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06A -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06A
KR20230135706A KR1020220032627A KR20220032627A KR20230135706A KR 20230135706 A KR20230135706 A KR 20230135706A KR 1020220032627 A KR1020220032627 A KR 1020220032627A KR 20220032627 A KR20220032627 A KR 20220032627A KR 20230135706 A KR20230135706 A KR 2023013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ie
user
fungible
token
electronic w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주
이선미
오준혁
Original Assignee
(주) 유에이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에이썬 filed Critical (주) 유에이썬
Priority to KR102022003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706A/ko
Priority to PCT/KR2022/004143 priority patent/WO2023177006A1/ko
Publication of KR2023013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셀피 보상 시스템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에서 셀피영상들을 생성하고, 이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인근 점포에서 발행 받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셀피 보상 시스템은 복수의 셀피 모듈들, 서버, 및 점포 단말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셀피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셀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셀피모듈들 각각에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수신하고, 이를 조합하여 셀피조합영상을 생성한다. 서버는 셀피조합영상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 받아 사용자 전자지갑에 송금한다. 사용자는 송금 받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사진촬영 장소 인근 점포의 점포 단말기에 연결된 점포 전자지갑으로 송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송금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서버에 의해 발행된 것이 확인되면, 점포 운영자는 지차체, 공공단체, 민간단체, 및 민간기업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SELFIE REWARD SYSTEM INCLUDING A REWARD SYSTEM USING NFT TECHNOLOGY}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역명소 내의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각각에서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된 사진 전체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해주고, 사용자가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인근 상점에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는 셀피 보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작물은 복사 및 재배포가 용이하고, 복사본과 원본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여러 복사본 중 원본을 식별하거나, 원본 소유권의 귀속소재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저작물이 공개되어 복사 및 재배포가 된 이후에는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소유권 주장 및 재산권 행사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이 상용화되고, 블록체인(Block Chain)상에 디지털 저작물에 대응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하여, 디지털 저작물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즉, 디지털 저작물에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하여 소유권을 확인함으로써, 디지털 저작물의 안정적인 거래를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이용하여, 지역명소 내의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에서 찍은 사진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하고, 사용자가 발행 받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인근 상점에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문객 유치, 행사 홍보 등을 촉진할 수 있는 셀피 보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점거리가 다른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진들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셀피 보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은 복수의 셀피 모듈들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사용자가 신원을 인증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셀피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모두에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조합하여 셀피조합영상을 생성하고,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상기 셀피조합영상을 업로드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서버 전자지갑 주소로 발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을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 내역을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내역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 내역에 대응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발행된 횟수를 카운트한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은 점포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포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된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를 송금 받는 점포 전자지갑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점포 운영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가 2회 이상이면, 상기 보조금 중 일부가 차감된 나머지가 상기 점포 운영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점포 단말기는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영상취득부 및 제어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취득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상기 셀피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단말기는 상기 영상취득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셀피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는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는 제1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1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2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2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제3 카메라는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3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3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셀피영상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제3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셀피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없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정의 수수료 납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에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셀피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지분비율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지분비율에 대응되는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수료의 납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복수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상기 사용자의 상기 지분비율에 비례하는 양만큼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송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 플랫폼에 접속하여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조도센서 및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 및 상기 조명부는 상기 사진촬영 장소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 및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는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데이터값을 기초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는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모터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3 모터는 상기 제3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의 상기 셀피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된 상기 근접센서와 상기 영상취득부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상기 제1 카메라, 상기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3 카메라의 초점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카메라까지의 제1 거리,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카메라까지의 제2 거리, 및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3 카메라까지의 제3 거리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명소 내의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에서 찍은 사진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하고, 사용자가 발행 받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인근 상점에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문객 유치, 행사 홍보 등을 촉진할 수 있는 셀피 보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점거리가 다른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진들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셀피 보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피 보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셀피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모듈을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피 보상 시스템(SRS)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보상 시스템(SRS)은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서버(SV), 및 점포 단말기(PT)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사용자(USR)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셀피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진촬영 장소란 사용자(USR)가 문화재, 자연경관, 건물 등을 배경으로 셀피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정된 장소를 의미한다.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사용자(USR)가 자신의 신원을 인증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용자(USR)가 셀피 모듈(SM)을 통해 자신의 신원을 인증하는 방법은 통신기기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통신기기는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등 일 수 있다. 단, 통신기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촬영된 셀피영상은 사용자(USR)의 신원인증 내역과 연계되어 서버(SV)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서버(SV)가 서로 다른 사용자들(USR)이 촬영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수신하더라도, 사용자(USR)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버(SV)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SV)는 메인넷(MN)에 연결되어 메인넷(MN)의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메인넷(MN)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네트워크이다. 즉, 서버(SV)는 복수의 메인넷(MN) 노드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블록체인(BC)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블록체인(BC)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서버(SV)는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에서 셀피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SV)가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모두에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수신하면, 수신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조합하여 셀피조합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SV)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셀피조합영상을 업로드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서버 전자지갑 주소로 발행하게 할 수 있다. 서버(SV)는 발행 받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를 서버 전자지갑에서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할 수 있다. 즉, 사용자(USR)가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에서 모두 셀피영상을 촬영하여야, 셀피조합영상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자는 사용자들(USR)이 셀피 모듈(SM)을 이용하여 생성한 셀피영상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으로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에 대한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서버 전자지갑이란 서버에서 접속가능하고,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지갑을 의미한다. 사용자 전자지갑이란 사용자(USR)가 소지한 통신기기에서 접속가능하고, 사용자(USR)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지갑을 의미한다. 전자지갑은 블록체인 지갑, 디지털자산 지갑, 가상화폐 지갑, 암호화폐 지갑 등으로 불리며, 가상화폐 및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보유, 송금,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자지갑 플랫폼은 메타마스크(Metamask), 카이카스(Kaikas), 및 클립(Kli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 전자지갑 플랫폼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체인 상에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은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은 오픈씨(Opensea), 크래프터스페이스(Krafter Space), 크래프트 맨쉽(Craftsmanshi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은 셀피영상을 업로드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서버(SV)는 사용자(USR)의 신원인증 내역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내역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SV)는 사용자(USR)의 신원인증 내역에 대응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발행된 횟수를 카운트한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SV)는 사용자(USR) 각각이 본 발명의 셀피 보상 시스템(SRS)을 이용하여, 총 몇 회에 걸쳐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점포 단말기(PT)는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인근의 점포에서 사용되는 통신기기일 수 있다. 점포에서 사용되는 통신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데스크탑 피씨 등일 수 있다. 단, 점포에서 사용되는 통신기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지갑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점포 단말기(PT)는 점포 전자지갑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 전자지갑에서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는 점포 전자지갑으로 송금될 수 있다. 점포 전자지갑이란, 점포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지갑을 의미한다. 점포 단말기(P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를 송금 받는 점포 전자지갑에 접속할 수 있다. 점포 전자지갑이란, 점포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지갑을 의미한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점포 운영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USR)가 서버(SV)를 통해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점포 전자지갑으로 송금한 경우에만, 점포 운영자에게 보조금이 지급될 수 있다. 보조금 지급의 주체는 방문객 유치, 행사 홍보 등을 목적으로 하는 지차체, 공공단체, 민간단체, 및 민간기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금 지급의 주체는 방문객 유치, 행사 홍보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 또는 단체이면 충분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셀피 보상 시스템(SRS)을 이용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 받은 사용자(USR)는, 점포 전자지갑에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함으로써 점포에서 제공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보조금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셀피 단말기들(SM)이 설치된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각각에 다수의 방문객들이 유입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시스템 운영자는 방문객 유치, 행사 홍보 등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 토큰 발행 횟수에 따라 점포 운영자에게 보조금을 차등하여 지급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자는 최소한의 보조금을 투입하여 최대 다수의 방문객 유치하고, 행사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할 때,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가 2회 이상이면 보조금 중 일부가 차감된 나머지가 상기 점포 운영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가 1회 일 때는 제1 보조금을 지급하고,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가 2회 일 때는 제1 보조금보다 작은 제2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방문객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여, 새로운 방문객이 더 많이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셀피 보상 시스템(SRS)을 이용하면, 시스템 운영자는 최소한의 투자로 특정 장소에 다수의 방문객 유입을 유도하고, 행사를 홍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점포 단말기(PT)는 서버(SV)를 통하지 않고,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직접 접속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할 수 있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서 특정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하면, 해당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점포 단말기(P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SV)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접속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할 수 있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서 특정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하면, 해당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SV)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셀피 모듈(SM)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USR)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모듈(SM)을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영상취득부(PC) 및 제어단말기(CT)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취득부(PC)는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취득부(PC)는 사용자(USR)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셀피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카메라(CM1)는 제1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1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CM1)는 광각렌즈일 수 있다. 제2 카메라(CM2)는 상기 제1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2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2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CM2)는 표준렌즈일 수 있다. 제3 카메라(CM3)는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3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3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카메라(CM3)는 망원렌즈일 수 있다.
즉, 사용자(USR)는 초점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의 카메라들(CM1, CM2, CM3)을 이용하여 초점이 다른 복수의 사진들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은 사용자(USR)의 모습보다 배경이 더 강조된 영상일 수 있다. 제2 영상은 사용자(USR)의 모습과 배경이 비슷하게 강조된 영상일 수 있다. 제3 영상은 배경보다 사용자(USR)의 모습이 더 강조된 영상일 수 있다. 셀피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제3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단말기(CT)는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를 포함하는 영상취득부(PC)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단말기(CT)는 셀피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R)는 제어단말기(CT)에서 표시되는 셀피영상을 참고하면서 셀피(Selfie)를 촬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모듈(SM)의 제어단말기(CT)는 영상취득부(PC) 보다 사용자(USR)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단말기(CT)가 사용자(USR) 근처에 배치되고 사용자(USR)는 제어단말기(CT)를 조작함으로써 원격으로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를 포함하는 영상취득부(PC)를 제어하여 셀피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모듈(SM-1)의 제어단말기(CT-1)는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단말기(CT-1),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는 인터렉티브 키오스트(Interactive Kiosk)의 일부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단말기(CT-1)는 인터렉티브 키오스트(Interactive Kiosk) 상의 터치 패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USR)가 제어단말기(CT-1)를 터치하여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를 포함하는 영상취득부(PC-1)를 제어하고 셀피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단말기(CT-1)가 사용자(USR)보다 영상취득부(PC-1)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 모듈(SM-2)의 제어단말기(CT-2)는 사용자(USR)가 소지한 개인통신기기일 수 있다. 개인통신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등 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개인통신기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통신기기는 제어단말기(CT-2)와 통신가능한 것이면 충분하다. 즉, 사용자(USR)는 자신이 소지한 개인통신기기를 활용하여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를 포함하는 영상취득부(PC-2)를 제어하여 셀피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서버(SV)는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취득되는 셀피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SV)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SV)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SV)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셀피영상을 업로드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발행하게 할 수 있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은 하나의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복수 개로 발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3개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발행되고, 사용자(USR)는 2개, 시스템 운영자는 1개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나누어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USR)와 시스템 운영자가 하나의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2:1의 지분비율로 소유권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SR) 또는 시스템 운영자는 각각이 소유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독립적으로 처분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권리행사가 용이하다.
또한, 서버(SV)는 제어단말기(CT)에 사용자(USR)가 셀피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USR)는 제어단말기(CT)를 조작하여, 사용자(USR)가 셀피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서버(SV)에 회신할 수 있다.
사용자(USR)가 소유권을 시스템 운영자에게 공유할 의사가 없는 경우, 서버(SV)는 제어단말기(CT)로 사용자(USR)에게 소정의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수수료 납부가 확인되면 서버(SV)는 사용자(USR)의 전자지갑에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할 수 있다. 즉, 사용자(USR)는 소정의 수수료를 납부함으로써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 받을 수 있다. 소정의 수수료는 시스템 운영자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USR)가 소유권을 공유할 의사가 있는 경우, 서버(SV)는 제어단말기(CT)로 사용자(USR)에게 셀피영상에 대한 사용자(USR)의 지분비율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SV)는 제어단말기(CT)로 사용자(USR)에게, 입력된 지분비율에 대응되는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수료 납부가 확인되면, 서버(SV)는 발급받은 복수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사용자(USR)의 지분비율에 비례하는 양만큼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사용자(USR)의 전자지갑에 송금할 수 있다.
즉, 사용자(USR)는 자신이 입력한 지분비율에 대응되는 수수료를 납부함으로써, 서버(SV)로부터 지분비율에 비례하는 양만큼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SR)의 지분비율이 낮게 입력될수록, 사용자(USR)는 적은 수수료를 납부하고,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 받을 수 있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사용자(USR)의 전자지갑에 송금하는 과정에서, 서버(SV)는 제어단말기(CT)로 사용자(USR)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USR)가 전자지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제어단말기(CT)는 사용자(USR)가 전자지갑 플랫폼에 접속하여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용자(USR)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제어단말기(CT)는 사용자(USR)가 전자지갑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조도센서 및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 및 조명부는 사진촬영 장소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조도센서 및 조명부는 제어단말기(C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진촬영 장소란 사용자(USR)가 문화재, 자연경관, 건물 등을 배경으로 셀피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정된 장소를 의미한다.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는 조도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는 조도센서의 센싱데이터 값이 소정의 값에 수렴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조도가 낮은 시간대에 조명부가 더 밝은 광을 방출함으로써 촬영조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촬영조건이 제공되므로 낮은 조도 때문에 카메라 초점 검출이 실패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사진촬영 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근접센서들 각각과 영상취득부(PC)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정보가 사전에 측정되어, 영상취득부(PC)를 제어하는 제어단말기(CT)에 저장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제어단말기(CT)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센서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된 거리정보를 기초로,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의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SR)가 셀피영상 촬영을 위해 사진촬영 장소에 위치하면 사용자(USR)의 위치에 대응되는 근접센서에서 센싱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센싱데이터는 제어단말기(CT)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단말기(CT)는 센싱데이터와 기저장된 거리정보를 기초로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센서를 활용하면, 사진촬영 장소가 야외인 경우에도 온도, 습도, 조도 등 환경요인에 의해 카메라 초점 검출이 실패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은 위치검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검출판은 근접센서에 대응될 수 있다. 위치검출판은 금속성분을 포함하며, 사진촬영 장소 바닥면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다. 위치검출판에 대응되는 근접센서는 유도식 근접센서일 수 있다.
근접센서는 대상의 근접여부를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광전센서방식, 유도식, 정전용량식, 및 초음파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광전센서방식 근접센서는 렌즈오염 및 광의 반사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전용량식 유도센서는 외부의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할 수 있다. 초음파식 근접센서는 분해능 및 반복성이 떨어지며, 외부의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반면, 유도식 근접센서는 환경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수명이 길고, 설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의 근접센서는 외부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유도식 근접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USR)는 자신이 셀피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를 사진촬영 장소 상에서 결정한 후, 해당 위치에 위치검출판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검출판에 대응되는 유도식 근접센서에서 출력된 센싱데이터를 기초로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의 초점이 제어될 수 있다. 유도식 근접센서 및 위치검출판을 사용하는 경우, 단순히 사진촬영 장소 바닥면에 배치된 근접센서를 활용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자(USR)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초점을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만을 활용하는 경우에 비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요인에 의한 센서 오감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의 영상취득부(PC)는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는 제1 카메라(CM1)를 움직일 수 있다. 제2 모터는 제2 카메라(CM2)를 움직일 수 있다. 제3 모터는 제3 카메라(CM3)를 움직일 수 있다.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 각각은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 각각을 상, 하, 좌, 우 4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 이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제어단말기(C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USR)는 제어단말기(CT)를 조작하여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USR) 스스로 원하는 셀피영상 촬영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피 모듈들(SM) 각각에서,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제1 카메라(CM1)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로 정의한다.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제2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로 정의한다.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제3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제3 거리로 정의한다.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카메라(CM1), 제2 카메라(CM2), 및 제3 카메라(CM3)가 같은 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일부 카메라에서 초점이 잘 잡히지 않더라도, 다른 카메라의 설정값을 참조하여 초점을 보정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RS: 셀피 보상 시스템 SM: 셀피 모듈
PC: 영상취득부 USR: 사용자
CT: 제어단말기 SV: 서버
CM1: 제1 카메라 CM2: 제2 카메라
CM3: 제3 카메라 BC: 블록체인
MN: 메인넷

Claims (10)

  1. 복수의 셀피 모듈들 및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복수의 사진촬영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신원을 인증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사용자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셀피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모두에서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셀피영상들을 조합하여 셀피조합영상을 생성하고,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상기 셀피조합영상을 업로드하여,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서버 전자지갑 주소로 발행하게 하고, 상기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을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되게 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 내역을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내역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 내역에 대응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발행된 횟수를 카운트한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를 저장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으로 송금된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적어도 일부를 송금 받는 점포 전자지갑에 접속가능한 점포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점포 운영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별 토큰 발행횟수가 2회 이상이면, 상기 보조금 중 일부가 차감된 나머지가 상기 점포 운영자에게 지급되는 셀피 보상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포 단말기는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발행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의 토큰 아이디(Token ID)를 조회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이 최초로 발행된 전자지갑 주소가 상기 서버 전자지갑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모습 및 배경을 촬영하여 상기 셀피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취득부 및 상기 영상취득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셀피영상을 표시하는 제어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취득부는,
    제1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1 영상을 취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2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2 영상을 취득하는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2 초점거리보다 더 긴 제3 초점거리를 가지며, 제3 영상을 취득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셀피영상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제3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는 셀피 보상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셀피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없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소정의 수수료 납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전자지갑에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송금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 운영자와 공유할 의사가 있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셀피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지분비율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지분비율에 대응되는 수수료 납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수료의 납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복수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 중 상기 사용자의 상기 지분비율에 비례하는 양만큼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들(NFT, Non Fungible Token)을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송금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로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 플랫폼에 접속하여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전자지갑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피 모듈들 각각은 조도센서 및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 및 상기 조명부는 상기 사진촬영 장소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는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데이터값을 기초로 제어되고,
    상기 영상취득부는 제1 모터, 제2 모터, 및 제3 모터를 더 포함하고, 제1 모터는 상기 제1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며, 제2 모터는 상기 제2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되고, 제3 모터는 상기 제3 카메라를 움직이고 상기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셀피 보상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피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된 상기 근접센서와 상기 영상취득부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상기 제1 카메라, 상기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3 카메라의 초점이 제어되며,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카메라까지의 제1 거리,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카메라까지의 제2 거리, 및 상기 사진촬영 장소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3 카메라까지의 제3 거리가 서로 동일한 셀피 보상 시스템.
KR1020220032627A 2022-03-16 2022-03-16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KR20230135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27A KR20230135706A (ko) 2022-03-16 2022-03-16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PCT/KR2022/004143 WO2023177006A1 (ko) 2022-03-16 2022-03-24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27A KR20230135706A (ko) 2022-03-16 2022-03-16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06A true KR20230135706A (ko) 2023-09-26

Family

ID=8802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627A KR20230135706A (ko) 2022-03-16 2022-03-16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5706A (ko)
WO (1) WO20231770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456B1 (ko) * 2016-11-15 2018-03-16 (주) 유에이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2314241B1 (ko) * 2017-03-28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인증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93291B1 (ko) * 2018-06-14 2020-03-26 조영애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144529B1 (ko) * 2019-09-17 2020-08-14 최기재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금융거래 시스템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06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538B1 (ko) 디지털 카메라 대여 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디지털 사진처리 시스템
KR20200034468A (ko)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한 기록 대상 공간 정보 통합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관리 서버 및 이의 플랫폼 운영 방법
GB2371935A (en) Automated photographic capture and delivery system
CN105787996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房屋立体图生成方法及系统
JP6459059B2 (ja) カメラ制御方法及びカメラ制御システム
KR20200087665A (ko) 폐기물 배출 관리 시스템
JP72074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20019472A1 (en) Method of storing electronic data, resource reservation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CN105069514A (zh) 一种基于微信平台的凭证打印系统以及打印方法
JP2016126414A (ja) 顔照合システムおよび娯楽施設の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078967B1 (ko) 증강현실를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배치 및 거래 시스템
KR102078969B1 (ko)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KR20230135706A (ko)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KR102669469B1 (ko)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US201903494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78968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거래 시스템
KR20230135704A (ko) Nft 기술이 접목된 셀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45704B1 (ja) 端末装置、決済検証方法及び決済検証プログラム
US20220019945A1 (en) Method of providing electronic data,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WO2019008948A1 (ja) データ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16176A (ko) 메타버스 기반 작품 전시 시스템
JP2019040363A (ja) 会員管理システム
JP7009576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2414584B1 (ko) 공동주차구역 운영 및 관리 시스템
KR20200132807A (ko)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한 기록 대상 공간 정보 통합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관리 서버 및 이의 플랫폼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