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710A - 동파방지 좌변기 - Google Patents

동파방지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710A
KR20230137710A KR1020220035499A KR20220035499A KR20230137710A KR 20230137710 A KR20230137710 A KR 20230137710A KR 1020220035499 A KR1020220035499 A KR 1020220035499A KR 20220035499 A KR20220035499 A KR 20220035499A KR 20230137710 A KR20230137710 A KR 20230137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opening
drain
closing member
drai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526B1 (ko
Inventor
정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22003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526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2Means to prevent freezing of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방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배수마개에 대한 간단한 추가 구성만으로 동절기에 효과적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변을 처리하는 좌변기 본체; 세척수를 미리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좌변기 본체에 연결된 배수구를 통해 상기 좌변기 본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 및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서 배수구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수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지점에는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마개에 유출공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 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소량의 세척수를 저수탱크로부터 좌변기 본체에 지속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파방지 좌변기{Freeze protection toilet sea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추가 구성만으로 동절기에 효과적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동파방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공중 화장실이나 가정 내 화장실에서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좌변기가 오래전부터 대중화되었다.
이같은 좌변기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10)를 작동하면 레버와 연결된 리프트 체인(15)의 당김에 의해 배수마개(20)가 들리면서 저수탱크(30)에 저장된 세척수(35)가 배수구(25)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5)를 통해 세척수(35)가 배출되면 부구(40)가 수면 하강과 동시에 따라 내려오면서 필 밸브(50)가 열리며, 열려진 필 밸브(50)를 통해 저수탱크(30) 내부에 세척수(35)가 충전되고, 이와 동시에 일부 세척수(35)는 보충수호스(60) 및 오버플로우관(70)을 통해 좌변기 본체에 보충되어 다음 사용을 준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마개(20)는 오버플로우관(70)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 배수구(25) 입구를 차단한 상태에 있다가 레버(10)의 작동으로 리프트 체인(15)이 당겨지면 들리면서 배수구(25)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좌변기는 좌변기 본체와 저수탱크에 구조적으로 세척수가 항시 머물러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거의 문제가 없지만 실외 화장실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동절기 동파문제에 취약하였다. 특히 기온이 급락하는 지역에서는 실외에 설치된 많은 수의 좌변기가 한꺼번에 동결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급수관과 상수도관의 동파까지 이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91827호(2018.08.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마개에 대한 간단한 추가 구성만으로 동절기에 효과적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동파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는, 용변을 처리하는 좌변기 본체; 세척수를 미리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좌변기 본체에 연결된 배수구를 통해 상기 좌변기 본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 및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서 배수구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수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지점에는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마개에 유출공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 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소량의 세척수를 저수탱크로부터 좌변기 본체에 지속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배수마개의 둘레부 일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둘레부 일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마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납작한 링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회전한 위치에 따라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과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개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하면에서 상기 배수구 입구 상단 둘레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고무 소재로 구비되어 팩킹 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배수마개의 전단부 인근에서 리프트 체인의 단부를 걸어서 연결하기 위한 체인걸이를 상부 돌출된 형태로 성형할 때 상기 체인걸이의 하측으로 공동화되는 지점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점진 축소형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에 대하여 일치시킨 개방공의 위치를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변경할수록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정밀하게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은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개방공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마개와 접하는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테프론 코팅된 저마찰층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시 상기 배수마개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전술된 동파방지 좌변기;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과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이 일치한 위치가 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동파방지 좌변기 외측에 설치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근거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가 생성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다수의 지역에 설치된 동파방지 좌변기로부터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제공받아 전체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는 배수마개에 간단히 개폐부재를 추가하는 정도의 구성만으로 상수도관으로부터 급수관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과 유출공 및 좌변기 본체의 배출관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절기에 효과적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파방지 좌변기와 연결된 상수도관 전체의 동파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좌변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유출공을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회전에 의한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유출공을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 개폐부재의 회전에 의한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는 용변을 처리하는 좌변기 본체(100a), 세척수를 미리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좌변기 본체(100a)에 연결된 배수구(130)를 통해 상기 좌변기 본체(100a)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100b), 상기 저수탱크(100b) 내부에서 배수구(130)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수마개(11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보면 일반적인 좌변기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개폐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간단한 추가 구성에 의해 동절기에 효과적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폐부재(12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배수마개(110)의 둘레부 일지점에 형성된 유출공(111a)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수마개(110)가 배수구(130) 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출공(111a)을 개방함으로써 동절기에 소량의 세척수를 저수탱크(100b)로부터 좌변기 본체(100a)에 지속적으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120)는 배수마개(110)의 둘레부 하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에서 배수마개(1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납작한 링 형상의 부재로 구비된다(배수마개(110)의 중앙부에는 상측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11b,111c)가 있으므로 상기 개폐부재(120)는 볼록부(111b,111c)를 회피하여 납작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120)에는 회전한 위치에 따라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과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개방공(120a)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5는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과 개폐부재(120)의 개방공(120a)이 엇갈린 상태에서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이 차단된 상태이며, 도 4 및 도 6은 개폐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과 개폐부재(120)의 개방공(120a)이 일치하게 된 상태에서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이 허용된 상태이다. 이처럼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이 허용되면 배수마개(110)가 배수구(130) 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소량의 세척수가 저수탱크(100b)로부터 좌변기 본체(100a)에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상수도관으로부터 급수관(150)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과 유출공(111a) 및 좌변기 본체(100a)의 배출관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좌변기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저수탱크(100b)와 연결된 상수도관 전체의 동파까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20)는 배수마개(110)의 하면에서 배수구(130) 입구 상단 둘레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고무 소재로 구비되어 팩킹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팩킹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20)의 소재를 고무로 하는 경우에는 고무 소재의 특성상 배수마개(110)에 대하여 개폐부재(120)를 회전시킬 때 양자 간의 마찰저항 때문에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배수마개(110)와 접하는 개폐부재(120)의 상면에 테프론 코팅에 의해 저마찰층(121)을 형성시켜 준다. 이로써 배수마개(110)에 대한 마찰저항 없이 개폐부재(1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면서 유출공(111a)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마개(110)는 배수구(130) 입구를 덮어주는 덮개부(111)와 오버플로우관(140)에 마련된 회전축(141)에 끼움홈(112a)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회전결합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마개(110)의 둘레부(덮개부(111)의 둘레부) 일지점에는 전술된 것처럼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공(111a)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공(111a)의 경우 배수마개(110)의 전단부 인근에서 리프트 체인(160)의 단부를 걸어서 연결하기 위한 체인걸이(115)를 상부 돌출된 형태로 성형할 때 체인걸이(115)의 하측으로 공동화되는 지점에 형성시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배수마개(110)에서 체인걸이(115)의 성형 시 그 하측으로 공동화되는 지점을 유출공(111a)으로 구성하게 되면 리프트 체인(160)의 연결지점이자 체인걸이(115)가 형성되는 지점과 유출공(111a)이 형성되는 지점을 서로 분산하지 않고 하나의 지점으로 통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단순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출공(111a)을 마련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체인걸이(115)를 성형할 때 유출공(111a)을 함께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측면에서도 단순화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는 개폐부재(120)의 개방공(120a)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점진 축소형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변형된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에 대하여 일치시킨 개방공(120a)의 위치를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변경할수록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정밀하게 줄여나가거나 혹은 반대로 세척수의 유출량을 정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기온에 따라 관리자가 판단하여 유출량을 다양한 단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관리자는 기온이 매우 낮은 온도로 급강화한 경우에 동파방지를 위해서는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수적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매우 낮은 온도는 아니라서 동파 발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라면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동파방지 좌변기에서는 개폐부재(120)의 개방공(120a)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개방공(120a)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경우 제1변형실시예와 비교하면 유출공(111a)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는 어렵지만 개방공(120a)의 개수에 따라 단계별로 세척수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면 분명히 장점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전술된 동파방지 좌변기(100)와, 개폐부재(120)가 회전하여 배수마개(110)의 유출공(111a)과 개폐부재(120)의 개방공(120a)이 일치한 위치가 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동파방지 좌변기 외측에 설치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감지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근거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와, 제어기가 생성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통신모듈을 통해 다수의 지역에 설치된 동파방지 좌변기로부터 동파방지 모드 정보 및 기온정보를 제공받아 전체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배수마개(110)와 개폐부재(120)에 각각 설치되어 유출공(111a)과 개방공(120a)이 일치하게 되었을 때 서로 접촉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센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의 구성에 따르면 관리대상이 되는 지역 내에 속한 공중화장실 등의 야외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동파방지 좌변기에 대하여 동파방지 모드 여부 및 기온을 모니터링하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a: 좌변기 본체 100b: 저수탱크
110: 배수마개 111: 덮개부
111a: 유출공 112: 회전결합부
115: 체인걸이 120: 개폐부재
120a: 개방공 121: 저마찰층
130: 배수구 140: 오버플로우관
150: 급수관 160: 리프트 체인

Claims (8)

  1. 용변을 처리하는 좌변기 본체; 세척수를 미리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좌변기 본체에 연결된 배수구를 통해 상기 좌변기 본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 및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서 배수구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수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마개의 일지점에는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마개에 유출공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마개가 배수구 입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유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소량의 세척수를 저수탱크로부터 좌변기 본체에 지속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배수마개의 둘레부 일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둘레부 일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마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납작한 링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회전한 위치에 따라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과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을 허용하는 개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하면에서 상기 배수구 입구 상단 둘레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고무 소재로 구비되어 팩킹 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마개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배수마개의 전단부 인근에서 리프트 체인의 단부를 걸어서 연결하기 위한 체인걸이를 상부 돌출된 형태로 성형할 때 상기 체인걸이의 하측으로 공동화되는 지점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점진 축소형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에 대하여 일치시킨 개방공의 위치를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변경할수록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정밀하게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은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개방공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유출량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와 접하는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테프론 코팅된 저마찰층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시 상기 배수마개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좌변기.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동파방지 좌변기;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배수마개의 유출공과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공이 일치한 위치가 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동파방지 좌변기 외측에 설치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근거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가 생성한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다수의 지역에 설치된 동파방지 좌변기로부터 동파방지 모드 정보와 기온정보를 제공받아 전체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동파방지 시스템.
KR1020220035499A 2022-03-22 2022-03-22 동파방지 좌변기 KR10262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99A KR102628526B1 (ko) 2022-03-22 2022-03-22 동파방지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99A KR102628526B1 (ko) 2022-03-22 2022-03-22 동파방지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710A true KR20230137710A (ko) 2023-10-05
KR102628526B1 KR102628526B1 (ko) 2024-01-25

Family

ID=8829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99A KR102628526B1 (ko) 2022-03-22 2022-03-22 동파방지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84Y1 (ko) * 1997-11-06 1999-11-15 임원기 위생세정장치
KR20030049415A (ko) * 2001-12-14 2003-06-25 강태규 변기탱크용 동파방지장치
KR200369780Y1 (ko) * 2004-08-19 2004-12-16 심종수 변기
KR20130007722A (ko) * 2011-07-11 2013-01-21 김경중 수세식 좌변기의 결빙방지구조
KR20140146967A (ko) * 2013-06-18 2014-12-29 성여경 좌변기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101891827B1 (ko)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84Y1 (ko) * 1997-11-06 1999-11-15 임원기 위생세정장치
KR20030049415A (ko) * 2001-12-14 2003-06-25 강태규 변기탱크용 동파방지장치
KR200369780Y1 (ko) * 2004-08-19 2004-12-16 심종수 변기
KR20130007722A (ko) * 2011-07-11 2013-01-21 김경중 수세식 좌변기의 결빙방지구조
KR20140146967A (ko) * 2013-06-18 2014-12-29 성여경 좌변기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101891827B1 (ko)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526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0496A (ko) 캐니스터 플러쉬밸브
US20200141106A1 (en)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US8132273B2 (en) Toilet fill valve including leak prevention mechanism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KR102628526B1 (ko) 동파방지 좌변기
GB2307702A (en) W.C. flush system
CN101974929B (zh) 一种漏水保护装置
US4928327A (en) Device for reducing rinsing water consumption
KR200408144Y1 (ko)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US4993086A (en) Emergency shut-off mechanism for flush tank
KR101853963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897560B1 (ko) 양변기의 물탱크를 개폐하는 물덮개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JPH07180203A (ja) 水洗式便器における凍結防止構造
KR102073234B1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JPS6333026Y2 (ko)
JPH11510224A (ja) 弁装置
KR20021170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US6151725A (en) Hygienic toilet tank
JP3511748B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