과 220V콘센트(101)를 연결한 경우 계량기(100) 정보와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 계량기 정보, 소유주/차량정보, 충전량/충전시간 설정 정보가 충전관리서버(301)로 전송된다,
즉,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는 상기 설치형 충전기(401)에 연결되어 배터리(505)를 충전하는 설치형 충진기 연결 소켓(202)과, 상기 건물 계량기(100)에 연결되어 배터리(505)를 충전하는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을 함께 구비하고, 차량 및 소유주 정보를 충전 관리서버(301)에 등록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에서 차량정보 및 소유주 확인 결과와 충전시작 신호에 따라 해당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 및 충전 정보를 수신한다.
충전 관리서버(301)는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의 소유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서 수신된 차량번호 및 소유주 정보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충전 전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충전시작 신호를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서 수신된 상기 건물 계량기(100)의 충전기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전력 관리서버(AMI)(300)는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로부터 상기 건물 계량기(100)의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과금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에 전송한다.
상기 충전관리 서버(301)는 수신정보를 확인한 후 전력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충전가능 여부를 승인받아 충전 관리서버(301)로 회신하고, 충전 관리서버(301)은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에 충전시작/종료 전송한다.
설치형 충전기 연결소켓(202)는 설치형 충전기(401)에 연결하여 통상의 전기차 충전기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과 연결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이며, 이는 충전전력선(504)으로 설치형 충전기 연결 소켓(202)의 전기차 배터리(505) 충전 전력선과 연결된다.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운 충전장비와 더불어 통신모듈(502), 전력 계량기(503) 등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V 콘센트(101)가 있는 어느 장소에서나 도전(盜電)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충전 전력 사용량에 대해 차량 소유주에게 과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력관리서버(300)는 계량기(100)의 정보를 인식하여 계량기(503)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기(100)의 전력 사용량 과금에서 제외하고 계량기(503) 소유주에게 과금되어 도전(盜電)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는 등록된 차량 정보와 소유주 정보, 기기별 고유번호를 갖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와 통신하는 통신모듈(502)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가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충전 및 과금을 제어하되,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에 따른 사용자 카드 승인 결제가 가능하다.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로부터 서명된 충전종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가 서명을 검증하여 검증된 경우, 상기 충전종료 정보를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종료정보는 상기 충전기(501)가 충전한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는 전력량을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의 과금은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와 통신을 통해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501)와 연결된 콘센트(201)의 건물 계량기(100) 정보를 인식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 계량기(503) 전력 사용량을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501)와 연결된 콘센트(201)의 건물 계량기(100)의 전력 사용량(전력 사용요금)을 차감함으로써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 계량기(100)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서는 과금이 되지 않고, 전기차 탑재용 충전 계량기(503)에만 과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의 아날로그용 계량기와 디지털용 계량기에 따른 충전기 인식 및 과금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부 사용되는 아날로그 방식은 검침한 후에 사용량을 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내장형 전기충전기로 자동차를 충전시에 아나로그 가정비 등에서 충전시에는 충전후에 충전시만큼 가감하여 전기요금이 나오도록 하여 누진세를 내지 않도록 한다. 일일이 전화해서 한전과 통화로 충전허가와 충전내용을 통보한다.
디지털 계량기는 사람이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무선으로 사용량을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 각 계량기마다 고객고유번호가 있으므로 충전시에 사용자의 고객번호와 충전량을 산출하여 고객에게 부여되지않고 충전기의 단말기로 충전액을 정산하여 지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충전하고자 하는 차량은 디지털 계량기를 쉽게 한전알림이 또는 네비등의 표시가 되므로 충전할 곳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지방이나 한적한 곳은 아날로그방식으로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내부에 탑재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도난 방지 현재 상태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내부에 탑재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먼저, 정보 인지 및 사용자 매칭 확인을 실시하고(S100~S110), 충전 안전 상태를 점검한 후 배터리를 충전하고(S120~S130), 충전기 이상유무를 차량 제어부에 전송하며, 등록 사용자의 SNS에 발송할 수 있다(S140~S150).
일예로,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안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충전기의 설정온도 안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기 설정온도 안전 상태 모듈(S121); 충전기의 과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과충전 상태 모듈(S122); 충전기의 도난방지 상태를 감시하는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S123); 충전기의 전력 차단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전력 차단 작동 상태 확인 모듈(S124);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 표시 모듈(S125); 미수금 발생시 충전기를 사용 차단 및 해제하는 미수금 발생시 상용 차단 및 해제 모듈(S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S123)은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를 탈착할 경우, 탈착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충전기 충격감지센서(S127); 전기차 내부의 전기선 단선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전력차단 감지센서(S128); 와이파이 무선인식감지되어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위치가 전기차로부터 일정거리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와이파이 무선인식 감지센서(S129);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전기충전기로 사용시 한달사용 또는 범죄자, 도난 차량 등에는 한전에서 불승인하도록하여 충전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미수금차량은 충전하지 못하도록 락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건물 계량기
101 : 220V 콘센트
200 : 듀얼 충전 소켓
201 : 콘센트 연결 커넥터
202 : 설치형 충전기 연결 소켓
300 : 전력관리(AMI)서버
301 : 충전관리서버
401 : 설치형 충전기
501 :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
502 : 통신모듈
503 : 차량용 계량기
500, 504 : 충전 전력선
505 : 전기차 배터리
S121 : 충전기 설정온도 안전 상태 모듈
S122 : 과충전 상태 모듈
S123 :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
S124 : 전력 차단 작동 상태 확인 모듈
S125 :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 표시 모듈
S126 : 미수금 발생시 상용 차단 및 해제 모듈
S127 : 충전기 충격감지센서
S128 : 전력차단 감지센서
S129 : 와이파이 무선인식 감지센서

Claims (6)

  1. 도로에 설치되어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설치형 충전기(401);
    건물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기 정보(전력 사용량 및 작동상태 정보를 포함)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건물 계량기(100);
    상기 설치형 충전기(401)에 연결되어 배터리(505)를 충전하는 설치형 충진기 연결 소켓(202)과, 상기 건물 계량기(100)에 연결되어 배터리(505)를 충전하는 콘센트 연결 커넥터(201)을 함께 구비하고,
    차량 및 소유주 정보를 충전 관리서버(301)에 등록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에서 차량정보 및 소유주 확인 결과와 충전시작 신호에 따라 해당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 및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의 소유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서 수신된 차량번호 및 소유주 정보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충전 전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충전시작 신호를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에서 수신된 상기 건물 계량기(100)의 충전기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충전 관리서버(301); 및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로부터 상기 건물 계량기(100)의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과금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에 전송하는 전력 관리서버(AMI)(30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는;
    등록된 차량 정보와 소유주 정보, 기기별 고유번호를 갖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와 통신하는 통신모듈(502)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가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충전 및 과금을 제어하되,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에 따른 사용자 카드 승인 결제가 가능하고,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501)로부터 서명된 충전종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관리서버(301)가 서명을 검증하여 검증된 경우, 상기 충전종료 정보를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종료정보는 상기 충전기(501)가 충전한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는 전력량을 기초로 요금정산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전력 관리서버(300)와 통신을 통해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501)와 연결된 콘센트(201)의 건물 계량기(100) 정보를 인식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 계량기(503) 전력 사용량을 전기차에 탑재된 충전기(501)와 연결된 콘센트(201)의 건물 계량기(100)의 전력 사용량(전력 사용요금)을 차감함으로써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와 연결된 콘센트 계량기(100)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서는 과금이 되지 않고, 전기차 탑재용 충전 계량기(503)에만 과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기의 설정온도 안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전기 설정온도 안전 상태 모듈(S121);
    충전기의 과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과충전 상태 모듈(S122);
    충전기의 도난방지 상태를 감시하는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S123);
    충전기의 전력 차단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전력 차단 작동 상태 확인 모듈(S124);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누적 사용 상태 표시 모듈(S125);
    미수금 발생시 충전기를 사용 차단 및 해제하는 미수금 발생시 상용 차단 및 해제 모듈(S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현재상태 모듈(S123)은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를 탈착할 경우, 탈착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충전기 충격감지센서(S127);
    전기차 내부의 전기선 단선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전력차단 감지센서(S128);
    와이파이 무선인식감지되어 전기차 탑재용 충전기의 위치가 전기차로부터 일정거리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차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비상음 또는 비상사이렌을 작동시키는 와이파이 무선인식 감지센서(S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KR1020220124034A 2022-09-29 2022-09-29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KR10261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034A KR102618128B1 (ko) 2022-09-29 2022-09-29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034A KR102618128B1 (ko) 2022-09-29 2022-09-29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128B1 true KR102618128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034A KR102618128B1 (ko) 2022-09-29 2022-09-29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511A (ja) * 1998-12-17 2000-06-30 Nissan Motor Co Ltd 充電器防盗装置及びパドル不正抜取り防止装置
KR101936225B1 (ko) * 2017-09-29 2019-01-08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88041A (ko) * 2019-01-14 2020-07-22 신대섭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379543B1 (ko) 2021-03-23 2022-03-29 송민서 멀티기능을 결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511A (ja) * 1998-12-17 2000-06-30 Nissan Motor Co Ltd 充電器防盗装置及びパドル不正抜取り防止装置
KR101936225B1 (ko) * 2017-09-29 2019-01-08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88041A (ko) * 2019-01-14 2020-07-22 신대섭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379543B1 (ko) 2021-03-23 2022-03-29 송민서 멀티기능을 결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3198B2 (ja) 使用者認証コンセント、電力仲介用コネクタ及び電力需要装置
US20220371465A1 (en)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US20210142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s
KR101623338B1 (ko) 도전 방지를 위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기차의 충전 인증 시스템
US9037507B2 (en) Method to facilitate opportunit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US20100241542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CN101909927B (zh) 电动车辆的充电系统
US20110227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O2013073625A1 (ja) 課金システム及びev充電システム
RU2515120C2 (ru) Система пункта подсчета и измерения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подс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KR20120135509A (ko) 그리드 집적 차량용 전기 차량 장치
US20160012657A1 (en) Efficient authentication for fueling of vehicles
CN102570537A (zh) 充电装置、电动汽车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0079456A (ja) 移動体用電力料金課金システム
KR10150191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20076629A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618128B1 (ko) 전기차 장착용 듀얼 충전시스템
KR20110076858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652701B1 (ko) 집합건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U2021345497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KR20190137524A (ko) 적외선 통신모듈을 통한 전기자동차의 모바일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