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614A -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 Google Patents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614A
KR20010056614A KR1019990058160A KR19990058160A KR20010056614A KR 20010056614 A KR20010056614 A KR 20010056614A KR 1019990058160 A KR1019990058160 A KR 1019990058160A KR 19990058160 A KR19990058160 A KR 19990058160A KR 20010056614 A KR20010056614 A KR 20010056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roll
disc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금철
김용국
남기용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5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6614A/ko
Publication of KR2001005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 압연라인에서 사용중인 워크롤의 표면을 연삭하기 위하여 롤을 권상하여 연마기에 세팅작업을 실시할 때 와이어를 이용하여 쵸크를 회전시킴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안전성 및 설비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레인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구동모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워크롤을 권상 혹은 권하시키는 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축상에 유격을 갖고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작동부로 배분하도록 상기 축상에 고정된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며 설치된 다수의 보조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기어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라이닝을 통해 상기 축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권상 혹은 권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롤을 연마기에 세팅작업할 때에 설비간의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트러블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WINCH WIRE APPARATUS FOR ROLL CHOCK ROTATION}
본 발명은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 압연라인에서 사용중인 워크롤의 표면을 연삭하기 위하여 롤을 권상하여 연마기에 세팅작업을 실시할 때 와이어를 이용하여 쵸크를 회전시킴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안전성 및 설비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라인에서 사용되는 워크롤은 롤을 지지하는 2개의 쵸크(베어리박스)와 함께 일정기간 사용된 후 인출되어 롤 표면을 일정량 만큼 연마하기 위해 연마기에 세팅되게 된다.
이때, 중량체의 롤은 대단히 무겁기 때문에 롤 크레인으로 권상(리프팅)되며, 상기 롤을 지지하는 2개의 쵸크를 90도 반전시킨 후 롤의 연마기 세팅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쵸크를 회전시키는 수단이 종래에는 전동체인으로 되어 있어 정확한 권상, 권하가 어렵고 쵸크의 자중에 의해 체인이 늘어나게 되어 잦은 교체 및 설비와의 간섭이 심해 절단으로 인한 설비사고를 유발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저하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위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기존의 전동체인 대신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제동수단을 이용한 와이어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설비의 트러블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치 와이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 와이어장치의 작동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치 와이어장치의 기어부를 보인 측단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 와이어장치의 제동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 와이어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의 정단면도 및 롤 쵸크의 조립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동부, 12 : 구동모터,
20 : 작동부, 22 : 안내디스크,
23 : 주베이스, 24 : 체인,
25 : 안내가이드, 26 : 안내롤러,
27 : 제동롤러, 30 : 와이어,
32 : 가이드홈, 41,42,43,44 : 기어,
46 : 축, 60 : 제동부,
61 : 브레이크패드, 62 : 디스크라이닝,
64 : 플레이트, 73 : 아암,
75 : 쵸크, 99 : 롤 통.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구동모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워크롤을 권상 혹은 권하시키는 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축상에 유격을 갖고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작동부로 배분하도록 상기 축상에 고정된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며 설치된 다수의 보조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기어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라이닝을 통해 상기 축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와이어장치는 크게 구동부(10)와, 상기구동부(10)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20)와, 상기 작동부(20)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기어군으로 이루어진 기어부(40)와, 상기 기어부(40)의 후측에 설치되어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제동부(60)로 구성된다.
구동부(10)는 구동원인 구동모터(1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2)는 베이스(16)상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6)는 그 일부가 원형태로 천공되며 상기 구동모터(12)가 상기 베이스(16)의 천공부 외테두리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회전축(14)이 상기 천공부를 관통하여 그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작동부(20)는 그 요부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주베이스(23)에 안내디스크(22)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전방에는 고정디스크(21)가 고정된다.
상기 안내디스크(22)는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축(14)과 연결되는 후술할 기어축에 고정되므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베이스(23)의 개방된 전면은 상기 베이스(16)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에는 와이어(30)가 권취되는 바, 상기 와이어(30)의 일단은 상기 주베이스(23)의 하단면에 형성된 입구측을 통해 주베이스(23) 내부로 인입되되 유도가이드(31)에 의해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으로 안내되며, 상기 입구측과 인접하여 형성된 출구측을 통해 인출된다.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직하방 양측에는 그 보다 훨씬 작은 직경을 가진 안내롤러(26) 및 제동롤러(27)가 고정핀(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각 롤러(26)(27)의 외주연에는 상기 와이어(30)가 일부 권취된 형상으로 걸려 있으며, 특히 제동롤러(27)에는 다소 경사진 형상으로 브라켓(28)이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롤러(27)가 고정되는 상기 주베이스(23)상에는 다소 경사진 형상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롤러(27)는 상기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8)의 일단은 상기 제동롤러(27)의 축상에 고정핀(29)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체인(24)과 연결된다.
상기 체인(24)은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에 권취된 와이어(30)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디스크(22) 외주연의 절반정도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V'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인(24)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된 다수의 돌부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호간의 고정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24)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 대향측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에는 안내가이드(25)가 구비되는 바, 상기 안내가이드(25)는 상기 와이어(3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수단이다.
기어부(40)는 도 1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주베이스(23) 배면에 설치된 다수의 기어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군은 축(46)상에 고정된 메인기어(41)와, 상기 메인기어(41)와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보조기어(42)(43)(44)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기어(41)의 축(46)은 상기 주베이스(23)를 관통하여 주베이스(23)의 개방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축(46)상에 전술한 안내디스크(22)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축(46)은 구동모터(12)의 회전축(14)과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축(46)의 후단에는 상기 구동모터(12) 이상발생시 수동으로 상기 기어군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핸들(미도시)을 고정하는 키(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군은 기어박스(48)에 의해 폐쇄된다.
제동부(60)는 도 1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기어박스(48)의 후측으로 돌출된 축(46)상에 브레이크패드(61) 및 디스크라이닝(62)이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라이닝(62)의 후측에는 플레이트(64)가 설치되는 바, 상기 플레이트(64)의 내부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볼과 스프링에 의해 회전조작을 다단조절가능한 삽입디스크(68)이 내장되며, 상기 플레이트(64)의 후측에는 또다른 브레이크패드(61)를 사이에 두고 앤드플레이트(63)가 고정되며, 상기 앤드플레이트(63)의 후측에는 외주에 오링(67)을 갖는 조절나사(66)가 체결된다.
축(46)은 상기 기어박스(48)의 후면을 관통하여 작동핸들에 의해 수동조작가능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도 5 및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와이어(30)가 입구측을 통해 삽입된 후 유도가이드(31)를 따라 제동롤러(27) 측면을 지날 때 후술할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구동모터(12)가 구동되면서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구동력은 회전축(14)을 통해 축(46)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메인기어(41) 및 보조기어(42)(43)(44)가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안내디스크(22)가 회전하면서 와이어(30)를 상승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 보조기어(42)(43)(44)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동부(60)의 플레이트(64)는 상기 메인기어(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삽입디스크(68)에 의해 디스크라이닝(62)과 브레이크패트(61)는 슬립이 생기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을 따라 권취되던 와이어(30)는 체인(24)측을 지나 출구측으로 인출되게 되며, 도시하지 않은 기존의 드럼에 권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30)가 체결된 윈치 와이어장치(A)는 롤 통(99)의 아암(73)과 실린더(72) 사이의 좌,우측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아암(73)을 통해 롤(66)을 집어 크레인의 일정높이까지 권상시키도록 한다.
권상이 완료되면 와이어(30) 단부에 매달린 핀(71)을 쵸크(75)의 측면에 형성된 홈(74)에 삽입한 후 롤 통(99)의 작동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2)가 동작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30)가 상승하게 되며 동시에 쵸크(75)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윈치 와이어장치(A)를 이용하여 쵸크(75)를 반전시킨 후 구동모터(12)를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 쵸크(75)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30)가 역회전하려고 밀리게 되고 이때 와이어(30)는 밀리면서 제동롤러(27)를 밀게 된다.
상기 제동롤러(27)는 가이드홈(32)을 따라 밀리면서 체인(24)을 당기게 되고, 당겨진 체인(24)은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연에 형성된 '∨'형 홈상에 상기 와이어(30)의 일부를 밀착시키면서 체인(24)의 '∪'형 돌출부가 압착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30)는 더 이상 역회전되어 인출되지 못하고 견실한 고정성을 구유하게 된다.
동시에, 제동부(60)에서는 역회전하려는 보조기어(42)(43)(44)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삽입디스크(68)가 상술한 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면서 디스크라이닝(62)과 브레이크패드(61)를 밀착시켜 기어군의 역회전을 완전히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워크롤(76)의 연마를 위해 크레인으로 권상하였을 때 전혀 밀림, 자중에 의해 낙하하려는 성질을 배제한 채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는 권상 혹은 권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롤을 연마기에 세팅작업할 때에 설비간의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트러블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동체인 및 호이스트 등을 사용한 기존에는 부속설비의 설치공간까지 확보하여야 하지만 윈치 와이어의 경우은 부속설비가 필요없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크레인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구동모터(12)를 갖는 구동부(10)와;
    상기 구동부(10)에 의해 워크롤(76)을 권상 혹은 권하시키는 와이어(3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12)와 연결된 축(46)상에 유격을 갖고 구비된 작동부(20)와;
    상기 작동부(20)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10)의 동력을 상기 작동부(20)로 배분하도록 상기 축(46)상에 고정된 메인기어(41)와 상기 메인기어(41)와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며 설치된 다수의 보조기어(42)(43)(44)로 이루어진 기어부(40)와;
    상기 기어부(40)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기어(42)(43)(44)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61)와 디스크라이닝(62)을 통해 상기 축(46)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제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0)는 상기 축(46)이 그 중심을 관통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주베이스(23)와;
    상기 주베이스(23)에 내장되되 상기 축(46)상에 일체로 고정되고 그 외주연에는 다수의 '∨'형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디스크(22)와;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에 권취된 와이어(30)의 이탈방지 및 원활한 안내를 위해 상기 안내디스크(22)의 외주 일부에 고정된 안내가이드(25)와;
    상기 안내가이드(25)와 대향되게 동일형태로 구비되며 그 일단이 브라켓(28)에 고정된 체인(24)과;
    상기 주베이스(23)상에 형성된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28)이 고정핀(29)에 의해 그 중심에 고정되며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30)의 일부가 권취가압되도록 설치된 제동롤러(27)와;
    상기 제동롤러(27)와 대향되는 상기 주베이스(23)상에 상기 와이어(30)의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30)의 일부를 권취가압하는 안내롤러(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KR1019990058160A 1999-12-16 1999-12-16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KR20010056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160A KR20010056614A (ko) 1999-12-16 1999-12-16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160A KR20010056614A (ko) 1999-12-16 1999-12-16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14A true KR20010056614A (ko) 2001-07-04

Family

ID=1962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160A KR20010056614A (ko) 1999-12-16 1999-12-16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6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150A (ko) * 2022-03-21 2023-10-04 엘에스일렉트릭(주)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150A (ko) * 2022-03-21 2023-10-04 엘에스일렉트릭(주)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3444A (en) Controlled motion crane
JP5517609B2 (ja) ロープ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CN105129541A (zh) 自动刹车式倒绳机
KR20010056614A (ko) 롤 쵸크 회전용 윈치 와이어장치
CA1053637A (en) Cable means and controlling internal tension in web rolls and method
CN109867220B (zh) 一种双滚筒机动绞磨逆止装置及其控制方法
CN211034752U (zh) 一种用于矿山机械的电缆放卷装置
CN105858416A (zh) 一种电梯用的曳引动力系统
JP4653973B2 (ja) ドラム溝形状修正装置
CN211594523U (zh) 一种电梯安装可调节放钢丝绳专用支架
CN215797554U (zh) 一种灵活性高的弱电工程用线缆放线装置
CN204396523U (zh) 钢卷胀圆开平机
US2475983A (en) Hoist
US372029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placing cables in multicable lifting devices
CN110884987A (zh) 一种收放绳装置
CN218025182U (zh) 一种用于炮缆绞车的新型带式刹车装置
CN217045714U (zh) 一种煤矿用绞车轮毂修复装置
CN217051436U (zh) 一种起重机卷筒用压绳装置
CN211470499U (zh) 一种收放绳装置
SU121119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рулонов при разматывании
CN115679026B (zh) 一种高炉残铁口开口机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N217078650U (zh) 一种卷扬式启闭机钢丝绳收放装置
CN219990663U (zh) 直牵式充气围油栏卷绕机
CN213265287U (zh) 一种室内施工升降机用的钢丝绳盘装置
CN217458327U (zh) 一种桥架翻盖板放线缆的穿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