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44Y1 -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44Y1
KR200408144Y1 KR2020050032826U KR20050032826U KR200408144Y1 KR 200408144 Y1 KR200408144 Y1 KR 200408144Y1 KR 2020050032826 U KR2020050032826 U KR 2020050032826U KR 20050032826 U KR20050032826 U KR 20050032826U KR 200408144 Y1 KR200408144 Y1 KR 200408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valve body
fluid
valv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다
Priority to KR202005003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샤워기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었을 경우 밸브체에서 헤더 사이의 배관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밸브 몸체에 배출수단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중앙에 제1유로(11)가 형성되고, 축방향 일측은 밸브체(4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샤워기(50)에 연결되는 밸브 몸체(10)와,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제1샤워기(50)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될 경우 상기 제1샤워기(50)의 배관(52)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이다.
밸브 몸체, 배출수단

Description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Drain valve for shower}
도 1은 종래에 따른 샤워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밸브체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배관상에 잔존되어진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가 샤워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밸브체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유체의 흐름이 방향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가 샤워기에 설치된 상태의 사 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밸브 몸체 11: 제1유로
12: 제2유로 20: 배출수단
21: 배출레버 22: 배출구
20: 방향전환밸브 40: 밸브체
41: 개폐레버 50: 제1샤워기
60: 제2샤워기
본 고안은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를 사용한 후 샤워기 배관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욕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에 배관된 냉,온수관과 접속되어 각종 레버들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체에 배관으로 연결된 헤드가 냉수나 온수를 뿌려주어 간편하게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샤워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샤워기는 배관에 배관된 냉,온수관에 접속되어 각종 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체(1)와, 상기 밸브체(1)에서 개방된 유체가 상측으로 배출 시키는 배관(2)과, 상기 배관(2)의 단부에 설치되어 온수나 냉수를 토출하는 헤더(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샤워기는 사용자가 밸브체(1)의 개폐레버(1a)를 개방함으로서, 온,냉수가 선택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배관(2)을 따라 상측의 헤더(3)에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개폐레버(1a)를 폐쇄함으로서, 토출되던 물의 토출이 정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워기는 사용이 정지된 후에는 밸브체(1)에서 헤더(3) 사이의 배관(2) 사이에 유체의 잔유량이 많이 남아 있어 재사용시 밸브체(1)의 개폐레버(1a)를 개방하게 되면 배관(2) 사이에 잔존되어진 잔유량이 오랫동안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 등에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2) 사이에 잔존되어진 유체에 의해 불필요한 냉수가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샤워기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었을 경우 밸브체에서 헤더 사이의 배관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밸브 몸체에 배출수단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 제1유로가 형성되고, 축방향 일측은 밸브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샤워기에 연결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제1샤워기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될 경우 상기 제1샤워기의 배관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제1샤워기의 배관 상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유체를 개방시키는 배출레버와, 상기 배출레버의 개방에 따라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2샤워기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방향전환밸브를 더 설치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100)는 개폐레버(41)가 설치된 밸브체(40)와 물이 분출되는 헤더(51) 사이의 배관(5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밸브 몸체(10)와 배출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몸체(10)는 중앙에 제1유로(11)가 형성되고, 축방향 일측은 밸브체(4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샤워기(5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샤워기(50)는 일명 레인샤워라고 하는 것으로 밸브체(40)에서 고정된 배관(52) 상에 물이 토출되는 헤더(51)가 고정되어진 타입인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20)은 상기 밸브 몸체(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제1샤워기(50)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될 경우 상기 제1샤워기(50)의 배관(52)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으로, 제1샤워기(50)의 배관(52) 상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유체를 개방시키는 배출레버(21)와, 상기 배출레버(21)의 개방에 따라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2)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레버(21)는 레버 본체(21a)에 이동축(21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21b)의 전방에 디스크(21c)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21b)이 레버 본체(21a)의 내부에서 전,후진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축(21b)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21d)가 결합되어 이동축(21b)을 누를 경우에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40)와 헤더(51)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52)상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밸브체(40)의 개폐레버(41)를 조절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게 되면, 물은 밸브 몸체(10)의 중앙의 제1유로(11)를 통해 배관(52)을 거쳐 헤더(51)에서 분출되어 사용자는 샤워가 가능하다.
그리고, 샤워가 정지된 후에는 밸브 몸체(10)에 형성된 배출레버(21)를 누루게 되면 배출레버(21)의 이동축(21b)가 전진되면서 전방의 디스크(21c)가 폐쇄시킨 유로가 개방됨으로서, 유체를 배출구(22) 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워후 배출레버(21)를 누름으로서, 밸브체(40)에서 헤더(51) 사이의 배관(52)에 충진되어져 있던 물이 배출구(22)로 배출됨으로서, 다시 샤워기를 동작하게 되면 원하는 온도의 물을 신속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제1샤워기(50) 및 제2샤워기(60)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말해, 상기 밸브 몸체(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2샤워기(60)와 연통되는 제2유로(12)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유로(11)와 제2유로(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방향전환밸브(30)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밸브는 유로공이 형성된 전환밸브 몸체(31)의 내부에 축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축부재(32)의 단부에 디스크(33)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32)의 외측에는 탄성부재(34)가 결합되어 축부재(32)을 눌렀을 경우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100)는 밸브체(40)의 개폐레버(41)를 개방하게 되면 유체는 제1샤워기(50) 또는 제2샤워기(60)로 유출되는데 상기 방향전환밸브(30)를 동작시키지 않으면 물은 제1샤워기(50) 측으로 유출되며, 상기 방향전환밸브(30)를 누르게 되면 축부재(32)가 전 진되어져 제1유로(11)를 폐쇄시킴과 아울러 제2유로(12)를 개방시켜 물의 흐름이 제2샤워기(60) 측으로 유출된다.
또한, 샤워가 끝난 후에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레버(21)를 누르게 되면 이동축(21b)이 레버 본체(21a)에서 전진되고, 이에 따라 전방의 디스크(21c)가 유로를 개방함으로서, 밸브체(40)와 제1샤워기(50)의 헤더(51) 사이의 배관(52)에 잔존되어진 물을 배출구(22)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제2샤워기(60)의 호스에 잔존되어진 물은 배출레버(21)를 동작시켜도 배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드레인 밸브는 밸브 몸체에 배출수단을 형성시킴으로서, 샤워기의 유체 흐름이 차단되었을 경우 밸브체에서 헤더 사이의 배관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배출시켜 재 샤워시 원하는 온도의 물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중앙에 제1유로(11)가 형성되고, 축방향 일측은 밸브체(4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샤워기(50)에 연결되는 밸브 몸체(10)와,
    상기 밸브 몸체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제1샤워기(50)로의 유체 흐름이 차단될 경우 상기 제1샤워기(50)의 배관(52) 상에 잔존되어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은 제1샤워기(50)의 배관(52) 상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유체를 개방시키는 배출레버(21)와, 상기 배출레버(21)의 개방에 따라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2샤워기(60)와 연통되는 제2유로(12)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유로(11)와 제2유로(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방향전환밸브(30)를 더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KR2020050032826U 2005-11-21 2005-11-21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KR200408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6U KR200408144Y1 (ko) 2005-11-21 2005-11-21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6U KR200408144Y1 (ko) 2005-11-21 2005-11-21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44Y1 true KR200408144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26U KR200408144Y1 (ko) 2005-11-21 2005-11-21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511B1 (ko) * 2004-08-26 2012-02-27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용 레귤레이터
WO2021235918A1 (ko) * 2020-05-22 2021-11-25 손영삼 호스커넥터
KR20210144424A (ko) * 2020-05-22 2021-11-30 손영삼 샤워호스용 커넥터
KR102376955B1 (ko) * 2020-10-06 2022-03-21 손영삼 호스커넥터
KR102535572B1 (ko) 2022-04-14 2023-05-26 (주)화수 샤워기 드레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511B1 (ko) * 2004-08-26 2012-02-27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용 레귤레이터
WO2021235918A1 (ko) * 2020-05-22 2021-11-25 손영삼 호스커넥터
KR20210144424A (ko) * 2020-05-22 2021-11-30 손영삼 샤워호스용 커넥터
KR102398559B1 (ko) * 2020-05-22 2022-05-16 손영삼 샤워호스용 커넥터
KR102376955B1 (ko) * 2020-10-06 2022-03-21 손영삼 호스커넥터
KR102535572B1 (ko) 2022-04-14 2023-05-26 (주)화수 샤워기 드레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144Y1 (ko) 샤워기용 드레인 밸브
CA2170428A1 (en) Ball Valve with a Strainer and Integrated Means for Flushing the Strainer
US20230143534A1 (en) Sanitary outlet unit
WO2018133751A1 (zh) 独立水路的排冷装置
US20060016001A1 (en) Ceramic diverter for tub spout
US20090014075A1 (en) Dispenser Tap with Two Stage Valve
EP1860358A1 (en) Upwardly and downdwardly discharged faucet
CN208997397U (zh) 一种水路开关切换阀和浴缸的水路切换阀
US20160090720A1 (en) Two-Path Water Output Device
JP4199347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KR100704196B1 (ko)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JP4266303B2 (ja) 吐水金具
JP649749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215673735U (zh) 一种能排残留水的龙头
JPS6329008Y2 (ko)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100836647B1 (ko) 비데
US209539A (en) Improvement in hot, cold, and waste water cocks
CA2310194A1 (en) Sanitary single-handle water faucet
KR200314022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101154608B1 (ko) 족답식 수전금구
KR200374734Y1 (ko) 샤워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