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917A - 헤어 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헤어 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917A
KR20230137917A KR1020237026055A KR20237026055A KR20230137917A KR 20230137917 A KR20230137917 A KR 20230137917A KR 1020237026055 A KR1020237026055 A KR 1020237026055A KR 20237026055 A KR20237026055 A KR 20237026055A KR 20230137917 A KR20230137917 A KR 20230137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unit
amount
user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야 이시하라
미에이 기노시따
히로유끼 이노우에
유끼 지까자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30)와,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40)와,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성분 생성부(40)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어부(80)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Description

헤어 케어 장치
본 개시는, 헤어 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의 모발을 단순히 건조시킬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발에 유효한 성분도 부여시키는 헤어 드라이어 등의 헤어 케어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모발에 유효한 성분으로서 이온을 적용하고, 사용자의 설정 외에,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조정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58484호 공보
모발의 웨이브나 컬(곱슬기)의 정도는, 사용자별로 다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모발에 유효한 성분으로서의 이온량을 조정하였다고 해도, 사용자의 모발의 웨이브 등의 정도에 따라서는,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에서는, 모발의 웨이브 등의 모발 특성에 맞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를 반드시 달성하지는 못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에서는, 모발에 유효한 성분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은 이온만이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와,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와, 열 부여부 및 성분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성분 생성부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어부는,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1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2 정전 무화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3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1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b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2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3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컬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컬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컬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d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컬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웨이브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웨이브인 경우의 모발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모발의 컬 또는 웨이브의 레벨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모발의 컬 또는 웨이브의 레벨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c는 모발의 컬 또는 웨이브의 레벨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d는 모발의 컬 또는 웨이브의 레벨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모발의 웨이브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9b는 모발의 웨이브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0a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특성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2b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특성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3은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과 컬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4는 아연 미립자 등의 성분량과 컬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는 수분 등의 성분량과 컬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은 보습 성분 등의 성분량과 컬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a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c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3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모발의 중간을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모발의 뿌리를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출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출력 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량을 변경하는 경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4는 웨이브 등을 기준으로 한 건조 종료의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원리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26은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의 기준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27은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8은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9는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0은 풍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2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3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공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5a는 출력 화면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는 출력 화면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를 향해 온풍을 내보내는 본체부(10)와, 사용자가 사용 시에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의 파지부(20)를 구비한다. 도 2는, 송풍 방향을 따라 본체부(10)와 파지부(20)를 포함하도록 절단한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체부(10)는, 복수의 분할체를 맞붙인 외벽을 이루는 하우징(3)을 구비한다. 하우징(3)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흡인구(10a)로부터 타단부에 마련된 토출구(10b)에 이르는 송풍 유로(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와 파지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0c)에 의해 연결축(10d)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1)의 미사용 시에는, 파지부(20)는, 송풍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본체부(10)에 대하여 접힌다. 파지부(20)에 있어서, 연결부(10c)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는, 전원 코드(2)가 인출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1)는, 우선, 열 부여부(30)와, 성분 생성부(40)와, 측정부(50)(도 5 참조)와, 입력부(71)와, 표시부(73)를 구비한다.
열 부여부(30)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 부여부(30)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내보내는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부이다. 열 부여부(30)는, 예를 들어 팬(31)과, 모터(32)와, 가열부(33)를 구비한다. 팬(31)은, 송풍 유로(4) 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모터(32)가 구동됨으로써 회전한다. 팬(31)이 회전하면, 외부로부터 흡인구(10a)를 통해 송풍 유로(4) 내에 유입되고, 송풍 유로(4) 내를 통과하여 토출구(10b)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류가 형성된다. 가열부(33)는, 팬(31)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팬(31)으로부터 내보내진 공기류를 가열한다. 가열부(33)가 작동하면, 팬(31)에 의해 형성된 공기류가 가열되고, 토출구(10b)로부터 온풍이 분출된다. 가열부(33)는, 예를 들어 띠 모양이면서 골판지 모양의 전기 저항체를 하우징(3)의 내주를 따라 권회된 히터여도 된다.
성분 생성부(40)는, 사용자의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한다. 여기서,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이란, 사용자의 적어도 모질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소위 미용 성분을 말한다. 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劑)·유기물, 음이온, 금속 미립자 또는 대전 미립자수를 들 수 있다. 제·유기물은, 예를 들어 보습 성분(보습제), 보수 성분(보수제), 코팅 성분(코팅제) 또는 트리트먼트 성분(트리트먼트제)이다. 보습 성분은, 예를 들어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판테놀,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벌꿀 또는 다당류이다. 보수 성분은, 예를 들어 가수 분해 콜라겐, 가수 분해 케라틴, 아미노산, 모발 보호 단백, 폴리펩티드, 콜레스테롤, 양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유기산이다. 코팅 성분은, 예를 들어 실리콘, 스쿠알란 또는 유성 성분이다. 트리트먼트 성분은, 예를 들어 양이온 계면 활성제, 아미노산, 폴리펩티드, 판테놀, 세라마이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모발에 유효하게 작용시키는 성분으로서의 산성 성분은, 예를 들어 시트르산, 숙신산이다. 또한, 대전 미립자수는, OH 라디칼을 포함하고, 전기를 띤 나노 사이즈의 물 입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분 생성부(40)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성분 생성부(40)로서 채용될 수 있는 각종 성분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제·유기물로 하는 제 분무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정전 무화 장치(40a)는, 미스트 분무기(41a)와, 탱크(41b)와, 펌프(41c)와, GND 전극(41d)과, 고압 회로(41e)와, 펌프 구동 회로(41f)를 구비한다. 미스트 분무기(41a)는, 제·유기물로서의 액체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방전부이다. 탱크(41b)는, 제·유기물로서의 예를 들어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수용한다. 펌프(41c)는, 탱크(41b)와 미스트 분무기(41a)를 접속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탱크(41b)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고분자 수용액을 미스트 분무기(41a)로 보낸다. 고압 회로(41e)는, 미스트 분무기(41a)에 고전압(HV)을 인가한다. 펌프 구동 회로(41f)는, 펌프(41c)의 구동을 제어한다. 고압 회로(41e) 및 펌프 구동 회로(41f)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제어부(80) 내의 성분량 제어부(84)(도 5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미스트 분무기(41a)와 GND 전극(41d)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 미스트가 생성된다. 또한, 작용시키는 성분을 제·유기물로 하는 제 분무 장치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와 같은 정전 무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무화 장치나 원심 펌프 등이어도 된다.
도 3b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음이온이나 금속 미립자로 하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2 정전 무화 장치(4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정전 무화 장치(40b)는, 방전부(42a)와, GND 전극(42b)과, 고압 회로(42c)를 구비한다. 고압 회로(42c)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성분량 제어부(84)에 의해 제어된다. 방전부(42a)와 GND 전극(41d)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기초로 하여 음전하를 띤 음이온이 생성된다. 이 경우, 제2 정전 무화 장치(40b)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온 생성부이다.
도 3c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대전 미립자수로 하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3 정전 무화 장치(4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정전 무화 장치(40c)는, 방전부(43a)와, 결로부로서의 펠티에 소자(43b)와, GND 전극(43c)과, 고압 회로(43d)를 구비한다. 고압 회로(43d)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성분량 제어부(84)에 의해 제어된다. 방전부(43a)와 GND 전극(43c)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기초로 한 대전 미립자수가 생성된다. 이 경우, 제3 정전 무화 장치(40c)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분 생성부(40)가 제3 정전 무화 장치(40c)인 경우, 본체부(10)의 하우징(3)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유로(4)와 병행하여 연장되는 분기로(10e)를 형성하는 구획판(3a)이 설치된다. 송풍 유로(4)는, 가열부(33)를 경유하는 공기류를 유통시키는 데 반하여, 분기로(10e)는, 가열부(33)를 경유하지 않는 공기류를 유통시킨다. 그리고, 제3 정전 무화 장치(40c)는, 분기로(10e) 내에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10)의 일부에서 예를 들어 건조 조작 시에 모발 H와 대향하는 전면부(10g)는, 성분 토출구(10f)를 갖는다. 성분 토출구(10f)는, 분기로(10e)와 연통하고,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성분을 외부로 토출한다. 또한, 성분 생성부(40)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 제2 정전 무화 장치(40b) 및 제3 정전 무화 장치(40c) 중 적어도 어느 것이면 된다. 즉, 성분 생성부(40)는, 부여하는 성분별로 복수 구비되어도 된다.
측정부(50)(도 5 참조)는, 사용자의 모발을 측정하거나 또는 촬영하고, 신호 처리된 정보를 제어부(80)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부(50)는, 사용자의 모발을 측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경우, 측정부(50)는, 습윤 검지부(60)와, 조명부(72)와, 신호 처리부(90)(도 5 참조)를 갖는다.
습윤 검지부(60)는, 사용자의 모발 습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참조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윤 검지부(60)는,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1450㎚ 등)을 모발 측정값으로 하는 습윤 검지 센서(60a)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구체적으로는 포토다이오드여도 된다. 조명부(72)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인 습윤 검지 센서(60a)와 쌍을 이루는 구성 요소이며,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의 광을 조사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90)에 대해서는, 이하의 제어부(80)에 관한 사항과 함께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와의 각 설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의 각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경우는 일례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예가 생각된다. 조명부(72)가 광의 조사부인 데 반하여, 습윤 검지 센서(60a)는 조명부(72)로부터 조사되고, 그 후, 사용자의 모발 H에서 반사된 광을 받는 수광부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는, 전면부(10g), 또는 토출구(10b)에 설치되는 노즐부(14)(도 4b, 도 4c 참조)에 설치된다.
도 4a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1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1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가 하나씩 있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조명부(72)는, 토출구(10b)를 사이에 두고 습윤 검지 센서(60a)와는 반대측의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토출구(10b)의 개구 직경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크다.
도 4b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2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2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는 하나이지만, 조명부(72)는 복수 있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토출구(10b)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노즐부(14)에 설치된다. 조명부(72)는, 예를 들어 4개가 있고, 전면부(10g)에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어느 정도 멀어지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확보하면서, 광의 조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3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3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노즐부(14)에 하나씩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비교적 근접하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작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가 도 4b에 도시한 제2 설치예에 기초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입력부(71)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한 특성(이하 「모발 특성」이라고 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버튼이다. 여기서, 모발 특성이란, 사용자의 모발의 웨이브, 또는 모발의 컬(곱슬기)을 말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입력부(71)는, 각각 하우징(3)에 설치된, 모발 웨이브 입력부(71a) 및 모발 컬 입력부(71b)의 2개의 입력 버튼이다. 또한, 입력부(71)는, 그 밖에, 풍량이나 풍온 등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간이적으로 전환하는 버튼을 포함해도 된다.
표시부(73)는, 하우징(3)에 설치된 예를 들어 터치 패널식의 표시 화면이며,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 또는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입력 화면 또는 출력 화면으로서 기능할 때의 상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73)가 입력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입력부(71)가 행하는 기능을 표시부(73)가 대체함으로써, 입력부(71)가 불필요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 드라이어(1)는, 실온 센서(61)와, 습도 센서(62)와, 모발 검지부(63)와, 부위 검지부(64)를 구비한다.
실온 센서(61)는,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되고 있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실온 센서(61)는,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다. 실온 센서(6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습도 센서(62)는,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되고 있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실온 센서(61)는,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다. 습도 센서(6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모발 검지부(63)는, 사용자에게 모발이 있는지를 검지한다. 모발 검지부(63)는, 예를 들어 레이저 거리계,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이며,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모발 검지부(6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부위 검지부(64)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이 부여되는 부위, 또는 사용자의 모발에 상기 예시한 성분이 부여되는 부위를 검출한다. 부위 검지부(64)는, 헤어 드라이어(1)의 위치 또는 자세를 검출하는 적어도 1축의 자세 검출부(자세 센서), 또는 사용자의 모발 또는 피부(얼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거리 센서)여도 된다. 여기서, 부위 검지부(64)가 거리 계측부인 경우에는,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한편, 부위 검지부(64)가 자세 검출부인 경우에는, 전면부(10g)에 대한 설치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부위 검지부(6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도 5는, 헤어 드라이어(1)의 제어부(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80)는,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것이며, 적어도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파지부(20)의 하우징(20a)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8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이 제어부(80)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여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메모리 카드 등의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되고,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되어도 된다.
제어부(80)는 우선, 모발 특성 인식부(81)와, 테이블 생성부(82)와, 부여량 연산부(83)와, 성분량 제어부(84)와, 열량 제어부(85)를 갖는다. 모발 특성 인식부(81), 테이블 생성부(82), 부여량 연산부(83), 성분량 제어부(84) 및 열량 제어부(85)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성분 부여량이나 열 부여량을 결정하기 위한 블록군이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한다.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과, 열 부여부(30)로부터 부여되는 열량을 설정하고, 이들 설정값을 테이블로서 관리한다. 테이블 생성부(82)에서는, 성분량이나 열량은,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설정된다.
부여량 연산부(83)는,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 또는 열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가 모발에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부(30)가 모발에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여량 연산부(83)는, 이하의 2종류의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첫째,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전체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성분 부여량을 산출한다. 둘째,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부위별로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성분량 제어부(84)는, 부여량 연산부(83)로부터 송신된 성분 부여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의 동작, 즉,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제어한다.
열량 제어부(85)는, 부여량 연산부(83)로부터 송신된 열 부여량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의 동작, 즉, 열 부여부(30)로부터 부여되는 열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습윤 연산부(86)와, 건조 추정 연산부(87)를 갖는다. 습윤 연산부(86) 및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사용자의 모발 건조 상태를 성분 부여량이나 열 부여량에 반영시키기 위한 블록군이다.
습윤 연산부(86)는,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습윤 정보는, 예를 들어 측정부(50)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부(60)가 습윤 검지 센서(60a)인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흡광도다.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습윤 연산부(86)가 산출한 습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건조도를 추정한다. 습윤 정보가 흡광도인 경우,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한다. 건조 추정 연산부(87)에서는, 흡광도의 변화에 따라서, 예를 들어 모발에 성분이나 열을 부여한 누적 시간(시간 감산), 모발이 날리는 상태로 되어 있는 누적 시간(시간 가산), 또는 피부(얼굴)로 성분이나 열을 부여한 누적 시간(시간 가산) 등이 적절히 참조된다.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 건조도는, 부여량 연산부(83)을 통해 성분량 제어부(84)에서의 성분 부여량 또는 열량 제어부(85)에서의 열 부여량에 반영된다. 즉, 각종 누적 시간이 반영된 건조도별로,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량이 보정된다.
또한, 제어부(80)는, 부위 연산부(91)와, 초기 위치 결정부(92)와, 누적 연산부(88)를 갖는다. 부위 연산부(91), 초기 위치 결정부(92) 및 누적 연산부(88)는, 성분이나 열이 부여되는 사용자의 모발 부위를 특정하기 위한 블록군이다.
부위 연산부(91)는, 부위 검지부(64)가 검출한 정보와, 초기 위치 결정부(92)가 결정한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로부터의 열이 부여되어 있거나, 또는 성분 생성부(40)로부터의 성분이 부여되어 있는 모발 혹은 피부의 부위를 추정한다.
초기 위치 결정부(92)는, 헤어 드라이어(1)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고, 부위 연산부(91)에 송신한다.
누적 연산부(88)는, 부위 검지부(64)에 의해 검출된 부위별로, 열 부여부(30)에 의해 부여되어 모발에 누적된 누적 열량, 또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부여되어 모발에 누적된 누적 성분량을 연산한다. 이 경우, 열량 제어부(85)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열량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에 열량을 조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열량 제어부(85)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열량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해서 열 부여량을 보정하고, 열 부여부(3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성분량 제어부(84)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연산된 누적 성분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에 성분량을 조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성분량 제어부(84)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성분량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분 부여량을 보정하고,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측정부(50)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 처리부(90)는, 조명부(72)에 의한 광의 조사를 제어함과 함께, 습윤 검지 센서(60a)인 습윤 검지부(60)의 출력을 처리하고, 습윤 연산부(86)에 신호 강도로서 송신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9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습윤 검지부(60)의 출력을 신호 강도로서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신호 처리부(90)로부터 송신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 드라이어(1)는, 전원 스위치(76)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76)는, 예를 들어 파지부(20)의 하우징(20a)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76)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으로 하면, 파지부(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코드(2)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1)의 각 부에 급전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76)는 열 부여부(30)에 의한 온풍과 냉풍의 전환이나 풍량의 전환 등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와, 기억부(75)를 구비해도 된다.
송수신부(74)는, 제어부(8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헤어 드라이어(1)의 외부에 있는 통신 기기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헤어 드라이어(1)의 외부에 있는 통신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의 통신 기기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100)여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단말기 표시부(101)와, 단말기 촬영부(102)와, 단말기 통신부(103)를 구비한다. 단말기 표시부(101)는, 화상(101a)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식의 화면이다. 단말기 표시부(101)는,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임과 함께,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지시 또는 입력하는 입력 화면이다. 단말기 통신부(103)는, 적어도, 헤어 드라이어(1)의 송수신부(7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부(75)는, 제어부(80)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 교환을 행하고, 그러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매체이다. 정보 기억 매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어 드라이어(1)의 기본 동작으로서, 사용자가 파지부(20)를 파지하면서 전원 스위치(76)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으로 하면, 열 부여부(30)가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전에 의해 모터(32)가 구동하여 팬(31)이 회전함으로써, 흡인구(10a)로부터 송풍 유로(4) 내에 공기가 도입된다. 아울러, 가열부(33)가 발열함으로써, 팬(31)으로부터 내보내지는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온풍이 되어 토출구(10b)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가 입력부(71)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성분 생성부(40)에 모발에 유효한 성분을 생성시켜서, 성분 토출구(10f)로부터 토출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맞춰서 모발에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을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하, 이 성분 부여량의 최적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정되어 있는 모발 특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컬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헤어스타일이 롱 스트레이트이며, 또한 컬이 없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6b는, 헤어스타일이 쇼트 스트레이트이며, 또한 컬이 없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6c는, 모발끝에 컬이 있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6d는, 전체적으로 컬이 있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웨이브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모발 H에 웨이브가 없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7b는, 모발 H에 웨이브가 있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모발 H의 컬 또는 웨이브의 레벨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모발 H에 컬 또는 웨이브가 없는, 소위 직모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b는, 컬 또는 웨이브가 있고, 그 레벨이 약한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c는, 컬 또는 웨이브가 있고, 그 레벨이 중간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d는, 컬 또는 웨이브가 있고, 그 레벨이 강한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예를 들어 측정부(50)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부(60)를 사용하여 도 6a 내지 도 8d에 예시한 각각의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을 판별함으로써,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테이블 생성부(82)가 설정하는 성분량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의 모발 웨이브(컬)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모발의 웨이브는, 일례로서,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4개의 레벨로 분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발 상태란, 모발별로 검지된 상태로서의 모질이며, 구체적으로는, 모발 손상, 알칼리성 모발, 큐티클 박리, 모발이 젖었을 때의 흡수량의 증가, 및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의 저하이다.
도 9a는, 모발 상태가 모발 손상, 알칼리성 모발, 큐티클 박리, 또는 젖었을 때의 흡수량 증가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수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에 손상이 많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이 직모인 경우에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약한 경우 또는 중간인 경우에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강한 경우에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알칼리성 모발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알칼리성 모발이라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웨이브의 레벨별로, 모발에 손상이 있어서 보수제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 생성부(40)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한 큐티클 박리를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연 미립자(금속 미립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큐티클 박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웨이브 레벨별로, 모발에 손상이 있어서 보수제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 생성부(40)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젖었을 때의 흡수량이 증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웨이브 레벨별로, 모발에 손상이 있어서 보수제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 생성부(40)를 제어해도 된다.
도 9b는, 모발 상태가,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의 저하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트리트먼트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이 직모인 경우에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약한 경우 또는 중간인 경우에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강한 경우에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습 성분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이 직모인 경우에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약한 경우, 중간의 경우 또는 강한 경우에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코팅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이 직모인 경우, 또는 웨이브의 레벨이 약한 것에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웨이브의 레벨이 중간인 경우 또는 강한 경우에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웨이브 레벨별로, 보습 성분을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 생성부(40)를 제어해도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1 예를 통합한 도표이다. 도 10b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1 예를 통합한 그래프이다. 대전 미립자수는, 모발에 수분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아연 미립자는, 모발의 큐티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음이온은, 모발에 음전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저감시켜도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모발에 부여되는 성분의 종류에 대하여 모발의 컬별로 설정되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2 예를 통합한 도표이다. 도 11b는, 성분 출력 비율(%)의 제2 예를 통합한 그래프이다. 수분은, 모발에 수분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저감시켜도 된다. 보습 성분은, 모발의 보습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보수 성분은, 모발의 손상을 보수할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코팅 성분은, 모발에 있어서의 수분의 유입 및 유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컬의 레벨이 직모로부터 강해짐에 따라서 성분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특성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는, 일례로서, 뿌리, 중간 및 모발끝의 3개의 부위로 분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발 상태는,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도 12a는, 모발 상태가 모발 손상, 알칼리성 모발, 큐티클 박리, 또는 젖었을 때의 흡수량 증가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수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에 손상이 많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알칼리성 모발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알칼리성 모발이라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한 큐티클 박리를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연 미립자(금속 미립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큐티클 박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젖었을 때의 흡수량이 증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도 12b는, 모발 상태가,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의 저하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트리트먼트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습 성분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코팅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 및 중간에 대해서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다음으로, 건조 시간을 시계열로 한,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량의 변위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과,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하고 있는 컬이 검지된 타이밍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횡축은, 건조 시간이다. 이 건조 시간 중, 컬이 검지된 타이밍을 「T」라고 표기하고 있다. 종축은, 모발에 부여되는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이다. 제어부(80)는, 건조 동작 중, 예를 들어 부위 검지부(64)나 습윤 검지부(6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컬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어부(80)는, 제1 타이밍 T1에 컬을 검지하면, 성분량을 디폴트로부터 원하는 성분량까지 증가시킨 후, 증가시켰을 때보다도 완만하게 감소시켜서 디폴트로 되돌리도록, 성분량 제어부(84)를 제어한다.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35% 정도여도 된다. 대전 미립자수의 최대 부여 시의 성분량은 90% 정도여도 된다. 그 후, 제어부(80)는, 제2 타이밍 T2에 컬을 검지한 경우에는, 제1 타이밍 T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성분량 제어부(84)에 실행시킨다. 제2 타이밍 T2에 기인하여 성분량이 일단 증가되고, 디폴트로 되돌리는 도중에 제3 타이밍 T3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80)는, 성분량이 디폴트로 되돌아가기 전에, 성분량을 다시 증가시키도록, 성분량 제어부(84)를 제어시켜도 된다.
도 14는, 아연 미립자 및 음이온의 성분량과,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하고 있는 컬이 검지된 타이밍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4에 있어서의 종축, 횡축 및 타이밍 T에 대해서는, 도 13과 마찬가지이다. 우선, 성분이 아연 미립자인 경우, 제어부(80)는, 도 13에 도시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아연 미립자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35% 정도여도 된다. 아연 미립자의 최대 부여 시의 성분량은 90% 정도여도 된다. 한편, 성분이 음이온인 경우, 제어부(80)는, 제1 타이밍 T1로 컬을 검지하면, 성분량을 디폴트로부터 원하는 성분량까지 감소시킨 후, 감소시켰을 때보다도 완만하게 증가시켜서 디폴트로 되돌리도록, 성분량 제어부(84)를 제어한다. 음이온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75% 정도여도 된다. 음이온의 최소 부여시의 성분량은, 20% 정도여도 된다. 그 후, 제어부(80)는, 제2 타이밍 T2로 컬을 검지한 경우에는, 제1 타이밍 T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성분량 제어부(84)에 실행시킨다. 제2 타이밍 T2에 기인하여 성분량이 일단 감소되고, 디폴트로 되돌리는 도중에 제3 타이밍 T3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80)는, 성분량이 디폴트에 되돌아가기 전에, 성분량을 다시 감소시키도록, 성분량 제어부(84)를 제어시켜도 된다.
도 15는, 수분 및 보습 성분의 성분량과,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하고 있는 컬이 검지된 타이밍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에 있어서의 종축, 횡축 및 타이밍 T에 대해서는, 도 13과 마찬가지이다. 우선, 성분이 수분인 경우, 제어부(80)는, 도 14에 도시한 음이온을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수분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100%여도 된다. 수분의 최소 부여시의 성분량은, 70% 정도여도 된다. 한편, 성분이 보습 성분인 경우, 제어부(80)는, 도 13에 도시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보습 성분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25% 정도여도 된다. 보습 성분의 최대 부여 시의 성분량은, 75% 정도여도 된다.
도 16은, 보수 성분 및 코팅 성분의 성분량과,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하고 있는 컬이 검지된 타이밍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에 있어서의 종축, 횡축 및 타이밍 T에 대해서는, 도 13과 마찬가지이다. 성분이 보수 성분인 경우 및 코팅 성분인 경우 모두, 제어부(80)는, 도 13에 도시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보수 성분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40% 정도여도 된다. 보수 성분의 최대 부여 시의 성분량은 80% 정도여도 된다. 한편, 코팅 성분의 성분량의 디폴트는 30% 정도여도 된다. 코팅 성분의 최대 부여 시의 성분량은 70% 정도여도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 및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10)의 하우징(3)에 표시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은, 표시부(73)에 표시되어도 된다. 한편으로, 헤어 드라이어(1)가 휴대 단말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표시부(73) 대신에,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즉,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면, 표시부(73)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a는, 제1 예에 따른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상하 및 좌우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제1 입력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후면 헤어스타일의 개략도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17b는, 제1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2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측면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전후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도 17c는, 제1 예의 제3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3 입력 화면에서는, 제1 및 제2 입력 화면에 표시된 분할 화면의 각각의 영역별로, 어떠한 항목의 설정을 사용자가 변경하기 위한 레벨 조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예의 출력 화면은, 헤어 드라이어(1)가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 또는 모발에 성분을 부여시키고 있는 동안에 관한 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18a는, 모발의 중간을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이다. 도 18b는, 모발의 뿌리를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이다. 제1 예의 출력 화면에서의 표시 항목은, 예를 들어 각각 현시점에서의, 건조시키고 있는 모발의 부위, 건조 중의 부위의 온도(드라이 중의 부분 온도), 모발 중의 수분량, 및 부여되어 있는 성분량이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성분량으로서, 대전 미립자수 및 음이온 각각의 성분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시키고 있는 모발의 부위는, 모발의 개략도에 대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개략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부위를 명시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분량이나 성분량은, 수치에 더하여 예를 들어 원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양을 명시해도 된다.
도 19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예의 출력 화면은, 헤어 드라이어(1)가 모발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킨 후 또는 모발의 적어도 일부에 성분을 부여시킨 후에 관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1)를 사용한 결과로서, 그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유효한 성분량을 표시해도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대전 미립자수 및 음이온의 성분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 예의 출력 화면은, 제2 예의 출력 화면과 마찬가지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은, 사용자의 모발 부위별 성분량을 표시함과 함께, 모발의 부위와 당해 부위별 성분량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우선, 3종류의 탭 영역을 붙인 사용자의 모발 개략도가 표시된다. 제1 탭 영역(101b)은, 모발의 뿌리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2 탭 영역(101c)은, 모발의 중간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3 탭 영역(101d)은, 모발의 모발끝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현시점에서의 성분량이, 수치에 더하여 예를 들어 원 그래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원 그래프(101e)는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을 나타낸다. 제2 원 그래프(101f)는 음이온의 성분량을 나타낸다. 도 20a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이후의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의해 성분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모발의 부위로서 중간을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3 출력 화면에 있어서 제2 탭 영역(101c)을 탭함으로써, 중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0b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이후의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의해 성분량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 새롭게 설정하는 성분량을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3 출력 화면에 있어서 제1원 그래프(101e) 및 제2 원 그래프(101f)를 탭하면서 표시값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성분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1은,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4 예의 출력 화면은, 제3 예의 출력 화면과 마찬가지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20a에 도시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제1 탭 영역(101b), 제2 탭 영역(101c) 또는 제3 탭 영역(101d) 중 어느 영역이 탭되었을 때에, 그 영역에 대응한 부위에서의 성분량이 표시된다. 이에 반하여, 제4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모발의 부위별로의 성분량이 일괄적으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해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해야 하는 부위의 순번을 숫자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1 탭 영역(101b), 제2 탭 영역(101c) 및 제3 탭 영역(101d)의 각각에 부여된 숫자의 순서를 따라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하도록 헤어 드라이어(1)를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성분을 효율적으로 부여시킬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예의 입력 화면은, 사용자에 대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부여시키는 성분을 변경시키는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도 22a는, 제2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전면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상하로 뿌리, 중간 및 모발끝의 3개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제1 입력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2b는, 제2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2 입력 화면에서는,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된 분할 화면의 각각의 영역별로, 대전 미립자수의 설정을 사용자가 변경하기 위한 레벨 조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대전 미립자수에 대하여, 제어부(80)가 설정한 성분량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성분량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제1 입력 화면에는, 화상(101a)으로서, 모발 중에서 성분량을 변경할 수 있는 3개의 부위가 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2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부위별로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이 원하는 성분량이 되도록 복수의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2b에 도시한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량을 변경하는 경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2b에서 예시된, 변경해야 할 성분이 대전 미립자수인 경우, 예를 들어 모발의 뿌리에 부여되는 대전 미립자수의 변경 전의 레벨이 「2」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레벨을 「3」으로 높여도 된다. 사용자는, 모발의 그 밖의 부위인 중간이나 모발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대전 미립자수에 대한 성분량을 원하는 성분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전 미립자수뿐만 아니라,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음이온이나 제·유기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해서 성분량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발의 웨이브나 컬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건조 종료의 판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모발의 웨이브나 컬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건조 종료의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80)는, 모발 검지부(63)에 사용자의 모발을 검지시킨다(스텝 S101).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모발 검지부(63)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모발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여기서,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2: 아니오), 스텝 S101로 되돌아가고, 모발의 검지를 반복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2: 예), 다음으로 예를 들어 습윤 연산부(86)에, 습윤 검지부(6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발의 웨이브나 컬의 정도를 연산시킨다(스텝 S103).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부위 검지부(64)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습윤 연산부(86)에서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웨이브나 컬의 레벨 분류를 실행시킨다(스텝 S104).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테이블 생성부(82)에, 모발의 부위별로의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따른 성분량을 결정시킨다(스텝 S105).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105에서 결정된 성분량에 관한 파라미터를 부여량 연산부(83)로 전송한다(스텝 S106). 다음으로, 제어부(80)는, 건조 동작을 개시시키는, 즉, 열 부여부(30)에 대하여 열의 부여를 개시하도록 열량 제어부(85)에 제어시킨다(스텝 S107).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부여량 연산부(83)로 전송된 성분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에 대하여 성분의 부여를 개시하도록 성분량 제어부(84)에 제어시킨다(스텝 S108).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성분 생성부(40)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예를 들어 누적 연산부(88)에 누적 성분량을 연산시키고, 누적 성분량이 규정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9). 여기서, 제어부(80)는, 누적 성분량이 규정값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9: 아니오), 스텝 S109의 판정을 반복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누적 성분량이 규정값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9: 예),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건조를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을 때에, 제어부(80)가 모발의 건조도를 어떻게 추정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모발이 젖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또는 말라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몇 원리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발의 건조도는, 습윤 연산부(86)가 산출한 습윤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윤 검지부(60)는, 구체적으로는 포토다이오드인 습윤 검지 센서(60a)이다. 습윤 정보는,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습윤 연산부(86)에 의해 산출되는 흡광도이다. 도 25 중의 상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조명부(72)로부터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모발에서 흡수되는 광이 많기 때문에, 습윤 검지 센서(60a)가 수광하는 반사광이 감소한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조명부(72)로부터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모발에서 흡수되는 광이 적기 때문에, 습윤 검지 센서(60a)가 수광하는 반사광이 감소하지 않는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 다시 말해, 모발이 젖어 있는지 말라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원리로서, 모발의 건조도는, 모발의 다발 상태를 습윤 정보로 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부(60)는, 모발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촬영부이다.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부(60)가 촬영한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의 다발 상태를 판별하는 기계 학습 연산부이다. 도 25의 중간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모발끼리는 달라 붙어서 다발로 되어 있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모발끼리가 흐트러져 서로 독립되어 있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기계 학습 연산부가 판별한 모발의 다발 상태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발의 건조도는, 모발의 온도를 습윤 정보로 하여, 습윤 연산부(86)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부(60)는 온도 센서이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계(적외선 센서)여도 된다.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부(60)가 측정한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습윤 정보로서의 온도를 산출한다. 도 25 중의 하측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토출구(10b)로부터 모발을 향해 온풍이 전달되면, 모발의 표면에서는, 온도가 올라가기 어렵고 내려가기 쉽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작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토출구(10b)로부터 모발을 향해 온풍이 내보내지면, 모발의 표면에서는, 온도가 올라가기 쉽고 내려가기 어렵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크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모발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5에 대응한, 모발이 젖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또는 말라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할 때의 구체적인 기준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6의 상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광도가 70 내지 30%일 때에 모발이 젖어 있다고 판정하고, 한편, 흡광도가 29 내지 10%일 때에 모발이 말라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모발의 다발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5 및 도 26의 각각의 중간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학습의 결과에 따라도 된다. 또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6의 하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에 온풍을 쐬었을 때의 온도 변화의 구배가 완만할 때에 모발이 젖어 있다고 판정하고, 한편, 급격할 때에 모발이 말라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건조 시간을 시계열로 한, 모발의 건조도와,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 또는 열 부여부(30)가 부여하는 열에 관한 타이밍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27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모발의 건조도에 맞춰서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는, 모발이 젖어 있을 때, 즉, 건조도가 낮을 때에,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증가시키고, 모발이 말라 있을 때, 즉, 건조도가 높을 때에,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감소시켜도 된다.
도 28은, 화장료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만 화장료를 부여시키도록, 화장료의 부여량을 조정해도 된다. 도 2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어부(80)는, 건조도가 임계값의 60%를 초과하지 않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를 부여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80)는, 건조도가 임계값의 60%를 초과했을 때에는,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의 부여를 정지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이 비교적 젖어 있을 때에만, 화장료를 부여해도 된다.
도 29는, 2종류의 화장료 A 및 B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A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중간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B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화장료 A와 화장료 B는, 서로 다른 성분이다. 화장료 A는, 모발에 침투시키고자 하는 제(劑)이다. 화장료 B는 코팅제이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29에 있어서, 상측 도면, 중간 도면 및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만, 즉, 모발이 비교적 젖어 있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A만을 부여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만, 즉, 모발이 비교적 말라 있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B만을 부여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이 젖어 있는 동안에는, 침투시키고자 하는 제인 화장료 A를 특별히 부여하고, 모발이 말라 있는 동안에는, 코팅제인 화장료 B를 특별히 부여해도 된다.
도 30은, 풍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풍량(㎥/s)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30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풍량을 모발의 건조도에 맞춰서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해지면, 풍량을 감소시켜도 되고, 한편, 온도를 증가시켜 가도 된다. 모발이 건조해지면, 유리 전이점이 높아진다. 그래서, 모발의 건조에 따라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모발의 컬을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헤어 드라이어(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30)와,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40)와,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성분 생성부(40)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어부(80)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이온, 산성 성분 및 대전 미립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할 때,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참조하고, 성분 생성부(40)에 대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맞는 성분량의 성분을 부여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헤어 드라이어(1)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최적의 세밀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모발 특성은, 모발의 웨이브, 또는 컬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는, 제어부(80)가 참조할 수 있는 모발 특성에 베리에이션을 많이 갖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특히 모발 특성이 모발의 웨이브나 컬임으로써,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맞춘 최적의 성분량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컬을 보다 완화시키거나, 모발의 감촉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모발의 화상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73)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사용자가 표시부(73)의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전체 또는 부분에 기초하여, 성분량, 또는 모발 특성의 종류 혹은 레벨을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는, 제어부(80)가 설정한 성분량, 또는 모발 특성의 종류 혹은 레벨을 표시부(73)의 화면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모발을 측정하는 습윤 검지 센서(60a)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모발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건조 추정 연산부(87)와,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조정하는 부여량 연산부(83)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는, 건조 동작 중, 모발의 건조도를 참조하면서 성분량을 조정하므로, 보다 최적의 성분량으로 조정된 성분을 모발에 부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특히 모발 특성이 모발의 웨이브나 컬임으로써, 모발의 습윤에 기인하는 컬의 회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통신부(10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표시부(101)에 모발의 화상(101a)이 적어도 표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송수신부(74)는, 사용자가 단말기 표시부(101)의 화상(101a)에 있어서 선택한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 통신부(103)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80)는, 송수신부(74)가 단말기 통신부(103)로부터 수신한 화상(101a)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100) 상으로부터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습윤 검지부(60)의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포토다이오드)를 채용하였다. 이에 반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습윤 검지부(60)의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이하에 나타내는 2가지 촬영부 중 어느 것을 채용한다.
도 3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제1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설치되는 촬영부(60b)와, 토출구(10b)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조명부(72)를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촬영부(60b) 및 조명부(72)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제2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고, 외부의 통신 기기인 휴대 단말 장치(100)(단말기 통신부(10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에서의 헤어 드라이어(1)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촬영부(102)를, 습윤 검지부(60)로서의 촬영부로서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60c)(적외선 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조명부(72)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습윤 검지부(60)로서 온도 센서(60c)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건조 시간에 대한 모발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상기 설명한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상기와 같은 촬영부를 채용한다는 점이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와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이온, 산성 성분 및 대전 미립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는 점이나,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참조하여 성분량을 결정하는 점 등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습윤 검지부(60)로서 촬영부(60b) 또는 단말기 촬영부(102)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촬영부(60b) 등이 건조 시간별로 촬영한 모발 화상의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건조 시간별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의 설명에 있어서 「모발 측정값」이라고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발 화상」으로 치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해서도, 제어부(80)는, 건조 동작 중, 모발의 건조도를 참조하면서 성분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최적의 성분량으로 조정된 성분을 모발에 부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웨이브나 컬이기 때문에, 모발의 습윤에 기인하는 컬의 회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이하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건조 조작이 있을 때마다, 모발 화상을 사용한 모발의 레벨 판정에 기초하여 축적된 성분량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 있어서의 제어부(80)에 의한 동작 제어 공정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80)는, 동작 제어 공정을 개시하면, 예를 들어 모발 검지부(63)가 사용자의 모발을 검지한, 즉, 헤어 드라이어(1)의 토출구(10b)가 모발을 향한 것을 검지한 후, 촬영부(60b)에 모발을 촬영시킨다(스텝 S201). 여기서, 촬영부(60b)에 모발을 촬영시키는 타이밍은, 사용자의 머리감기 전, 또는 습윤 검지부(60)에 의한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이 젖지 않았다고 제어부(80)가 판정했을 때이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스텝 S201에서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을 판정시킨다(스텝 S202). 여기서, 판정된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에 관한 데이터는, 기억부(75)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202에서의 판정 결과에 대하여, 모발에 컬(또는 웨이브)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203).
스텝 S203에 있어서, 제어부(80)는, 모발에 컬이 없는, 즉 모발은 직모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3: 아니오), 도 33b에 도시한 스텝 S204로 이행한다.
도 33b를 참조하고,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202에서의 레벨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블 생성부(82)에 성분량을 설정시킨다(스텝 S204).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건조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제어부(80)는, 열량 제어부(85)에 열 부여부(30)를 동작시키고,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킨다(스텝 S205). 이때, 제어부(80)는, 적절히, 성분량 제어부(84)에 성분 생성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텝 S204에서 설정된 성분량의 성분을 부여시킨다. 스텝 S205에서의 건조 조작이 종료 후, 제어부(80)는, 사용자에 의한 차회의 건조 조작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한 차회의 건조 조작이 개시될 때, 제어부(80)는, 상기 스텝 S201과 마찬가지로, 촬영부(60b)에 모발을 촬영시킨다(스텝 S206).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스텝 S206에서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을 판정시킨다(스텝 S207). 여기서, 판정된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에 관한 데이터는, 기억부(75)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각각 기억부(75)에 기억되어 있는, 스텝 S207에서 판정된 모발 특성에 관한 데이터와, 전회 이전의 건조 조작 시에 관한 스텝 S202에서 판정된 모발 특성에 관한 데이터와의 경향을 비교한다(스텝 S208).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208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모발 특성으로서의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대하여,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9). 여기서, 부여되는 성분이, 모발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발 특성에 맞는 최적량이 있는 성분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우선, 제어부(80)는,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졌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9: 예), 이제는 더 이상 성분량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후, 성분량을 감소시킨다(스텝 S210). 한편, 제어부(80)는,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지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9: 아니오), 스텝 S21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212에서는, 제어부(80)는, 스텝 S208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모발 특성으로서의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대하여, 금회와 전회 이전과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금회와 전회 이전에서는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12: 예), 보다 모발 특성을 나아지게 할 가능성이 있는 성분량을 감소시킨다(스텝 S213). 한편, 제어부(80)는, 금회와 전회 이전과는 동일하지 않은, 즉,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악화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12: 아니오), 이후, 성분량을 증가시킨다(스텝 S214). 그리고, 스텝 S210, 스텝 S213 또는 스텝 S214에 있어서 성분량이 변경되면,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변경 후의 성분량 데이터를 기억부(75)에 기억시킨다(스텝 S211).
한편, 도 33a에 도시한 스텝 S203에 있어서, 제어부(80)는, 모발에 컬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3: 예), 스텝 S215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202에서의 레벨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블 생성부(82)에 성분량을 설정시킨다(스텝 S215).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건조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제어부(80)는, 열량 제어부(85)에 열 부여부(30)를 동작시키고,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킨다(스텝 S216). 이때, 제어부(80)는, 적절히 성분량 제어부(84)에 성분 생성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텝 S215에서 설정된 성분량의 성분을 부여시킨다. 스텝 S216에서의 건조 조작이 종료 후, 제어부(80)는, 사용자에 의한 차회의 건조 조작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한 차회의 건조 조작이 개시될 때, 제어부(80)는, 상기 스텝 S201과 마찬가지로, 촬영부(60b)에 모발을 촬영시킨다(스텝 S217).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스텝 S217에서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을 판정시킨다(스텝 S218). 여기서, 판정된 모발 특성의 종류나 레벨에 관한 데이터는, 기억부(75)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각각 기억부(75)에 기억되어 있는, 스텝 S218에서 판정된 모발 특성에 관한 데이터와, 전회 이전의 건조 조작 시에 관한 스텝 S202에서 판정된 모발 특성에 관한 데이터와의 경향을 비교한다(스텝 S219).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219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모발 특성으로서의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대하여,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0). 여기서, 부여되는 성분이, 모발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발 특성에 맞는 최적량이 있는 성분인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우선, 제어부(80)는,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졌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0: 예), 이후, 성분량을 증가시킨다(스텝 S221). 한편, 제어부(80)는,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나아지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0: 아니오), 스텝 S223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223에서는, 제어부(80)는, 스텝 S208에서의 비교 결과로서, 모발 특성으로서의 웨이브나 컬의 레벨에 대하여, 금회와 전회 이전과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금회와 전회 이전과는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3: 예), 아직 나아지게 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후, 성분량을 증가시킨다(스텝 S224). 한편, 제어부(80)는, 금회와 전회 이전과는 동일하지 않은, 즉, 금회가 전회 이전보다도 악화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3: 아니오), 이제는 더 이상 성분량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후, 성분량을 감소시킨다(스텝 S225). 그리고, 스텝 S221, 스텝 S224 또는 스텝 S225에 있어서 성분량이 변경되면,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변경 후의 성분량 데이터를 기억부(75)에 기억시킨다(스텝 S222).
그리고, 스텝 S211 또는 스텝 S222의 후, 제어부(80)는, 계속해서 건조 조작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226). 여기서, 제어부(80)는, 계속해서 건조 조작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6: 예), 열량 제어부(85)에 열 부여부(30)를 동작시키고,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킨다(스텝 S227). 이때, 제어부(80)는, 스텝 S211 또는 스텝 S222에서 축적된, 변경 후의 성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성분량 제어부(84)를 제어하고, 성분 생성부(40)를 동작시킨다. 스텝 S227에서의 건조 조작이 종료 후, 제어부(80)는, 사용자에 의한 차회의 건조 조작까지 대기 상태로 되고, 이후, 스텝 S201로 되돌아가도 된다.
한편, 스텝 S226에 있어서, 제어부(80)는, 계속되는 건조 조작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6: 아니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공정을 종료한다.
도 34는,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한 동작 제어 공정을 채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상측 도면은,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 경과일(날)에 대한 모발의 효과 레벨(포인트)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헤어 드라이어(1)의 사용 경과일(날)에 대한 성분 부여 증감율(%)을 나타낸다. 도 34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과의 횡축인 사용 경과일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34는, 다른 두사람의 사용자인 사용자 a 및 사용자 b의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선,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한 동작 제어 공정에서는, 건조 조작이 있었을 때마다 적정화된 성분량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후의 건조 조작에서는, 그 시점에서 가장 적정화된 성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분이 부여된다. 따라서, 도 34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사용자에 관해서도, 헤어 드라이어(1)를 사용하는 날이 많아짐에 따라서, 모발의 효과나 성분 부여 증감율이 안정되어 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모발을 촬영하는 촬영부(60b)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촬영부(60b)에 의해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 특성을 분류하는 모발 특성 인식부(81)를 갖고,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의 레벨별로 성분 생성부(40)에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가 입력부(71)로부터 직접적으로 모발 특성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제어부(80)가 자동으로 모발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이와 같이 모발 특성이 자동으로 분류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오인식에 의한 성분량의 부적절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모발을 측정하는 습윤 검지 센서(60a)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부(80)는,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 또는 촬영부(60b)로부터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의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하는 습윤 연산부(86)를 갖는다. 습윤 연산부(86)가, 사용자가 머리감기 전이거나 또는 모발이 젖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촬영부(60b)에 모발을 촬영시켜서 모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모발이 통상 시의 상태일 때 모발 화상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최적의 부여해야 할 성분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촬영부(60b)로부터 얻어진 모발 화상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기억부(75)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기억부(75)에 기억되어 있는 적어도 2회 이상의 모발 화상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모발 특성의 레벨 변화를 표시부(73)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35a 및 도 35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5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5 예의 출력 화면은, 사용자마다의 모발 특성의 레벨 변화를 표시하는 것이며, 일례로서, 사용자의 전면 및 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와, 모발의 부위별로의 컬 레벨을 표시한다. 도 35a는, 오늘의 사용자의 모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35b는, 일례로서, 5개월 전의 사용자의 모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부(73)(또는 단말기 표시부(101))는, 이와 같은 출력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모발 상태의 하루하루의 변화를 제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습윤 검지부(60)는,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접촉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량 센서여도 된다.
도 3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1)가 구비한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를 구비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토출구(10b)에 설치되는 브러시부(22)와, 브러시부(22)에 설치되는 수분량 센서(60d)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헤어 드라이어(1)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모발 측정값은 모발의 수분량이다. 수분량 센서(60d)는 사용자가 브러시부(22)를 모발에 대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 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취득된 수분량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모발 특징 판별부와, 물질 성분량 판정부와, 물질 분출부를 가져도 된다.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의 모발 특징을 판별한다. 물질 성분량 판정부는, 모발 특징 판별부에 의해 판별한 모발 특징에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에 작용시키는 물질의 성분량을 판정한다. 물질 분출부는, 물질 성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물질의 성분량으로 사용자의 모발에 물질을 분출한다. 여기서, 모발 특징 판별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발 특성 인식부(81)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물질 성분량 판정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테이블 생성부(82)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물질 분출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분 생성부(40)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모발 특징은, 모발의 웨이브 정도, 모발의 곱슬기 정도, 모발의 경연 정도, 모발의 강모 정도, 모발의 직모 정도, 모발의 파마 정도, 모발의 굵기 정도, 모발의 모발량 정도, 모발의 윤기 정도, 모발의 색 정도, 모발의 장단 정도, 모발의 탄성 정도, 모발의 탄력 정도 또는 모발의 손상 정도여도 된다.
물질 성분량 판정부는, 이온 성분 생성부,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 액체 성분 생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하는 물질의 성분량을 판정해도 된다. 이온 성분 생성부는, 이온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이며,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제2 정전 무화 장치(40b)에 대응할 수 있다. 산성 성분 생성부는,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이다. 대전 미립자 액체 성분 생성부는, 대전 미립자 액체를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이며,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제3 정전 무화 장치(40c)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미립자 액체란, 상기 설명한 대전 미립자수의 광의의 표현이다.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가져도 된다. 촬상부는,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영부(60b)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한편,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싱 기능부를 가져도 된다. 여기서, 생체 정보란, 사용자의 생체, 즉, 사용자의 모발이나 피부 등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모발이나 피부의 수분량이나 온도를 말한다. 생체 센싱 기능부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종 센서 중 적어도 어느 것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가 당해 사용자의 모발 특징을 입력하는 모발 특징 입력부를 가져도 된다. 모발 특징 입력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입력부(71), 또는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부(73)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모발 특징 입력부는, 사용자에게, 당해 사용자의 모발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모발 특징을 입력시켜도 된다.
한편, 모발 특징 입력부는, 사용자에게, 모발의 웨이브 정도, 모발의 곱슬기 정도, 모발의 경연 정도, 모발의 강모 정도, 모발의 직모 정도, 모발의 파마 정도, 모발의 굵기 정도, 모발의 모발량 정도, 모발의 윤기 정도, 모발의 색 정도, 모발의 장단 정도, 모발의 탄성 정도, 모발의 탄력 정도 및 모발의 손상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정도의 선택 입력을 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의 모발 특징에 대하여, 상기 예시한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도를 사용하여 레벨 분류를 하는 모발 특징 레벨 분류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의 모발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모발 특징에 대하여 판별해도 된다.
또는, 모발 특징 판별부는, 사용자의 모발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모발 특징에 대하여, 상기 예시한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도를 사용하여 레벨 분류를 하는 모발 특징 레벨 분류부를 가져도 된다.
모발 특징 입력부는 입출력을 위한 화면을 가져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화면은,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73) 또는 단말기 표시부(101)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당해 헤어 케어 장치의 외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를 가져도 된다. 데이터 송수신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수신부(74)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모발 특징 입력부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와 별체여도 된다. 이 경우의 모발 특징 입력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 장치(100)가 갖는 단말기 표시부(101)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정돈하기도 하는, 가정용 또는 업무용 헤어 케어 장치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1: 헤어 드라이어
2: 전원 코드
3: 하우징
3a: 구획판
4: 송풍 유로
10: 본체부
10a: 흡인구
10b: 토출구
10c: 연결부
10d: 연결축
10e: 분기로
10f: 성분 토출구
10g: 전면부
14: 노즐부
20: 파지부
20a: 하우징
22: 브러시부
30: 열 부여부
31: 팬
32: 모터
33: 가열부
40: 성분 생성부
40a: 제1 정전 무화 장치
40b: 제2 정전 무화 장치
40c: 제3 정전 무화 장치
41a: 미스트 분무기
41b: 탱크
41c: 펌프
41d: GND 전극
41e: 고압 회로
41f: 펌프 구동 회로
42a: 방전부
42b: GND 전극
42c: 고압 회로
43a: 방전부
43b: 펠티에 소자
43c: GND 전극
43d: 고압 회로
50: 측정부
60: 습윤 검지부
60a: 습윤 검지 센서
60b: 촬영부
60c: 온도 센서
60d: 수분량 센서
61: 실온 센서
62: 습도 센서
63: 모발 검지부
64: 부위 검지부
71: 입력부
71a: 모발 웨이브 입력부
71b: 모발 컬 입력부
72: 조명부
73: 표시부
74: 송수신부
75: 기억부
76: 전원 스위치
80: 제어부
81: 모발 특성 인식부
82: 테이블 생성부
83: 부여량 연산부
84: 성분량 제어부
85: 열량 제어부
86: 습윤 연산부
87: 건조 추정 연산부
88: 누적 연산부
90: 신호 처리부
91: 부위 연산부
92: 초기 위치 결정부
100: 휴대 단말 장치
101: 단말기 표시부
101a: 화상
101b: 제1 탭 영역
101c: 제2 탭 영역
101d: 제3 탭 영역
101e: 제1 원 그래프
101f: 제2 원 그래프
102: 단말기 촬영부
103: 단말기 통신부

Claims (23)

  1.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와,
    상기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와,
    상기 열 부여부 및 상기 성분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성분 생성부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수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성분의 성분량을, 상기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헤어 케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성은, 상기 모발의 웨이브 또는 컬인, 헤어 케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을 측정하는 습윤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윤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건조 추정 연산부와,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조정하는 부여량 연산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얻어진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 특성을 분류하는 모발 특성 인식부를 갖고,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모발 특성의 레벨별로 상기 성분 생성부에 상기 성분량을 조정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을 측정하는 습윤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윤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 또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의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하는 습윤 연산부를 갖고, 상기 습윤 연산부가, 상기 사용자가 머리감기 전이거나 또는 상기 모발이 젖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촬영부에 상기 모발을 촬영시켜서 상기 모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결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발 측정값 또는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건조 추정 연산부와,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로 추정된 상기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조정하는 부여량 연산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상기 모발 화상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기억부와,
    상기 모발의 화상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상기 모발 화상에 관한 상기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모발 특성의 레벨 변화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화상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의 상기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전체 또는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 또는 상기 모발 특성의 종류 혹은 레벨을 변경하는, 헤어 케어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단말기 통신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단말기 표시부에, 상기 모발의 화상이 적어도 표시되었을 때,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표시부의 상기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상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하는, 헤어 케어 장치.
  10. 사용자의 모발 특징을 판별하는 모발 특징 판별부와,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에 의해 판별한 상기 모발 특징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작용시키는 물질의 성분량을 판정하는 물질 성분량 판정부와,
    상기 물질 성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물질의 상기 성분량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에 상기 물질을 분출하는 물질 분출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은, 모발의 웨이브 정도, 모발의 곱슬기 정도, 모발의 경연 정도, 모발의 강모 정도, 모발의 직모 정도, 모발의 파마 정도, 모발의 굵기 정도, 모발의 모발량 정도, 모발의 윤기 정도, 모발의 색 정도, 모발의 장단 정도, 모발의 탄성 정도, 모발의 탄력 정도 또는 모발의 손상 정도인, 헤어 케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성분량 판정부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성분 생성부, 산성 성분을 생성하는 산성 성분 생성부, 및 대전 미립자 액체를 생성하는 대전 미립자 액체 성분 생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하는 상기 물질의 상기 성분량을 판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싱 기능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 특징을 입력하는 모발 특징 입력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상기 모발 특징을 입력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모발의 웨이브 정도, 모발의 곱슬기 정도, 모발의 경연 정도, 모발의 강모 정도, 모발의 직모 정도, 모발의 파마 정도, 모발의 굵기 정도, 모발의 모발량 정도, 모발의 윤기 정도, 모발의 색 정도, 모발의 장단 정도, 모발의 탄성 정도, 모발의 탄력 정도 및 모발의 손상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정도의 선택 입력을 행하게 하는, 헤어 케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 특징에 대하여, 상기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정도를 사용하여 레벨 분류를 하는 모발 특징 레벨 분류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상기 모발 특징에 대하여 판별하는, 헤어 케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전체 또는 부분에 관한 상기 모발 특징에 대하여, 상기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정도를 사용하여 레벨 분류를 하는 모발 특징 레벨 분류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입력부는 입출력을 위한 화면을 갖는, 헤어 케어 장치.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케어 장치의 외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징 입력부는, 상기 헤어 케어 장치와 별체인, 헤어 케어 장치.
KR1020237026055A 2021-02-05 2021-12-24 헤어 케어 장치 KR20230137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7489 2021-02-05
JP2021017489A JP2022120537A (ja) 2021-02-05 2021-02-05 ヘアケア装置
PCT/JP2021/048152 WO2022168495A1 (ja) 2021-02-05 2021-12-24 ヘアケ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917A true KR20230137917A (ko) 2023-10-05

Family

ID=8274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055A KR20230137917A (ko) 2021-02-05 2021-12-24 헤어 케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20537A (ko)
KR (1) KR20230137917A (ko)
CN (1) CN116829024A (ko)
WO (1) WO20221684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8484A (ja) 2017-09-27 2019-04-18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418B2 (ja) * 2014-03-07 2018-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および頭部画像取得方法
CN103948230A (zh) * 2014-05-04 2014-07-30 东莞市富瑞康电器科技有限公司 触摸屏式电吹风
CN108433318B (zh) * 2018-03-27 2021-07-30 南京地平线机器人技术有限公司 电吹风和控制电吹风的方法
US10943394B2 (en) * 2018-09-21 2021-03-09 L'oreal System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beauty assessment that includes region specific sensor data and recommended courses of action
JP7289097B2 (ja) * 2019-04-11 2023-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送風システム
CN109907460A (zh) * 2019-04-24 2019-06-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吹风方法、吹风机及存储介质
CN211703744U (zh) * 2019-10-24 2020-10-20 飞利浦(中国)投资有限公司 毛发护理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8484A (ja) 2017-09-27 2019-04-18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20537A (ja) 2022-08-18
CN116829024A (zh) 2023-09-29
WO2022168495A1 (ja)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155B2 (en) Makeup support device, makeup support method, and makeup support program
US7356943B2 (en) Automatic hair dryer
EP3511052B1 (en) System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imperfections
CN106457848A (zh) 用于使角质表面改性的设备和方法
CN106456055A (zh) 用于使角质表面改性的设备和方法
US8720078B1 (en) Automatic hair dryer with fluid dispenser
CN106456005A (zh) 用于使角质表面改性的设备和方法
CN106457847A (zh) 用于将处理组合物沉积在角质表面上的料筒
EP1919358A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moisture content of skin
KR20200009042A (ko) 가청 피드백을 갖는 개인 케어 장치
US202002219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 cosmetic hair condition
US20220088407A1 (en) Hair treatment system with proximity sensors to detect scalp or hair distance and locality
EP4108126B1 (en) Cosmetic component spraying device
ES2864835T3 (es) Aplicadores para tratar afecciones cutáneas
JP2017502757A (ja) 毛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補給器
JP2023542004A (ja) 頭皮又は毛髪の距離や位置を検出する近接センサを有する毛髪トリートメントシステム
KR20230137917A (ko) 헤어 케어 장치
KR20230137895A (ko)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
KR20230137908A (ko) 헤어 케어 장치
CN211703744U (zh) 毛发护理设备
FR3115663A1 (fr) Système de traitement de cheveux dote de capteurs de proximité pour détecter une distance et un endroit de cuir chevelu ou de cheveux
FR3118568A1 (fr) Dispositif de coiffure portable avec poils de massage et distributeur de formulation
US20230101556A1 (en) Hair volumizing treatments with in situ diagnostic assessment and formula dispensing
JP2019180639A (ja) 加熱送風装置
WO2023056383A1 (en) Hair volumizing treatments with in situ diagnostic assessment and formula disp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