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150A -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150A
KR20230137150A KR1020220034953A KR20220034953A KR20230137150A KR 20230137150 A KR20230137150 A KR 20230137150A KR 1020220034953 A KR1020220034953 A KR 1020220034953A KR 20220034953 A KR20220034953 A KR 20220034953A KR 20230137150 A KR20230137150 A KR 20230137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ck
rail
replacement device
reactive p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623B1 (ko
Inventor
강대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3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6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activ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고정레일에 고정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레일; 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터; 파워 팩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워 팩을 레일 위로 올리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승강기구는 풀리; 풀리에 안내되는 승강 와이어;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된 지그 및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고, 승강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하고, 지그는 파워 팩이 레일 위로 올려진 후 파워 팩과 분리되고, 파워 팩은 지그와 분리된 후 전자기기의 캐패시터와 접속된다.

Description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Replacement device of a Power pack for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본 발명은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을 교체할 수 있는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연송전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의 흐름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대용량 전력 수송과 계통의 안전성 향상을 동시에 가능케 하는 전력 수송 방식을 말한다. 유연송전시스템은 전력 계통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교류 전력 계통의 단점을 보완하여 설비 사용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전력시스템 기술이다.
유연송전시스템 기술 도입 효과로는 전력계통 제어 범위의 확대로 인한 송전용량 증대, 송전용량을 제한하거나 기기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계통 동요 억제 및 계통 안정화 제어, 계통 사고 및 기기고장 파급억제 등이 있다. 또한, 유연송전시스템은 송배전시 손실되는 무효전력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유연송전시스템은 전압 변동을 억제하고, 역률 제어를 통해 양질의 전기 품질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유연송전시스템은 기계적 차단기와 커패시터, 리액터 등의 수동 소자를 사용한 1세대 기술에서 진일보하여 근래에는 전력반도체 소자와 신기술을 접목하여 진일보된 무효전력 보상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무효전력 보상장치로 SVC, STATCOM 등이 있다.
SVC(Static Var Compensator)는 싸이리스터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병렬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설비로 기존에 사용되던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 뱅크를 TSC(Thyristor Switched Capacitor)로,리액터 뱅크를 TCR(Thyristor Controlled Reactor)로 대체하여 전력품질 및 계통 안정도를 향상시킨 병렬 유연송전시스템의 대표적인 형태 중의 하나이다.
STATCOM은 싸이리스터(Thyristor) 스위칭 방식의 전력제어 설비가 아닌 전압원 인버터에 의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이다.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은 최신의 고전압,대전력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적용한 전압형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기술을 사용하여 SVC 시스템 대비 빠른 대응속도를 갖는다. STATCOM은 부지 면적과 고조파 발생량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STATCOM는 모듈식 멀티레벨 컨버터(MM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를 이용한 MMC STATCOM일 수 있고, 이러한 MMC STATCOM는 컨테이너와, 파워 팩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MMC STATCOM는 컨테이너의 제한된 공간에서 파워 팩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중량물인 파워 팩(예를 들면, 80kg)의 교체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교체할 경우, 교체 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파워 팩의 교체 시간이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고정레일에 고정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레일; 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터; 파워 팩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워 팩을 레일 위로 올리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승강기구는 풀리; 풀리에 안내되는 승강 와이어;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된 지그 및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고, 승강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하고, 지그는 파워 팩이 레일 위로 올려진 후 파워 팩과 분리되고, 파워 팩은 지그와 분리된 후 전자기기의 캐패시터와 접속된다.
풀리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지그는 승강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가 형성된 지그 바디; 지그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축; 및 지지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바디는 상판; 및 상판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에는 지지축이 관통되는 지지축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축은 지그 바디에 한 쌍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축은 지그 바디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에는 고정 핀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고정 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축은 파워 팩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윈치는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서포터는 한 쌍 제공되고, 한 쌍의 서포터는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포터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체결부재에 연결된 턴 버클; 및 턴 버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레일에 연결된 지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의 측단에는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이 제한적인 컨테이너에서도 파워 팩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교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지그가 파워 팩을 승강시키므로, 작업자가 파워 팩을 들어 올리는 경우 보다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팩 교체 장치를 정 위치하여 에 파워 팩을 교체할 때의 사시도,
도 4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교체 장치와, 파워 팩 및 캐패시터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측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스테콤 시스템일 수 있고, 스테콤은 변압기(STATCOM Transformer, 1), 단로기 (Disconnector Switch, 2), 상 리액터 (Phase Reactor, 3), 제어 및 보호 패널(Control and Protextion Panel, 4) 등이 있다.
제어 및 보호 패널(4)은 MMC Valve(Modular Multi-level Converter Valve)라고도 한다. 이하, MMC Valve에 대해 도면부호 4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MMC Valve(4)에는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전력전자 소자인 IGBT(5)가 핵심 부품으로 들어간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전력기기(10A)는 복수 개의 프레임(16)으로 지지된다. 프레임(16)은 수직 프레임(16a), 수평 프레임(16b), 지지부(16c) 및 고정 프레임(16d)을 포함한다.
프레임(16)에는 캐패시터(17), 및 파워 팩(20)이 설치된다.
캐패시터(17)과 파워 팩(20)은 서브 모듈을 구성할 수 있고, 파워 팩(20)는 프레임(16)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는 파워 팩(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팩 교체 장치를 정 위치하여 파워 팩을 교체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교체 장치와, 파워 팩 및 캐패시터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10A) 중 캐패시터(17)에는 한 쌍의 부스 바(17A)가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파워 팩(20)에는 부스 바(17A)가 접속되는 핑거 클립(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핑거 클립은 파워 팩(20) 중 캐패시터(17)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10A)는 캐패시터(17) 및 파워 팩(20)을 지지하는 고정레일(19)가 배치될 수 있다.
파워 팩(20)은 고정레일(19) 위에서 고정레일(19)에 안내될 수 있고, 캐패시터(17)로 접근하여, 캐패시터(17)에 접속될 수 있으며, 캐패시터(17)에서 멀어져, 캐패시터(17)와 분리될 수 있다.
고정레일(19)는 지지부(16c)의 상측에 지지부(16c)와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6c)는 후술하는 컨테이너(30)의 길이 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고정레일(19)는 길이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테이너(30)의 길이 방향(X)을 좌우 방향(X)으로 설명하고, 직교한 방향(Y)을 전후 방향(Y)으로 설명한다.
캐패시터(17)와 파워 팩(20)는 전후 방향(Y)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파워 팩(20)은 고정레일(19)의 위에서 고정레일(19)을 따라 전후 방향(Y)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장치는 컨테이너(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30)의 내부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0)는 컨테이너 베이스(32)와, 컨테이너 프레임(34)를 포함함 수 있다.
컨테이너 베이스(32)의 상면에는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10A)가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베이스(32)의 상면에는 로어 프레임(33A)가 배치될 수 있고, 로어 프레임에는 인슐레이터(33B)가 제공될 수 있다.
MMC Valve를 구성하는 전력기기(10A)는 인슐레이터(33B)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프레임(34)는 컨테이너 베이스(32)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컨테이너 베이스(32)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컨테이너 프레임(34)의 사이는 개방될 수 있다. 복수개 컨테이너 프레임(34)의 사이에는 개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5)는 컨테이너(30) 내부의 공간(S)과 통할 수 있다.
컨테이너(30)는 복수개 컨테이너 프레임(34)의 상부를 잇는 상부 프레임(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교체 장치(40)는 파워 팩(20)의 교체를 위한 레일(50: Rail)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50)은 고정레일(19)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Y))으로 고정레일(19)에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50)는 파워 팩(20)의 교체 전 전력기기(10A)에 결합될 수 있고, 파워 팩(20)의 교체 후 전력기기(10A)에서 분리될 수 있다. 레일(50)는 전격기기(10A)에 결합/분리되는 파워 팩 교체용 레일일 수 있다.
레일(50)은 고정레일(19)과 동일 형상일 수 있고, 좌우 방향(X)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0)의 일단(51)은 고정레일(19)에 근접할 수 있고, 레일(50)의 타단(52)은 일단(51)의 반대편일 수 있다.
레일(50)에는 와이어 커넥터(54)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54)는 레일(50)의 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54)는 레일(50)의 일단(51) 보다 레일(50)의 타단(52)에 근접할 수 있다.
교체 장치(40)는 레일(5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60)는 컨테이너(2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62)와, 체결부재(62)에 연결된 턴 버클(64)과, 턴 버클(64)과 레일(50)에 연결된 지지 와이어(66; Supporting Wire)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62)의 일 예는 아이 볼트(EYE-BOLT)일 수 있다. 체결부재(62)는 컨테이너(30) 특히, 상부 프레임(36)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 와이어(66)은 레일(5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와이어(66)는 레일(50)의 쳐짐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 와이어(66)의 상단은 턴 버클(6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지지 와이어(66)의 하단은 레일(50)의 측단에 돌출된 와이어 커넥터(54)에 연결될 수 있다.
교체 장치(40)는 한 쌍의 서포터(60)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서포터(50)는 제1 서포터(60A: 좌측 서포터)와, 제2 서포터(60B: 우측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60A)와, 제2 서포터(60B)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서포터(60A)와, 제2 서포터(60B)는 좌우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교체 장치(40)는 파워 팩(2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70)는 파워 팩(20)을 레일(50)의 위로 올릴 수 있고, 파워 팩(20)이 레일(50)에 안착되면, 파워 팩(20)과 분리될 수 있다.
승강기구(70)는 파워 팩(3)의 승강을 위한 풀리(80: Pully)와, 파워 팩(3)의 승강을 위한 지그(90; Jig)와, 파워 팩(3)의 승강을 위한 승강 와이어(100; Moving Wire)와, 파워 팩(3)의 승강을 위한 윈치(110; Winch)를 포함한다.
풀리(80)는 컨테이너(2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82)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82)의 일 예는 아이 볼트(EYE-BOLT)일 수 있다. 체결부재(82)는 컨테이너(30) 특히, 상부 프레임(36)에 체결될 수 있다.
풀리(80)는 승강 와이어(100)를 안내할 수 있고, 일 예로 도르레일 수 있다.
지그(90; Jig)는 파워 팩(20)의 상부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지그(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팩(20)의 상부를 관통하는 지지축(94)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팩(20)은 지지축(94)에 매달릴 수 있다.
지그(90)는 파워 팩(20)이 레일(20) 위로 올려진 후, 파워 팩(20)과 분리될 수 있다.
파워 팩(20)은 지그(90)와 분리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17)로 이동되어 캐패시터(17)와 접속될 수 있다.
승강 와이어(100)의 일단은 지그(90; Jig)에 연결되고, 승강 와이어(100)의 타단은 윈치(110)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 와이어(10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풀리(90)에 올려질 수 있고, 풀리(90)에 지지될 수 있다.
윈치(110)는 승강 와이어(100)의 타단이 연결되는 회전축(112)와, 회전축(11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윈치 바디(116)(118)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110)는 회전축(112)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치(110)는 승강 와이어(100)를 감기나 풀 수 있다.
윈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30) 특히, 컨테이너 베이스(32)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윈치 바디(116)(118)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컨테이너 베이스(3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지그(90)는 승강 와이어(100)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91)가 형성된 지그 바디(92)와, 지그 바디(92)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축(94)와, 지지축(9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축(9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핀(96)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바디(92)는 상판(92A)와, 상판(92A)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92B)(9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92A)의 상면에는 승강 와이어(100)의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91)가 형성될 수 잇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92B)(92C)에는 지지축(94)가 관통되는 지지축 관통홀(92D)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축(94)은 지그 바디(92)에 한 쌍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축(94)은 지그 바디(92)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94)에는 고정 핀(96)이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고, 고정 핀 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체결부재(62)는 컨테이너(30) 상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C 형강(37)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62)는 승강 기구(70)의 체결부재(82)와 이격된 서포터 체결부재일 수 있다.
풀리(80)는 체결부재(82)에 연결되는 체결부재 커넥터(84)와, 커넥터(84)와 연결된 한 쌍의 풀리 바디(85)(86)와, 한 쌍의 풀리 바디(85)(86) 사이에 배치되고 승강 와이어(100)가 안내되는 회전축(88)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82)는 컨테이너(30) 상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C 형강(38)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82)는 서포터(60)의 체결부재(62)와 이격된 승강기구 체결부재일 수 잇다,
회전축(88)는 한 쌍의 풀리 바디(85)(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파워 팩(20)은 커버부(210), 출력 부스바(250), 절연 하우징(260), 케이스 유닛(410)와, 통전 부스바(420)와, 냉각 플레이트(430)와, IGBT(440)와, 카트 유닛(510), 브라켓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유닛(41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410)에는 IGBT 수용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IGBT 수용부(413)는 제1 IGBT(441)가 수용되는 제1 IGBT 수용부(413a) 및 제2 IGBT(442)가 수용되는 제2 IGBT 수용부(413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 부스바(420)는 제1 통전 부스바(421)와, 제2 통전 부스바(4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430)에는 저온의 냉각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431)와, 고온의 냉각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432)가 형성될 수 있다.
IGBT(440)는 제1 IGBT(441) 및 제2 IGBT(44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 유닛(510)은 파워 팩(20)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레일(50) 및 고정레일(19)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브라켓 유닛(520)은 수평부(521) 및 수직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유닛(520)은 카트 유닛(51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팩(20)는 지그(90)의 지지축(94)에 매달리기 위해 지지축(94)과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12)은 파워 팩(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12)는 케이스 유닛(410)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412)는 돌출부(4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12)에는 지그(90)의 지지축(94)이 관통될 수 있고, 파워 팩(20)은 지그(90)에 매달릴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전자기기 17: 캐패시터
19: 고정레일 20: 파워 팩
30: 컨테이너 40: 교체 장치
50: 레일 60: 서포터
70: 승강기구 80: 풀리
90: 승강 와이어 100: 지그
110: 윈치

Claims (13)

  1. 파워 팩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워 팩을 레일 위로 올리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풀리;
    상기 풀리에 안내되는 승강 와이어;
    상기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된 지그 및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를 포함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고정레일에 고정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파워 팩이 상기 레일 위로 올려진 후 상기 파워 팩과 분리되고,
    상기 파워 팩은 상기 지그와 분리된 후 상기 전자기기의 캐패시터와 접속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연결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승강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가 형성된 지그 바디;
    상기 지그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바디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에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는 지지축 관통홀이 형성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그 바디에 한 쌍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축은 지그 바디에 이격되게 배치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고정 핀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고정 핀 홀이 형성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파워 팩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베이스에 장착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한 쌍 제공되고, 한 쌍의 서포터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연결된 턴 버클 및
    상기 턴 버클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레일에 연결된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측단에는 상기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가 돌출된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KR1020220034953A 2022-03-21 2022-03-2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KR10265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53A KR102657623B1 (ko) 2022-03-21 2022-03-2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53A KR102657623B1 (ko) 2022-03-21 2022-03-2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150A true KR20230137150A (ko) 2023-10-04
KR102657623B1 KR102657623B1 (ko) 2024-04-15

Family

ID=8829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953A KR102657623B1 (ko) 2022-03-21 2022-03-2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62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14A (ko) * 1999-12-16 2001-07-04 이구택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JP2002087516A (ja) * 2000-09-19 2002-03-27 Nippon Yusoki Co Ltd 車輌のバッテリ交換装置
JP2006182506A (ja) * 2004-12-27 2006-07-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機器昇降装置及び電気機器昇降方法
KR20110074434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윈치 구동 시스템
US20140119866A1 (en) * 2012-10-25 2014-05-01 Mark Alan Pruskauer Hoisting platform system
KR20140105111A (ko) * 2013-02-22 2014-09-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건조용 리프터
KR20150078487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KR20160016321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20170140817A (ko) * 2016-06-13 2017-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이스트 장치
KR20220022784A (ko) * 2020-08-19 2022-02-28 엘에스일렉트릭(주)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14A (ko) * 1999-12-16 2001-07-04 이구택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JP2002087516A (ja) * 2000-09-19 2002-03-27 Nippon Yusoki Co Ltd 車輌のバッテリ交換装置
JP2006182506A (ja) * 2004-12-27 2006-07-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機器昇降装置及び電気機器昇降方法
KR20110074434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윈치 구동 시스템
US20140119866A1 (en) * 2012-10-25 2014-05-01 Mark Alan Pruskauer Hoisting platform system
KR20140105111A (ko) * 2013-02-22 2014-09-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건조용 리프터
KR20150078487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KR20160016321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20170140817A (ko) * 2016-06-13 2017-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이스트 장치
KR20220022784A (ko) * 2020-08-19 2022-02-28 엘에스일렉트릭(주)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623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auder STATCOM for compensation of large electric arc furnace installations
KR101779909B1 (ko) 지상 및 진상 자동 역률 보상 시스템이 포함된 수배전반
CN207939210U (zh) 一种具有减震散热功能的动态电压调节装置
KR101762407B1 (ko) 컨버터의 접지를 위한 단락장치
KR102657623B1 (ko)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Reed et al. SDG&E Talega STATCOM project-system analysis, design, and configuration
Wang et al. Analysis of power quality issues of electrified railway
US119907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tability of grid-connected wind generator system
CN210350617U (zh) 旁路绝缘引流线托架
CN211405243U (zh) 一种自锁式推拉抽屉无功补偿装置
Toodeji et al. Cost reduction and control system improvement in electrical arc furnace using DVR
CN214706604U (zh) 一种带有可调式电缆固定装置的开关柜
CN216016124U (zh) 一种开关柜电气自动化设备的支撑机构
CN215575470U (zh) 一种电力耐压试验接线架
Mir et al. Power Electronic Autotransformer Based 3× 25 kV Network for Power Quality Enhancement In Railway Supply Systems
CN215834899U (zh) 一种用于gck低压抽出式开关柜母线安装结构
Kihwele Enhancement of Voltage stability margin using FACTS devices for 132 kV Tanzania grid network
CN207896671U (zh) 一种分布式光伏电站无功调节控制装置
CN216162291U (zh) 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220136379U (zh) 一种配电室环境监测装置
CN214797021U (zh) 一种便于调节的电抗器安装支架
CN211405134U (zh) 带电能质量优化功能分支箱
CN215221365U (zh) 一种开关柜用固定装置
CN220691859U (zh) 一种有载分接开关支撑架
CN219691197U (zh) 用于高压直流输电系统的阀厅以及高压直流输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