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21A - 상자형 파렛트 - Google Patents

상자형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21A
KR20230139121A KR1020220037383A KR20220037383A KR20230139121A KR 20230139121 A KR20230139121 A KR 20230139121A KR 1020220037383 A KR1020220037383 A KR 1020220037383A KR 20220037383 A KR20220037383 A KR 20220037383A KR 20230139121 A KR20230139121 A KR 2023013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tage
pallet
box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22003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21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형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면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지지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의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지지벽이 각각 형성되는 파렛트;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벽에 연결되는 제1측벽; 및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벽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1측벽 측으로 연장된 측면 연장부가 마련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 측면과 상기 측면 연장부는 요부와 철부로 서로 맞물리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내용물을 넣고 꺼내기가 매우 편리하며, 내용물의 적입, 적출 과정에서 측벽의 높이를 단계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자형 파렛트{Box Type Pallet Assembly}
본 발명은 내용물을 넣고 꺼내기가 매우 편리하고, 내용물의 적입, 적출 과정에서 측벽의 높이를 단계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상자형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는 일반적으로 물건을 적재하여 지게차 등으로 이송하거나 물건을 보관하는 받침으로 사용하기 위한 판형 부재이다. 일반적인 평면형 파렛트에는 과일 등의 농산물을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농산물 등을 적재하거나 운송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평면형 파렛트에 측벽을 가설한 상자 형태의 상자형 파렛트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9110호('상자형 파렛트')에 따르면, 지지벽이 형성된 파렛트, 지지벽에 결합되는 측벽, 지지벽과 측벽을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상자형 파렛트로서, 지지벽에는 결합부재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부재와의 접촉면적 증대로 허용하중을 증가시키는 스토퍼가 지지벽으로부터 파렛트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재의 일단에는 수평상태에서 스토퍼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오목부, 및 지지벽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기 위하여 오목부의 양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결합부재는 파렛트의 상면과 수평 위치에서만 지지벽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상자형 파렛트는 측벽의 모서리 프레임 부분은 기립 고정된 상태에서, 측벽의 중앙부만 개방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모서리 프레임 때문에 내용물의 적입 및 적출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유발된다.
또한, 측벽의 열림과 닫힘, 2단계로만 조절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적입, 적출 과정에서 측벽의 높이가 단계별로 세밀하게 조정되지 않아 작업상의 많은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넣고 꺼내기가 매우 편리하며, 내용물의 적입, 적출 과정에서 측벽의 높이를 단계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상자형 파렛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면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지지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의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지지벽이 각각 형성되는 파렛트;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벽에 연결되는 제1측벽; 및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벽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1측벽 측으로 연장된 측면 연장부가 마련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 측면과 상기 측면 연장부는 요부와 철부로 서로 맞물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측면과 상기 측면 연장부를 락킹하는 제1락킹부는, 상기 제1측벽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측벽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일부분이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블록과, 상기 측면 연장부에,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1고정블록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블록은,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면의 반대면에 탄성편이 마련되어, 상기 제1측벽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상기 제1수용홈의 입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다단으로 마련되되, 각 단은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제1측벽의 각 단과 대응하도록 다단으로 마련되되, 각 단은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각 단과,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의 상기 측면 연장부는 상기 요부와 상기 철부로 서로 맞물리되, 상기 요부와 상기 철부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만 구속하고 전후방향으로는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제1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벽은,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제2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1측벽의 각 단의 측면과,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의 상기 측면 연장부를 각각 락킹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을 상호 락킹하는 제2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제2측벽의 위에 위치한 단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측벽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일부분이 상기 제2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블록과, 상기 제2측벽의 아래에 위치한 단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2고정블록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위에 위치한 단에는,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단에 마련된 상기 제1락킹부가 보일 수 있도록 락킹부 노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각 단이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단에 마련된 상기 제2락킹부는 위에 위치한 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자형 파렛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측벽과 제2측벽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넣고 꺼내기가 매우 편리한 구조이다.
또한, 제1측벽과 제2측벽이 다단으로 마련되어 있고, 각 단은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어, 내용물의 적입, 적출 과정에서 측벽의 높이를 단계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상자형 파렛트는, 제1측벽과 제2측벽을 모두 내측으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며, 내용물이 없는 빈 파렛트를 운반할 때에도 측벽을 접어서 운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의 측벽이 모두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1측벽의 제1단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양측의 제1측벽의 제1단이 모두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양측의 제1측벽의 제1단과, 양측의 제2측벽의 제1단이 모두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양측의 제1측벽의 제1단 및 제2단이 모두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양측의 제1측벽의 제1단 및 제2단과, 양측의 제2측벽의 제1단 및 제2단이 모두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양측의 제1측벽이 파렛트의 상면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양측의 제2측벽이 파렛트의 상면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양측의 제2측벽을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서 제1측벽과 제2측벽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서 제1락킹부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1측벽의 회전시 락킹부 노출부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에서 제2락킹부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2측벽의 회전시 제2락킹부가 위에 위치한 단의 하부에 위치함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에서 제1측벽의 각 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제1돌기수용홈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에서 제2측벽의 각 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와 제2돌기수용홈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렛트(100)와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을 포함한다.
파렛트(100)는 사각판 형상으로, 상면(101)과 하면(102)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03)이 형성되어 있다.
파렛트(100) 상면(101)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지지벽(110)이 각각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렛트(100) 상면(101)의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지지벽(120)이 각각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파렛트(100) 상면(101)으로부터 형성되는 제1지지벽(110)의 높이와 제2지지벽(120)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벽(110)의 높이가 제2지지벽(120)의 높이보다 더 낮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측벽(200)은, 도 9과 같이 파렛트(100)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1지지벽(110)에 연결되어 있다. 제1측벽(200)을 제1지지벽(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결합부재(250)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705호(상자형 파렛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부재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측벽(200)은 도 1과 같이 다단(210, 220, 230)으로 마련되되, 각 단(210, 220, 230)은 파렛트(100)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측벽(200)이 세 개의 단(210, 220, 230)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편의상 최상단에 위치한 단을 제1단(210), 중간에 위치한 단을 제2단(220), 최하단에 위치한 단을 제3단(230)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2측벽(300)은, 도 8과 같이 파렛트(100)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지지벽(120)에 연결되어 있다. 제2측벽(300)을 제2지지벽(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결합부재(350)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705호(상자형 파렛트(100))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부재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측벽(300)의 양측면에는, 도 1과 같이 제1측벽(200) 측으로 연장된 측면 연장부(311, 321, 33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제2측벽(300)이 연결된 제2지지벽(120)의 높이가, 제1측벽(200)이 연결된 제1지지벽(11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제1측벽(20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 제2지지벽(120)의 외측면(121)이 제1측벽(200)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2지지벽(120)의 연장된 외측면(121)에 제2측벽(300)의 측면 연장부(311, 321, 331)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2측벽(300)은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과 대응하도록 다단(310, 320, 330)으로 마련되되, 각 단(310, 320, 330)은 파렛트(100)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300)이 세 개의 단(310, 320, 330)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편의상 최상단에 위치한 단을 제1단(310), 중간에 위치한 단을 제2단(320), 최하단에 위치한 단을 제3단(330)이라고 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벽(200) 측면과 제2측벽(300)의 측면 연장부(311, 321)는 요부(311a, 321a)와 철부(210a, 220a)로 서로 맞물린다. 본 발명에서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다단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의 측면과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의 측면 연장부(311, 321, 331)는 요부(311a, 321a)와 철부(210a, 220a)로 서로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300)의 제1단(310)의 측면 연장부(311)에 요부(311a)가 형성되어 있고, 제1측벽(200)의 제1단(210)의 측면에 요부(311a)에 삽입되는 철부(2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측벽(300)의 제2단(320)의 측면 연장부(321)에 요부(321a)가 형성되어 있고, 제1측벽(200)의 제2단(220)의 측면에 요부(321a)에 삽입되는 철부(220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측벽(300)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3단(330)의 측면 연장부(331)에 요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제1측벽(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3단(230)의 측면에 요부에 삽입되는 철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10 상에서 제3단(330)에 형성된 요부와, 제3단(230)에 형성된 요부가 도면 상에 표시되지 않은 이유는 제3단(330, 230)은 외측으로는 열리지 않기 때문에 요부와 철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할 필요가 없고 제2측벽(300)과 제1측벽(200)의 내측으로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제1단(310) 및 제2단(320)에 형성된 요부(311a, 321a)는 제2측벽(300)의 측면과 맞닿는 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와 동시에 측면 연장부(311, 321)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단(310) 및 제2단(320)에 형성된 요부(311a, 321a)와, 제1단(210) 및 제2단(220)에 형성된 철부(210a, 220a)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만 구속하고 전후방향으로는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측벽(200)의 제1단(210)과 제2단(220)은 파렛트(100)의 내측, 외측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요부(311a, 321a)의 형상은 측면 연장부(311, 321)의 측면으로 개방된 입구의 단면적는 좁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 연장부(311, 321)의 내측은 입구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락킹부(400)는 제1측벽(200) 측면과 제2측벽(300)의 측면 연장부(311, 321, 331)를 락킹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다단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의 측면과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의 측면 연장부(311, 321, 331)를 각각 락킹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와 같이, 제1락킹부(400)는 제1고정블록(410)과 제1수용홈(4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블록(410)은 제1측벽(200) 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측벽(200)에는 측면으로 개방된 제1고정블록 수용홈(4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고정블록 수용홈(420)에 제1고정블록(4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도 13와 같이 제1고정블록(410)이 제1측벽(2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제1고정블록(410)의 일부분이 제1측벽(200)의 개방된 측면으로 돌출된다.
제1수용홈(450)은 제2측벽(300)의 측면 연장부(311, 321, 331)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 13와 같이 제1측벽(200)의 개방된 측면으로 돌출된 제1고정블록(410)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블록(410)에는, 도 11과 같이 제1측벽(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면의 반대면에 탄성편(41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편(411)은 제1고정블록(410) 일면의 상, 하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되, 제1고정블록(410)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 하단의 탄성편(411)의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블록(410)에 탄성편(411)이 마련됨으로써, 제1고정블록(410)이 제1측벽(2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12의 A부분과 같이 제1고정블록(410)의 가장자리가 제1수용홈(450)의 입구에 걸쳐지게 된다. 이렇게 제1고정블록(410)이 제1측벽(2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제2측벽(300)과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탄성편(411)에 의해 제2측벽(300)의 제1수용홈(450)에 약간 걸쳐지는 형태가 되고, 약간 돌출된 제1고정블록(410)은 적절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편(411)을 밀면서 제1고정블록 수용홈(420) 내로 들어간다. 이로 인해, 제1측벽(200)이 기립상태가 될 때 제1고정블록(410)을 제1수용홈(450)에 체결하지 않아도 탄성편(411)에 의해 살짝 고정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따라서, 파렛트(100) 내측으로 접혀진 제1측벽(200)을 세우거나, 외측으로 회전된 제1측벽(200)을 세우고자 할 때 제1고정블록(410)의 임시 결합 상태(도 12의 A)가 사용상 편의를 제공한다. 기립된 제1측벽(200)을 눕히고자 할 때에는 제1고정블록(410)을 제1수용홈(45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시킨 후 제1고정블록(410)이 제1수용홈(450)의 입구에 살짝 걸쳐진 상태에서 힘을 주어 눕히면 탄성편(411)이 밀려들어가면서 제1측벽(200)을 눕힐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1측벽(200)의 전면에는 제1고정블록 수용홈(4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노출홀(4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고정블록(410)의 전면에는 제1노출홀(4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손가락 끼움홈(413)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끼움홈(413)에 손가락 등을 끼워 제1고정블록(410)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4과 같이, 제1고정블록(4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제1수용홈(450)에 삽입된 제1고정블록(410)의 일부분이 삽입 해제되면서 도 2와 같이 제1측벽(200)의 제1단(210)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단(210)이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2단(220)이 제1단(210)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제1측벽(200)의 제1단(210)에 마련된 제1고정블록(410)이 제2단(220)에 의해 가려진다.
이에 따라, 제1측벽(200)의 위에 위치한 단(210, 220)에는, 도 15과 같이 파렛트(100)의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단(220, 230)에 마련된 제1락킹부(400)가 보일 수 있도록 락킹부 노출부(213, 2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와 같이 제1단(210)이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제2단(220)에 마련된 제1락킹부(400)가 보일 수 있도록 제1단(210)에 락킹부 노출부(213)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과 같이 제2단(220)이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제3단(230)에 마련된 제1락킹부(400)가 보일 수 있도록 제2단(220)에 락킹부 노출부(223)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측벽(200)에 락킹부 노출부(213, 223)를 형성하여, 제1측벽(200)의 제1단(210)이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2단(220)에 마련된 제1락킹부(400)가 보이도록 하고, 제1측벽(200)의 제2단(220)이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3단(230)에 마련된 제1락킹부(400)가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락킹부(500)는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을 상호 락킹하도록 마련된다.
도 16과 같이 제2측벽(300)의 위에 위치한 단의 하단(310, 320)과, 제2측벽(300)의 아래에 위치한 단(320, 330)의 상단은 오목부(313, 323)와 볼록부(324, 334)로 서로 접한다. 즉, 제2측벽(300)의 제1단(310)의 하단 양측에는 하단이 상부로 올라가도록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제2측벽(300)의 제2단(3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단(310)의 오목부(313)와 대응하는 볼록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측벽(300)의 제2단(320)의 하단 양측에는 하단이 상부로 올라가도록 오목부(323)가 형성되어 있고, 제2측벽(300)의 제3단(330)의 상단 양측에는 제2단(320)의 오목부(323)와 대응하는 볼록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제2락킹부(500)는 제2고정블록(510)과 제2수용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블록(510)은 제2측벽(300)의 위에 위치한 단(310, 320)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제2측벽(3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일부분이 제2측벽(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1단(310)의 하단 양측에 제2고정블록(510)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제1단(3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이 제1단(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오목부(313)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2단(320)의 하단 양측에 제2고정블록(510)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제2단(32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이 제2단(3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오목부(323) 상에 위치한다.
제2측벽(300)의 전면에는 제2고정블록(5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노출홀(520)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블록(510)의 전면에는 제2노출홀(52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손가락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끼움홈에 손가락 등을 끼워 제2고정블록(510)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수용홈(미도시)은 제2측벽(300)의 아래에 위치한 단(320, 330)의 상단에 형성되되, 제2측벽(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2단(320)의 상단 양측의 볼록부(324)에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1단(3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이 제2수용홈 내에 수용된다. 또한, 제2단(320)의 상단 양측의 볼록부(334)에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2단(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이 제2수용홈 내에 수용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이 파렛트(100)의 외측으로 회전할 때 아래에 위치한 단(320, 330)에 마련된 제2락킹부(500)는 위에 위치한 단(310, 3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벽(200)은, 각 단(210, 220, 23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210, 220, 230)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제1결합돌기(215)가 수용되는 제1돌기수용홈(2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단(210)의 하단에 제1결합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제2단(220)의 상단에 제1단(21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21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돌기수용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단(220)의 하단에 제1결합돌기(215)가 형성되어 있고, 제3단(230)의 상단에 제2단(22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21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돌기수용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돌기(215)는 제1단(210)의 하면과 제2단(220)의 하면에서 하부로 각각 돌출되되, 제1결합돌기(215)의 외측면이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수용홈(226)은 제2단(220)의 상면과 제3단(230)의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측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제1결합돌기(215)가 수용되기 용이하며, 제1돌기수용홈(226)은 제1결합돌기(215)의 내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은 기립시 제1결합돌기(215)와 제1돌기수용홈(226)으로 상호 체결되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시에 자연스럽게 체결이 해제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벽(300)은, 각 단(310, 320, 330)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결합돌기(315)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310, 320, 330)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제2결합돌기(315)가 수용되는 제2돌기수용홈(3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단(310)의 하단에 제2결합돌기(315)가 형성되어 있고, 제2단(320)의 상단에 제1단(310)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31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돌기수용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단(320)의 하단에 제2결합돌기(315)가 형성되어 있고, 제3단(330)의 상단에 제2단(320)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31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돌기수용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돌기(315)는 제1단(310)의 하면과 제2단(320)의 하면에서 하부로 각각 돌출되되, 제2결합돌기(315)의 외측면이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돌기수용홈(326)은 제2단(320)의 상면과 제3단(330)의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면 측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제2결합돌기(315)가 수용되기 용이하며, 제2돌기수용홈(326)은 제2결합돌기(315)의 내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은 기립시 제2결합돌기(315)와 제2돌기수용홈(326)으로 상호 체결되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시에 자연스럽게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이 제1결합돌기(215)와 제1돌기수용홈(226)으로 상호 체결되고,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이 제2결합돌기(315)와 제2돌기수용홈(326)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파렛트(100)에 적입되는 내용물이 측벽(200, 300)의 내측에서 압력을 가하여 측벽(200, 300)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은 각 단(210, 220, 230, 310, 320, 330) 사이의 틈을 벌리는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측벽(200)의 각 단(210, 220, 230)이 제1결합돌기(215)와 제1돌기수용홈(226)으로 상호 체결되고, 제2측벽(300)의 각 단(310, 320, 330)이 제2결합돌기(315)와 제2돌기수용홈(326)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써, 각 단(210, 220, 230, 310, 320, 330)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4과 같이 제1측벽(200)의 제1단(210) 양측에 마련된 제1고정블록(4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제1수용홈(450)에 삽입된 제1고정블록(410)의 일부분이 삽입 해제되면서 도 2와 같이 제1측벽(200)의 제1단(210)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1단(210)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3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2측벽(300)은 제1측벽(200)이 외측으로 회전된 이후 회전이 가능하다. 즉, 도 16과 같이 제2측벽(300)의 제1단(310) 하단에 마련된 제2고정블록(5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제2수용홈에 삽입된 제2고정블록(510)의 일부분이 삽입 해제되면서 도 4과 같이 제2측벽(300)의 제1단(310)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측벽(300)에 제2락킹부(500)가 없으면, 제1측벽(20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제2측벽(300)이 넘어지듯이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측벽(300)을 내측으로 접거나 기립시킬 때에도 제2락킹부(500)가 없으면, 제2측벽(300)의 각 단이 접어지면서 핸들링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제2락킹부(500)가 필요하다.
제1측벽(200)의 제1단(210)과, 제2측벽(300)의 제1단(310)이 모두 개방된 상태는 도 4과 같다.
다음으로, 측벽의 제2단(220, 32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제1측벽(200)부터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제1측벽(200)의 제1단(210)에 형성된 락킹부 노출부(213)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1고정블록(4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도 5과 같이 제2단(220)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과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1측벽(200)의 제2단(220)을 외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제2측벽(300)의 제2단(320)의 회전이 가능하다. 즉, 제2측벽(300)의 제2단(320) 하단에 마련된 제2고정블록(5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도 6과 같이 제2단(320)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고정블록(510)은 제2측벽(300)의 제1단(310)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제1단(310)이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제2고정블록(510)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측벽(200)의 제2단(220)과, 제2측벽(300)의 제2단(320)이 모두 개방된 상태는 도 6과 같다.
다음으로,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을 모두 내측으로 접고자 하는 경우 제1측벽(200)을 내측으로 접은 다음 제2측벽(30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 즉, 제1측벽(200)의 제2단(220)에 형성된 락킹부 노출부(223)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1고정블록(410)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도 7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1측벽(200)을 파렛트(100)의 상면으로 차례로 접는다.
그런 다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2측벽(300)을 파렛트(100) 상면, 즉 접힌 제1측벽(200)의 상면으로 차례로 접으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과 같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을 모두 내측으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며, 내용물이 없는 빈 파렛트(100)를 운반할 때에도 접어서 할 수 있다.
파렛트(100)를 상자 형태로 만들고자 할 때에는 도 9과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2측벽(300)을 먼저 기립시킨다. 그런 다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양측의 제1측벽(200)을 기립시키면 도 1과 같은 상자 형태가 된다. 이때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도 10와 같이 요부(311a, 321a)와 철부(210a, 220a)로 서로 맞물림에 따라, 제2측벽(300)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락킹부(400)의 제1고정블록(410)을 제2측벽(300)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수용홈(450)에 수용되도록 하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측벽(200)이 파렛트(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넘어지지 않고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가장자리에 마련된 요부(311a, 321a)와 철부(210a, 220a)간의 맞물림으로 제2측벽(300)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측벽(300)의 제1수용홈(450)에 수용되는 제1측벽(200)의 제1고정블록(410)에 의해 제1측벽(200)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파렛트 110 : 제1지지벽
120 : 제2지지벽 200 : 제1측벽
210 : 제1단 220 : 제2단
230 : 제3단 210a, 220a : 철부
213, 223 : 락킹부 노출부 215 : 제1결합돌기
226 : 제1돌기수용홈 300 : 제2측벽
310 : 제1단 320 : 제2단
330 : 제3단 311, 321, 331 : 측면 연장부
311a, 321a : 요부 313, 323 : 오목부
315 : 제2결합돌기 326 : 제2돌기수용홈
324, 334 : 돌출부 400 : 제1락킹부
410 : 제1고정블록 411 : 탄성편
450 : 제1수용홈 500 : 제2락킹부
510 : 제2고정블록

Claims (10)

  1. 상면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지지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의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지지벽이 각각 형성되는 파렛트;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벽에 연결되는 제1측벽; 및
    상기 파렛트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벽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1측벽 측으로 연장된 측면 연장부가 마련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 측면과 상기 측면 연장부는 요부와 철부로 서로 맞물리는 상자형 파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측면과 상기 측면 연장부를 락킹하는 제1락킹부는,
    상기 제1측벽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측벽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일부분이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블록과,
    상기 측면 연장부에,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1고정블록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블록은,
    상기 제1측벽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면의 반대면에 탄성편이 마련되어, 상기 제1측벽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상기 제1수용홈의 입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다단으로 마련되되, 각 단은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제1측벽의 각 단과 대응하도록 다단으로 마련되되, 각 단은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각 단과,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의 상기 측면 연장부는 상기 요부와 상기 철부로 서로 맞물리되,
    상기 요부와 상기 철부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만 구속하고 전후방향으로는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제1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벽은,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의 하단과 상단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제2돌기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1측벽의 각 단의 측면과,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의 상기 측면 연장부를 각각 락킹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벽의 각 단을 상호 락킹하는 제2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제2측벽의 위에 위치한 단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측벽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일부분이 상기 제2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블록과,
    상기 제2측벽의 아래에 위치한 단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2고정블록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위에 위치한 단에는,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단에 마련된 상기 제1락킹부가 보일 수 있도록 락킹부 노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각 단이 상기 파렛트의 외측으로 회전시 아래에 위치한 단에 마련된 상기 제2락킹부는 위에 위치한 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파렛트.
KR1020220037383A 2022-03-25 2022-03-25 상자형 파렛트 KR2023013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83A KR20230139121A (ko) 2022-03-25 2022-03-25 상자형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83A KR20230139121A (ko) 2022-03-25 2022-03-25 상자형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21A true KR20230139121A (ko) 2023-10-05

Family

ID=8829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83A KR20230139121A (ko) 2022-03-25 2022-03-25 상자형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457A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5680948A (en) Receptacle having a collapsible sidewall structure
SK8884Y1 (sk) Skladateľný viacposchodový obal s flexibilnými vložiteľnými bunkami na prepravu tovaru
JP200200269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の積載構造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US3917103A (en) Containers made in metallic wires
KR20230139121A (ko) 상자형 파렛트
KR102240264B1 (ko) 물류박스
EP3053844B1 (en) Tray
JP3210364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KR20100030935A (ko)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KR101484758B1 (ko)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JP2004131105A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JPH0513713Y2 (ko)
JP2004010129A (ja) パレットボックス
KR200461898Y1 (ko) 컨테이너 파렛트
KR101010705B1 (ko) 상자형 파렛트
JP2002362554A (ja) パレット容器
JP7220496B1 (ja) 組立式物品棚
KR101029110B1 (ko) 상자형 파렛트
KR102283520B1 (ko) 대형 접이식 물류박스
RU1796552C (ru) Стоечный поддон
JP6938023B2 (ja)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JPH04282105A (ja) 引出し付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