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829A -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829A
KR20230139829A KR1020220035555A KR20220035555A KR20230139829A KR 20230139829 A KR20230139829 A KR 20230139829A KR 1020220035555 A KR1020220035555 A KR 1020220035555A KR 20220035555 A KR20220035555 A KR 20220035555A KR 20230139829 A KR20230139829 A KR 2023013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learner
online
character
tea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바쿠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바쿠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바쿠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03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829A/en
Publication of KR2023013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82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CDIGITAL COMPUTERS IN WHICH ALL THE COMPUTATION IS EFFECTED MECHANICALLY
    • G06C1/00Computing aids in which the computing members form at least part of the displayed result and are manipulated directly by hand, e.g. abacuses or pocket add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기)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캐릭터 선생님을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ta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A storage unit that stores bus data, and when a learner taking an online class enters the class location online, the (pre)stored metaverse data is provided to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and the learner's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teacher who conducts online classes based on learning results to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Description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Online class service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온라인 주산 수업 등에서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수업 방법이 이루어지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etaverse teaching methods are used in online abacus classes, etc. will be.

일반적으로, 주산이라고 하는 수판셈의 계산방법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서 조선시대 전기의 산법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수판셈은 중국의 수판셈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었으나, 이것을 일본이 수입하여서 현재와 같은 수판셈을 창안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산이 널리 이용되다가, 4칙 연산 이외의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없다는 한계성과, 저렴하고 정확한 전자계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쇠퇴하였으나, 최근에는 학생들의 교육에 응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calculation method of subansem, called abacus, was imported from China and greatly influence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Korea's subansem was an exact copy of China's, but Japan imported it and created the current subansem. This type of abacus was widely used, but declined due to it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perform complex calculations other than the four basic operations and the spread of inexpensive and accurate electronic calculators.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student education.

다시 말해, 주산교육은 사칙연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산교육은 암기력과 집중력과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므로 주산에 대하여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도 여전히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In other words, abacus education is not only about the four basic calculations, but it also instills memorization,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in learning, thereby renewing awareness of abacus. In this respect, consumer demands continue to persist in the market even recently.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4215호(2004.12.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4215 (December 10, 200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2924호(2004.07.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62924 (2004.07.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083호(2017.06.29)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4083 (2017.06.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온라인 주산 수업 등에서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수업 방법이 이루어지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a metaverse class method are implemented, such as in an online abacus clas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상기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상기 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상기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캐릭터 선생님을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metaverse 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and a learner taking the online class. When entering the class location online, the stored metaverse data is provided to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ducts the online class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I)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haracter teacher to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타버스 데이터로서 오프라인의 수업 장소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강사가 템플릿(template)을 사용하여 제작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a video taken of an offline class location as the metaverse data, or store metaverse data produced by the instructor using a templ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학습 수준에 매칭되는 코멘트를 제시하도록 상기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nd contro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to present a comment matching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복수의 학습자가 참가할 때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복수의 학습자에 각각 매칭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자의 행동을 상기 캐릭터에 구현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learners participate in the online class, the control unit displays characters ma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and can display the learners' actions by embodying them in the charact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수업으로서 주산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캐릭터 선생님의 전자주판과 상기 학습자의 전자주판을 상기 화면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When an abacus class is conducted as an online class,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display the character teacher's electronic abacus and the learner's electronic abacus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상기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상기 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상기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캐릭터 선생님을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riving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storing metaverse 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and a control unit. , When a learner taking the online class enters the class location online, the stored metaverse data is provided to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and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It includes controll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teache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to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데이터로서 오프라인의 수업 장소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강사가 템플릿을 사용하여 제작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saving step, a video taken of an offline class location may be stored as the metaverse data, or metaverse data produced by the instructor using a template may be stored.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학습 수준에 매칭되는 코멘트를 제시하도록 상기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ing step may determine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nd contro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to present a comment matching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복수의 학습자가 참가할 때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복수의 학습자에 각각 매칭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자의 행동을 상기 캐릭터에 구현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controlling step, when a plurality of learners participate in the online class, characters ma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and the learner's behavior can be implemented and displayed in the character. there is.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으로서 주산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캐릭터 선생님의 전자주판과 상기 학습자의 전자주판을 상기 화면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ing step may further display the character teacher's electronic abacus and the learner's electronic abacus on the screen when the abacus class is conducted as the online cla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시 실제 오프라인상에서 수업을 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가상공간에 구현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능률을 고양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help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of learners by creating an atmosphere in the virtual space that is similar to that of actual offline classes during online class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공간의 온라인상에서 가령 주산 수업 등을 수강할 때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등장시켜 수업을 진행시킴으로써 어린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흥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ing an abacus class, for example, online in a virtual spac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appears to conduct the clas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terest young students in online clas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online clas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ure 1;
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ure 1, and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online clas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ure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서비스 시스템(90)은 가령 주산 학습, 그리고 주산과 관련되는 게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학습자 단말장치(100), 강사 단말장치(105), 통신망(110),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online class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such as abacus learning and games related to abacus, and includes a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nd an instructor. It includes part or all of the terminal device 105, communication network 110,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nd third-party device 130.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강사 단말장치(105)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전자주판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part or all” means that the electronic abacus service system 90 is configured by omitting some components, such as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or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This means that part or all of can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into a network device (e.g.,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is explained as being entirely included to facilitat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학습자 단말장치(100)는 화면을 구성하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주판기(혹은 전자주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주판기상에는 자체적으로 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잭(jack) 등을 통해 모니터만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s a user terminal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tablet PC, smartphone, or smart TV that constitutes the screen, and an abacus (or electronic abacus) that operates by being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 may include. Of course, the abacus can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that implements a screen on its own, or it can also be used by connecting only a monitor through a jack, etc., 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limited to one form. I won't do it.

예를 들어, 위의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는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주산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령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제품의 출고시에 생산공장에서 이미 탑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주판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주판기를 셈(counting)하는 주산셈 데이터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학습자의 주산셈에 따른 주산셈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되지만, 주판기가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직접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주산셈 데이터를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의 주산셈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주산셈 데이터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주산셈 데이터는 가령 전자주판상에서 주판알을 어떻게 놓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라 볼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terminal device such as the above computer connects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f FIG. 1 and runs a program, such as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for using the online abacu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f course, it may be already installed and provided at the production factory when the product is shipped. Accordingly, the learner runs the corresponding program o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n operates the abacus machine, so that abacus counting data for counting the abacus machine can be provided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f FIG. 1. Of course, abacus data according to the learner's abacus is provided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but if the abacus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s a data transmission operation on its own,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bacus data can be provided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via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Here, the learner's abacus data may be called first abacus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abacus data can be viewed as data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how the abacus balls were placed, for example, on an electronic abacus.

학습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학습자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주산을 가르치는 선생님(예: AI 캐릭터 선생님 등)이 함께 수업에 참여하여 1:1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의 화면(도 2, 도 4 참조), 또 한 명의 선생님과 복수의 학생들 즉 그룹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의 화면(도 3, 도 5 참조), 그리고 학생이 혼자 주산과 관련한 게임을 수행할 때의 화면, 그룹으로 게임을 할 때의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the learner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service screens provided b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For example, a screen when a teacher who teaches one's abacus (e.g., AI character teacher, etc.) participates in the class together and the class is conducted 1:1 (see Figures 2 and 4), another teacher and multiple students That is, various screens may be provided, such as a screen when classes are conducted in groups (see FIGS. 3 and 5), a screen when a student plays abacus-related games alone, and a screen when a student plays a game in a group.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구현되는 해당 선생님이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또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하는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으로 구현된다. 물론 실제 선생님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선생님의 모습을 화면에 구현할 수도 있지만, 실제 선생님의 모습만 화면에 구현하고 말이나 행동은 인공지능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프로그램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Above a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er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that operat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or by execu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Of course,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actual teacher, the teacher's image can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but only the actual teacher's image can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and the words and actions can be based on the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Since this can be accomplish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program design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다시 말해, 캐릭터 선생님이 화면에 등장하여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학습자들의 수업 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코멘트를 제시하면서 수업을 지도하게 된다. 이때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은 A 학생의 a 상태(학업 수준)에서 a'라는 코멘트를 통해 수업을 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a'의 코멘트는 다양한 학생들의 수업 결과를 인공지능 딥러닝 등에 의해 분석하고 또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A 학생의 a 상태를 판단하여 정확한 코멘트가 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분석 동작 등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이루어지며 캐릭터 선생님은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의 제어하에 동작한다.In other words, a character teacher appears on the screen and leads the class by providing various comments based on the learners' class results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runs. At this tim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is programmed to teach through a comment called 'a' in student A's 'a' state (academic level), and this 'a' comment analyzes the class results of various stud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etc. Also,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tudent A's status is judged to provide accurate comments. Of course, analysis operations, etc. are performed i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f FIG. 1, and the character teacher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학습자 단말장치(100)는 선생님 즉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의 참여가 있을 때 하나의 화면상에서 모든 동작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5 참조). 물론 이러한 동작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해당 화면을 생성하여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다. 가령, 초당 60장의 단위 비디오 프레임이 화면에 구현될 때 모든 단위 비디오 프레임에서 시간 변화에 따라 모든 동작이 하나의 화면에서 구현되도록 한다. 가령, 도 5에서 볼 때 상측의 제1 영역(500)은 수업화면을 보여주고, 상측의 제2 영역(510)은 (캐릭터)선생님 주판을 보여줄 수 있으며, 화면 가운데의 제3 영역(530)에는 캐릭터 선생님이 등장할 수 있다. 또한, 하단의 좌측과 우측의 제4 영역(530)에는 각각 학생들의 캐릭터와 주판을 각각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산 서비스의 이용시 하나의 화면에 모든 장면을 통합하여 보여줌으로써 학습자의 주산과 관련해 학습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s configured so that all actions can be viewed at a glance on one screen when the teacher, that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participates (see FIG. 5). Of course, this operation is possible by creating the corresponding screen i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f FIG. 1 and transmitting the video. For example, when 60 unit video frames per second are implemented on the screen, all actions are implemented on one screen according to time changes in all unit video frames.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ure 5, the first area 500 on the upper side shows the class screen, the second area 510 on the upper side can show the (character) teacher's abacus, and the third area 530 in the middle of the screen. A character teacher may appear. In addition, the students' characters and the abacus can b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5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is way, when using the abacus service, all scenes are integrated and displayed on one screen, thereby improving the learner's learning efficiency in relation to abacus.

무엇보다 학습자 단말장치(100)는 도 5에서와 같은 그룹 형태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도 캐릭터의 형태로 화면상에 구현하지만, 실제 학생들의 말과 행동을 캐릭터에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의 형태로 캐릭터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지만, 특정 학생이 수업에 대한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학습자 단말장치(100)에서 마이크로폰 등이 동작하게 되면 해당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을 수신하여 해당 학생의 캐릭터에서 대화를 하는 형태로 캐릭터가 구현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학습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신호)을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복수의 학습자들의 학습자 단말장치(100)를 일괄적으로 제어한다고 볼 수 있다.Above all,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mplements students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characters when classes are conducted in the form of groups as shown in FIG. 5, but the actual words and actions of students can be implemented in the characters. In other words, a character teacher in the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ducts the class, but specific students can also ask questions about the class. In this case, when a microphone, etc. operates in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 voice is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character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nversation through the student's character. In this way, services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Of course, it can be seen that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nalyzed, and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ontrols the learner terminal devices 100 of a plurality of learners in a batch.

한편, 강사 단말장치(105)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를 매개로 하여 학생들의 주산과 관련한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 즉 선생님이 소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나 주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나 주판기는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산 수업으로 설명하지만 해당 수업에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or an abacus owned by an instructor, that is, a teacher, who conducts abacus-related classes for students through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r the abacu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explained as an abacus class, but it is not intend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cla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장치(105)는 데스크탑컴퓨터나,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제1 유형의 단말장치와, 전자주판과 같은 제2 유형의 단말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강사 단말장치(105)는 가령 자신이 진행하는 주산 수업 등의 온라인 수업을 위하여 메타버스 환경을 가상공간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오프라인상에서 학원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오프라인 학원에 대한 3차원 촬영영상을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 제공하여 자신이 개설한 온라인 수업방 등에서 그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이 구현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메타버스 환경은 온라인 수업방의 배경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버스 배경 화면은 템플릿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템플릿 형태로 복수의 메타버스 화면을 강사 단말장치(105)로 제시한 후 복수의 메타버스 화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메타버스 화면이 배경 화면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강사 단말장치(105)를 통해 강사는 자신의 온라인 수업방을 템플릿상에서 추가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물론 이의 과정에서 템플릿 환경에서 가구 배치 등의 추가 동작을 통해 자신만의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여 온라인 수업방에 매칭시킬 수 있다.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first type of terminal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tablet PC, or smartphone, and a second type of terminal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abacus. there is.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creates a metaverse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for online classes, such as an abacus class, that it conducts. For example, if you are running an offline academy, you provide 3D footage of the offline academy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so that the corresponding metaverse environment is implemented in the online class room you open. . Of course, this metaverse environment can become the wallpaper of an online class room, and this metaverse wallpaper can also be created and used in the form of a template. In other words, after presenting a plurality of metaverse screens in the form of a template to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one metaverse screen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taverse screens is used as a background screen. Of course,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the instructor can additionally create his or her own online class room on the template, and of course, in the process, build his or her own metaverse environment through additional actions such as furniture placement in the template environment to create an online class room. It can be matched to the classroom.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제 선생님의 개입이 없을 수 있다. 다만, 실제 선생님이 수업에 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로 수업 개입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수업에 참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의 경우에는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의 모습이 실제 선생님의 모습으로 변경되고, 또 수업 진행시 선생님의 음성과 행동을 그대로 선생님의 모습에 구현한다. 물론, 화면상의 선생님의 전자주판도 선생님이 실제 전자주판을 통해 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도 5에서 볼 때 제2 영역(510)은 실제 선생님이 전자주판을 셈하는 셈 데이터를 근거로 화면이 구현되며,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이 등장하는 제3 영역(520)은 실제 선생님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강사 단말장치(105)에는 마이크로폰과 카메라가 구비되므로 이를 통해 음성을 취득하고 촬영이 가능하므로 음성과 모습이 제3 영역(520)에 실시간으로 구현된다고 볼 수 있다.Above a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racter teacher conducts the class, so there may be no intervention by the actual teacher. However, if the actual teacher wishes to intervene in the class,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class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lass intervention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in any one form.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is changed to that of an actual teacher, and the teacher's voice and actions are directly reflected in the teacher's appearance during class. Of course, the teacher's electronic abacus on the screen also shows the teacher actually calculating using the electronic abacus. In other words, as seen in Figure 5, the second area 510 is a screen implemented based on the actual teacher's counting data on the electronic abacus, and the third area 520, w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appears, is the actual teacher's appearance. can show. Since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camera, it is possible to acquire voice and take pictures through this, so it can be seen that the voice and appearance are implemented in real time in the third area 520.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lin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Internet networks such as cable networks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PC (Evolved Packet Core), LTE (Long Term Evolution), and Wibro networks. It means including.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etc.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the telephone company's exchange office, etc., but if 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connect to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receive data. Data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o various repeaters such as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학습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05)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학습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05)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ccess points include small base stations such as femto or pico base stations that are often installed in buildings. Here,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learner terminal devices 100 or instructor terminal devices 105 that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Access points can use TCP/IP or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in addition to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IrDA), RF (Radio Frequency) such as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You can.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Access points can share multiple lines in a typic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 for example, routers, repeaters, and repeaters.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전자주판 즉 도 1의 학습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05)를 활용한 인공지능 및 메타버스 기반의 수업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서 수업을 하는 방식으로 AI 선생님이 문제를 내주고 정답을 알려주며, 게임을 진행하고 특히 셈이 자주 틀리는 부분을 DB(120a) 등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수시로 불러내어 특정 학생이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주는 AI 캐릭터 선생님이 화면상에 등장한다. 다시 말해, AI 캐릭터 선생님은 캐릭터 선생님이 AI 기반으로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이루어지며, AI 캐릭터 선생님은 양방향 소통에 의해 수업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아바타를 이용한 수업과는 차이가 있다.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provides a service to enable class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using an electronic abacus, that is,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of FIG. 1. For example, in a virtual space class, the AI teacher assigns problems, provides the correct answers, plays a game, and stores related data, especially in areas where calculations are frequently incorrect, in the DB (120a), etc., and retrieves them from time to time to help specific students continue to learn. An AI character teacher who allows you to learn appears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be seen as operating based on AI.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execu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and is different from classes using conventional avatars in that the AI character teacher conducts classes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학생들이 가상공간의 메타버스 환경에 들어와서 실질적인 오프라인 환경에서 학습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가령 학원 또는 학습 공간의 내부 공간에 대한 3차원 촬영을 통해 학생들에게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경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이 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선생님(AI 캐릭터 선생님 또는 실제 선생님)과 학생이 가상공간에서 만나서 학습을 할 수 있지만, 실제 학원의 오프라인에서 수업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학생들이 받을 수 있어, 심리적으로 수업에 더욱 열중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llows students to enter the metaverse environment of a virtual space and feel as if they are learning in an actual offline environment. To this end, before providing the service,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reates a background screen to provide the metaverse service to students, for example, through 3D photography of the interior space of an academy or learning space. This can be a data construction operation for service provision. Although teachers (AI character teachers or real teachers) and students can meet and learn in a virtual space in real time, students can feel the same as taking classes offline at a real academy, which has the effect of psychologically making them more absorbed in class. You can also get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물론 학생의 전자주판 즉 학습자 단말장치(100)와 화면의 주판이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것을 가지고 수업하면서 진행한다. 모든 데이터는 도 1의 DB(120a)에 저장하여 그때마다 불러내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Classes are conducted using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s well as the student's electronic abacus, that is,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abacus on the screen, which are linked and operate in real time. The service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by storing all data in the DB 120a of FIG. 1 and recalling it each time. Figures 2 to 5 show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ure 1.

좀더 살펴보면,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뽀로로와 같은 AI 캐릭터를 화면상에 등장시킬 수 있으며, 선생님이 될 수 있다. AI 캐릭터는 학생이 주판알을 움직이는 것을 (인공지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다 알고 있으며 그 데이터를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의 DB(120a)에 저장하며 특히 학생이 자주 틀리는 셈을 기록, 그와 관련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출제함으로써 향후 오답없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동작한다. 다시 말해,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 단말장치(100)에서 주판알을 움직일 때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황을 인식하고, 해당 인식 결과를 근거로 AI 캐릭터 선생님을 제어하므로 AI 캐릭터 선생님은 어떠한 학습자 단말장치(100)에서 어떠한 주판알을 움직였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 또는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은 학습자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주판알의 움직임과 관련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학생의 셈의 결과를 알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근거로 관련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Looking more closel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an make an AI character such as Pororo appear on the screen and become a teacher, as can be seen in FIG. 2. The AI character knows how the student moves the abacus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etc.) and stores the data in the DB (120a)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In particular, it records the student's frequently incorrect calculations. By focusing on related problems, it works to solve problems without incorrect answer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receives the corresponding data when moving the abacus ball in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recognizes the situation, and controls the AI character teacher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abacus bead was mo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can know the results of a specific student's counting by analyzing data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abacus beads made in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nd based on the results, related You can pose questions.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출제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사전에 프로그래밍하여 도 1의 DB(120a)에 기저장할 수 있으며, 위의 셈의 결과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그에 매칭되는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물론, AI 캐릭터 선생님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해당 문제가 출제될 때 현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음성을 추출하여 송출하고, 지정된 행동을 화면에 표출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operatio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an program various types of problems for questions in advance and store them in the DB 120a of FIG. 1, and when the result of the above calculation satisfies the preset conditions, Matching questions can be asked. Of course, since the AI character teacher operat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 question is asked, extract and transmit a voice that matches it, and display the specified action on the screen.

도 2에서는 베이직 코스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라면, 도 3은 그룹 스터디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AI 캐릭터 선생님은 복수의 학습자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셈을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및 그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으며, 각 학습자 단말장치(100)는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또 해당 식별정보에 관련되는 학생이 누구인지 기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AI 캐릭터 선생님이 화면상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화면의 배경은 메타버스 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AI 캐릭터 선생님을 화면상에 구현하지만, 실제 선생님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에도 캐릭터를 선택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지만, 자신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4의 경우에는 AI 캐릭터 선생님이 화면상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While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basic course screen, Figure 3 shows a group study screen. As in Figure 2,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know the calculations made in a plurality of learner terminal devices 100 through data provided in real time and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and each learner terminal device 100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ince it is possible to know who the student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rough pre-stored data, it may be possible for an AI character teacher to conduct classes on the screen. Of cours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the background of the screen as a metaverse scree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implements an AI character teacher on the screen, but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photo of the actual teacher's face and use it. In addition, students can select a character and have it displayed on the screen, but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picture of their own face and use i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the case of Figure 4, an AI character teacher is shown conducting a class on the screen.

물론 기존에도 화면상에 아바타를 구현하여 아바타가 수업을 진행하는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아바타 서비스는 지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방향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타버스를 통해 실제 학원과 같은 학습 공간을 배경화면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AI 캐릭터 선생님의 쌍방향 소통에 의한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학습자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학습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캐릭터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AI 캐릭터 선생님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예측 동작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실제로 인공지능은 딥러닝과 같은 학습을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룰(rule) 기반의 서비스와는 확연히 다르다. 룰 기반의 서비스는 서비스 정책 다시 말해 세팅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외부로 출력되는 결과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학습에 의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동작하므로 예측을 통해 외부로 출력을 하게 되므로, AI 캐릭터 선생님은 그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Of course, services such as implementing an avatar on the screen and having the avatar conduct a class have been provided in the past. However, this avatar service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classes are conduct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gram. Additional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at a learning space such as an actual academy is used as the background screen through the metaverse. Above all,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lasses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y an AI character teacher.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 teacher conducts class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analyzing the data of students using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n real time and learning the analysis results. Since the AI character teacher operat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ve ac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data analysis results. In fact, artificial intelligenc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xisting rule-based services in that it operates based on learning such as deep learning and is therefore predictable. In rule-based services, if the service policy, that is, the set conditions are not met, no results are output to the outside. However,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d operates data through learn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rough prediction,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voic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온라인 서비스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상측에는 제1 영역(500)의 수업 화면과, 제2 영역(510)의 선생님 주판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가운데의 제3 영역(520)에는 뽀로로 캐릭터의 선생님 캐릭터가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선생님 캐릭터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실제 오프라인에서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업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선생님 주판 화면에 구현되는 셈의 결과는 오프라인상에서 실제 선생님의 셈을 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 또한 인공지능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screen as shown in FIG. 5 for online service. On the upper side, a class screen in the first area 500 and a teacher abacus screen in the second area 510 may be implemented. And, the teacher character of the Pororo character may be located in the third area 520 in the middle. Of course, since the teacher character operat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lass can be conduct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teacher actually conducting the class offline. Of course,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s implemented on the teacher's abacus screen can be implemented offline as the actual teacher's calculations on the screen, but it is also desirable to implement th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캐릭터와 그 주변에는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모습을 화면으로 구현하고 실제 학생들의 주판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도 5에서 볼 때 배경 화면을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한다. 다시 말해, 특정 오프라인 학원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통해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기반의 배경화면은 템플릿의 형태로 제작되어 가령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사나 관리자가 선택하는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템플릿에서 선택되는 메타버스 화면의 서비스에 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implements the characte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round them on a screen and monitors the actual students' abacus results. It is implemented in real time on the screen. Above all,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background screen as a metaverse environment as seen in FIG. 5. In other words, the internal space of a specific offline academy is filmed and a metaverse environment is realized through the filmed video. This metaverse-based background screen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templat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metaverse screen selected by, for example, an instructor or administrat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Settings are made on the service on the metaverse screen selected in the template.

예를 들어,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주산과 관련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 즉 선생님은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수업방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선생님은 자신이 직접 3D 촬영한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촬영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세팅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템플릿에서 지정된 포맷의 메타버스 화면을 선택하여 이를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지정 포맷의 메타버스 화면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템플릿 환경에서 내부 인테리어를 직접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수업 공간의 일측에 가구나 화분을 놓고자 할 때, 서비스 화면에서 원하는 가구나 화분을 선택하여 배치시킴으로써 메타버스 화면상에서 인테리어도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혼자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때와 복수의 학습자가 수업을 진행할 때의 배경 화면 즉 메타버스 환경을 서로 다르게 구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도 2나 도 4에서와 같이 혼자 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템플릿에서 선택한 메타버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고, 복수의 학생이 수업에 참여할 때는 실제 오프라인 학원을 촬영한 메타버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structor who conducts an online class related to abacus i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that is, a teacher, can connect to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nd create a class room to conduct an online class, and at this time, the teacher can access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an provide metaverse services through settings by providing footage of offline spaces shot in 3D by oneself, but can also provide services based on this by selecting a metaverse screen of a format specified in the template. Of course, if you select and use the metaverse screen of the designated format provided b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the interior design can be performed directly in the template environment, so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For example, when you want to place furniture or flower pots on one side of the class space, interior design can be done on the Metaverse screen by selecting and placing the desired furniture or flower pots on the service scre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fferent background screens, or metaverse environments, when a learner conducts an online class alone and when multiple learners conduct a class. For example, when a learner studies alone as shown in Figure 2 or Figure 4, the metaverse screen selected from the template is provided, and when multipl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a metaverse screen taken from an actual offline academy is provided. Services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도 5에서 볼 때 배경화면은 위에서와 같은 과정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형태의 메타버스 화면이 배경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경 화면은 선생님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메타버스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은 AI 기반의 캐릭터 선생님이 진행할 수 있지만, 수업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실제로 자신이 소유하는 학습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As seen in Figure 5, the background screen can be implemented as a background screen of various types of metaverse screens set according to the same process as above. Of course, these background screens may be updated periodically at the teacher's request. However, classes that take place on the metaverse screen can be conducted by an AI-based character teacher, bu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ctually conduct the class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that they own.

서드파티장치(130)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를 운영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장치, 또는 주산 학습과 관련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제작 업체의 서버나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의 경우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 관리자 메뉴 주소로 접속하여 서비스 운영상 필요한 공지사항을 등록하여 학습자나 강사와 같은 사용자의 서비스 화면에서 보여지도록 하거나,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제작 업체의 경우에는 가령 서버로서 동작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프로그램 업로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party device 130 may include an administrator device of an administrator who operates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r a server or computer device of a production company that produces and provides online programs related to abacus learning. In the case of an administrator, he or she accesses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using the administrator menu address and registers notices necessary for service oper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rvice screen of users such as learners or instructors, or to display various analysis results related to (big) data analysis. You can also have an administrator check it. 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program production company, for example, an operation such as uploading a program can be performed by accessing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which operates as a server.

도 6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ure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온라인수업처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a control unit 610, an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nd a portion or storage unit 630. includes everything.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학습자 단말장치(100), 강사 단말장치(105) 및 서드파티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mmunicates with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and the third-party device 1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and scaling to convert resolution. This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no further explanation is required. Omit it.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강사 단말장치(105)와의 통신에 따라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통한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구축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수업 장소와 관련한 메타버스 환경은 강사 단말장치(105)를 통해 수업 강좌를 개설하거나 온라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강사가 제공하는 3D 촬영영상을 통해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오프라인 수업 장소의 촬영은 강사 단말장치(105)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문업체를 통해 촬영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강사 단말장치(105)에서 세팅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performs a data construction operation to enable online classes to be conducted through the metavers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For example, the metaverse environment related to the online class location can be set up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through 3D captured images provided by an instructor who wants to open a class or provide an online class service. Of course, filming of offline class locations is not done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but may be filmed and provided through a professional company, so the settings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메타버스 환경하에서의 온라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학습을 지도하는 AI 캐릭터 선생님이 화면상에 등장시킨다. AI 캐릭터 선생님은 학습자의 학습 수준이나 현재의 학습 상태를 실시간으로 피드백받으면서 그에 상응하는 지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주산 학습을 위해 전자주판의 주판알을 놓은 경우 그 상태 데이터를 제공받아 현재 전자주판에 놓인 주판알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그에 상태에 상응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근거로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해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이러한 데이터 처리에 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provides online class services in a metaver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n AI character teacher who provides metaverse services and guides learning appears on the screen. The AI character teacher receives real-time feedback on the learner's learning level or current learning status and provides corresponding guidance. For example, when a learner places an abacus ball on an electronic abacus for learning abacus, the status data is provided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abacus ball placed on the electronic abacus can be known. At this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corresponding to the state, The goal is to ensure that appropriate guidance is provided through AI character teacher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ay be involved in processing such data.

제어부(610)는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온라인수업처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610)는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수업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 세팅하고, 학습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이 있을 때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학습 서비스는 배경 화면을 메타버스 형태로 구현하고, AI 캐릭터 선생님을 등장시켜 학습을 지도하는 형태이다.The control unit 6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Typically, the control unit 610 sets a program for providing online classes to learners i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the program mounted o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is You can provide learning services by running it. Of course, the learning service implements the background screen in the form of a metaverse and introduces an AI character teacher to guide learning.

또한, 제어부(6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학습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부(6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온라인수업처리부(62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서 분석되어 처리되는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도 1의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10 can temporarily store data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in the storage unit 630, retrieve it, and provide it to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In addition, data in a designated format that is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an be provided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B 120a of FIG. 1.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610 control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주산 학습 등의 온라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축 동작과 데이터 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수업 환경은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한 학습 지도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학습자의 a 상황에서 a'로 지도하라고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는 경우 AI 캐릭터 선생님은 해당 프로그래밍에 따라 지도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a'의 지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선행되며, 물론 이의 과정에서도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의 인공지능은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 AI 캐릭터 선생님은 학습자와의 양방향 소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A 학습자의 질문이나 학습 결과에 따라 지도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이원화되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통합하여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령 데이터 분석은 룰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지만 AI 캐릭터 선생님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performs data building operations and data service operations to provide online class services such as abacus learning. The class environment can be built in a metaverse environment, and learning guidance through an AI character teacher can be provided by buil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For example, if learner A is programmed to teach with 'a' in situation 'a', the AI character teacher performs teaching actions according to the programming. However, in order to teach 'a', data analysis of various learners is preceded, and of course,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c.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ata analysis stage is intend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nalysis,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be seen as providing guidance according to Learner A's questions or learning results in the process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 Thes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a dual manner, bu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m in an integrated manner. For example, data analysis is done based on rules, but it is also possible for an AI character teacher to operat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온라인 수업을 제공하려는 강사, 또는 관리자로부터 오프라인상의 학원 내부를 촬영한 3D 촬영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수업 공간의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축한다. 즉 배경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해당 수업 공간에 입장한 경우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업 공간에는 AI 캐릭터 선생님을 함께 등장시킨다. AI 캐릭터 선생님은 학습자를 환영한다는 대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에 따라 학습을 지도할 수 있다. 또한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질의가 있는 경우에는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질의에 매칭되어 있는 답변을 추출하여 AI 캐릭터 선생님이 답변을 진행할 수 있다.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이와 같이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학습함으로써 실제 선생님과 같이 학습자의 학습을 지도할 수 있다.When a 3D video taken inside an offline academy is provided by an instructor or administrator who wants to provide an online class,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onstructs the metaverse environment of the class space. In other words, it is provided as a wallpaper. In this process, the metaverse service is provided when the learner enters the class space. Additionally, an AI character teacher appears in the class space.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conduct a conversation welcoming the learner and guide learning according to programming. Additionally, if a learner has a ques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content of the question is analyzed, an answer matching the question is extracted, and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answer the questio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an guide the learner's learning like an actual teacher by analyzing and learning data collected during the course of the class.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학습하는 데이터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특정되어 있는 답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습 결과에 따라 자유로운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학습 지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동일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그에 상응하는 답변 즉 지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히 일치하는 조건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예측에 의해 지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한 지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룰 기반의 동작과는 구별되며, 기존의 아바타 형태의 수업 방식과도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아바타의 수업 진행에 있어서도 문제풀이가 있는 경우 단순히 문제풀이의 결과가 맞는지 혹은 틀린지에 대하여만 룰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외에 새로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와 관련해 사전에 설정이 없는 경우 수업을 지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learning data i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ontinues to increase, free learning guid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except in the case of specified answers. For example, if the same conditions are satisfi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learning guidance,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an provide a corresponding answer, that is, guidance. However, even if there are no exactly matching conditions, guidance can be performed based on prediction, and in this respect, guidance is provided through an AI character teacher. In this respect, it is distinct from existing rule-based movements and can be seen as distinct from the existing avatar-type teaching method. Of course, when there is problem solving in the avatar's class, it is set based on rules simply for whether the result of the problem solving is correct or incorrect. However, if a new movement is performed other than that, it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to teach the class if there is no prior setting in this regard.

예를 들어,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학습자들이 참여한 상태에서 AI 캐릭터 선생님에 의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다. 다수의 학습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예상된 질의를 모두 사전에 기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취득되는 데이터를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이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의 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학습자들로부터 다양한 질의가 있는 경우 유사한 조건을 찾아 예측을 통해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해 수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수업처리부(620)는 A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과 다르게 전자주판을 통해 셈을 수행한다고 판단될 때 이의 상황을 인공지능을 통해 인지하여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해 A 학습자의 셈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can conduct classes by an AI character teacher with a plurality of learners participating, as shown in FIG. 5. Many learners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queries, and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preset all of the learners' expected queries in advance. However,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s data acquired while conducting online classes to form big data and generates analysis results through analysis such as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is, when there are various questions from multiple learners, it is possible to find similar conditions and provide answers through prediction. Through this process, classes can be conducted through AI character teachers. For example, whe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determines that learner A performs counting using an electronic abacus differently from other learners, it recognizes this situ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rrects learner A's counting incorrectly through the AI character teacher. It can be pointed out that it has been done.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도 1의 강사 단말장치(105)로부터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촬영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임시 저장한 후 제어부(610)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수업처리부(6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30)는 강사 단말장치(105)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서 템플릿 형태의 메타버스 화면이 제공될 때 템플릿에서 강사가 특정 메타버스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 제공하여 그에 따라 메타버스 환경의 세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630 may temporarily store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When a captured video for building a metaverse environment is provided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of FIG. 1, the storage unit 630 temporarily stores it and then outputs it to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610. can do. In addition, when a metaverse screen in the form of a template is provided from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t the request of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the storage unit 63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metaverse screen 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specific metaverse screen from the template. The data can be temporarily stored and then provided to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so that the metaverse environment can be set accordingly.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온라인수업처리부(620) 및 저장부(6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ntrol unit 610,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explained previously. I want to replace it with fiel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온라인수업처리부(620) 및 저장부(6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ntrol unit 610,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module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each module has an internal It will be possible to store software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and execute it. However, the software is a set of software modules, and each module can be formed of hardware, so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figuration of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630 may be hardware, such as storage or memory.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through software (repository), the above conten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온라인수업처리부(6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10 may include a CPU and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control operations, the operation unit performs operations on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command interpretation unit includes an interpreter or compiler, which can convert high-level language into machine language and machine language into high-level language.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is increased by copy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20, loading it into memory, that is, RAM, and then executing it. It can increase quickly. In the case of deep learning models, they can be loaded into GPU memory rather than RAM and executed by accelerating the execution speed using GPU.

도 7은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of FIG. 1.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105)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한다(S700). 여기서,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는 가령 가상 공간에서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마치 오프라인상에서 실제 학원 등에 와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기 것이다. 따라서, 이는 영상에서 배경 화면이라 명명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1,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105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Save metaverse data (S700). Here, the metaverse 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is used to provide the feeling of being at a real academy offline when entering the class location in a virtual space. Therefore, this may be called a background screen in the video.

이러한 메타버스 환경은 강사 등이 실제 오프라인 장소를 3D 촬영을 통해 제공하는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사전에 템플릿 형태로 제작되는 다양한 배경의 메타버스 화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메타버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수업 장소에 대한 가상 공간의 메타버스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This metaverse environment can be formed using footage provided by instructors, etc. through 3D filming of actual offline locations, and can be created by selecting one of the various background metaverse screens produced in advance as templates and creating the corresponding metaverse screen. A metaverse environment of a virtual space for a class location can be created in various ways, such as providing a virtual space.

또한,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기)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한다(S710).In addition,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provides (pre)stored metaverse data to the learner terminal device 100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when a learner taking an online class enters the class location online.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who conducts online classes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is controlled to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S710).

그리고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AI 캐릭터 선생님을 통한 학습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AI 캐릭터 선생님의 학습 지도는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 동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AI 캐릭터 선생님은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학습을 주도하여 진행하지만, 그 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코멘트를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그러한 코멘트는 룰 기반에 의한 코멘트일 수 있지만, 다양한 학습자들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산에는 등급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코멘트를 제공할 경우 모든 학습자가 아니라 동일 등급에 해당하는 학습자들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코멘트를 제공하는 등 AI 캐릭터 선생님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동작하여 학습을 지도한다고 볼 수 있다.And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can provide learning guidance through an AI character teacher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Here, the AI character teacher's learning guidance can be viewed as a feedback action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In this way, the AI character teacher leads learning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but in the process, performs actions such as providing various comments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Of course, such comments may be rule-based comments, but they may also be provided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data from various learners. For example, abacus may have levels. Therefore, when providing comments, the AI character teacher can be seen as guiding learning by opera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providing comments based on the data analysis results of learners in the same grade rather than all learners.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20 of FIG. 1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explained previously, so these will be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mputer programs can be stored i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stored and provided on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et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학습자 단말장치 105: 강사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온라인수업처리부
630: 저장부
100: Learner terminal device 105: Instructor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Online class service device
130: Third party device 6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10: Control unit 620: Online class processing unit
630: storage unit

Claims (10)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상기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상기 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상기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캐릭터 선생님을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A storage unit that stores metaverse 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and
When a learner taking the online class enters the class location online, the stored metaverse data is provided to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and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re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imple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teacher conducting online classes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타버스 데이터로서 오프라인의 수업 장소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강사가 템플릿(template)을 사용하여 제작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age unit is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that stores captured images of offline class locations as the metaverse data, or stores metaverse data produced by the instructor using a tem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학습 수준에 매칭되는 코멘트를 제시하도록 상기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제어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nd contro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to present a comment matching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복수의 학습자가 참가할 때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복수의 학습자에 각각 매칭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자의 행동을 상기 캐릭터에 구현하여 표시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when a plurality of learners participate in the online class, displays characters ma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and implements the learner's behavior into the character to display the online class servic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수업으로서 주산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캐릭터 선생님의 전자주판과 상기 학습자의 전자주판을 상기 화면상에 더 표시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 unit is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that further displays the character teacher's electronic abacus and the learner's electronic abacus on the screen when an abacus class is conducted as the online class.
저장부가, 온라인 수업을 진행시키는 강사의 강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업 장소의 배경과 관련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상기 수업 장소에 입장할 때 상기 저장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상기 수업 장소의 배경으로 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인공지능(AI) 캐릭터 선생님을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 storage unit storing metaverse data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 loc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device of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and
When a learner taking the online class enters the class place online,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stored metaverse data as a background of the class place to the learner's terminal device, and records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Based on this, controll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teacher conducting the online class to b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데이터로서 오프라인의 수업 장소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강사가 템플릿을 사용하여 제작한 메타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aving step is,
A method of driving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that stores a video taken of an offline class location as the metaverse data or stores metaverse data produced by the instructor using a tem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학습 수준에 매칭되는 코멘트를 제시하도록 상기 인공지능 캐릭터 선생님을 제어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ling step is,
A method of driving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that determine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nd contro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teacher to present a comment matching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복수의 학습자가 참가할 때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복수의 학습자에 각각 매칭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자의 행동을 상기 캐릭터에 구현하여 표시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ling step is,
When a plurality of learners participate in the online class, a character ma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device, and the behavior of the learner is implemented in the character and displayed.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으로서 주산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캐릭터 선생님의 전자주판과 상기 학습자의 전자주판을 상기 화면상에 더 표시하는 온라인수업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ling step is,
When an abacus class is conducted as the online class, a method of driving an online class service device that further displays the character teacher's electronic abacus and the learner's electronic abacus on the screen.
KR1020220035555A 2022-03-22 2022-03-22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1398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555A KR20230139829A (en) 2022-03-22 2022-03-22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555A KR20230139829A (en) 2022-03-22 2022-03-22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829A true KR20230139829A (en) 2023-10-06

Family

ID=882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555A KR20230139829A (en) 2022-03-22 2022-03-22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82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924A (en) 2004-06-19 2004-07-09 이찬희 computer screen abacus for mantal arithmatic
KR20040104215A (en) 2003-06-03 2004-12-10 (주)에듀서브 System and Method for Abacus Education on Network
KR20170074083A (en) 2015-12-21 2017-06-29 (주)가치와기술 Interactive abacus educating method using big-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215A (en) 2003-06-03 2004-12-10 (주)에듀서브 System and Method for Abacus Education on Network
KR20040062924A (en) 2004-06-19 2004-07-09 이찬희 computer screen abacus for mantal arithmatic
KR20170074083A (en) 2015-12-21 2017-06-29 (주)가치와기술 Interactive abacus educating method using big-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1194B (en) Follow-up teaching method with remote evaluation function
US10242500B2 (en) Virtual reality based interactive learning
US20160188125A1 (en) Method to include interactive objects in presentation
US11094215B2 (en) Internet-based recorded course learning following system and method
US11528535B2 (en) Video file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ing Classroom video project: An investigation on students perception
KR1022247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Service
CN111462561A (en) Cloud computing-based dual-teacher classroom management method and platform
CN110427349A (en) A kind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ed platfor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KR20200132080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obl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7037110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1380692B1 (en) Apparatus for on-line study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30139829A (en) Apparatus for Online Class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9040797A (en) A kind of recording and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teaching
Paunova-Hubenova et al. Information technologies in Bulgarian school education
KR20200108575A (en) Apparatus for Quiz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078944A (en) Method for providing game type co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line
KR102095323B1 (en) Apparatus for Inducing Learning
KR20230085333A (en) Apparatus for ai based children education solution
CN109559313B (en) Image processing method, medium, device and computing equipment
KR10247462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Account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337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KR20200129262A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Having Query by Moving Pictur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9933762A (en) A kind of courseware making methods,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estin et al. Game Based Learning of Programming in Underprivileged Communities of Sri Lan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