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895A -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7895A KR20230137895A KR1020237025112A KR20237025112A KR20230137895A KR 20230137895 A KR20230137895 A KR 20230137895A KR 1020237025112 A KR1020237025112 A KR 1020237025112A KR 20237025112 A KR20237025112 A KR 20237025112A KR 20230137895 A KR20230137895 A KR 202301378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unit
- amount
- ingredient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3648 hair 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7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8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3741 hair volume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694 hair propertie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700 hai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NPLKNRPJHDVJA-ZETCQYMHSA-N D-panthenol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 SNPLKNRPJHDVJA-ZETCQYMH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6189 ceram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1267 panthe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57 pantothe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19 pantoth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RAKJMSDJKAYCZ-UHFFFAOYSA-N squa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1
- YDNKGFDKKRUKPY-JHOUSYSJSA-N C16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O)N[C@@H](CO)[C@H](O)C=CCCCCCCCCCCCCC YDNKGFDKKRUKPY-JHOUSYSJ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1782 Kera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6876 Kera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RJGESKKUOMBCT-VQTJNVASSA-N N-acetylsphingan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H](O)[C@H](CO)NC(C)=O CRJGESKKUOMBCT-VQTJNVAS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VEQCJWYRWKARO-UHFFFAOYSA-N cer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C(=O)NC(CO)C(O)C=CCCC=C(C)CCCCCCCCC ZVEQCJWYRWKA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83 cer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50 glyc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XTPJDDICSTXJX-UHFFFAOYSA-N n-Triacon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JXTPJDDICSTX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VGIYYKRAMHVLU-UHFFFAOYSA-N newbouldiam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C(O)C(O)C(CO)NC(=O)CCCCCCCCCCCCCCCCC VVGIYYKRAMHVL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094 squal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13 thin hai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부(8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와, 테이블 생성부(82)와, 부여량 연산부(83)를 갖는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모발 측정값 또는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한다. 테이블 생성부(82)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설정한다.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전체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성분량을 조정한다. 또는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부위별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부위별로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부(30)가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의 모발을 단순히 건조시킬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발에 유효한 성분도 부여시키는 헤어 드라이어 등의 헤어 케어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모발에 유효한 성분으로서 이온을 적용하고, 사용자의 설정 외에,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조정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헤어스타일이나 모질은 사용자별로 다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모발에 유효한 성분으로서의 이온량을 조정하였다고 해도,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나 모질에 따라서는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나 모질별에 맞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를 반드시 달성하지는 못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와,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와, 모발을 측정 또는 촬영하는 측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측정부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 또는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 및 성분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모발 특성 인식부와, 테이블 생성부와, 부여량 연산부를 갖는다. 모발 특성 인식부는, 모발 측정값 또는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한다. 테이블 생성부는,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설정한다. 부여량 연산부는,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모발 전체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성분량을 조정한다. 또는 부여량 연산부는,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부위별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부위별로 성분 생성부가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부가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시스템은, 상기 헤어 케어 장치와, 휴대 단말기 장치를 구비하는 헤어 케어 시스템이며, 상기 헤어 케어 장치는, 송수신부를 갖고, 휴대 단말 장치는,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1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2 정전 무화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3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1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b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2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3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c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d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굵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굵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윤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윤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d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b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c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a는 모발 특성이 볼륨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3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경도(굵기)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3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손상(윤기)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4a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4b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5는 화장료 부여량과 모발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은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은 화장료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8은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9는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파마 부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0은 풍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1a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c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3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모발의 중간을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모발의 뿌리를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출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b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출력 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b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량을 변경하는 경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8은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원리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29는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의 기준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30은 흡광도마다의 전달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1은 흡광도 기준에서의 건조 종료의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a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b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c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3a는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 습윤 검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대한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b는 건조 시간에 대한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a는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4b는 대상 부분의 판정 조건과, 대상 부분마다의 온도 및 성분의 조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5는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대상 부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6은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7은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8은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9는 풍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0a는 모발 중의 4개의 부위(뿌리 표면, 뿌리 내측, 모발끝 표면 및 모발끝 내측)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b는 건조 시간에 대한 모발의 부위별 건조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1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예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2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3a는 건조 시간별로 2차원 화상을 취득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b는 모발이 건조됨에 따라 변화하는 2차원 화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a는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4b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모발 전체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모발 전체의 건조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a는 누적된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5b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습윤 상태에 따라서 분류한 부위별로 건조도를 추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부위별 건조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아이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1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2 정전 무화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성분 생성부로서 채용될 수 있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인 제3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1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b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2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 및 조명부의 제3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c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d는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굵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굵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윤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윤기인 경우의 모발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d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b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c는 모발의 볼륨 레벨의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a는 모발 특성이 볼륨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3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경도(굵기)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3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손상(윤기)인 경우의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4a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4b는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5는 화장료 부여량과 모발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은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은 화장료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8은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9는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파마 부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0은 풍량과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1a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c는 입력 화면의 제1 예의 제3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모발의 중간을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모발의 뿌리를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출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b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출력 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b는 입력 화면의 제2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량을 변경하는 경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8은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원리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29는 모발이 젖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의 기준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30은 흡광도마다의 전달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1은 흡광도 기준에서의 건조 종료의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a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b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c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3a는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 습윤 검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대한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b는 건조 시간에 대한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a는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4b는 대상 부분의 판정 조건과, 대상 부분마다의 온도 및 성분의 조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5는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대상 부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6은 대전 미립자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7은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8은 2종류의 화장료 부여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9는 풍량과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0a는 모발 중의 4개의 부위(뿌리 표면, 뿌리 내측, 모발끝 표면 및 모발끝 내측)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b는 건조 시간에 대한 모발의 부위별 건조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1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예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2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3a는 건조 시간별로 2차원 화상을 취득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b는 모발이 건조됨에 따라 변화하는 2차원 화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a는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4b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모발 전체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모발 전체의 건조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a는 누적된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5b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습윤 상태에 따라서 분류한 부위별로 건조도를 추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부위별 건조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아이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를 향해 온풍을 내보내는 본체부(10)와, 사용자가 사용 시에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의 파지부(20)를 구비한다. 도 2는, 송풍 방향을 따라 본체부(10)와 파지부(20)를 포함하도록 절단한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체부(10)는 복수의 분할체를 맞붙인 외벽을 이루는 하우징(3)을 구비한다. 하우징(3)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흡인구(10a)로부터 타단부에 마련된 토출구(10b)에 이르는 송풍 유로(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와 파지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0c)에 의해 연결축(10d)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1)의 미사용 시에는, 파지부(20)는 송풍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0)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본체부(10)에 대하여 접힌다. 파지부(20)에 있어서, 연결부(10c)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는, 전원 코드(2)가 인출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1)는 우선, 열 부여부(30)와, 성분 생성부(40)와, 측정부(50)(도 5 참조)와, 입력부(71)와, 표시부(73)를 구비한다.
열 부여부(30)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 부여부(30)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내보내는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부이다. 열 부여부(30)는, 예를 들어 팬(31)과, 모터(32)와, 가열부(33)를 구비한다. 팬(31)은 송풍 유로(4) 내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모터(32)가 구동됨으로써 회전한다. 팬(31)이 회전하면, 외부로부터 흡인구(10a)를 통해 송풍 유로(4) 내에 유입되고, 송풍 유로(4) 내를 통과하여 토출구(10b)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류가 형성된다. 가열부(33)는 팬(31)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팬(31)으로부터 내보내진 공기류를 가열한다. 가열부(33)가 작동하면, 팬(31)에 의해 형성된 공기류가 가열되어, 토출구(10b)로부터 온풍이 분출된다. 가열부(33)는, 예를 들어 띠 모양이면서 골판지 모양의 전기 저항체를 하우징(3)의 내주를 따라 권회된 히터여도 된다.
성분 생성부(40)는 사용자의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한다. 여기서,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이란, 사용자의 적어도 모질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소위 미용 성분을 말한다. 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劑)·유기물, 음이온, 금속 미립자 또는 대전 미립자수를 들 수 있다. 제·유기물은, 예를 들어 보습 성분(보습제), 보수 성분(보수제), 코팅 성분(코팅제) 또는 트리트먼트 성분(트리트먼트제)이다. 보습 성분은, 예를 들어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판테놀,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벌꿀 또는 다당류이다. 보수 성분은, 예를 들어 가수 분해 콜라겐, 가수 분해 케라틴, 아미노산, 모발 보호 단백, 폴리펩티드, 콜레스테롤, 양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유기산이다. 코팅 성분은, 예를 들어 실리콘, 스쿠알란 또는 유성 성분이다. 트리트먼트 성분은, 예를 들어 양이온 계면 활성제, 아미노산, 폴리펩티드, 판테놀, 세라마이드이다. 또한, 대전 미립자수는, OH 라디칼을 포함하고, 전기를 띤 나노 사이즈의 물 입자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성분 생성부(40)로서 채용될 수 있는 각종 성분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제·유기물로 하는 제 분무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정전 무화 장치(40a)는 미스트 분무기(41a)와, 탱크(41b)와, 펌프(41c)와, GND 전극(41d)과, 고압 회로(41e)와, 펌프 구동 회로(41f)를 구비한다. 미스트 분무기(41a)는 제·유기물로서의 액체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방전부이다. 탱크(41b)는 제·유기물로서의 예를 들어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수용한다. 펌프(41c)는 탱크(41b)와 미스트 분무기(41a)를 접속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탱크(41b)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고분자 수용액을 미스트 분무기(41a)로 보낸다. 고압 회로(41e)는 미스트 분무기(41a)에 고전압(HV)을 인가한다. 펌프 구동 회로(41f)는 펌프(41c)의 구동을 제어한다. 고압 회로(41e) 및 펌프 구동 회로(41f)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제어부(80) 내의 성분량 제어부(84)(도 5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미스트 분무기(41a)와 GND 전극(41d)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 미스트가 생성된다. 또한, 작용시키는 성분을 제·유기물로 하는 제 분무 장치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와 같은 정전 무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안개화 장치나 원심 펌프 등이어도 된다.
도 3b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음이온이나 금속 미립자로 하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2 정전 무화 장치(4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정전 무화 장치(40b)는 방전부(42a)와, GND 전극(42b)과, 고압 회로(42c)를 구비한다. 고압 회로(42c)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성분량 제어부(84)에 의해 제어된다. 방전부(42a)와 GND 전극(41d)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기초로 하여 음전하를 띤 음이온이 생성된다.
도 3c는, 작용시키는 성분을 대전 미립자수로 하는 성분 생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3 정전 무화 장치(4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정전 무화 장치(40c)는 방전부(43a)와, 결로부로서의 펠티에 소자(43b)와, GND 전극(43c)과, 고압 회로(43d)를 구비한다. 고압 회로(43d)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성분량 제어부(84)에 의해 제어된다. 방전부(43a)와 GND 전극(43c)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 등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기초로 한 대전 미립자수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분 생성부(40)가 제3 정전 무화 장치(40c)인 경우, 본체부(10)의 하우징(3)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유로(4)와 병행하여 연장되는 분기로(10e)를 형성하는 구획판(3a)이 설치된다. 송풍 유로(4)는 가열부(33)를 경유하는 공기류를 유통시키는 데 반하여, 분기로(10e)는 가열부(33)를 경유하지 않는 공기류를 유통시킨다. 그리고, 제3 정전 무화 장치(40c)는 분기로(10e) 내에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10)의 일부에서 예를 들어 건조 조작 시에 모발 H와 대향하는 전면부(10g)는 성분 토출구(10f)를 갖는다. 성분 토출구(10f)는 분기로(10e)와 연통하고,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성분을 외부로 토출한다. 또한, 성분 생성부(40)는 제1 정전 무화 장치(40a), 제2 정전 무화 장치(40b) 및 제3 정전 무화 장치(40c) 중 적어도 어느 것이면 된다. 즉, 성분 생성부(40)는 부여하는 성분별로 복수 구비되어도 된다.
측정부(50)(도 5 참조)는 사용자의 모발을 측정하거나 또는 촬영하고, 신호 처리된 정보를 제어부(80)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부(50)는 사용자의 모발을 측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경우, 측정부(50)는 습윤 검지부(60)와, 조명부(72)와, 신호 처리부(90)(도 5 참조)를 갖는다.
습윤 검지부(60)는 사용자의 모발 습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참조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윤 검지부(60)는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1450㎚ 등)을 모발 측정값으로 하는 습윤 검지 센서(60a)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구체적으로는 포토다이오드여도 된다. 조명부(72)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인 습윤 검지 센서(60a)와 쌍을 이루는 구성 요소이며,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의 광을 조사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90)에 대해서는, 이하의 제어부(80)에 관한 사항과 함께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의 각 설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의 각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경우에는 일례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예가 생각된다. 조명부(72)가 광의 조사부인 데 반하여, 습윤 검지 센서(60a)는 조명부(72)로부터 조사되고, 그 후, 사용자의 모발 H에서 반사된 광을 받는 수광부이다.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는 전면부(10g), 또는 토출구(10b)에 설치되는 노즐부(14)(도 4b, 도 4c 참조)에 설치된다.
도 4a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1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1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가 하나씩 있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조명부(72)는 토출구(10b)를 사이에 두고 습윤 검지 센서(60a)와는 반대측의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토출구(10b)의 개구 직경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크다.
도 4b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2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2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는 하나이지만, 조명부(72)는 복수 있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토출구(10b)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노즐부(14)에 설치된다. 조명부(72)는 예를 들어 4개가 있고, 전면부(10g)에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어느 정도 멀어지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확보하면서 광의 조사량을 늘릴 수 있다.
도 4c는,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의 제3 설치 위치예에 관한 도면이다. 제3 설치예에서는,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노즐부(14)에 하나씩 설치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와 조명부(72)는, 비교적 근접하게 되므로,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작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가 도 4b에 도시한 제2 설치예에 기초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입력부(71)는 사용자의 모발에 대한 특성(이하 「모발 특성」이라고 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버튼이다. 여기서, 모발 특성이란,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모발의 길이, 모발의 볼륨(모량), 및 모발의 굵기 또는 윤기에 관한 모질 중 적어도 하나를 말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입력부(71)는 각각 하우징(3)에 설치된, 모질 입력부(71a), 모발 길이 입력부(71b) 및 모발 볼륨 입력부(71c)의 3개의 입력 버튼이다. 또한, 입력부(71)는 그 밖에, 풍량이나 풍온 등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간이적으로 전환하는 버튼을 포함해도 된다.
표시부(73)는 하우징(3)에 설치된 예를 들어 터치 패널식의 표시 화면이며,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 또는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입력 화면 또는 출력 화면으로서 기능할 때의 상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73)가 입력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입력부(71)가 행하는 기능을 표시부(73)가 대체함으로써, 입력부(71)가 불필요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 드라이어(1)는 실온 센서(61)와, 습도 센서(62)와, 모발 검지부(63)와, 부위 검지부(64)를 구비한다.
실온 센서(61)는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되고 있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실온 센서(61)는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다. 실온 센서(6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습도 센서(62)는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되고 있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실온 센서(61)는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다. 습도 센서(6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모발 검지부(63)는 사용자에게 모발이 있는지를 검지한다. 모발 검지부(63)는, 예를 들어 레이저 거리계,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이며,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모발 검지부(6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부위 검지부(64)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이 부여되는 부위, 또는 사용자의 모발에 상기 예시한 성분이 부여되는 부위를 검출한다. 부위 검지부(64)는 헤어 드라이어(1)의 위치 또는 자세를 검출하는 적어도 1축의 자세 검출부(자세 센서), 또는 사용자의 모발 또는 피부(얼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거리 센서)여도 된다. 여기서, 부위 검지부(64)가 거리 계측부인 경우에는, 전면부(10g)의 일부에 설치된다. 한편, 부위 검지부(64)가 자세 검출부인 경우에는, 전면부(10g)에 대한 설치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부위 검지부(6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80)에 송신된다.
도 5는, 헤어 드라이어(1)의 제어부(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80)는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것이며, 적어도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파지부(20)의 하우징(20a)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8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이 제어부(80)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여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메모리 카드 등의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되고,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되어도 된다.
제어부(80)는 우선, 모발 특성 인식부(81)와, 테이블 생성부(82)와, 부여량 연산부(83)와, 성분량 제어부(84)와, 열량 제어부(85)를 갖는다. 모발 특성 인식부(81), 테이블 생성부(82), 부여량 연산부(83), 성분량 제어부(84) 및 열량 제어부(85)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성분 부여량이나 열 부여량을 결정하기 위한 블록군이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한다.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과, 열 부여부(30)로부터 부여되는 열량을 설정하고, 이들 설정값을 테이블로서 관리한다. 테이블 생성부(82)에서는, 성분량이나 열량은,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에 의해 설정된다.
부여량 연산부(83)는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 또는 열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가 모발에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부(30)가 모발에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여량 연산부(83)는 이하의 2종류의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첫째,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전체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성분 부여량을 산출한다. 둘째,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부위별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성분량 제어부(84)는 부여량 연산부(83)로부터 송신된 성분 부여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의 동작, 즉,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제어한다.
열량 제어부(85)는 부여량 연산부(83)로부터 송신된 열 부여량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의 동작, 즉, 열 부여부(30)로부터 부여되는 열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습윤 연산부(86)와, 건조 추정 연산부(87)를 갖는다. 습윤 연산부(86) 및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사용자의 모발 건조 상태를 성분 부여량이나 열 부여량에 반영시키기 위한 블록군이다.
습윤 연산부(86)는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습윤 정보는, 예를 들어 측정부(50)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부(60)가 습윤 검지 센서(60a)인 경우,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흡광도이다.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습윤 연산부(86)가 산출한 습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건조도를 추정한다. 습윤 정보가 흡광도인 경우,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한다. 건조 추정 연산부(87)에서는, 흡광도의 변화에 따라서, 예를 들어 모발에 성분이나 열을 부여한 누적 시간(시간 감산), 모발이 날리는 상태로 되어 있는 누적 시간(시간 가산), 또는 피부(얼굴)로 성분이나 열을 부여한 누적 시간(시간 가산) 등이 적절히 참조된다.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 건조도는, 부여량 연산부(83)를 통해 성분량 제어부(84)에서의 성분 부여량 또는 열량 제어부(85)에서의 열 부여량에 반영된다. 즉, 각종 누적 시간이 반영된 건조도별로,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량이 보정된다.
또한, 제어부(80)는 부위 연산부(91)와, 초기 위치 결정부(92)와, 누적 연산부(88)를 갖는다. 부위 연산부(91), 초기 위치 결정부(92) 및 누적 연산부(88)는 성분이나 열이 부여되는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를 특정하기 위한 블록군이다.
부위 연산부(91)는 부위 검지부(64)가 검출한 정보와, 초기 위치 결정부(92)가 결정한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로부터의 열이 부여되어 있거나, 또는 성분 생성부(40)로부터의 성분이 부여되어 있는 모발 또는 피부의 부위를 추정한다.
초기 위치 결정부(92)는 헤어 드라이어(1)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고, 부위 연산부(91)에 송신한다.
누적 연산부(88)는 부위 검지부(64)에 의해 검출된 부위별로, 열 부여부(30)에 의해 부여되어 모발에 누적된 누적 열량, 또는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부여되어 모발에 누적된 누적 성분량을 연산한다. 이 경우, 열량 제어부(85)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열량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에 열량을 조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열량 제어부(85)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열량에 따른 데이터를 사용하여 열 부여량을 보정하고, 열 부여부(3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성분량 제어부(84)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연산된 누적 성분량에 기초하여 성분 생성부(40)에 성분량을 조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성분량 제어부(84)는 누적 연산부(88)에 의해 산출된 누적 성분량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분 부여량을 보정하고,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측정부(50)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 처리부(90)는 조명부(72)에 의한 광의 조사를 제어함과 함께, 습윤 검지 센서(60a)인 습윤 검지부(60)의 출력을 처리하고, 습윤 연산부(86)에 신호 강도로서 송신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9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습윤 검지부(60)의 출력을 신호 강도로서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신호 처리부(90)로부터 송신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 드라이어(1)는 전원 스위치(76)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76)는, 예를 들어 파지부(20)의 하우징(20a)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76)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으로 하면, 파지부(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코드(2)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1)의 각 부에 급전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76)는 열 부여부(30)에 의한 온풍과 냉풍의 전환이나 풍량의 전환 등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와, 기억부(75)를 구비해도 된다.
송수신부(74)는 제어부(8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헤어 드라이어(1)의 외부에 있는 통신 기기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헤어 드라이어(1)의 외부에 있는 통신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의 통신 기기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100)여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단말기 표시부(101)와, 단말기 촬영부(102)와, 단말기 통신부(103)를 구비한다. 단말기 표시부(101)는 화상(101a)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식의 화면이다. 단말기 표시부(101)는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임과 함께,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지시 또는 입력하는 입력 화면이다. 단말기 통신부(103)는 적어도, 헤어 드라이어(1)의 송수신부(7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부(75)는 제어부(80)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전달을 행하고, 그러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매체이다. 정보 기억 매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어 드라이어(1)의 기본 동작으로서, 사용자가 파지부(20)를 파지하면서 전원 스위치(76)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으로 하면, 열 부여부(30)가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전에 의해 모터(32)가 구동하여 팬(31)이 회전함으로써, 흡인구(10a)로부터 송풍 유로(4) 내에 공기가 도입된다. 아울러, 가열부(33)가 발열함으로써, 팬(31)으로부터 내보내지는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온풍이 되어 토출구(10b)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가 입력부(71)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성분 생성부(40)에 모발에 유효한 성분을 생성시켜서, 성분 토출구(10f)로부터 토출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맞춰서 모발에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을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하, 이 성분 부여량의 최적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정되어 있는 모발 특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길이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모발 H의 길이가 쇼트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쇼트란, 예를 들어 모발끝이 턱 아래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의 길이를 말한다. 도 6b는, 모발 H의 길이가 미디엄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미디엄이란, 예를 들어 모발끝이 어깨부터 쇄골까지의 범위에 있는 경우의 길이를 말한다. 도 6c는, 사용자 U의 모발 H의 길이가 긴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롱이란, 예를 들어 모발끝이 쇄골보다도 길게 뻗어 있는 경우의 길이를 말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헤어스타일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헤어스타일이 롱 스트레이트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7b는, 헤어스타일이 쇼트 스트레이트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7c는, 헤어스타일이 모발끝 파마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7d는, 헤어스타일이 전체적으로 파마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볼륨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모발 H의 볼륨이 많은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b는, 모발 H의 볼륨이 보통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8c는, 모발 H의 볼륨이 적은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굵기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모발 H의 굵기가 가는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모발 H가 가는 경우, 일반적으로 모발 H의 경도는 부드럽다. 도 9b는, 모발 H의 굵기가 굵은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모발 H가 굵은 경우, 일반적으로, 모발 H의 경도는 딱딱하다.
도 10a 및 도 9b는,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이 모발 H의 윤기인 경우의 모발 H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모발 H에 윤기가 많은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모발 H에 윤기가 많은 경우, 일반적으로 모발 H의 손상이 적다. 도 10b는, 모발 H의 윤기가 적은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모발 H의 윤기가 적은 경우, 일반적으로 모발 H의 손상이 많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모발 H의 볼륨의 레벨을 판정할 때 이용하는 판정 항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예에 있어서의 판정 항목은, 모발 H의 가르마의 각도 θB이다. 도 11a는, 각도 θB가 예를 들어 120°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11b는, 각도 θB가 예를 들어 128°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11c는, 각도 θB가 예를 들어 135°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11d는, 각도 θB가 예를 들어 145°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1d의 각 도면에 도시한 모발 H끼리를 비교하면, 각도 θB가 가장 좁은 도 11a에 도시한 모발 H에 대해서는, 가르마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어 볼륨이 많다고 판정해도 된다. 각도 θB가 중간 정도인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한 각각의 모발 H에 대해서는, 볼륨은 보통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각도 θB가 가장 넓은 도 11d에 도시한 모발 H에 대해서는, 가르마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 않아 볼륨이 적다고 판정해도 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모발 H의 볼륨의 레벨을 판정할 때 이용하는 판정 항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예에 있어서의 판정 항목은, 모발 H의 전체 폭 Wh와 얼굴의 폭 Wf의 비율이다. 여기서, 얼굴의 폭 Wf는, 예를 들어 15㎝로 일정한 것으로 한다. 도 12a는, 전체 폭 Wh가 17㎝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이 경우, 비율은 1.13이다. 도 12b는, 전체 폭 Wh가 20㎝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이 경우, 비율은 1.33이다. 도 12c는, 전체 폭 Wh가 25㎝인 경우의 모발 H를 나타낸다. 이 경우, 비율은 1.66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각 도면에 도시한 모발 H끼리를 비교하면, 비율이 가장 작은 도 12a에 도시한 모발 H에 대해서는, 볼륨이 적다고 판정해도 된다. 비율이 중간 정도인 도 12b에 도시한 모발 H에 대해서는, 볼륨은 보통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비율이 가장 큰 도 12c에 도시한 모발 H에 대해서는, 볼륨이 많다고 판정해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예를 들어 측정부(50)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부(60)를 사용하여 도 6a 내지 도 12c까지 예시한 각각의 레벨을 판별함으로써, 사용자 U의 모발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테이블 생성부(82)가 설정하는 성분량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사용자마다의 모발 특성, 즉, 사용자의 모발 전체에 대한 모발 특성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a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볼륨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예를 들어, 작용시키는 성분(미용 성분)이 대전 미립자수인 경우를 생각한다. 우선, 사용자는, 모발 볼륨 입력부(71c)로부터, 모발 특성을 모발의 볼륨으로 한다는 취지를 선택한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테이블 생성부(82)를 통해 측정부(50)에 사용자의 모발 볼륨을 판정하는 데 필요한 측정을 실시시킨다. 그리고,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신호 처리부(9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의 사용자의 모발 볼륨을 분류한다. 여기서,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볼륨이 보통이라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볼륨이 많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볼륨이 적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한편, 작용시키는 성분을 음이온 등으로 하는 경우나 제·유기물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사고방식으로 성분량의 조정이 실시된다. 작용시키는 성분이 음이온인 것으로 하면, 모발의 볼륨이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볼륨이 많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모발의 볼륨이 적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작용시키는 성분이 제·유기물인 것으로 하면, 모발의 볼륨이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을 부여시키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볼륨이 많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모발의 볼륨이 적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도 13b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경도(굵기)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예를 들어, 작용시키는 성분이 대전 미립자수인 경우를 생각한다. 우선, 사용자는, 모질 입력부(71a)로부터, 모발 특성을 모발의 경도로 한다는 취지를 선택한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테이블 생성부(82)를 통해 측정부(50)에 사용자의 모발 경도를 판정하는 데 필요한 측정을 실시시킨다. 그리고,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신호 처리부(9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의 사용자의 모발의 경도를 분류한다. 여기서,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경도 또는 굵기가 보통이라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경도가 딱딱하거나, 또는 모발의 굵기가 굵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경도가 부드럽거나, 또는 모발의 굵기가 가늘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한편, 작용시키는 성분을 음이온 등으로 하는 경우나 제·유기물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으로 성분량의 조정이 실시된다. 작용시키는 성분이 음이온이라고 하면, 모발의 경도 또는 굵기가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경도가 딱딱하거나, 또는 모발의 굵기가 굵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모발의 경도가 부드럽거나, 또는 모발의 굵기가 가는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작용시키는 성분이 제·유기물인 것으로 하면, 모발의 경도 또는 굵기가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을 부여시키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경도가 딱딱하거나, 또는 모발의 굵기가 굵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보습 성분을 더 부여시켜도 된다. 모발의 경도가 부드럽거나, 모발의 굵기가 더 가는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코팅 성분을 더 부여시켜도 된다.
도 13c는, 모발 특성이 모발의 손상(윤기)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예를 들어, 작용시키는 성분이 대전 미립자수인 경우를 생각한다. 우선, 사용자는, 모질 입력부(71a)로부터, 모발 특성을 모발의 손상으로 한다는 취지를 선택한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테이블 생성부(82)를 통해 측정부(50)에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판정하는 데 필요한 측정을 실시시킨다. 그리고,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신호 처리부(9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의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분류한다. 여기서,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손상 또는 윤기가 보통이라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손상이 많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적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모발의 손상이 적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많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한편, 작용시키는 성분을 음이온 등으로 하는 경우나 제·유기물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으로 성분량의 조정이 실시된다. 작용시키는 성분이 음이온인 것으로 하면, 모발의 손상 또는 윤기가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손상이 많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적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감소시켜도 된다. 모발의 손상이 적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많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성분량을 디폴트보다도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작용시키는 성분이 제·유기물인 것으로 하면, 모발의 손상 또는 윤기가 보통인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보수 성분이나 코팅 성분 등의 성분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모발의 손상이 많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적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의 성분을 증가시켜도 된다. 모발의 손상이 적거나, 또는 모발의 윤기가 많은 경우, 테이블 생성부(82)는 디폴트의 성분을 감소시켜도 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별로, 또한 모발 상태별로 설정되는 성분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는, 일례로서, 뿌리, 중간 및 모발끝의 3개 부위로 분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발 상태란, 모발의 부위별로 검지된 상태로서의 모질이며, 구체적으로는, 모발 손상, 알칼리성 모발, 큐티클 박리, 모발이 젖었을 때의 흡수량의 증가, 및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의 저하이다.
도 14a는, 모발 상태가 모발 손상, 알칼리성 모발, 큐티클 박리, 또는 젖었을 때의 흡수량의 증가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 손상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수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에 손상이 많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보수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알칼리성 모발을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알칼리성 모발이라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의 모발에 발생한 큐티클 박리를 수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연 미립자(금속 미립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큐티클 박리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아연 미립자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이 젖었을 때의 흡수량이 증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도 14b는, 모발 상태가,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의 저하인 경우에 대한 도표이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트리트먼트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트리트먼트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보습 성분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보습 성분을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코팅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 및 중간에 대해서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감소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해서는, 코팅제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가 보수량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된 후의 보수량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 및 모발끝에 대해서는, 대전 미립자수를 디폴트의 성분량보다도 증가시켜서 부여하도록, 성분 생성부(40)를 제어시킨다.
다음으로, 건조 시간을 시계열로 한,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 또는 열 부여부(30)가 부여하는 열에 관한 타이밍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화장료의 부여량과 사용자의 모발의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이하, 화장료는, 제·유기물로서 상기 예시한 각종 성분의 총칭으로서 표기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화장료가 부여될 때의 부여량은 4㎎으로 일정하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 검지의 유무를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모발 검지부(6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발의 유무를 판정한다. 여기서, 모발이 있는 경우란,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의 송풍이 사용자의 모발에 닿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모발이 없는 경우란,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의 송풍이 사용자의 모발에 닿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만,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를 부여시켜도 된다.
도 16은,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과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의 부위 검지를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부위 검지부(6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 방출된 대전 미립자수가 닿는 부위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2㎎의 대전 미립자를 포함하는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3㎎의 대전 미립자를 포함하는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대전 미립자를 포함하는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 측으로의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적게 하고, 모발의 모발끝 측으로의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많게 해도 된다.
도 17은, 화장료의 부여량과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의 부위 검지를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부위 검지부(6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 방출된 화장료가 닿는 부위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2㎎의 화장료를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3㎎의 화장료를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를 부여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 측으로의 화장료의 부여량을 적게 하고, 모발의 모발끝측으로의 화장료의 부여량을 많게 해도 된다.
도 18은, 2종류의 화장료 A 및 B의 부여량과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A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중간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B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화장료 A와 화장료 B는 서로 다른 성분이다. 화장료 A는, 모발의 특히 뿌리의 모발 특성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하는 성분이다. 화장료 B는, 모발의 특히 모발끝의 모발 특성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하는 성분이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의 부위 검지를 나타낸다. 도 18에 있어서, 상측 도면, 중간 도면 및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부위 검지부(6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 방출된 화장료 A 또는 화장료 B가 닿는 부위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 A 및 화장료 B 모두 생성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A만을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2㎎의 화장료 A와 2㎎의 화장료 B를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B를 부여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는, 당해 뿌리에 대하여 유효한 화장료 A를 특히 부여하고, 모발의 모발끝에는, 당해 모발끝에 대하여 유효한 화장료 B를 특히 부여해도 된다.
도 19는,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 부분 파마인 경우에 채용되는,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과 파마 부분의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대전 미립자수가 부여될 때의 부여량은 4㎎으로 일정하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 검지의 결과로서의 파마 부분인지 비파마 부분인지를 나타낸다. 도 19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습윤 검지부(6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되는 모발의 부위가 파마 부분인지 비파마 부분인지를 판정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송풍되는 모발의 부위가 비파마 부분이라고 판정했을 때에만, 성분 생성부(40)에, 대전 미립자수를 부여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헤어 드라이어(1)는 수분에 의한 파마 부분의 늘어남을 미리 억제시킬 수 있다.
도 20은, 풍량과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풍량(㎥/s)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의 부위 검지를 나타낸다. 도 20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부위 검지부(6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의 송풍이 닿는 부위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열 부여부(30)에, 예를 들어 2(㎥/s)의 풍량으로 송풍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열 부여부(30)에, 예를 들어 10(㎥/s)의 풍량으로 송풍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중간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열 부여부(30)에, 예를 들어 8(㎥/s)의 풍량으로 송풍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의 모발끝에 대하여 송풍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열 부여부(30)에, 예를 들어 6(㎥/s)의 풍량으로 송풍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의 뿌리 측으로의 풍량을 강하게 하고, 모발의 모발끝 측으로의 풍량을 약하게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열 부여부(30)에 송풍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 및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10)의 하우징(3)에 표시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은, 표시부(73)에 표시되어도 된다. 한편으로, 헤어 드라이어(1)가 휴대 단말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표시부(73) 대신에,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즉,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면, 표시부(73)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입력 화면 및 출력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a는, 제1 예에 따른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상하 및 좌우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제1 입력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1b는, 제1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2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측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전후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도 21c는, 제1 예의 제3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3 입력 화면에서는, 제1 및 제2 입력 화면에 표시된 분할 화면의 각각의 영역별로, 어떠한 항목의 설정을 사용자가 변경하기 위한 레벨 조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예의 출력 화면은, 헤어 드라이어(1)가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 또는 모발에 성분을 부여시키고 있는 동안에 관한 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22a는, 모발의 중간을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이다. 도 22b는, 모발의 뿌리를 건조시키고 있는 시점에서의 출력 화면이다. 제1 예의 출력 화면에서의 표시 항목은, 예를 들어 각각 현시점에서의, 건조시키고 있는 모발의 부위, 건조 중의 부위의 온도(드라이 중의 부분 온도), 모발 중의 수분량, 및 부여되어 있는 성분량이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성분량으로서, 대전 미립자수 및 음이온 각각의 성분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시키고 있는 모발의 부위는, 모발의 개략도에 대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개략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부위를 명시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분량이나 성분량은, 수치에 더하여 예를 들어 원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양을 명시해도 된다.
도 23은,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예의 출력 화면은, 헤어 드라이어(1)가 모발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킨 후 또는 모발의 적어도 일부에 성분을 부여시킨 후에 관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1)를 사용한 결과로서, 그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유효한 성분량을 표시해도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대전 미립자수 및 음이온의 성분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 예의 출력 화면은, 제2 예의 출력 화면과 마찬가지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은,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별 성분량을 표시함과 함께, 모발의 부위와 당해 부위별 성분량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우선, 3종류의 탭 영역을 붙인 사용자의 모발의 개략도가 표시된다. 제1 탭 영역(101b)은 모발의 뿌리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2 탭 영역(101c)은 모발의 중간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3 탭 영역(101d)은 모발의 모발끝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현시점에서의 성분량이, 수치에 더하여 예를 들어 원 그래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원 그래프(101e)는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을 나타낸다. 제2 원 그래프(101f)는 음이온의 성분량을 나타낸다. 도 24a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이후의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의해 성분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모발의 부위로서 중간을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3 출력 화면에 있어서 제2 탭 영역(101c)을 탭함으로써, 중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4b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이후의 헤어 드라이어(1)의 동작에 의해 성분량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 새롭게 설정하는 성분량을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3 출력 화면에 있어서 제1 원 그래프(101e) 및 제2 원 그래프(101f)를 탭하면서 표시값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성분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5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출력 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4 예의 출력 화면은, 제3 예의 출력 화면과 마찬가지로, 비실시간에서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24a에 도시한 제3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제1 탭 영역(101b), 제2 탭 영역(101c) 또는 제3 탭 영역(101d) 중 어느 영역이 탭되었을 때에, 그 영역에 대응한 부위에서의 성분량이 표시된다. 이에 반하여, 제4 예의 출력 화면에서는, 모발의 부위별 성분량이 일괄적으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해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해야 하는 부위의 순서를 숫자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1 탭 영역(101b), 제2 탭 영역(101c) 및 제3 탭 영역(101d)의 각각에 부여된 숫자의 순서를 따라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하도록 헤어 드라이어(1)를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성분을 효율적으로 부여시킬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단말기 표시부(101)(또는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예의 입력 화면은, 사용자에 대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부여시키는 성분을 변경시키는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도 26a는, 제2 예의 제1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101a)은 사용자의 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이며, 또한 상하로 뿌리, 중간 및 모발끝의 3개로 분할된 분할 화상이다. 제1 입력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후면의 헤어스타일의 개략도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6b는, 제2 예의 제2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제2 입력 화면에서는, 제1 입력 화면에 표시된 분할 화면의 각각의 영역별로, 대전 미립자수의 설정을 사용자가 변경하기 위한 레벨 조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대전 미립자수에 대하여, 제어부(80)가 설정한 성분량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성분량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제1 입력 화면에는, 화상(101a)으로서, 모발 중에서 성분량을 변경할 수 있는 3개의 부위가 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2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부위별로 대전 미립자수의 성분량이 원하는 성분량이 되도록 복수의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6b에 도시한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모발의 부위별로 성분량을 변경하는 경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6b에서 예시된, 변경해야 할 성분이 대전 미립자수인 경우, 예를 들어 모발의 뿌리에 부여되는 대전 미립자수의 변경 전의 레벨이 「2」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레벨을 「3」으로 높여도 된다. 사용자는, 모발의 그 밖의 부위인 중간이나 모발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대전 미립자수에 대한 성분량을 원하는 성분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전 미립자수뿐만 아니라,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음이온이나 제·유기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예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성분량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을 때에, 제어부(80)가 모발의 건조도를 어떻게 추정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모발이 젖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또는 말라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몇 원리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발의 건조도는, 습윤 연산부(86)가 산출한 습윤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윤 검지부(60)는 구체적으로는 포토다이오드인 습윤 검지 센서(60a)이다. 습윤 정보는,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습윤 연산부(86)에 의해 산출되는 흡광도이다. 도 28 중의 상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조명부(72)로부터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모발에서 흡수되는 광이 많기 때문에, 습윤 검지 센서(60a)가 수광하는 반사광이 감소한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조명부(72)로부터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모발에서 흡수되는 광이 적기 때문에, 습윤 검지 센서(60a)가 수광하는 반사광이 감소하지 않는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 다시 말해, 모발이 젖어 있는지 말라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원리로서, 모발의 건조도는, 모발의 다발 상태를 습윤 정보로 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부(60)는 모발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촬영부이다.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부(60)가 촬영한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모발의 다발 상태를 판별하는 기계 학습 연산부이다. 도 28의 중간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모발끼리는 달라 붙어서 다발로 되어 있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모발끼리가 흐트러져 서로 독립되어 있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기계 학습 연산부가 판별한 모발의 다발 상태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발의 건조도는, 모발의 온도를 습윤 정보로 하여, 습윤 연산부(86)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습윤 검지부(60)는 온도 센서이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계(적외선 센서)여도 된다.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부(60)가 측정한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습윤 정보로서의 온도를 산출한다. 도 28 중의 하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이 젖어 있는 경우, 토출구(10b)로부터 모발을 향해 온풍이 전달되면, 모발의 표면에서는, 온도가 올라가기 어렵고 내려가기 쉽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작다. 한편, 모발이 말라 있는 경우, 토출구(10b)로부터 모발을 향해 온풍이 전달되면, 모발의 표면에서는, 온도가 올라가기 쉽고 내려가기 어렵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크다. 즉,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모발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9는, 도 28에 대응한, 모발이 젖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또는 말라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할 때의 구체적인 기준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9의 상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광도가 70 내지 30%일 때에 모발이 젖어 있다고 판정하고, 한편, 흡광도가 29 내지 10%일 때에 모발이 말라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모발의 다발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8 및 도 29의 각각의 중간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학습의 결과에 따라도 된다. 또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29의 하측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에 온풍을 쐬었을 때의 온도 변화의 구배가 완만할 때에 모발이 젖어 있다고 판정하고, 한편, 급격할 때에 모발이 말라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도 30은, 습윤 연산부(86)에 있어서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흡광도마다의, 건조 추정 연산부(87) 및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우선, 흡광도가 0%인 경우, 온풍이 모발에 도달하지 않을수록 헤어 드라이어(1)가 모발로부터 떨어져 있다고 생각된다(온풍이 대기에만 닿아 있는, 소위 대기 레벨).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성분의 부여 시간으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또한, 흡광도가 0 내지 9%인 경우, 온풍이 모발에 도달하고 있으며, 모발이 거의 말라 있는 상태에서 날리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성분의 부여 시간으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또한, 흡광도가 10 내지 29%인 경우, 온풍이 모발에 도달하고 있어, 모발이 건조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을 부여시킨다는 정보이다.
또한, 흡광도가 30 내지 70%인 경우, 온풍이 모발에 도달하고 있지만, 모발이 아직 젖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을 건조시키고 있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을 부여시킨다는 정보이다.
또한, 흡광도가 71 내지 90%인 경우, 온풍이 모발이 아니라 피부(얼굴)에 도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피부 레벨).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을 부여시킨다는 정보이다.
또한, 흡광도가 100%인 경우, 온풍이 모발에 도달하고 있지만, 모발 전체가 크게 젖어 있다(온풍이 거의 물에 닿아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습윤 연산부(86)로부터 건조 추정 연산부(87)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현시점에서의 온풍이 모발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한편, 습윤 연산부(86)로부터 부여량 연산부(83)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성분의 부여시간으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흡광도를 판정 기준으로 한 경우의 건조 종료의 판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흡광도를 판정 기준으로 한 경우의 건조 종료의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80)는 모발 검지부(63)에 사용자의 모발을 검지시킨다(스텝 S101).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모발 검지부(63)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모발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여기서, 제어부(80)는 모발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2: 아니오), 스텝 S101로 되돌아가고, 모발의 검지를 반복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모발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2: 예), 다음으로 조명부(72)에, 모발을 향해 적외광을 조사시킨다(스텝 S103).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습윤 검지 센서(60a)에, 적외광의 조사에 따라 모발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계측시킨다(스텝 S104). 다음으로, 제어부(80)는 반사율의 측정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여기서, 제어부(80)는 반사율의 측정이 성공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5: 아니오), 스텝 S103으로 되돌아가고, 반사광의 재측정을 실시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반사율의 측정이 성공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5: 예), 다음으로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건조도를 추정시킨다(스텝 S106).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스텝 S104에서의 반사광 계측의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된 반사율이 8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7). 여기서, 제어부(80)는 반사율이 80%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7: 아니오), 스텝 S101로 되돌아가고, 다시 건조를 반복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반사율이 80%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7: 예), 건조를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흡광도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때, 사용자의 머리부의 형상을 고려하는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측정부(50)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사용자의 머리부에서의 광의 반사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a는, 측정부(5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발 H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부(50)는 습윤 검지부(60)로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포토다이오드)와, 조명부(72)를 구비한다. 도 32b는, 사용자의 정수리부를 측정부(50)가 측정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한편, 도 32c는, 사용자의 옆머리부를 측정부(50)가 측정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2개의 조명부(72)가 x 방향(도 32c 참조)을 따라서, 습윤 검지 센서(60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어(1)를 도 32b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x 방향을 따라 도 32c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이때, 헤어 드라이어(1)가 정수리부 측으로부터 옆머리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모발 H로부터 습윤 검지 센서(60a)까지의 거리 y가 길어진다. 또한, 2개의 조명부(72)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조사되는 모발 H 위의 접선에 대하여 반사각 θ1 및 θ2로 발산한다. 즉, 측정 위치가 정수리부 측으로부터 옆머리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광의 반사 정도가 변화하고, 반사율이 감소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부를 측정했을 때의 반사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a는, 사용자의 머리부(모발 H)로부터 습윤 검지 센서(60a)까지의 거리 y(㎜)에 대한,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 습윤 검지 센서(60a)로부터 멀어지게 됨에 따라서, 반사율은 감소한다. 도 33b는,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 동작 중의 머리부로부터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건조 동작 중에는, 헤어 드라이어(1)가 조금씩 조금씩 이동하기 때문에 반사율도 조금씩 조금씩 변동하지만, 건조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서 반사율의 상승에도 일정한 경향이 보인다.
이와 같이, 도 32a 내지 도 33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반사율의 변화를 고려하고,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사용자의 머리부의 굴곡 형상에 맞춰서, 조명부(72)로부터의 광의 반사 정도를 균등화하여, 건조도를 추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마다의 온도 및 성분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마다의 온도 및 성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a는, 대상 부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상정되어 있는 대상 부분이란, 대기, 모발 및 피부(얼굴)이다. 도 34a 중에 도시되어 있는 3개의 헤어 드라이어(1) 중, 제1 헤어 드라이어(1a)는 온풍이 모발에 도달되지 않을수록 모발 H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온풍이 대기를 대상 부분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제2 헤어 드라이어(1b)는 모발을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으로 하고 있다. 제3 헤어 드라이어(1c)는 피부 F를 온풍이 닿는 대상 부분으로 하고 있다.
도 34b는, 대상 부분이 어느 쪽인지를 판정하는 조건과, 대상 부분마다의 온도의 설정 및 성분의 조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우선, 예를 들어 습윤 연산부(86)는 조명부(72)가 광을 조사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습윤 검지 센서(60a)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상 부분이 대기와 동등(대기 레벨)하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열량 제어부(85)는 열 부여부(30)로 온도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가 대전 미립자수 또는 음이온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에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가 제(劑) 또는 고분자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에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 센서(60a)에 의한 측정으로부터, 대상 부분이 바람으로 이동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상 부분이 모발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열량 제어부(85)는 열 부여부(30)로 온도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가 대전 미립자수 또는 음이온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에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가 제 또는 고분자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에 모발용 성분을 부여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 센서(60a)에 의한 측정으로부터, 대상 부분이 바람으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상 부분이 피부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열량 제어부(85)는 열 부여부(30)로 온도를 저하시킨다. 성분 생성부(40)가 대전 미립자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로 성분량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가 음이온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로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킨다. 성분 생성부(40)가 제 또는 고분자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성분량 제어부(84)는 성분 생성부(40)에 피부용 성분을 부여시킨다.
도 35는, 2종류의 화장료 A 및 B의 부여량과 대상 부분의 부위 검지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A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중간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B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화장료 A와 화장료 B는, 서로 다른 성분이다. 화장료 A는, 특히 모발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하는 성분이다. 화장료 B는, 특히 피부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하는 성분이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대상 부분의 부위 검지를 나타낸다. 도 35에 있어서, 상측 도면, 중간 도면 및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대상 부분이 대기와 동등하다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 A 및 화장료 B 모두 생성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80)는 대상 부분이 모발이라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A만을 부여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대상 부분이 피부라고 판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B만을 부여시킨다. 즉,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모발에는, 당해 모발에 대하여 유효한 화장료 A를 특히 부여하고, 피부에는, 당해 피부에 대하여 유효한 화장료 B를 특히 부여해도 된다.
다음으로, 건조 시간을 시계열로 한, 모발의 건조도와,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 또는 열 부여부(30)가 부여하는 열에 관한 타이밍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대전 미립자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36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모발의 건조도에 맞춰서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는 모발이 젖어 있을 때, 즉, 건조도가 낮을 때에,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증가시키고, 모발이 말라 있을 때, 즉, 건조도가 높을 때에, 대전 미립자수의 부여량을 감소시켜도 된다.
도 37은, 화장료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37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만 화장료를 부여시키도록, 화장료의 부여량을 조정해도 된다. 도 37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어부(80)는 건조도가 임계값의 60%를 초과하지 않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를 부여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80)는 건조도가 임계값의 60%를 초과했을 때에는, 성분 생성부(40)에, 화장료의 부여를 정지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이 비교적 젖어 있을 때에만, 화장료를 부여해도 된다.
도 38은, 2종류의 화장료 A 및 B의 부여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A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중간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화장료 B의 부여량(㎎)을 나타낸다. 화장료 A와 화장료 B는, 서로 다른 성분이다. 화장료 A는, 모발에 침투시키고자 하는 제(劑)이다. 화장료 B는 코팅제이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38에 있어서, 상측 도면, 중간 도면 및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만, 즉, 모발이 비교적 젖어 있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A만을 부여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만, 즉, 모발이 비교적 말라 있는 동안에, 성분 생성부(40)에, 예를 들어 4㎎의 화장료 B만을 부여시킨다. 즉, 제어부(80)는 모발이 젖어 있는 동안에는, 침투시키고자 하는 제인 화장료 A를 특별히 부여하고, 모발이 말라 있는 동안에는, 코팅제인 화장료 B를 특별히 부여해도 된다.
도 39는, 풍량과 모발의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풍량(㎥/s)을 나타낸다. 하측 도면은, 건조 시간(s)에 대한 건조도를 나타낸다. 도 39에 있어서, 상측 도면과 하측 도면의 횡축인 건조 시간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80)는 풍량을 모발의 건조도에 맞춰서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는 모발이 건조해지면, 풍량을 감소시켜 가고, 한편, 온도를 증가시켜 가도 된다. 모발이 건조해지면, 유리 전이점이 높아진다. 그래서, 모발의 건조에 따라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모발의 컬을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 시간과 모발의 부위별 건조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a 및 도 40b는, 건조 시간과 모발 H의 부위별 건조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0a는, 이하의 도 40b에서 예시하는 모발 H 중의 부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에서는, 뿌리 표면, 뿌리 내측, 모발끝 표면 및 모발끝 내측의 4개의 부위를 비교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 40b는, 건조 시간(s)에 대한 모발 H의 부위별 건조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모발 H는, 뿌리 표면, 뿌리 내측, 모발끝 표면, 모발끝 내측의 순으로 마르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헤어 드라이어(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30)와,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40)와, 모발을 측정하는 측정부(50)를 구비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측정부(50)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열 부여부(30) 및 성분 생성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와, 테이블 생성부(82)와, 부여량 연산부(83)를 갖는다. 모발 특성 인식부(81)는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한다. 테이블 생성부(82)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특성별로, 성분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성분량을 설정한다.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 전체의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성분량을 조정한다. 또는 부여량 연산부(83)는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의해 분류된 모발의 부위별 모발 특성과, 테이블 생성부(82)에 의해 설정된 성분량에 기초하여, 부위별로 성분 생성부(40)가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부(30)가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에 열 또는 성분을 부여할 때,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참조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사용자별로, 또는 사용자의 모발의 부위별로,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반영시켜서, 열 부여부(30) 또는 성분 생성부(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모발 전체를 단위로 한 사용자별에 관해서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에 적합한 성분량을 미리 설정하고, 성분 생성부(40)는 설정된 최적의 성분량으로, 성분을 모발에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어떤 사용자의 부위별에 관해서는, 테이블 생성부(82)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성분량 또는 열량을, 추가로 부위별로 조정한 최적의 성분 부여량 또는 열 부여량으로, 성분 또는 열을 모발에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헤어 드라이어(1)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최적의 세밀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한 헤어 케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모발 특성은,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모발의 길이, 모발의 볼륨, 및 모발의 굵기 또는 윤기에 관한 모질 중 적어도 하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가 참조할 수 있는 모발 특성에 베리에이션을 많이 갖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모발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2분할된 분할 화상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73)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사용자가 표시부(73)의 분할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분할 부분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가 설정한 성분량을, 분할 화면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량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제어부(80)는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모발의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하는 습윤 연산부(86)를 갖는다. 습윤 연산부(86)가 사용자가 머리감기 전이거나 또는 모발이 젖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모발 특성 인식부(81)에 모발 특성의 분류를 실행시켜도 된다. 한편, 습윤 연산부(86)가 모발이 젖었다고 판정한 경우, 테이블 생성부(82)에, 모발 특성 인식부(81)가 전회까지 분류한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설정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모발이 통상 시의 상태일 때 모발 측정값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최적의 부여해야 할 성분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제어부(80)는 모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모발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건조 추정 연산부(87)를 갖는다. 부여량 연산부(83)는 또한 건조 추정 연산부(87)에 의해 추정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조정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는 건조 동작 중, 모발의 건조도를 참조하면서 성분량을 조정하므로, 보다 최적의 성분량으로 조정된 성분을 모발에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측정부(50)는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을 모발 측정값으로 하는 습윤 검지 센서(60a)를 갖는다. 습윤 연산부(86)는 습윤 검지 센서(60a)가 검지한 모발 측정값으로부터 흡광도를 산출한다.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습윤 연산부(86)가 산출한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제어부(80)는 보다 간이적인 구성으로, 또는 보다 간이적인 제어로,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측정부(50)는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72)를 갖는다. 습윤 검지 센서(60a)는 포토다이오드이다.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사용자의 머리부의 굴곡 형상에 맞춰서, 조명부(72)로부터의 광의 반사 정도를 균등화하여, 건조도를 추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춰서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의 마무리로 이끌어내기 용이하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건조 추정 연산부(87)가 건조도가 대기 레벨이라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80)는 이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킨다. 즉, 제어부(80)는 열 부여부(30)에 열을 부여시키지 않는다, 성분 생성부(40)에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키거나, 및 성분 생성부(40)가 성분을 부여해도 부여 시간으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열 부여부(30) 또는 성분 생성부(40)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발에 대하여 유효하지 않은 불필요한 동작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건조 추정 연산부(87)가 건조도가 사용자의 피부 레벨이라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80)는 이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킨다. 즉, 제어부(80)는 열 부여부(30)에 열을 부여시키지 않거나, 및 성분 생성부(40)에 사용자의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부여시킨다고 하는 것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사용자의 특히 피부에 있어서 유효한 동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통신부(10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표시부(101)에, 모발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2분할된 분할 화상이 적어도 표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송수신부(74)는 사용자가 단말기 표시부(101)의 분할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분할 부분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 통신부(103)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80)는 송수신부(74)가 단말기 통신부(103)로부터 수신한 분할 부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성분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100) 상에서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습윤 검지부(60)의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포토다이오드)를 채용하였다. 이에 반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습윤 검지부(60)의 일례로서,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 2가지 촬영부 중 어느 것을 채용한다.
도 4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제1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설치되는 촬영부(60b)와, 토출구(10b)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조명부(72)를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촬영부(60b) 및 조명부(72)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제2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를 구비하고, 외부의 통신 기기인 휴대 단말 장치(100)(단말기 통신부(10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에서의 헤어 드라이어(1)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단말기 촬영부(102)를 습윤 검지부(60)로서의 촬영부로서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 대신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60c)(적외선 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조명부(72)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습윤 검지부(60)로서 온도 센서(60c)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 도 28 및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건조 시간에 대한 모발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상기 설명한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습윤 검지부(60)로서 촬영부(60b) 또는 단말기 촬영부(102)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 도 28 및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모발 화상에 기초한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의 설명에 있어서 「모발 측정값」이라고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발 화상」으로 치환할 수 있다. 이하, 도 43 내지 도 45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 학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촬영부(60b) 등이 건조 시간별로 촬영한 2차원 화상(모발 화상)의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건조 시간별로 추정한다.
도 43a 및 도 43b는, 습윤 검지부(60)가 촬영부(60b)인 경우에, 건조 시간별로 취득된 2차원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a는, 건조 시간별로 2차원 화상을 취득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b는, 모발 H가 건조됨에 따라 변화하는 2차원 화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a 및 도 4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조 중에 헤어 드라이어(1)의 위치를 제1 헤어 드라이어(1a)에 나타낸 위치나 제2 헤어 드라이어(1b)에 나타낸 위치로 변화시키고 있는 동안, 촬영부(60b)는 건조 시간별로 2차원 화상을 취득한다. 취득된 2차원 화상은, 기억부(75)에 누적된다.
도 44a 내지 도 44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모발 전체의 건조도의 결과를 표시할 때까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4a는, 누적된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취득된 2차원 화상일 때의 건조도로부터, 도 4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관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한 모든 2차원 화상을 참조하여, 도 44a 중의 전체 평균의 근사 곡선으로부터, 어떤 건조 시간에서의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44c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전체의 건조도를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현시점에서의 모발의 건조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5a 내지 도 45c는, 2차원 화상으로부터 추정된 머리부 평균 및 모발끝 평균의 건조도의 결과를 표시할 때까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5a는, 도 44a와 마찬가지로, 누적된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경우, 도 4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한 2차원 화상을, 비교적 젖어 있는 부위 X나 비교적 말라 있는 부위 Y과 같이, 부위별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5a 중의 머리부 평균의 근사 곡선이나 모발끝 평균의 근사 곡선으로부터, 어떤 건조 시간에서의 부위별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45c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부위별 건조도를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현시점에서의 모발의 부위별 건조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예를 들어 측정부(50)는 2차원 화상을 모발 화상으로 하는 촬영부(60b)를 갖는다.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촬영부(60b)가 건조 시간별로 촬영한 2차원 화상의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건조 시간별로 추정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에서는,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모발의 부위별로 건조도를 추정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 형태)
습윤 검지부(60)는,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접촉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량 센서여도 된다.
도 4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드라이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1)가 구비한 습윤 검지 센서(60a) 및 조명부(72)를 구비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토출구(10b)에 설치되는 브러시부(22)와, 브러시부(22)에 설치되는 수분량 센서(60d)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헤어 드라이어(1)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제어부(80) 및 신호 처리부(90) 등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제외함)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모발 측정값은 모발의 수분량이다. 수분량 센서(60d)는 사용자가 브러시부(22)를 모발에 대면서 건조시키고 있는 동안, 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추정 연산부(87)는 취득된 수분량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 헤어 드라이어(1)를 예시하였다. 본 개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상기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헤어 아이론이어도 된다.
도 4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아이론(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헤어 아이론(200)은 서로 대향하여 사용자의 모발을 사이에 끼워 넣는 제1 본체부(201)와 제2 본체부(202)를 구비한다. 제1 본체부(201) 또는 제2 본체부(202)의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열 부여부(30)를 대신하는 열 부여부로서 히터 플레이트(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의 설명에 있어서 「건조시킨다」라고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어스타일을 정돈한다(또는 헤어스타일을 형성한다)」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부(201)는 내부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 생성부(40) 및 제어부(80) 등을 구비해도 된다. 제1 본체부(201)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성분 토출구(10f)에 대응하는 성분 토출구(210f)를 히터 플레이트(203)의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1 본체부(201)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입력부(71)에 대응하는 입력부(271)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부(271)는 모질 입력부(271a), 모발 길이 입력부(271b) 및 모발 볼륨 입력부(271c)의 3개의 입력 버튼이다.
한편, 예를 들어 제2 본체부(202)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에 대응하는 습윤 검지 센서(260a)와,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조명부(72)에 대응하는 조명부(272)를 구비해도 된다. 습윤 검지 센서(260a) 및 조명부(272)는 각각 히터 플레이트(203)와 대향하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헤어 아이론(200)은 상기 예시한 헤어 드라이어(1)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5 실시 형태)
본 개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상기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나 헤어 아이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헤어 브러시여도 된다.
도 4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의 헤어 브러시(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헤어 브러시(300)는, 한쪽의 선단부를 브러시 헤드(301a)로 하는 본체부(301)를 구비한다. 브러시 헤드(301a)는 빗부(322)와,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토출구(10b)에 대응하는 토출구(310b)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체부(301)는 내부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열 부여부(30), 성분 생성부(40) 및 제어부(80) 등을 구비해도 된다. 브러시 헤드(301a)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성분 토출구(10f)에 대응하는 성분 토출구(310f)를 토출구(310b)의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브러시 헤드(301a)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습윤 검지 센서(60a)에 대응하는 습윤 검지 센서(360a)와,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조명부(72)에 대응하는 조명부(372)를 토출구(310b)의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301)는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입력부(71)에 대응하는 입력부(371)나, 헤어 드라이어(1)에서의 전원 스위치(76)에 대응하는 전원 스위치(376)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부(371)는 모질 입력부(371a), 모발 길이 입력부(371b) 및 모발 볼륨 입력부(371c)의 3개의 입력 버튼이다.
이와 같은 헤어 브러시(300)는, 상기 예시한 헤어 드라이어(1)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헤어 케어 시스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도 2 등에서 예시한 휴대 단말 장치(100)로 헤어 케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모발에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을, 외부에서 관리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되어도 된다.
도 4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시스템(110)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우선, 헤어 케어 시스템(110)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100)를 구비한다. 도 49의 예에서는, 헤어 케어 장치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도 49에서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서 2개의 휴대 단말 장치(100)가 묘화되어 있지만, 정보의 입출력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편의상의 조치이며, 이들 휴대 단말 장치(100)는 동일물이다. 즉, 헤어 케어 시스템(110)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로서 헤어 드라이어(1)와, 휴대 단말 장치(100)를 구비한다. 헤어 드라이어(1)는 송수신부(74)를 갖고, 휴대 단말 장치(100)는 송수신부(7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103)를 갖는다.
또한, 헤어 케어 시스템(110)의 외부에는,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120)가 존재한다. 헤어 케어 시스템(110)은 Web 애플리케이션(121)을 통해 서버(120)와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예를 들어 데이터 관리업자가 유지하는 데이터 분석 애플리케이션(122)과도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우선, 헤어 드라이어(1) 내의 제어부(80)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 U의 모발 정보나 건조 조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헤어 드라이어(1) 측으로부터 수취한 모발 정보 등을, Web 애플리케이션(121)을 통해 서버(120)에 송신한다. 서버(120)는 이들 정보를 관리한다. 서버(120)로 관리되어 있는 정보는, 데이터 분석 애플리케이션(122)에 의해 분석된다. Web 애플리케이션(121)은 분석 결과를 서버(120)로부터 취득하고, 사용자 분석 정보나 기기 제어 정보로 해서 휴대 단말 장치(100)에 송신한다. 사용자 분석 정보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단말기 표시부(101)에 표시되고, 기기 제어 정보는, 헤어 드라이어(1)에 송신된다. 한편, 사용자는, 개인 정보나 앙케이트 등의 사용자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부터 Web 애플리케이션(12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100)를 통해 Web 애플리케이션(121)로부터 모발 진단 정보 등을 취득하고, 열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어 케어 시스템(110)에 의하면, 헤어 드라이어(1)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에 있어서 최적의 성분량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피드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헤어 케어 장치는, 헤어스타일 판별부와, 헤어스타일 인식부와, 제 성분량 판정부와, 제 분출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판별한다. 헤어스타일 인식부는, 헤어스타일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헤어스타일 판별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분류한다. 제 성분량 판정부는, 헤어스타일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각각의 헤어스타일의 모발의 길이, 모발의 볼륨 또는 모발의 컬 정도에 따라서 모발에 작용시키는 제의 성분량을 판정한다. 제 분출부는, 제 성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제의 성분량으로 사용자의 모발에 제를 분출한다. 여기서, 헤어스타일 판별부나 헤어스타일 인식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발 특성 인식부(81)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성분량 판정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테이블 생성부(82)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가져도 된다. 촬상부는,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영부(60b)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한편,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싱 기능부를 가져도 된다. 여기서, 생체 정보란, 사용자의 생체, 즉, 사용자의 모발이나 피부 등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모발이나 피부의 수분량이나 온도를 말한다. 생체 센싱 기능부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종 센서 중 적어도 어느 것의 대체가 될 수 있다.
제 분출부는, 모발의 형상을 정돈하는 열 부여부를 가져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열 부여부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열 부여부(30), 또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히터 플레이트(203)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분출부는, 모발의 형상을 정돈하는 브러시 형상부를 가져도 된다. 브러시 형상부는,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브러시부(22)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모발의 상태를 표시하는 헤어스타일 상태 표시부를 가져도 된다. 헤어스타일 상태 표시부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73)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헤어스타일 상태 표시부는, 모발의 상태를 분할 표시할 수 있는 모발 상태 분할 표시부를 가져도 된다. 모발 상태 분할 표시부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1a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분할 화상으로서의 화상(101a)을 표시하는 표시부(73)의 대체가 될 수 있다.
제 성분량 판정부는, 모발 상태 분할 표시부에서의 분할 표시별로 원하는 양으로 제 성분량을 변화시키는 제 성분량 변경부를 가져도 된다. 제 성분량 변경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여량 연산부(83), 성분량 제어부(84) 및 누적 연산부(88) 중 적어도 하나의 대체가 될 수 있다.
헤어스타일 판별부의 생체 센싱 기능부는, 사용자의 모발 습윤 상태를 검지하는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를 가져도 된다.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습윤 검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는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추정해도 된다.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는,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조 추정 연산부(87)의 대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성분량 판정부는,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로 검지된 사용자의 모발 습윤 상태에 의해, 모발에 작용시키는 제의 성분량을 판정해도 된다.
또한,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사용자의 모발 습윤 상태에 의해, 모발의 측정 타이밍을 결정하는 모발 측정 타이밍 결정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정돈하기도 하는, 가정용 또는 업무용 헤어 케어 장치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1: 헤어 드라이어
1a: 제1 헤어 드라이어
1b: 제2 헤어 드라이어
1c: 제3 헤어 드라이어
2: 전원 코드
3: 하우징
3a: 구획판
4: 송풍 유로
10: 본체부
10a: 흡인구
10b: 토출구
10c: 연결부
10d: 연결축
10e: 분기로
10f: 성분 토출구
10g: 전면부
14: 노즐부
20: 파지부
20a: 하우징
22: 브러시부
30: 열 부여부
31: 팬
32: 모터
33: 가열부
40: 성분 생성부
40a: 제1 정전 무화 장치
40b: 제2 정전 무화 장치
40c: 제3 정전 무화 장치
41a: 미스트 분무기
41b: 탱크
41c: 펌프
41d: GND 전극
41e: 고압 회로
41f: 펌프 구동 회로
42a: 방전부
42b: GND 전극
42c: 고압 회로
43a: 방전부
43b: 펠티에 소자
43c: GND 전극
43d: 고압 회로
50: 측정부
60: 습윤 검지부
60a: 습윤 검지 센서
60b: 촬영부
60c: 온도 센서
60d: 수분량 센서
61: 실온 센서
62: 습도 센서
63: 모발 검지부
64: 부위 검지부
71: 입력부
71a: 모질 입력부
71b: 모발 길이 입력부
71c: 모발 볼륨 입력부
72: 조명부
73: 표시부
74: 송수신부
75: 기억부
76: 전원 스위치
80: 제어부
81: 모발 특성 인식부
82: 테이블 생성부
83: 부여량 연산부
84: 성분량 제어부
85: 열량 제어부
86: 습윤 연산부
87: 건조 추정 연산부
88: 누적 연산부
90: 신호 처리부
91: 부위 연산부
92: 초기 위치 결정부
100: 휴대 단말 장치
101: 단말기 표시부
101a: 화상
101b: 제1 탭 영역
101c: 제2 탭 영역
101d: 제3 탭 영역
101e: 제1 원 그래프
101f: 제2 원 그래프
102: 단말기 촬영부
103: 단말기 통신부
110: 헤어 케어 시스템
120: 서버
121: Web 애플리케이션
122: 데이터 분석 애플리케이션
200: 헤어 아이론
201: 제1 본체부
202: 제2 본체부
203: 히터 플레이트
210f: 성분 토출구
260a: 습윤 검지 센서
271: 입력부
271a: 모질 입력부
271b: 모발 길이 입력부
271c: 모발 볼륨 입력부
272: 조명부
300: 헤어 브러시
301: 본체부
301a: 브러시 헤드
310b: 토출구
310f: 성분 토출구
322: 빗부
360a: 습윤 검지 센서
371: 입력부
371a: 모질 입력부
371b: 모발 길이 입력부
371c: 모발 볼륨 입력부
372: 조명부
376: 전원 스위치
1a: 제1 헤어 드라이어
1b: 제2 헤어 드라이어
1c: 제3 헤어 드라이어
2: 전원 코드
3: 하우징
3a: 구획판
4: 송풍 유로
10: 본체부
10a: 흡인구
10b: 토출구
10c: 연결부
10d: 연결축
10e: 분기로
10f: 성분 토출구
10g: 전면부
14: 노즐부
20: 파지부
20a: 하우징
22: 브러시부
30: 열 부여부
31: 팬
32: 모터
33: 가열부
40: 성분 생성부
40a: 제1 정전 무화 장치
40b: 제2 정전 무화 장치
40c: 제3 정전 무화 장치
41a: 미스트 분무기
41b: 탱크
41c: 펌프
41d: GND 전극
41e: 고압 회로
41f: 펌프 구동 회로
42a: 방전부
42b: GND 전극
42c: 고압 회로
43a: 방전부
43b: 펠티에 소자
43c: GND 전극
43d: 고압 회로
50: 측정부
60: 습윤 검지부
60a: 습윤 검지 센서
60b: 촬영부
60c: 온도 센서
60d: 수분량 센서
61: 실온 센서
62: 습도 센서
63: 모발 검지부
64: 부위 검지부
71: 입력부
71a: 모질 입력부
71b: 모발 길이 입력부
71c: 모발 볼륨 입력부
72: 조명부
73: 표시부
74: 송수신부
75: 기억부
76: 전원 스위치
80: 제어부
81: 모발 특성 인식부
82: 테이블 생성부
83: 부여량 연산부
84: 성분량 제어부
85: 열량 제어부
86: 습윤 연산부
87: 건조 추정 연산부
88: 누적 연산부
90: 신호 처리부
91: 부위 연산부
92: 초기 위치 결정부
100: 휴대 단말 장치
101: 단말기 표시부
101a: 화상
101b: 제1 탭 영역
101c: 제2 탭 영역
101d: 제3 탭 영역
101e: 제1 원 그래프
101f: 제2 원 그래프
102: 단말기 촬영부
103: 단말기 통신부
110: 헤어 케어 시스템
120: 서버
121: Web 애플리케이션
122: 데이터 분석 애플리케이션
200: 헤어 아이론
201: 제1 본체부
202: 제2 본체부
203: 히터 플레이트
210f: 성분 토출구
260a: 습윤 검지 센서
271: 입력부
271a: 모질 입력부
271b: 모발 길이 입력부
271c: 모발 볼륨 입력부
272: 조명부
300: 헤어 브러시
301: 본체부
301a: 브러시 헤드
310b: 토출구
310f: 성분 토출구
322: 빗부
360a: 습윤 검지 센서
371: 입력부
371a: 모질 입력부
371b: 모발 길이 입력부
371c: 모발 볼륨 입력부
372: 조명부
376: 전원 스위치
Claims (25)
- 사용자의 모발에 열을 부여하는 열 부여부와,
상기 모발에 작용시키는 성분을 생성하는 성분 생성부와,
상기 모발을 측정 또는 촬영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얻어진 모발 측정값 또는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열 부여부 및 상기 성분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발 측정값 또는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발 특성을 분류하는 모발 특성 인식부와,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모발 특성별로, 상기 성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성분의 성분량을 설정하는 테이블 생성부와,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모발 전체의 상기 모발 특성과, 상기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성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별로 상기 성분량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모발의 부위별의 상기 모발 특성과, 상기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성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위별로 상기 성분 생성부가 부여하는 성분 부여량 또는 상기 열 부여부가 부여하는 열 부여량을 산출하는 부여량 연산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상기 모발의 길이, 상기 모발의 볼륨, 및 상기 모발의 굵기 또는 윤기에 관한 모질 중 적어도 하나인,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2분할된 분할 화상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의 상기 분할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분할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발 측정값 또는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의 습윤에 관한 습윤 정보를 산출하는 습윤 연산부를 갖고,
상기 습윤 연산부가, 상기 사용자가 머리감기 전이거나 또는 상기 모발이 젖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에 상기 모발 특성의 분류를 실행시키고,
한편, 상기 습윤 연산부가, 상기 모발이 젖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테이블 생성부에, 상기 모발 특성 인식부가 전회까지 분류한 상기 모발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설정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발 측정값 또는 상기 모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발의 건조도를 추정하는 건조 추정 연산부를 갖고,
상기 부여량 연산부는, 또한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에서 추정된 상기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조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적어도 물의 흡수 파장을 상기 모발 측정값으로 하는 습윤 검지 센서를 갖고,
상기 습윤 연산부는, 상기 습윤 검지 센서가 검지한 상기 모발 측정값으로부터 흡광도를 산출하고,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는, 상기 습윤 연산부가 산출한 상기 흡광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도를 추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적어도 물의 상기 흡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갖고,
상기 습윤 검지 센서는 포토다이오드이며,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의 굴곡 형상에 맞춰서, 상기 조명부로부터의 상기 광의 반사 정도를 균등화하여, 상기 건조도를 추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가, 상기 건조도가 대기 레벨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 부여부에 열을 부여시키지 않거나, 상기 성분 생성부에 상기 성분의 부여를 정지시키거나, 및 상기 성분 생성부가 상기 성분을 부여해도 부여 시간으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가, 상기 건조도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 레벨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 부여부에 열을 부여시키지 않거나, 및 상기 성분 생성부에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유효한 상기 성분을 부여시킨다고 하는 것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실시시키는, 헤어 케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2차원 화상을 상기 모발 화상으로 하는 촬영부를 갖고,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는, 상기 촬영부가 건조 시간별로 촬영한 상기 2차원 화상의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계 학습에 의해, 상기 건조도를 건조 시간별로 추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추정 연산부는, 상기 모발의 부위별로 상기 건조도를 추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단말기 통신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단말기 표시부에, 상기 모발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2분할된 분할 화상이 적어도 표시되었을 때,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표시부의 상기 분할 화상에 있어서 선택한 분할 부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분할 부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량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변경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어 케어 장치와,
휴대 단말기 장치를 구비하는 헤어 케어 시스템이며,
상기 헤어 케어 장치는 송수신부를 갖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를 갖는, 헤어 케어 시스템. -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을 판별하는 헤어스타일 판별부와,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헤어스타일 판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헤어스타일을 분류하는 헤어스타일 인식부와,
상기 헤어스타일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각각의 상기 헤어스타일의 모발의 길이, 상기 모발의 볼륨 또는 상기 모발의 컬 정도에 따라서 상기 모발에 작용시키는 제(劑)의 성분량을 판정하는 제 성분량 판정부와,
상기 제 성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의 성분량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에 상기 제를 분출하는 제 분출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헤어스타일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싱 기능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분출부는, 상기 모발의 형상을 정돈하는 열 부여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분출부는, 상기 모발의 형상을 정돈하는 브러시 형상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상기 모발의 상태를 표시하는 헤어스타일 상태 표시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상태 표시부는, 상기 모발의 상태를 분할 표시할 수 있는 모발 상태 분할 표시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성분량 판정부는, 상기 모발 상태 분할 표시부에서의 분할 표시별로 원하는 양으로 제 성분량을 변화시키는 제 성분량 변경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의 상기 생체 센싱 기능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습윤 상태를 검지하는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는 기계 학습에 의해 건조도를 추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성분량 판정부는, 상기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습윤 상태에 의해, 상기 모발에 작용시키는 상기 제의 성분량을 판정하는, 헤어 케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스타일 판별부는, 상기 모발 습윤 상황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발의 습윤 상태에 의해, 상기 모발의 측정 타이밍을 결정하는 모발 측정 타이밍 결정부를 갖는, 헤어 케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17484A JP7555028B2 (ja) | 2021-02-05 | 2021-02-05 | ヘアケア装置およびヘアケアシステム |
JPJP-P-2021-017484 | 2021-02-05 | ||
PCT/JP2021/048154 WO2022168497A1 (ja) | 2021-02-05 | 2021-12-24 | ヘアケア装置およびヘアケアシステ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7895A true KR20230137895A (ko) | 2023-10-05 |
Family
ID=8274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5112A KR20230137895A (ko) | 2021-02-05 | 2021-12-24 |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555028B2 (ko) |
KR (1) | KR20230137895A (ko) |
CN (1) | CN116801766A (ko) |
WO (1) | WO202216849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58484A (ja) | 2017-09-27 | 2019-04-18 |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 ヘアドライヤ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5146B2 (ja) * | 1990-05-31 | 1998-12-14 | 株式会社東芝 | ドライヤ |
JP6295418B2 (ja) | 2014-03-07 | 2018-03-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ヘアドライヤおよび頭部画像取得方法 |
CN103948230A (zh) | 2014-05-04 | 2014-07-30 | 东莞市富瑞康电器科技有限公司 | 触摸屏式电吹风 |
CN108433318B (zh) | 2018-03-27 | 2021-07-30 | 南京地平线机器人技术有限公司 | 电吹风和控制电吹风的方法 |
JP7289097B2 (ja) | 2019-04-11 | 2023-06-09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加熱送風システム |
CN109907460A (zh) | 2019-04-24 | 2019-06-2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吹风方法、吹风机及存储介质 |
CN211703744U (zh) | 2019-10-24 | 2020-10-20 | 飞利浦(中国)投资有限公司 | 毛发护理设备 |
-
2021
- 2021-02-05 JP JP2021017484A patent/JP7555028B2/ja active Active
- 2021-12-24 KR KR1020237025112A patent/KR20230137895A/ko unknown
- 2021-12-24 CN CN202180092985.3A patent/CN116801766A/zh active Pending
- 2021-12-24 WO PCT/JP2021/048154 patent/WO202216849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58484A (ja) | 2017-09-27 | 2019-04-18 | テスコム電機株式会社 | ヘアドライヤ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801766A (zh) | 2023-09-22 |
WO2022168497A1 (ja) | 2022-08-11 |
JP2022120532A (ja) | 2022-08-18 |
JP7555028B2 (ja) | 202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37908A (ko) | 헤어 케어 장치 | |
CN111432684B (zh) | 用于协助用户获得最佳吹干和定型性能的包括刷子、吹风机和客户端装置的系统 | |
US1211499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 cosmetic hair condition | |
US7356943B2 (en) | Automatic hair dryer | |
US10045820B2 (en) | Internet connected dermatological devices and systems | |
US2007021360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moisture content of skin | |
US20220088407A1 (en) | Hair treatment system with proximity sensors to detect scalp or hair distance and locality | |
WO2022061175A1 (en) | Hair treatment system with proximity sensors to detect scalp or hair distance and locality | |
KR102289561B1 (ko) |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한 모발의 손상도 측정 방법, 모발 손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 및 모발 관리 정보 제공 방법 | |
KR20230137895A (ko) | 헤어 케어 장치 및 헤어 케어 시스템 | |
WO2022168495A1 (ja) | ヘアケア装置 | |
JP2020171488A (ja) | ドライヤー | |
US12108858B2 (en) | Hair volumizing treatments with in situ diagnostic assessment and formula dispensing | |
CN109389103B (zh) | 生物识别图像采集装置 | |
CN218898691U (zh) | 皮肤处理设备 | |
AU2023247083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drying or styling hair | |
WO2023056383A1 (en) | Hair volumizing treatments with in situ diagnostic assessment and formula dispensing | |
JP2024085683A (ja) | ヘアケア装置 | |
KR20150068854A (ko) | 보습 장치 | |
EP2676568A1 (en) | Personal appliance with sensor | |
JP2014200423A (ja) | ヘアケア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