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730A -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730A
KR20230137730A KR1020220035538A KR20220035538A KR20230137730A KR 20230137730 A KR20230137730 A KR 20230137730A KR 1020220035538 A KR1020220035538 A KR 1020220035538A KR 20220035538 A KR20220035538 A KR 20220035538A KR 20230137730 A KR20230137730 A KR 2023013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order
top box
data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148B1 (ko
Inventor
구영훈
권민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148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개시는 미디어 서버가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주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를 통해 AR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ARS 서버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Medi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rectly processing an order signal as a pre-registered order means}
본 개시는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탑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탑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 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 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주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주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서버가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주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를 통해 AR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ARS 서버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시키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주문 전화의 연결을 시도시키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ARS 서버로부터 주문 전화의 무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상기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주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를 통해 ARS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ARS 서버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주문 전화의 연결을 시도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ARS 서버로부터 주문 전화의 무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상기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관한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주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통해 방송 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제공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장치에 출력되는 제1화면의 예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기프로그램 아이콘을 선택함에 표시되는 제2화면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주문수단으로 주문이 처리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주문 연결 컨텐츠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과 셋탑박스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장치에 출력되는 제3화면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셋탑박스는 통상 가정에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장치이다.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의 데이터는 압축 및 변조(modulation) 등으로 처리된 데이터로 셋탑박스에 전송되는데, 셋탑박스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복조(demodulation) 및 압축 해제 등의 처리를 하여 TV 등의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성, 어플 데이터, 스트립트 데이터 등의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들,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 등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공하는 것은, 전송하는 것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거나 시청각 장치, AR 장치, VR 장치 등의 다양한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통해 방송 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은 미디어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은 필요에 따라 컨텐츠 송출 서버(200), ARS 서버(500), 데이터 서버(6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은 제1 셋탑박스(301), 제2 셋탑박스(302), 제3 셋탑박스(303), …, 제n 셋탑박스(30n) 중 적어도 하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1 셋탑박스(301), 제2 셋탑박스(302), 제3 셋탑박스(303),…, 제n 셋탑박스(30n) 중 적어도 하나는 셋탑박스(300)로 명명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 중 적어도 하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기(T)로 명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가 네트워크로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셋탑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은 셋탑박스(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원격제어 장치(예로,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 또는 출력 장치(400)는 리모콘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통상 가정에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장치이다.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의 데이터는 압축 및 변조(modulation) 등으로 처리된 데이터로 셋탑박스(300)에 전송되는데, 셋탑박스(300)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복조(demodulation) 및 압축 해제 등의 처리를 하여 출력장치(400)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셋탑박스(3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련 데이터를 출력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장치(400)에서 방송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300)는 고유의 셋탑박스 ID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의 집들에 비치된 셋탑박스(300)들 각각은 고유의 셋탑박스 ID를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 ID는 예컨대 숫자, 알파벳과 같은 문자, 특수문자 및/또는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셋탑박스 아이디(STP ID), 접속 정보 등을 읽어 들여, 이를 기초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이러한 출력 데이터가 출력장치(400)와 같은 외부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통상적인 TV일수도 있고, 모니터일 수도 있다. 출력 장치(400)는 스마트 폰, PMP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별도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 등) 또는 출력 장치(4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 송출 서버(2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예컨대 일 방송 제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과 같이 미디어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 송출 서버(200)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컨텐츠를 다양한 방송 제공사들의 서버들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방송 제공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format)에 맞는 방송 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저장된 컨텐츠를 전술한 셋탑박스(300)로 송출하여, 방송 영상과 같은 컨텐츠가 출력장치(400)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네트워크 등의 기타 전송로(예: 분산 네트워크, contents delivery network, CDN)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방송 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커머스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등록(예: 입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별로 메타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데이터 서버(600)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메타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등록된 컨텐츠를 각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하며, 컨텐츠 송출 서버(200)가 해당 컨텐츠를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의 데이터 또는 변환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CDN)를 통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각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영상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컨텐츠의 URL 정보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등록된 동영상에 관한 이러한 영상식별정보를 데이터 서버(6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영상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6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의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6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동영상의 링크 정보와 같은 영상식별정보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미디어 서버(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300)는 예를 들면 리모콘 등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100)로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셋탑박스(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이러한 방송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예: VOD(video on demand) 데이터)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셋탑박스(300)는 가입자의 요구(예: 리모콘을 통한 사용자 입력)를 제어신호로 변환해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및/또는 영상식별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어플 화면 데이터는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구현(예: 표시)할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어플 화면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생성한 또는 저장되어 있던 어플 화면 데이터를 셋탑박스(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서버(100)는 생성된 또는 저장되어 있던 어플 화면 데이터와,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함께 셋탑박스(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방송 정보의 전송 과정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700)에 등록된 커머스 컨텐츠들은, 가입자에게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는,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어플 화면 데이터에 의해 출력장치(400)에서 구현된 어플 화면에 기초하여 셋탑박스(300)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공 서버(700)에 등록된 커머스 컨텐츠들은,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와 통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획득된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 등의 컨텐츠를 출력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 및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장치(40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어플 화면 데이터와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러한 방송 출력 데이터에 의해 출력장치(4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어플 화면 데이터에 의한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그 어플리케이션 화면 내의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방송 영상 또는 VO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 및/또는 컨텐츠 등의 출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셋탑박스 아이디, 접속 정보 등을 읽어 들여,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출력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이러한 출력 데이터가 출력장치(400)와 같은 외부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장치(400)는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단말로서, 셋탑박스(300) 내에서 처리 및/또는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장치(400)는 화면 데이터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며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장치(400)는 케이블 등을 통해 셋탑박스(3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장치(400)는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셋탑박스(3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는 다양한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인터넷,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또는 울트라와이드밴드 (Ultra Wide Band, UWB)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네트워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서버(100)는 커머스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하여 셋탑박스(300)의 출력장치(400)에서 커머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며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주문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주문 신호에 대응하는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에 등록된 주문 수단의 주문 프로세스가 처리되도록 주문 인터페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리모콘 주문 수단에 대응하여는,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에서 시청중인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인터페이스는, 주문 수량, 주문자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커머스 컨텐츠의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이러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주문 수단에 대응하여, 미디어 서버(100)는 모바일 주문 수단의 주문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주문 수단에 따라서, 셋탑박스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단말기로 주문 링크가 전송될 수 있다.
쉬운자동주문에 대응하여,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전화가 사용자의 단말기로 연결되도록 ARS 서버(500)로 요청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동시에 셋탑박스(300)로 주문 연결 컨텐츠를 전송하여 전화번호의 변경 또는 주문 수단의 변경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로부터 전화번호의 변경 또는 주문 수단의 변경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러한 변경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 또는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변경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ARS 서버(500)에서 수행되는 주문 전화가 취소 또는 해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RS 서버(500)는 미디어 서버(100) 또는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주문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화 연결은 ARS 서버(500)에 포함된 주문 전화 회선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 실시 예에 따르면, ARS 서버(500)는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S 서버(500)는 제1 컨텐츠 정보 및 제2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정보(예로, 셋탑박스 정보, 매체 정보, 레이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 또는 컨텐츠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ARS 서버(500)는 사용자와 추가적인 인터랙션 없이도, 사용자가 주문 시 시청하고 있는 영상 및 다양한 정보를 식별하여 쉽게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예,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등)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각 사용자의 출력 장치(400)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셋탑박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셋탑박스 아이디, 접속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셋탑박스(300)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재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하여 동작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자체 대신에 이러한 내용의 캡쳐 정보를 셋탑박스(300)를 통하여 출력 장치(5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출력 장치(500)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T)은 셋탑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제공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디어 제공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100), ARS 서버(500), 데이터 서버(600)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장치(1)는 미디어 서버(100), ARS 서버(500), 데이터 서버(600)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장치(1)는 전술한 것과 같은 셋탑박스(300) 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신모듈(2), 프로세서(3) 및 메모리(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장치(1)의 통신모듈(2)은 네트워크에 의해 다른 장치(1)의 통신모듈(2)에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3)는 메모리(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메모리를 구비하는 각 장치(1) 또는 서버(100, 200, 500, 600, 7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4)는 각 메모리를 구비하는 각 장치(1) 또는 서버(100, 200, 500, 600, 7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1)는 프로세서(3)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장치(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00, 200, 500, 600, 7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그리고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1)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장치(1)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에 의하여 장치(1)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과 이에 포함된 각 모듈이나 부(unit)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일 수 있고,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제공 시스템과 이에 포함된 각 모듈이나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fi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통신모듈(2), 프로세서(3) 및 메모리(4) 등은 서버(100, 200, 500, 600, 7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서로 독립적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전송 및 수신 등에 대해,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가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문 신호는, 주문 아이콘(A3, 도 4 및 도 5 참조)에 대한 입력으로 발생될 수 있다.
S2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를 통해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이 모바일 주문인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에 등록된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구매 가능한 구매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600)로 모바일 주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구매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는 데이터 서버(600)에서 셋탑박스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이 리모컨 주문인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를 입력한 셋탑박스로 상품 구매 인터페이스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주문수단은, 정해진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전에 거래된 주문수단, 최근에 거래한 주문수단, 사용자에 의해 다시 거래하도록 설정된 주문수단 일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은, 셋탑박스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호주문수단은, 등록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셋탑박스의 거래 시간, 거래 요일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거래 시간이 밤인지, 낮인지, 거래 요일이 평일인지 주말인지 등에 따라서 선호주문수단이 변경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을 셋탑박스에 이전에 수행된 주문 방식 또는 셋탑박스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선호주문수단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을, 쉬운자동주문, 모바일 주문, 리모컨 주문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에서 직전에 이루어진 주문 수단이 쉬운자동주문인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를 기초로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은, 별도의 메뉴에서 설정되거나, 이전에 수행된 주문 프로세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하는 셋탑박스에 대해서 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선호주문수단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100)는 연결된 복수의 셋탑박스들 각각에 대해서 선호주문수단의 주문 프로세스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인 경우,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이미 회원 가입을 한 경우 또는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의 ID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박스에서 처음으로 주문신호가 생성되거나 선호주문수단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쉬운자동주문, 모바일 주문, 리모컨 주문 중에서 하나의 주문 수단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쉬운자동주문 또는 모바일 주문을 선택하면서 회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또는 전화번호가 미등록된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셋탑 박스(3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전화번호 정보를 ARS 서버(500)로 전달하여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S3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ARS 서버(5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4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셋탑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는 ARS 서버(500)에서 무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를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는 다시 주문 전화가 시도되거나 다른 주문 수단으로 주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신호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주문신호에 대해서 적용된 주문수단을 선호주문수단으로 설정하여 앞으로의 주문 신호에 대한 주문수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주문 연결 컨텐츠(OCC)는 변경하기 아이콘(OCC1) 및 닫기 아이콘(OCC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변경하기 아이콘(OCC1)을 선택하는 경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옵션과 주문 수단을 변경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셋탑박스에 전송되어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옵션이 선택되는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에서 입력된 변경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버(600)를 거쳐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수단을 변경하는 옵션이 선택된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다른 주문방식을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고 단말기로 시도되는 주문 전화를 취소하는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를 입력한 셋탑박스에서 과거에 이루어진 선호 행동에 부합하는 주문 수단으로 상품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주문수단의 변경 또는 전화번호의 변경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주문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장치(400)에 출력되는 제1화면(S1)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커머스 컨텐츠와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출력장치(400)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화면(S1)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화면(S1)은,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즉, 방송 영상)이 표시되는 동영상 영역(A2)을 포함한다. 제1화면(S1)에서 동영상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미디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다. 즉, 동영상 영역(A2)은 동영상이 재생되는 부분이고, 그 외의 나머지 영역은 사전설정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 사전설정된 이미지는 미디어 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어플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이라 할 수 있다.
어플 화면의 일부분인 영역(A1)은, 다양한 기능들로 바로가기 가능한 아이콘들(A11, A12, A13, A14)을 포함할 수 있다. TV 방송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아이콘들(A11, A12, A13, A1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영역 내에는 사용자가 검색을 할 수 있는 영역도 위치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그러한 사용자 선택 또는 검색 등을 수신한다. 어플 화면은 또한 주문 아이콘(A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A3)에 대응하는 신호를 셋탑박스(300)로 보냄으로써 동영상 영역(A2)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이 포함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이 주문은 셋탑박스(30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및/또는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디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화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관련된 커머스 컨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시청하고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아이콘(A3)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행위를 통해 셋탑박스가 주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영역(A1)은, 다양한 기능들로 바로가기 가능한 아이콘들(A11, A12, A13, A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오늘의 TV 아이콘(A11), 인기프로그램 아이콘(A12), 기적의 사은품 아이콘(A13) 또는 식품 BEST 아이콘(A14) 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물론 오늘의 TV 아이콘(A11), 인기프로그램 아이콘(A12), 기적의 사은품 아이콘(A13) 또는 식품 BEST 아이콘(A14)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내용의 아이콘이 제1화면(S1)의 동영상 영역(A2) 외의 부분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이 리모콘 등을 통해 이루어지면, 셋탑박스(300)는 이를 화면변경신호로서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화면변경신호를 예컨대 제1변경신호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변경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미디어 서버(100)가 셋탑박스(300)로 전송한 어플 화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제1변경신호를 수신하면, 제1변경신호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변경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함께 셋탑박스(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변경신호에 대응하는 제2화면(S2)이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화면(S1)이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기프로그램 아이콘(A12)을 선택함에 따라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2화면(S2)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A3)에 대응하는 신호를 셋탑박스(300)로 보냄으로써 동영상 영역(A2)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이 포함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이 주문은 셋탑박스(30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및/또는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화면변경신호에 의해 제1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제2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아이콘(A3)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입력된 시점에 시청 중인 제2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등에 접속된다. 이때 셋탑박스(300)는 여러 인터넷 회사들이 운영하는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등에 접속하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셋탑박스(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등에 접속된다. 이때 셋탑박스(300)는 여러 인터넷 회사들이 운영하는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 등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일부 인터넷 회사는 특정 지역에서만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주문수단으로 주문이 처리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S110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연결된 출력장치(400)를 통해서 커머스 컨텐츠를 정지 상태 또는 재생 상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115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100)로 주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12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를 처리할 주문 수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 신호를 처리할 주문 수단 정보는, 선호주문수단 또는 이전에 수행된 주문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은, 주문 신호를 입력한 시간 정보(시간, 요일 등), 접속되는 셋탑박스의 아이디,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셋탑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선호주문수단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선호주문수단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셋탑박스의 선호주문수단이 쉬운자동주문인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디맨드 요청 신호는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의 식별 정보및/또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영상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연결 컨텐츠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S140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상품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전화 연결을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전화 번호, IP 주소 등), 주문 대상인 상품과 관련된 정보(상품 코드, 상품 명, 제조 사 등), 상품 주문에 포함된 할인 관련 정보(접속 시점의 할인 정보,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할인 정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온디맨드 전화 요청은 데이터 서버(600)에서 생성될 수 있으나,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되어 ARS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S145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하고, S150에서는 ARS 서버(5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 전화 연결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T)로 전송할 수 있다.
S155에서는 ARS 서버(500)는 주문 전화 중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사용자의 식별 정보,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등)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주문 전화 중인, 연결 정보를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158).
S160에서는, ARS 서버(500)는 주문 신호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기(T)와의 상품에 대한 주문 전화를 진행할 수 있다. ARS 서버(500)는 정해진 개수의 회선을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주문 전화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에 의해 전화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ARS 서버(500)는 주문 전화의 종료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165, S168). 종료 정보는 주문 전화를 통해서 획득된 상품에 대한 주문 데이터, 및/또는 주문 전화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정보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T)에 의해 입력된 선호주문수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연결된 출력장치(400)를 통해서 커머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215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100)로 주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22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를 처리할 제1 주문 수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 신호를 처리할 제1 주문 수단 정보는, 선호주문수단 또는 이전에 수행된 주문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은, 주문 신호를 입력한 시간 정보(시간, 요일 등), 접속되는 셋탑박스의 아이디,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셋탑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선호주문수단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선호주문수단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다.
S230에서는, 셋탑박스의 선호주문수단이 쉬운자동주문인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디맨드 요청 신호는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의 식별 정보및/또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영상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35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연결 컨텐츠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문 연결 컨텐츠에 대해서 변경하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미디어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옵션과 주문 수단을 변경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하여, 출력장치(400)에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가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획득하면,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260, S265). 미디어 서버(100)가 주문 수단 변경 신호에 대응하여 주문 전화 취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70).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전화 취소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를 거쳐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75, S280). ARS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T)와의 주문 전화를 중단하거나 주문 전화의 연결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에, 아래의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240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상품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전화 연결을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전화 번호, IP 주소 등), 주문 대상인 상품과 관련된 정보(상품 코드, 상품 명, 제조 사 등), 상품 주문에 포함된 할인 관련 정보(접속 시점의 할인 정보,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할인 정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온디맨드 전화 요청은 데이터 서버(600)에서 생성될 수 있으나,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되어 ARS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S245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하고, S250에서는 ARS 서버(5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 전화 연결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T)로 전송할 수 있다.
S255에서는 ARS 서버(500)는 주문 전화 중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사용자의 식별 정보,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등)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주문 전화 중인, 연결 정보를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연결된 출력장치(400)를 통해서 커머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315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100)로 주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320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신호를 처리할 제1 주문 수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 신호를 처리할 제1 주문 수단 정보는, 선호주문수단 또는 이전에 수행된 주문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주문수단은, 주문 신호를 입력한 시간 정보(시간, 요일 등), 접속되는 셋탑박스의 아이디,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셋탑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선호주문수단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선호주문수단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다.
S330에서는, 셋탑박스의 선호주문수단이 쉬운자동주문인 경우, 미디어 서버(1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디맨드 요청 신호는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의 식별 정보및/또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영상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00)는 주문 연결 컨텐츠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S335).
S340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상품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전화 연결을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전화 번호, IP 주소 등), 주문 대상인 상품과 관련된 정보(상품 코드, 상품 명, 제조 사 등), 상품 주문에 포함된 할인 관련 정보(접속 시점의 할인 정보,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할인 정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온디맨드 전화 요청은 데이터 서버(600)에서 생성될 수 있으나,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되어 ARS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S345에서는, 데이터 서버(600)는 온디맨드 전화 요청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하고, S350에서는 ARS 서버(500)는 온디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 전화 연결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T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T1)는 셋탑박스와 대응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S355에서는 ARS 서버(500)는 주문 전화 중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사용자의 식별 정보,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 등)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S360에서는, 셋탑박스(300)는 주문 연결 컨텐츠에 포함된 변경하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옵션 중에서, 전화번호 변경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365). 사용자는 리모컨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변경하기 아이콘을 선택하고,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전화번호는 셋탑박스(300)에서 가공되어 미디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S375에서는 미디어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문 전화를 수신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수신한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ARS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ARS 서버(500)는 이전에 주문 전화를 취소 또는 해제하는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T1)로 전송하고(S385), 상품에 대한 주문 전화를 제2 사용자 단말기(T2)로 전송할 수 있다(S390). 제2 사용자 단말기(T2)는 주문 연결 컨텐츠를 통해서 입력된 전화번호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600)는 수신한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셋탑박스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주문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쉬운자동주문 또는 모바일주문의 주문 수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과 셋탑박스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서버(1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 외에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인 어플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미디어 제공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어플 화면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이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의 화면에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 화면은, 주문 아이콘, 주문 연결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서 생성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저장된 컨텐츠를 셋탑박스(300) 또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 송출하여, 방송 영상과 같은 컨텐츠가 출력장치(400)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6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동영상의 링크 정보와 같은 영상식별정보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1) 또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1) 또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와 유사하게, 셋탑박스(3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303, …)과 통신하여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303, ...)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 셋탑박스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거나,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 저장되어 있던 어플 화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및/또는 영상식별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별도의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어플 화면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커머스 컨텐츠와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주문 연결 컨텐츠와 변경하기 아이콘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커머스 컨텐츠들과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주문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재생중인 커머스 컨텐츠 또는 포커싱이 있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신호가 스트리밍 데이터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 화면 데이터는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구현(예: 표시)할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어플 화면 데이터는 예컨대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생성한 어플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생성한 어플 화면 데이터, 예를 들어 주문 아이콘, 주문 연결 컨텐츠, 변경하기 아이콘 등을 함께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정해진 프로토콜 및/또는 형식으로 인코딩하고 선택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생성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실시간으로 생성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 및/또는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생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발생되거나 수신된 소정의 신호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가 일체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인코딩되어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제1 셋탑박스(301)로 전송할 제1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와 제2 셋탑박스(302)로 전송할 제2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 사전에 저장된 것이 아니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가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제1 셋탑박스(301)로 제1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셋탑박스(302)로 제2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2개 이상의 셋탑박스들로 전송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들 각각을 각각의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트리밍 동영상과 제2스트리밍 동영상은 서로 상이한 동영상일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셋탑박스(300)와 통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700) 및/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동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획득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 등의 컨텐츠를 출력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303, ...)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획득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303, ...)과 연결된 각각의 출력장치(401, 402, 403, ...)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장치(40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셋탑박스(300)가 전송하는 방송용 출력 데이터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수신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처럼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장치(400)에 실시간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 셋탑박스(300)는 수신 즉시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연속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장치(4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대응 시간을 고려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셋탑박스(300)는 네트워크 상의 영상 전송로를 통하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장치(400)의 화면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이와 통신하는 리모콘을 통해 화면 버튼 입력, 화면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 채널 및/또는 상품 코드 등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셋탑박스(300)가 미디어 제공 서버(101)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어플 화면 데이터와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를 출력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셋탑박스(300)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수신한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 자체가 방송용 출력 데이터가 되거나,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의 포맷 변환 등의 간단한 변환만을 거쳐 방송용 출력 데이터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서 동영상인 하나 이상의 커머스 컨텐츠와 어플 화면 데이터, 예를 들어 주문 아이콘, 변경하기 아이콘 등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셋탑박스의 역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구성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화면이 출력장치(4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영상들을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인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출력장치(400)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화면 내에 복수의 동영상들이 복수의 영역들에서 재생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셋탑박스(300)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셋탑박스(301)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2 셋탑박스(302)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 많은 부하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에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가 아닌, 어플 화면 데이터(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하기만 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출력장치(400)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경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출력장치(400)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미디어 서버(100)가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를 상이한 타이밍에 이용함으로써,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에 과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방송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최초에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가 아닌 미디어 제공 서버(101)를 이용하여 셋탑박스(300)에 어플 화면 데이터(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를 전송하고, 셋탑박스(300)가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를 수신하며, 셋탑박스(300)가 어플 화면 데이터와 방송 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 장치(400)에 전송할 출력 데이터를 생성(변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미디어 제공 서버(101)가 셋탑박스(30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2변경신호를 수신하면, 미디어 제공 서버(101)가 관련 정보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2변경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관련 정보라 함은 미디어 제공 서버(101)가 셋탑박스(300)로 전송한 어플 화면 데이터,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와 같은 방송 정보, 셋탑박스(300)를 통해 출력장치(400)에 출력되고 있던 동영상의 재생 위치,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로부터 그러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방송 정보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 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함으로써, 출력장치(4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화면(S1)이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의 화면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력장치(400)에 출력된 제1화면(S1)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셋탑박스(300)는 이를 제2변경신호로서 미디어 제공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변경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미디어 제공 서버(101)가 셋탑박스(300)로 전송한 어플 화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출력장치(400)에 출력된 제1화면(S1)에 포함된 동영상 영역(A2)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셋탑박스(300)는 이를 제2변경신호로서 미디어 제공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변경신호는, 사용자가 동영상 영역(A2)을 선택했다는 정보, 동영상 영역(A2)에 출력되고 있던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예: URL 정보), 동영상 영역(A2)에 출력되고 있던 동영상의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 그리고 미디어 제공 서버(101)가 셋탑박스(300)로 전송한 어플 화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1)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제2변경신호를 수신하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로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 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그러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장치(400)에 출력되는 제3화면(S3)의 예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화면(S1)이 출력장치(400)에 출력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오늘의 TV 아이콘(A11)을 선택하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그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하여,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3화면(S3)이 출력장치(400)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장치(400)에 출력된 제3화면(S3)에는, 어플 화면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에 일체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되어,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이 실시간 재생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화면(S3)은, 어플 화면 데이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a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화면(S3)은 컨텐츠 제공 서버(700) 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3화면(S3)이 백그라운드에서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화면(ap)은 동영상 데이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v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화면(ap)은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v1, v2, v3)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v1, v2, v3)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 등은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인코딩되어, 제3화면(S3)으로서 출력장치(400)의 전체 화면에서 실시간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sc)이 수신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화면(ap)은 상하 스크롤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sc)은 제3화면(S3)에 구현되는 버튼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sc)은 제3화면(S3)에 버튼으로 구현되지 않고 리모컨 입력 등에 의해서 셋탑박스(300)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v1, v2, v3)도 어플리케이션 화면(ap)과 함께 상하 스크롤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화면(S3)에는, 상하 스크롤 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이 실시간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제1동영상 데이터와 제2동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700) 또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는 수신한 제1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수신한 제2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제1동영상 및 제2동영상에 대한 주문하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일체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인코딩되어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가 함께 인코딩되어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실시간 제공될 수 있다. 주문하기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셋탑박스에 의해 등록된 주문 수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3화면(S3)은 주문 아이콘(A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 등을 통해 주문 아이콘(A3)에 대응하는 신호를 셋탑박스(300)로 보냄으로써 스트리밍 동영상이 포함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이 주문은 셋탑박스(300)를 통해 미디어 서버(100)가 포함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 및/또는 데이터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셋탑박스(300)의 모델에 따라, 미디어 제공 서버(101)에 의해서만 해당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미디어 제공 서버(101)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2) 어느 것에 의해서든 해당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미디어 제공 시스템 100: 미디어 서버
200: 컨텐츠 송출 서버 301, 302, 303, ...: 셋탑박스
401, 402, 403, ...: 출력 장치 500: ARS 서버
600: 데이터 서버 700: 컨텐츠 제공 서버
T: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미디어 서버가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주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를 통해 AR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ARS 서버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시키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주문 전화의 연결을 시도시키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ARS 서버로부터 주문 전화의 무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상기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록된 주문수단으로 바로 주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 중인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주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탑박스의 주문 수단에 따른 처리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를 통해 ARS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ARS 서버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주문 전화를 연결하는 동안에,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문 전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주문 수단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시키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화번호 변경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주문 수단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AR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ARS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전화 연결을 중단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주문 전화의 연결을 시도시키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ARS 서버로부터 주문 전화의 무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문 연결 컨텐츠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상기 주문 아이콘을 하나의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
KR1020220035538A 2022-03-22 2022-03-22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538A KR102637148B1 (ko) 2022-03-22 2022-03-22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538A KR102637148B1 (ko) 2022-03-22 2022-03-22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730A true KR20230137730A (ko) 2023-10-05
KR102637148B1 KR102637148B1 (ko) 2024-02-16

Family

ID=8829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538A KR102637148B1 (ko) 2022-03-22 2022-03-22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1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142A (ko) * 2017-03-24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0039A (ko) * 2020-04-21 2021-10-29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Tv 기반 주문 시스템, tv 기반 주문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142A (ko) * 2017-03-24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0039A (ko) * 2020-04-21 2021-10-29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Tv 기반 주문 시스템, tv 기반 주문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148B1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394B2 (ja) ユーザ機器デバイスをコンテンツ消費材料で自動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3063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Commerce Transaction Over a Distribution Network
JP2015072690A (ja) ギフト・メディア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238426A1 (en) Providing advertisements via multiple devices
CN104363509B (zh) 一种视频转换方法、装置、播放系统及终端
KR20130116618A (ko) 스마트커넥팅을 이용한 상품광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상거래방법
CN102647623B (zh) 用于操纵视频内容的方法和装置
US11582525B2 (en) TV-based ordering system, method for ordering using TV-based order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637148B1 (ko)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321158A1 (en)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ver screen and broadcasting video corresponding thereto
KR102612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29842B1 (ko) 사용자 단말 기반 커머스 어플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35506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리뷰 컨텐츠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US20130007821A1 (en) Application structure for web-enabled computer electronics devices
KR102416970B1 (ko) Tv 기반 커머스 어플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3528B1 (ko) 입고 알림신청 관리방법, 입고 알림신청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90430B1 (ko) 상품 판매 방송에 대한 알림 신청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1659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온디맨드 요청을 처리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689665B2 (en) Media providing server,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order procedure content of different ordering methods
KR102340323B1 (ko) 방송 전환 방법, 방송 전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1658B1 (ko) 개인화 매장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 기반 커머스 어플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7838B1 (ko)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5609B1 (ko) 사용자 맞춤형 팝업 배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6517B1 (ko) 방송용 컨텐츠의 롤링 디스플레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KR102318733B1 (ko) 동영상 배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