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978A -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978A
KR20230139978A KR1020220038495A KR20220038495A KR20230139978A KR 20230139978 A KR20230139978 A KR 20230139978A KR 1020220038495 A KR1020220038495 A KR 1020220038495A KR 20220038495 A KR20220038495 A KR 20220038495A KR 20230139978 A KR20230139978 A KR 2023013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sol
skin
camellia
seed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경
하시영
정지영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978A/ko
Publication of KR2023013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백나무 씨앗의 전처리 및 수증기 증류를 통해 제조한 하이드로졸이 티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저해 및 멜라닌(melanin) 생성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미백용 조성물 또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skin comprising hydrosol prepared from Camellia japonica see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속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는 색소 세포에서 합성하는 멜라닌(melanin)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멜라닌은 몸 전체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태양의 가시광선을 흡수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나, 과도하게 생성되면 피부의 색소 침착 등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멜라닌의 농도와 분포역에 따라서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하나,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태양의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임신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 등에 영향을 받는다.
미백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의 환원을 촉진하여 유도된다. 피부표면인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생성되는 티로신은 멜라닌의 전구체에 해당되며, 도파퀴논(DOPA-quinone)을 거쳐 멜라닌으로 합성된다. 이러한 중간과정에서 타이로시네이즈라는 효소가 작용하는데, 이처럼 티로신이 도파 및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산화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게 되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피부톤이 밝아지는 미백 효과가 나타난다.
최근 미백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미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으로서, 약 200여 종이 알려져 있고, 동남아시아에 약 1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남부에 1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동백나무 꽃의 형태, 색깔, 잎 등을 변화시킨 원예품종이 관상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백 씨앗에는 다양한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시스테인(cystein),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아이소루신(isoleucine), 루신(leucine), 티로(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히스티딘(histidine), 라이신(lysine), 아르기닌(arginine) 등이 풍부하며 이중 필수 아미노산인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아이소루신, 루신,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및 라이신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의 3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019호 (2013.10.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에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처리 및 냉침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동백나무 씨앗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여 하이드로졸(hydrosol)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백나무 씨앗 유래 하이드로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의 전처리 및 수증기 증류를 통해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저해 및 멜라닌(melanin) 생성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졸을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함으로써, 과도한 멜라닌 생성으로 발생되는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비정상적 피부 색소 침착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동백나무 씨앗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 단계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의 요약도이다.
도 2는 전처리된 동백나무 씨앗과 알부틴(albutin)의 농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0.05, **<0.01, ***<0.001의 유의성을 의미한다.
도 3은 전처리된 동백나무 씨앗을 이용한 하이드로졸(hydrosol) 제조 단계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의 요약도이다.
도 4는 전처리된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의 GC-MS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5는 하이드로졸(hydrosol)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독성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하이드로졸(hydrosol)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B16F10 melanoma cell의 육안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하이드로졸(hydrosol) 및 알부틴(albutin)의 농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0.05, **<0.01, ***<0.001의 유의성을 의미한다. 그래프에 제시된 oil은 하이드로졸 제조 시, 불용성 물질로 추출되며, 일반적인 미백 활성제제로 사용되므로 이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8은 하이드로졸(hydrosol) 및 알부틴(arbutin)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melanin) 함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0.05, **<0.01, ***<0.001의 유의성을 의미한다. 그래프에 제시된 oil은 하이드로졸 제조 시, 불용성 물질로 추출되며, 일반적인 미백 활성제제로 사용되므로 이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9는 하이드로졸(hydrosol) 농도에 따른 미백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0.05, **<0.01, ***<0.001의 유의성을 의미한다. 그래프에 제시된 oil은 하이드로졸 제조 시, 불용성 물질로 추출되며, 일반적인 미백 활성제제로 사용되므로 이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10은 하이드로졸(hydrosol) 농도에 따른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0.05, **<0.01, ***<0.001의 유의성을 의미한다. 그래프에 제시된 oil은 하이드로졸 제조 시, 불용성 물질로 추출되며, 일반적인 미백 활성제제로 사용되므로 이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피부 미백 화장품 개발에 예의 노력한 결과,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의 전처리 및 수증기 증류를 통해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저해 및 멜라닌(melanin) 생성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졸은 동백나무 씨앗을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처리 및 냉침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로스팅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스팅 처리는 120 내지 180℃에서 40 내지 8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졸은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산디오익산 및 바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졸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졸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TRP-1)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 2(TRP-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졸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백"은 멜라닌 색소 등의 과다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켜, 상기 색소 침착으로 야기되는 피부의 흑화를 방지하여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란, 피부 색소 침착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화장료는 일반 화장료와 달리 생리활성적인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화장품법에 정의된 바에 따라 피부 미백 등 특정 효능과 효과가 강조된 화장료를 의미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질환은 기미, 주근깨, 잡티, 검버섯 및 오타모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색소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및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유효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에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처리 및 냉침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된 동백나무 씨앗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여 하이드로졸(hydrosol)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백나무 씨앗 유래 하이드로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로스팅 처리는 120 내지 180℃에서 40 내지 8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전처리된 동백 열매 씨앗의 타이로시네이즈 ( tyrosinase ) 활성 저해 효과 분석
동백 열매 씨앗의 전처리는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수증기 처리 및 냉침처리를 통해 진행했다. 로스팅 처리는 동백 열매 씨앗 100g을 150℃에서 60분간 로스팅 기기(CBR-101, INNOVATIVE OFF-AXIS POTATION, Korea)를 이용하여 획득했다. 고온고압 수증기 처리는 동백 열매 씨앗 100g을 autoclaving bag에 투입 후 121℃에서 15분간 autoclave(ST-50G, Lab companion, Korea)에서 반응시킨 다음 60℃ 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하여 획득했다. 냉침처리는 동백 열매 씨앗 100g을 2L 삼각플라스크에 투입 후, 증류수 1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반응시킨 다음 60℃ 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하여 획득했다.
로스팅, 고온고압 수증기 및 냉침처리가 완료된 동백 열매 씨앗은 분쇄기로 분쇄 후, 20 mesh pass, 80 mesh on의 크기로 분급했다. 전처리된 동백 열매 씨앗 분말은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후, 0.2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 분석에 사용했다.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활성은 일반적으로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 본 실험에서는 Maeda and Fukuda(2013) 법에 따라 측정했다.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0.1mL, 0.3mg/mL 농도의 L-tyrosine 수용액 0.1mL 및 1250unit/mL의 mushroom 타이로시네이즈 0.1mL를 혼합한 후, 500.00ppm 농도의 전처리된 동백 열매 씨앗을 각각 0.1mL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효소반응 시켰다. 그 후,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75nm에서 측정했다.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을 하기 식을 이용해 계산했고,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값을 도출했다.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알부틴(arbutin, Bioland, Korea)을 사용했고, 동백 열매 씨앗과 동일한 농도 및 방법으로 분석했다.
[수학식 1]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tyrosinase Inhibition rate, %) = [(A-B)/A] ×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75nm에서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75nm에서 흡광도
전처리된 동백 열매 씨앗 및 알부틴의 농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로스팅 처리군에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특히 알부틴 처리군과 유사한 저해 효과를 나타냈고, 무처리군보다 로스팅 처리군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가 약 3.8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도 2).
따라서 로스팅 처리된 동백 열매 씨앗을 이용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했다.
[ 실시예 2] 로스팅된 동백 열매 씨앗으로부터 하이드로졸 제조 및 성분 분석
1. 하이드로졸 제조
수증기 증류장치를 이용한 하이드로졸 추출은 200g의 로스팅 처리된 동백열매 씨앗을 증류용기에 투입하고 증류수 2L를 투입하여 증기를 생성한 후, 에션셜 오일을 함유한 수증기를 수냉식 응축기를 통하여 응축하여 하이드로졸을 제조했다(도 1 및 도 3). 제조한 하이드로졸은 -4℃에서 냉장보관한 후, 실험에 사용했다.
2. 하이드로졸의 휘발성 성분 분석
하이드로졸은 Head space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도 4),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조건은 표 1과 같다.
하이드로졸의 휘발성 성분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하이드로졸은 총 17개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고, 주요 성분은 hexamethyl-cyclotrisiloxane(35.30%) 및 octamethyl-cyclotetrasiloxane(19.40%)인 것을 확인했다.
하이드로졸의 일부 성분들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다. Hexamethyl-cyclotrisiloxane는 Thymelaea hirsuta L.의 휘발성 화합물에도 포함되어있는 물질로서, 화장품 base 제제로 사용된다. Octamethyl-cyclotetrasiloxane는 피부 미백제로 사용되며, Clematis graveolens 및 Hexamethylcyclotrisiloxane oil에도 포함된 물질이다. Decamethyl-cyclopentasiloxane은 실리콘 오일 중 하나로써,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며 발림성을 증대시키고 발수성, 광택, 컨디셔닝, 무독성, 무자극성 및 낮은 표면 장력을 특징으로 한다. Hexanedioic acid는 adipic acid라고도 불리며, 향과 pH 조절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Vanillin은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피부 세포와 조직의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화장품에서 피부의 활력을 부여하는 컨디셔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미국환경연구단체가 지정하는 안전성 등급인 EWG가 0등급으로, 아주 낮은 위험도를 가지는 것을 인증받았다.
따라서 하이드로졸에 포함된 주요 휘발성 화합물은 화장품 원료로서 적합할 것으로 판단했고, 하이드로졸이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Apparatus Item Condition
Headspace Instrument Agilent 7694
Vial oven temp. 95℃
Loop Temp. 98℃
Transfer line temp. 100℃
GC Instrument Agilent 7890A
Column HP-5MS(Length 30, diam 0.250, film 0.25)
Carrier gas He 1.57mL/min
Split splitless
MS Ion source EI, 70eV
Ms source 230℃
Scan range 50-550m/s
Library w9N11.L
SPME SUPELCO SPME Fiber GRAY(DVB/CAR/PDMS)
Compounds Chemical
formula
Molrecular weight
(g/mol)
Retention time,
(min)
Area
(%)
Hexamethyl-cyclotrisiloxane C6H18O3Si3 222.46 3.506 35.30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C8H24O4Si4 296.62 8.378 19.40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C10H30O5Si5 370.77 12.850 4.84
5-methyl-2-phenyl-1H-Indole C15H13N 207.27 13.919 0.47
2,6-dimethoxy-phenol C8H10O3 154.16 15.750 0.26
Vanillin C8H8O3 152.15 17.075 2.47
Cycloheptasiloxane O7Si7 308.59 20.782 1.45
3,4-Dihydroxyphenylglycol C8H10O4 170.16 24.079 0.92
2-(2-Methylpropyl)butanedinitrile C8H12N2 136.19 26.935 0.36
n-Hexadecanoic acid C16H32O 256.42 28.994 1.18
2-[2-nitro-1-(2-naphthyl)ethyl]-cyclohexanone C18H19NO3 297.3 29.479 0.29
Octadecanoic acid C18H36O2 284.48 32.103 0.62
Hexanedioic acid C6H10O 146.14 35.515 4.63
1,2-Benzenediol,3,5-bis
(1,1-dimethylethyl)
C14H22O2 222.32 35.943 0.41
Octadecamethyl-octasiloxane C18H54O7Si8 607.30 37.919 0.63
Formic acid CH2O2 46.025 40.484 0.93
2,4,6-Cycloheptatrien-1-one C7H6O 106.12 44.039 1.00
[실시예 3] 세포 독성 평가
실험에서 사용한 마우스 흑색종(mouse melanoma, B16F10)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았으며, 세포는 melanoma disease가 발병된 C57BL/6J 마우스의 피부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했다. 분양받은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이하 FBS라 함)와 1% 페니실린(penicillin)/스트렙토마이오신(streptomycin)(100U/mL)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에서 배양했다. 세포 배양은 37℃, 5% CO₂조건의 CO₂incubator(BB15,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진행했고, 도립현미경(inverted microscope, ELWD 0.3 T1-SNCP, Nikon ECLIPSE,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세포 사진을 촬영했다.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 흑색종(mouse melanoma, B16F10) 세포를 24 well plate에 3 × 104 cells/well이 되도록 500μL 분주하여 2일 동안 배양했다. DMSO에 농도별(0~500ppm)로 용해시킨 하이드로졸을 세포가 배양된 배지에 첨가한 후 37℃, 5% CO₂incubator(BB15,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2일 동안 반응했다. 반응이 종료된 배지에 5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50μ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빛을 차단한 후 37℃, 5% CO₂조건의 CO₂incubator(BB15,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모든 배지를 제거한 후 200μL/well의 DMSO를 처리했다. DMSO를 사용하여 formazan 결정을 녹인 후, microplate reader(SpectraMax 190, Molecular Devices LLC, California, United States)를 사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고, 하기 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했다.
[수학식 2]
세포독성(cell viability, % ) =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무첨가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0, 31.25, 62.5, 125, 250 및 500ppm 하이드로졸 처리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각각 100.0%, 96.7%, 96.6%, 98.5%, 99.7% 및 100.3%를 나타내어 모든 하이드로졸 처리군(31.25~500ppm)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도 5).
또한, 하이드로졸 농도별 처리에 따른 B16F10 melanoma cell의 육안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모든 하이드로졸 처리군(31.25~500ppm)에서 상기 cell 돌기가 사멸되지 않았고, 원활한 성장과 증식을 보이는 등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도 6).
이는 실험에서 처리한 모든 농도(31.25~500ppm)의 하이드로졸이 미백활성 평가를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실시예 4] 하이드로졸의 타이로시네이즈 ( tyrosinase ) 활성 저해 효과 분석
타이로시네이즈는 멜라닌 합성과정의 속도결정단계를 촉매하는 역할을 하고, DOPA 산화반응에 대한 활성저해를 측정하여 미백에 대한 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하이드로졸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활성을 측정했고,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본 실험에서는 Maeda and Fukuda (2013) 법에 따라 측정했다.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0.1mL, 0.3mg/mL 농도의 L-tyrosine 수용액 0.1mL 및 1250 unit/mL의 mushroom 타이로시네이즈 0.1mL를 혼합한 후, 31.25~500ppm 농도의 하이드로졸을 각각 0.1mL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효소반응 시켰다. 그 후,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75nm에서 측정했고, 하기 식을 이용해 효소 활성 저해율을 계산했다.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알부틴(arbutin, Bioland, Korea)을 사용했고, 하이드로졸과 동일한 농도 및 방법으로 분석했다.
[수학식 3]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tyrosinase Inhibition rate, %) = [(A-B)/A] ×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75nm에서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75nm에서 흡광도
그 결과, 31.25, 62.5, 125, 250 및 500ppm 농도의 하이드로졸에서 각각 88.0%, 76.0%, 62.95, 38.6% 및 24.8%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나타냈다(도 7A, p<0.001).
또한, 31.25, 62.5, 125, 250 및 500ppm 농도의 알부틴에서 각각 93.3%, 73.8%, 41.8%, 37.7% 및 22.0%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나타냈다(도 7B).
상기와 같이 하이드로졸 및 알부틴 모두 농도 의존적인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상기 두 물질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31.25, 62.5 및 250ppm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125 및 500ppm은 p value 0.05 수준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50% 저해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졸의 IC50값은 210ppm이고, 500ppm 농도에서 동백 열매 씨앗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비교한 결과, 하이드로졸이 동백 열매 오일보다 더 높은 타이로시네이즈 억제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하이드로졸 처리군은 타이로시네이즈를 무처리군(0ppm) 대비 최대 약 75.2%(500ppm) 억제하였고, 이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5] 하이드로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분석
멜라닌(Melanin)은 검은색 피부에서 함량이 증가하고, 미백이 일어나면 감소하는 물질로, 주로 melanocyte라는 미백 세포 내에 존재하며, 피부 내부에서 기미, 주근깨, 흑색종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하이드로졸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흑색종 세포를 통해 하이드로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했고,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본 실험에서는 Maeda and Fukuda(2013) 법에 따라 측정했다. 24 well plate에 2×104 cells/mL의 B16F10 cell을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이 종료된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했다. 100nM의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해주고 동시에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했다. 시료는 하이드로졸(31.25~500ppm 및 알부틴(31.25~500ppm)을 사용했다. 배양이 끝나면 배지를 PBS buffer로 세척한 후 1N NaOH 200μL를 넣고 70℃ water bath에서 1시간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하이드로졸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함량이 감소했고, 특히 가장 낮은 농도인 31.25ppm 처리군에서도 무처리군보다 p value 0.001 이하의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를 나타냈으며, 500ppm에서 멜라닌 함량이 무처리군 대비 약 58.1%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도 8). 또한, 멜라닌 함량을 50% 저해시킬 수 있는 IC50을 도출한 결과, 110ppm인 것을 확인했다.
알부틴은 125~500ppm에서 무처리군 대비 p value 0.001 이하의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를 나타냈고, 500ppm에서 최대 65.8%의 멜라닌 함량이 감소했다.
상기 결과와 같이, 하이드로졸 및 알부틴은 500ppm을 제외하고 모든 농도에서 유사한 melanin content를 나타냈다. 비록 500ppm의 하이드로졸에서 알부틴과 p value 0.05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무처리군보다 약 4.5배 멜라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하이드로졸이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고, 미백에 효과적인 화장품 개발을 위하여 타이로시네이즈 및 멜라닌 억제 활성 모두에 효과적인 농도로 210ppm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했다.
[실시예 6] 하이드로졸의 멜라닌 형성 유전자 억제 효과 분석
B16F10 melanoma 세포를 10% 소혈청 및 1% 항생제를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USA)에 1 × 106 세포의 밀도로 100mm 디쉬에 접종하고 1일 동안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했다. α-MSH(0.34μg/mL, Sigma)가 포함된 새로운 DMEM 10% 배지로 교체 후 하이드로졸을 농도별(31.25~500ppm)로 배양판에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했다. 배양 후 미백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에 trizol(Invitrogen, USA) 1mL을 첨가하여 Invitrogen 사의 RNA 분리법에 따라 RNA를 분리했다.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260nm에서 RNA 양을 정량한 후,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실시했다. RT-PCR은 All-in-one RT-PCR kit(Super bio, Korea)를 사용했고, All-in-one RT-PCR kit의 메뉴얼에 따라 실험을 진행했다.
타이로시네이즈의 서열은 sense : 5'-GGC CAG CTT TCA GGC AGA GGT-3'; anti-sense : 5'-TGG TGC TTC ATG GGC AAA ATC-3'이고, 90℃에서 30초 동안 denaturation하였으며 60℃에서 30분 동안 역전사 후 94℃에서 1분 동안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및 94℃에서 30초, 56℃에서 30초, 72℃에서 1분 동안 30 cycle로 PCR 반응했다.
Tyrosinase related protein 1(이하 TRP-1라 함)의 서열은 sense : 5'-GCT GCA GGA GCC TTC TTT CTC-3'; anti-sense : 5'-AAG ACG CTG CAC TGC TGG TCT-3'이고, 90℃에서 30초 동안 denaturation하였으며 60℃에서 30분 동안 역전사 후 94℃에서 1분 동안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및 94℃에서 30초, 56℃에서 30초, 72℃에서 1분 동안 30 cycle로 PCR 반응했다.
Tyrosinase related protein 2(이하 TRP-2라 함)의 서열은 sense : 5'-GGA TGA CCG TGA GCA ATG GCC-3'; anti-sense : 5'-CGG TTG TGA CCA ATG GGT GCC-3'이고, 50℃에서 30분 동안 역전사 후 96℃에서 3분 동안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후 94℃에서 1분, 60℃에서 1분, 72℃에서 1분 동안 25 cycle로 PCR 반응했다.
음성대조군으로 α-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인 α-MSH(500ppm)를 사용했고, 하이드로졸 처리를 통한 타이로시네이즈, TRP-1 및 TRP-2의 발현 저해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하이드로졸의 모든 농도(31.25~500.00ppm)에서 α-MSH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타이로시네이즈, TRP-1 및 TRP-2의 수치를 나타냈다(도 9, p-value < 0.0001). 구체적으로 62.5ppm에서부터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을 50% 이상 저해시켰고, TRP-1과 TRP-2의 경우, 31.25ppm에서 약 40~55% 발현을 감소시켰고, 62.5ppm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50% 이상의 발현 감소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하이드로졸은 타이로시네이즈, TRP1 및 TRP2를 억제를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고, 특히 하이드로졸이 미백 효능을 위한 적정 농도는 50% 이상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킨 62.5ppm일 것으로 판단했다.
[실시예 7] 하이드로졸의 멜라닌 형성 단백질 저해 효과 분석
B16F10 melanoma 세포를 10% FBS 및 1% 항생제를 첨가한 DMEM에 5 × 105 세포 밀도로 100mm 디쉬에 접종하고 5% CO2, 37℃에서 1일 배양했다. α-MSH(0.34μg/mL, Sigma)가 포함된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고 하이드로졸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일간 배양했다. 배양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여 1.5mL microtube로 옮기고 세포 파쇄 버퍼(40mM Tris-Cl(pH 7.4), 10mM EDTA, 120mM NaCl, 0.1% NP-40, 1mM PMSF,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첨가하여 세포를 파괴한 후 4℃에서 15,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회수하여 단백질을 분리했다. 분리한 단백질은 시그마사의 BCA 방법에 따라 정량한 후 SDS-PAGE를 진행했다. SDS-PAGE 젤을 PVDF 막으로 옮긴 후 일차 항체와 퍼옥시다제(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표지하고 western blot detection kit(Intron, Korea)를 사용하여 X-ray 필름에 감광한 후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하이드로졸을 음성대조군인 α-MSH와 비교했을 때, 31.25ppm을 제외하고 모든 농도에서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효과를 확인했고, p-value 0.001이하의 유의성을 나타냈다(도 10).
TRP-1은 무처리군, α-MSH 처리군, 31.25, 62.5, 125, 250 및 500ppm의 하이드로졸 처리군에서 각각 85.7%, 100.0%, 88.4%, 86.9%, 79.7%, 68.3% 및 59.4%의 TRP-1 발현을 나타냈고, 특히 하이드로졸 250 및 500ppm 처리군에서 TRP-1이 α-MSH 처리군보다 낮았으며, p-value 0.001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TRP-2는 500ppm의 처리군에서 α-MSH 처리군보다 58.29% 감소된 41.71%의 발현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타이로시네이즈는 하이드로졸 62.5ppm부터, TRP-1 및 TRP-2는 31.25ppm부터 α-MSH보다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62.5ppm의 하이드로졸이 미백 활성을 저해하는 단백질 발현 감소에 효과적이며, 미백크림 제조를 위한 적정 농도일 것으로 판단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whitening skin comprising hydrosol prepared from Camellia japonica seed as an active ingredient <130> ADP-2021-0962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forward sense) <400> 1 ggccagcttt caggcagagg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anti sense) <400> 2 tggtgcttca tgggcaaaat c 21 <210> 3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 related protein 1(forward sense) <400> 3 gctgcaggag ccttctttct c 21 <210> 4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 related protein 1(anti sense) <400> 4 aagacgctgc actgctggtc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 related protein 2(forward sense) <400> 5 ggatgaccgt gagcaatggc c 21 <210> 6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yrosinase related protein 2(anti sense) <400> 6 cggttgtgac caatgggtgc c 21

Claims (14)

  1.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동백나무 씨앗을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처리 및 냉침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처리는 120 내지 180℃에서 40 내지 8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산디오익산 및 바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TRP-1)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 2(TRP-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기미, 주근깨, 잡티, 검버섯 및 오타모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색소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동백나무 씨앗(Camellia japonica seed)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hydro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동백나무 씨앗에 로스팅 처리, 고온고압 처리 및 냉침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된 동백나무 씨앗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여 하이드로졸(hydrosol)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백나무 씨앗 유래 하이드로졸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처리는 120 내지 180℃에서 40 내지 8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 씨앗 유래 하이드로졸 제조방법.
KR1020220038495A 2022-03-29 2022-03-29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139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495A KR20230139978A (ko) 2022-03-29 2022-03-29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495A KR20230139978A (ko) 2022-03-29 2022-03-29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978A true KR20230139978A (ko) 2023-10-06

Family

ID=8829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495A KR20230139978A (ko) 2022-03-29 2022-03-29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9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19B1 (ko) 2012-03-28 2014-06-18 태경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19B1 (ko) 2012-03-28 2014-06-18 태경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0119A (ja) ショウガ根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04517836A (ja) 植物アルガニア・スピノーザの葉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皮膚薬調製物
KR102020828B1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6872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4286513B2 (ja) 抗老化用組成物
US20090054346A1 (en) Elastin production-enhancing agents
TWI747280B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2006225269A (ja) コラゲナ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トリペプチド、それを含有する発酵物、食品製剤、化粧品製剤
CN109715217B (zh) 米诺地尔和肽的结合物
KR20220170253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nu532 균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JP2010235548A (ja) 抗酸化剤、抗炎症剤、美白剤、抗老化剤、育毛剤、及び抗肥満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品
KR20150136887A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9978A (ko) 동백나무 씨앗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463081B1 (ko) 녹두추출물을함유하는미백화장료조성물
KR101482722B1 (ko) 오르니틴 또는 오르니틴에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된 디펩티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0045355A (ja) ムレスズメ根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用化粧料組成物
JP2011241162A (ja) FGF−7産生促進剤、VEGF産生促進剤、IGF−1産生促進剤、HGF産生促進剤、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及び育毛剤
KR20230139979A (ko) 동충하초 균사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KR102105001B1 (ko) 수정목 세포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유용성분의 대량 생산 방법
KR102225547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