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085A -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 Google Patents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085A
KR20230137085A KR1020220034794A KR20220034794A KR20230137085A KR 20230137085 A KR20230137085 A KR 20230137085A KR 1020220034794 A KR1020220034794 A KR 1020220034794A KR 20220034794 A KR20220034794 A KR 20220034794A KR 20230137085 A KR20230137085 A KR 2023013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materials
unit
moisturizing
agricultural
farm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창
김진호
김민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03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085A/ko
Priority to PCT/KR2022/009661 priority patent/WO2023182578A1/ko
Publication of KR2023013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을 소정의 깊이로 성형한 후에 농자재를 토양 속에 균일하게 시비하고 시비된 농자재를 다시 흙으로 덮어주는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THE AGRICULTURAL MATERIAL DEEP FERTILIZATION APPARATUS AND FERT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양을 소정의 깊이로 성형한 후에 농자재를 토양 속에 균일하게 시비하고 시비된 농자재를 다시 흙으로 덮어주는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하거나 부족 영양분을 보완해 주는 비료나 퇴비 등을 논이나 밭에 농민이 직접 뿌려 많은 시간과 인력을 소모하였으나, 근래에는 기계화가 이루어지면서 화학비료 및 유기질 비료를 가리지 않고 살포할 수 있도록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기계식으로 살포하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여 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료 살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비료 살포기는 비료를 저장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의 비료 유출구에 설치되는 살포팬과 호퍼 내부의 살포팬 축에 고정 설치되는 교반날개와 비료의 유출량을 제어하는 조절장치와 상기한 각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좌우측에 형성되어 트랙터에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링크 연결구로 구성되고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비료가 살포되는 비료 살포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료 살포기는 배출량 조절장치를 통하여 비료의 양을 조절한다 하더라도 고속 회전되는 살포판으로부터 충격되어 살포되는 비료는 배출량 조절장치로부터 투하되어 살포판과 충격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어 제어하기 힘든 단점이 있으며, 토양의 표면으로 살포된 비료는 로터리 작업 등으로 표면의 토양과 혼합처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농경지 토양 표면 살포 질소비료의 15~20%, 많게는 40~60%가 암모니아(NH3) 기체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어 농작물의 이용 효율이 낮으며, 논과 밭에 비가 내릴 경우 산화층인 토양 표면에 질소질 비료를 사용하면 암모니아의 산화로 질산이 생성되고, 질산은 물에 잘 녹아 하층의 환원층으로 이동하여 환원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이산화질소, 아산화질소, 질소가스로 변화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결국 토양 표면의 질소질 비료 살포에 의한 암모니아 휘산과 탈질에 의한 질소질 기체의 배출은 작물에 흡수되지 못하여 비료의 손실과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33405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습부를 통해 토양을 소정의 깊이로 성형한 후에 농자재를 토양 속에 균일하게 시비하고 시비된 농자재를 다시 흙으로 덮도록 수행하는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농지 면과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가변되는 견인프레임부와, 상기 견인프레임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농지면을 성형하도록 복수의 보습날로 이루어진 보습부와, 상기 보습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농자재를 저장하고, 저장된 농자재를 배출해 주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트랙터의 유압호스와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호퍼부에서 제공받은 농자재의 이송량을 조절해주는 투입량조절부 및 상기 투입량조절부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량조절부에서 배출되는 농자재를 전달받아 상기 보습부의 뒤쪽으로 이송시켜 성형된 상기 농지면에 농자재를 공급하도록 복수의 공급호스로 구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프레임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주는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공기토출구의 일단은 상기 공급호스의 도중에 체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공급호스로부터 농자재가 배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진 각도로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호스 상단에는, 상기 투입량조절부에서 배출되는 농자재를 원활히 전달받기 위하여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부의 보습날은, 상기 견인프레임부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날의 후단에는, 상기 공급호스를 상기 농지면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 지지해주는 보호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프레임부에는, 상기 보습부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보습부에 의해 골이 성형된 상기 농지면이 원상 복귀 되도록 흙을 덮어주는 흙덮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흙덮개부는, 상기 보습부로부터 성형된 농지면의 골 양쪽에서 흙을 덮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 형상의 회전날개;를 서로 대향 배치하여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호퍼부에는, 저장된 상기 농자재의 적재량을 감지해 주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퍼부 내에 저장된 농자재의 적재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미달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주는 경보발생기를 형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투입량조절부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공이 형성된 회전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구동모터의 연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를 이용한 농자재 심층시비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견인프레임부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랙터를 전진하는 단계와, 상기 보습부가 농지면의 상부에서부터 20cm~30cm 사이의 깊이로 파내어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성형된 상기 농지면으로 상기 농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흙덮개부는 상기 농자재가 투입된 농지면의 골 양쪽으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농지면의 골에 흙을 덮어주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재배작물이 심어지는 위치에 농자재를 집중적으로 시비하도록 보습부를 통해 토양을 소정의 깊이로 성형하고, 성형된 토양 속에 농자재를 균일하게 시비해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농자재의 손실을 줄여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심층 시비되는 농자재는 물리적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줄여 암모니아(NH3) 기체의 배출 저감 및 질소의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어 대기질 오염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재배작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료 살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가 트랙터에 연결되어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보습부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습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보습부의 보호 고정구를 예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습부가 농지면에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A-A선 단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퍼부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 표시 부분을 확대하여 투입량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공급부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송풍기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흙덮개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1)는 크게 견인프레임부(100), 보습부(200), 호퍼부(300), 투입량조절부(400) 및 공급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한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1)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농자재(20)에 대하여 설명해 보면,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토양에서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물질과 식물에 영양을 주는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유박퇴비, 가축분, 낙엽, 톱밥, 바이오차, 석회 등의 유기질비료(퇴비)와 요소비료, 복합비료 등의 무기질비료(화학비료)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서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1)를 통하여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견인프레임부(100)는,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앞서 언급한 보습부(200)와 호퍼부(300), 투입량조절부(400) 및 공급부(500)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그러한 견인프레임부(100)의 전방에는 트랙터(30)의 링크로드(31)와 링크 결합시키기 위한 링크브라켓(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링크브라켓(110)은 트랙터(30)와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측면에서 핀을 끼우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프레임부(100)는 트랙터(30)의 후미에 연결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며, 링크로드(31)의 상·하 움짐임에 의해 농지면(10)과 밀착 또는 이격 되도록 높낮이가 가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의 보습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습부(200)는,
앞서 설명한 견인프레임부(10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농지면(10)을 파헤쳐 성형하도록 복수의 보습날(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습날(210)의 설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보습날(210)은 견인프레임부(10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장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진하는 트랙터(30)의 주행 시에 농지면(10)의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파헤칠 수 있다.
보습부(20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농지면(10)의 수분함량 상태, 재배작물의 종류 또는 시비하는 농자재(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농지면(10)이 밭일 경우에는 도 5의 (a), (b)와 같은 보습날(210)이 적용될 수 있고, 농지면(10)이 논일 경우에는 도 5의 (c)와 같은 형태의 보습날(210)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보습날(210)이 농지면(10)을 파헤치는 깊이는 대략 농지면(10)의 상단에서부터 20cm~30cm 사이의 깊이로 파내어 성형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후술되는 공급부(500)를 통해 농자재(20)를 점파식 또는 줄(line) 형태로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6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보습부(200)의 후단에는 후술하게 될 공급부(500)의 공급호스(510)를 농지면(10)으로부터 보호해 주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밀착 고정시켜주는 보호고정구(2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보호고정구(210a)는 앞서 예시한 도 5의 다양한 보습날(21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농지면(10)을 파헤치는 보습날(210)이 농지면(10)으로 깊숙이 들어가더라도 공급호스(510)는 농지면(10) 과의 마찰 없이 농지면(10)을 향해 안정적으로 농자재(20)를 공급해 줄 수 있다.
호퍼부(300)는,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보습부(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농자재(20)를 저장하고 저장된 농자재(20)를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호퍼부(300)의 형상은 농자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폐 가능한 함체(310)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농자재(20)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부(300)는 내부에서 농자재(20)가 막히는 등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외부에서 시각으로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농자재(20)의 역류 또는 정체 등에 대하여 사용자는 시각으로 확인한 후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호퍼부(300)에는 저장된 농자재(20)의 적재량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330)와, 감지센서(330)를 통해 호퍼부(300) 내에 저장된 농자재(20)의 적재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미달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주는 경보발생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량조절부(400)는,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호퍼부(300)의 저면에 형성되고, 트랙터(30)의 유압호스(32)와 연결되는 구동모터(120)의 구동 속력에 의해 호퍼부(300)에서 제공받은 농자재(20)의 이송량을 조절해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투입량조절부(400)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공(410a)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드럼(410)이 호퍼부(300)의 저면에 배치되고, 그러한 회전드럼(410)은 구동모터(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샤프트(4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드럼(410)은 호퍼부(300)에 형성된 배출구(320)와 대응하도록 회전샤프트(4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410)의 개구공(410a)이 위쪽을 향하고 있을 경우 호퍼부(300)에서 배출되는 농자재(20)를 위쪽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회전드럼(410)의 회전에 의해 개구공(410a)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면 회전드럼(410) 내부에 담고 있던 농자재(20)를 아래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급부(500)는,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투입량조절부(400)의 저면에 배치되어 투입량조절부(400)에서 배출되는 농자재(20)를 전달받아 보습부(200)의 뒤쪽으로 이송 가능한 공급호스(51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공급호스(510)는 복수의 보습날(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급호스(510)의 상단에는 투입량조절부(400)에서 배출되는 농자재(20)를 원활히 전달받기 위하여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5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급호스(510)는 내부에서 농자재(20)가 막히는 등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외부에서 시각으로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농자재(20)의 역류 또는 정체 등에 대하여 사용자는 시각으로 확인한 후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공급호스(510)의 역류 또는 정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호스(510)로 바람을 불어넣어 농자재(20)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견인프레임부(100)에는 구동모터(120)와 연결되고 그러한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주는 송풍기(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6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농자재(20)의 이송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기(600)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공기토출구(610)의 끝단을 공급호스(510)의 도중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토출구(610)는 농자재(2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들을 통하여 농자재(20)가 공급된 골 형태의 농지면(10)을 다시 흙으로 덮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흙덮개부(700)는,
도 1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견인프레임부(100)에는 보습부(200)의 뒤쪽에 설치되어 보습부(200)에 의해 골이 성형된 농지면(10)이 원래의 평탄한 모습으로 복귀하도록 흙을 덮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흙덮개부(700)는 보습부(200)로부터 성형된 농지면(10)의 골 양쪽에서 흙을 덮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 형상의 회전날개(710)를 서로 대향 배치하여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를 이용한 농자재 심층시비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랙터(30)의 작동 명령에 따라 견인프레임부(100)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트랙터(30)를 전진하는 단계;와, 보습부(200)가 농지면(10)의 상부에서부터 20cm~30cm 사이의 깊이로 파내어 성형하는 단계;와, 공급부(500)를 통하여 성형된 농지면(10)으로 농자재(20)를 투입하는 단계; 및 흙덮개부(700)는 농자재(20)가 투입된 농지면(10)의 골 양쪽으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여 농지면(10)의 골에 흙을 덮어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1)를 트랙터(30)의 후미에 연결하기 위하여 트랙터(30)의 후미에 형성된 링크로드(31)와 견인프레임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링크브라켓(110)을 서로 체결하고, 트랙터(30)의 유압호스(32)는 견인프레임부(100)에 설치된 구동모터(120)와 연결시켜준다.
이어서 농지면(10)에 재배하기 위한 재배작물의 품종에 따라 보습부(200)의 보습날(210)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여 설치해준다.
다음으로, 농지면(10)에 시비하고자 하는 농자재(20)를 호퍼부(300)의 함체(310)에 수용시켜준다.
이어서, 시비하고자 하는 농지면(10)에 위치한 트랙터(30)는 견인프레임부(100)를 하강시켜주는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진하여 보습부(200)를 통해 농지면(10)을 파헤치도록 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농지면(10)의 깊이는 대략 20cm 내지는 30cm 사이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트랙터(30)가 전진을 수행하게 되면 트랙터(30)와 연동되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투입량조절부(400)와 송풍기(600)가 작동된다.
먼저, 투입량조절부(400)에서 배출된 농자재(20)를 전달받은 공급부(500)는 골이 성형된 농지면(10)으로 농자재(20)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송풍기(600)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농자재(20)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습부(200)의 뒤쪽에 설치된 흙덮개부(700)는 지면과 접촉하는 회전날개(710)가 회전됨으로써 농지면(10)의 골 양쪽에서 흙을 덮어주게 된다.
따라서, 농지면(10)의 골 깊이를 20cm~30cm 사이의 깊이로 성형하고, 성형된 골에 농자재(20)를 일정하게 시비함과 동시에 다시 흙을 덮어줌으로써 시비된 농자재(20)는 물리적으로 공기와의 접촉이 줄어 암모니아(NH3) 기체의 배출 저감 및 질소의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재배작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농지면 20 : 농자재
30 : 트랙터 31 : 링크로드
32 : 유압호스 1 :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100 : 견인프레임부 110 : 링크브라켓
120 : 구동모터 200 : 보습부
210 : 보습날 210a : 보호 고정구
300 : 호퍼부 310 : 함체
320 : 배출구 330 : 감지센서
340 : 경보발생기 400 : 투입량조절부
410 : 회전드럼 410a : 개구공
420 : 회전샤프트 500 : 공급부
510 : 공급호스 510a : 유입구
600 : 송풍기 610 : 공기토출구
700 : 흙덮개부 710 : 회전날개

Claims (11)

  1. 트랙터에 연결되어 농지 면과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가변되는 견인프레임부;
    상기 견인프레임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농지면을 성형하도록 복수의 보습날로 이루어진 보습부;
    상기 보습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농자재를 저장하고, 저장된 농자재를 배출해 주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트랙터의 유압호스와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호퍼부에서 제공받은 농자재의 이송량을 조절해주는 투입량조절부; 및
    상기 투입량조절부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량조절부에서 배출되는 농자재를 전달받아 상기 보습부의 뒤쪽으로 이송시켜 성형된 상기 농지면에 농자재를 공급하도록 복수의 공급호스로 구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프레임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주는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공기토출구의 일단은 상기 공급호스의 도중에 체결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공급호스로부터 농자재가 배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진 각도로 설치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 상단에는,
    상기 투입량조절부에서 배출되는 농자재를 원활히 전달받기 위하여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부의 보습날은,
    상기 견인프레임부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날의 후단에는,
    상기 공급호스를 상기 농지면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 지지해주는 보호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프레임부에는,
    상기 보습부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보습부에 의해 골이 성형된 상기 농지면이 원상 복귀 되도록 흙을 덮어주는 흙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흙덮개부는,
    상기 보습부로부터 성형된 농지면의 골 양쪽에서 흙을 덮을 수 있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 형상의 회전날개;를 서로 대향 배치하여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는,
    저장된 상기 농자재의 적재량을 감지해 주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퍼부 내에 저장된 농자재의 적재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미달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주는 경보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조절부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공이 형성된 회전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구동모터의 연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된 것인,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를 이용한 농자재 심층시비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견인프레임부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랙터를 전진하는 단계;
    상기 보습부가 농지면의 상부에서부터 20cm~30cm 사이의 깊이로 파내어 성형하는 단계;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성형된 상기 농지면으로 상기 농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흙덮개부는 상기 농자재가 투입된 농지면의 골 양쪽으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농지면의 골에 흙을 덮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자재 심층시비 방법.
KR1020220034794A 2022-03-21 2022-03-21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KR20230137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94A KR20230137085A (ko) 2022-03-21 2022-03-21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PCT/KR2022/009661 WO2023182578A1 (ko) 2022-03-21 2022-07-05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94A KR20230137085A (ko) 2022-03-21 2022-03-21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085A true KR20230137085A (ko) 2023-10-04

Family

ID=8810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94A KR20230137085A (ko) 2022-03-21 2022-03-21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7085A (ko)
WO (1) WO2023182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05Y1 (ko) 2006-09-29 2006-12-11 김창곤 비료 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93Y1 (ko) * 2007-06-28 2009-02-18 김창곤 유압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JP5468833B2 (ja) * 2009-07-08 2014-04-09 株式会社クボタ 施肥装置の散布具
JP6007749B2 (ja) * 2012-11-22 2016-10-12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機
KR101597698B1 (ko) * 2014-02-24 2016-02-25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액비 지중 투입기
JP2015204804A (ja) * 2014-04-22 2015-11-1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05Y1 (ko) 2006-09-29 2006-12-11 김창곤 비료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578A1 (ko)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2448A1 (en) Tilling apparatus
KR101514780B1 (ko)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KR100998970B1 (ko) 액비 땅속투입 및 파종장치
KR100740046B1 (ko)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20230137085A (ko) 농자재 심층시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비방법
CN112106467A (zh) 一种农作物种植用深耕播种机
CN214545608U (zh) 一种农田大棚水果种植用自动撒肥装置
JPH10309130A (ja) 高設栽培装置
CN207083440U (zh) 楔入式颗粒肥全层施肥机
KR100844047B1 (ko) 줄뿌림 비료살포 및 두둑형성기
CN110832975A (zh) 一种郁闭型果园有机肥料撒肥车
KR0127016Y1 (ko)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
CN216600763U (zh) 一种农业种植播种装置
KR102419432B1 (ko) 농작업기용 비료 살포장치
CN217884395U (zh) 一种油茶树苗种植用效果均匀的施肥装置
CN216163385U (zh) 一种农业种植用可调节施肥范围的施肥装置
CN211982512U (zh) 一种园林用松土施肥装置
CN207573902U (zh) 一种农用施肥装置
CN213784185U (zh) 一种农作物用施肥装置
CN107258183A (zh) 一种颗粒肥全层施肥机
CN220693740U (zh) 一种水果种植施肥装置
CN216253800U (zh) 一种果园果树用肥料施肥控制机构
KR102568829B1 (ko) 버섯 배지 분산 투입장치
CN110393101B (zh) 一种园林用花卉培育装置
CN211128964U (zh) 一种玉米栽培种植用可控制施肥量的施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