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147A - 백팩 - Google Patents

백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147A
KR20230135147A KR1020237029673A KR20237029673A KR20230135147A KR 20230135147 A KR20230135147 A KR 20230135147A KR 1020237029673 A KR1020237029673 A KR 1020237029673A KR 20237029673 A KR20237029673 A KR 20237029673A KR 20230135147 A KR20230135147 A KR 2023013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shoulder belt
shoulder
u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미 후지쿠라
다케히토 야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Publication of KR2023013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1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른 자세를 촉진하는 백팩을 제공한다.
수납공간을 갖추는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걸이벨트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걸이벨트는, 상기 백 본체에 대한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이다.

Description

백팩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를 개선하는 백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쉬운 백팩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20-18822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백팩에서는, 요부(腰部)에 융기부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자세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등뼈를 따라 힘을 가한다고 하는 것과 같이, 그 대상이 요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바른 자세를 촉진하는 백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백팩은,
수납공간을 갖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에 부착된 2개의 어깨걸이벨트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걸이벨트는, 상기 백 본체에 대한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백팩에서는, 어깨걸이벨트를 죄는 힘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등뼈에 대한 압력이 발생하여, 더 좋은 자세를 촉진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어깨걸이벨트의 하단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어깨걸이벨트를 죄는 힘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등뼈에 대한 압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재의 백팩은,
상기 어깨걸이벨트가, 상기 하단측의 위치에서 접혀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것이더라도 좋다.
이 백팩에 의하면, 지지부로부터 등뼈에 대한 압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백팩은,
상기 지지부가, 상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백팩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지지부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여, 더 좋은 자세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른 자세를 촉진하는 백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백팩(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A)는 백팩(1)을 등에 짊어 진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2(B)는 어깨걸이벨트의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한 백팩(1)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백팩(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돌출부재(5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돌출부재(52)로부터 제1부재(521)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백팩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백팩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백팩(1)은, 짐을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등에 마주 닿는 등접촉면(BS)을 구비하는 백 본체(2)와, 이 백 본체(2)의 등접촉면(BS)측에 부착된 2개의 어깨걸이벨트(3, 4)(이하, 제1어깨걸이벨트(3), 제2어깨걸이벨트(4)라고 한다)를 구비한다. 또한 이 등접촉면(BS)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한 형상의 지지부(5)와, 등접촉면(BS)의 좌우 및 하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분을 덮는 덮개부(7)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5)는, 베이스 부재(51)와, 이 베이스 부재(51)에 부착된 돌출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51)의 상부에는 상부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백 본체(2)의 상부에 부착된 벨트부재(6)는, 이 상부구멍(53)을 통과하여 접힌 상태에서 어저스터(adjuster)(61)를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고, 이 구성에 의해 백 본체(2)와 지지부(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어저스터(61)는, 백 본체(2)와 지지부(5)의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지지부(5)의 상하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구성)의 일례이다. 돌출부재(52)의 소재는, ABS 수지이지만, 예를 들면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얻기 위해서 EVA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부재(51)의 하부에는 좌우 2군데에 하부구멍(54, 55)(이하, 제1하부구멍(54), 제2하부구멍(55)이라고 한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어깨걸이벨트(3)는 덮개부(7)에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멍(8) 중의 1개를 통과하여 접히고, 또한 제1하부구멍(54)을 통과하여 접힌 상태에서 어저스터(31)를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제2어깨걸이벨트(4)는 덮개부(7)에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멍(8) 중의 1개를 통과하여 접히고, 또한 제2하부구멍(55)을 통과하여 접힌 상태에서 어저스터(41)를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도2(A)는, 사용자(U)가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를 어깨에 걸어서 백팩(1)을 등에 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 도2(A) 및 후술하는 도2(B)에 대해서는, 사용자(U)의 견갑골의 사이에 지지부(5)가 배치되도록 벨트부재(6)의 길이가 조절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어깨걸이벨트(4)에 대해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도시를 생략한다. 도2(A)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U)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에 지지부(5)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U)의 자세가 더 좋은 자세가 되도록 촉진할 수 있다.
지지부(5)로부터 사용자(U)에 걸리는 압력은,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길이를 짧게 한 경우에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에 걸리는 장력이 강해지는 동시에 지지부(5)로부터의 압력이 높아져, 자세교정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백팩(1)에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가, 덮개부(7)에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멍(8) 중의 1개를 통과하여 접힌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가 통과하는 통과구멍(8)을 변경함으로써,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2(B)에는, 제1어깨걸이벨트(3)의 하단측의 위치가 도2(A)와 비교해서 지지부(5)에 가까운 위치로 변경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도2(B)의 상태에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의 하단측에 있어서 백 본체(2)를 잡아당기는 힘을, 도2(A)의 상태와 비교해서 지지부(5)에 더 가까운 위치에 걸 수 있어, 지지부(5)로부터의 압력을 더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더 좋은 자세가 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몸의 크기나 체형, 자세 등에 따라서는 이 장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혈류나 림프액의 흐름을 저해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백팩(1)에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의 하단측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들 벨트(3, 4)의 장력을 지나치게 강하게 하지 않고 지지부(5)로부터 적절한 압력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령 다소 장력이 강하여도, 백팩(1)은 소위 자세교정구와는 달리 용이하게 벗을 수 있기 때문에, 통근·통학시 등에 매일 사용한다고 하는 것 같이 혈류 등의 저해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은 단시간의 사용을 반복함으로써 손쉽게 자세를 고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백팩(1)에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있어서 통과구멍(8)을 변경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버클과 같은 접속부재를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의 단부에 설치하고, 또한 이들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재를 통과구멍(8)을 대신하여 복수 장소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하단측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구성이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백팩(1)과 같이, 하단측에서 접힌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이 지지부(5)에 접속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의 각각의 장력이 지지부(5)에 직접 전해져, 지지부(5)로부터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백팩(1)과 같이 지지부(5)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지지부(5)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여, 보다 좋은 자세가 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도1의 백팩(1)에서는, 백 본체(2)의 등접촉면(BS)의 좌우 및 하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분을 덮는 덮개부(7)에 복수의 통과구멍(8)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덮개부(7)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백팩(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3에는, 백 본체(2)의 등접촉면(BS)에 복수의 통과구멍(8)이 형성되어 있고, 백 본체(2)의 내측에 지지부(5)가 배치된 백팩(1a)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3에서는, 백 본체(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1에 나타내는 백팩(1)과 같다. 이 백팩(1a)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제1어깨걸이벨트(3) 및 제2어깨걸이벨트(4)를 어깨에 걺으로써,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에 지지부(5)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져, 사용자의 자세가 보다 좋은 자세가 되도록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1의 백팩(1)에서는, 제1어깨걸이벨트(3), 제2어깨걸이벨트(4), 벨트부재(6)의 각각의 길이를 조절 가능한 어저스터(31, 41, 61)를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버클이나 사각링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다른 예로서는, 벨트(3, 4, 6)의 선단 등에 제1부재를 설치하고, 이 제1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2부재를 복수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그 결합장소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예로서는, 버튼이나 벨크로를 들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 가능한 구성을 사용자의 가슴 부근에 설치하거나, 길이조절 가능한 구성을 복수 설치하는 것과 같이, 설치위치나 개수, 그 조합에 관해서도 도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길이조절 가능한 구성을, 백팩(1)을 사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지지부(5)로부터의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백팩(1)에 대해서는, 지지부(5)의 돌출부재(52)를 형상, 크기, 두께, 소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부재와 교환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두께를 다르게 함에 있어서 복수의 부재를 조합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돌출부재(52)를 공기로 부풀어 커지게 함으로써 유연성과 탄력성을 얻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맞춘 돌출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더 좋은 자세가 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도4에는, 제1부재(521), 제2부재(522), 제3부재(523)의 3개의 부재를 포개서 구성된 돌출부재(52)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4의 돌출부재(52)는, 제1부재(521)가 제2부재(522)와 착탈 가능한 구성이며, 또한 제2부재(522)가 제3부재(523)와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5에는, 도4의 돌출부재(52)의 제1부재(521)가 제2부재(522)로부터 빠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들 도4, 도5에 있어서는, 도2(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백팩(1)의 사용상태에서는, 지면의 안쪽이 상측이 되고, 지면의 바깥쪽이 하측이 된다. 이하, 돌출부재(52)의 착탈의 구성에 대해서,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2부재(522)와 제3부재(523)의 착탈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부재(521)와 제2부재(522)의 착탈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부재(521)의 상측 및 하측에는, 결합볼록부(521a, 521b)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재(522)의 상측 및 하측에는, 이들 결합볼록부(521a, 521b)와 결합하는 결합홈(522a, 52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부재(522)의 하측의 결합홈(522c)의 상측에 인접하여 결합볼록부(521b)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5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서는 제1부재(521)의 상측의 결합볼록부(521a)는 시인할 수 없는 위치에 있지만, 설명을 위하여 대략의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부재(521)를 제2부재(522)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하측의 결합볼록부(521b)를 삽입구멍(522b)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부재(521)의 상측의 결합볼록부(521a)가 제2부재(522)의 상측의 결합홈(522a)에 인접하고, 제1부재(521)의 하측의 결합볼록부(521b)가 제2부재(522)의 하측의 결합홈(522c)에 인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제1부재(521)를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두개의 결합볼록부(521a, 521b)가 두개의 결합홈(522a, 522c)에 결합하여, 제1부재(521)를 제2부재(522)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함으로써 제1부재(521)를 제2부재(522)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돌출부재(52)에서는, 제1부재(521)나 제2부재(522)를 적절하게 빼냄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맞춰서 돌출하는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4의 돌출부재(52)에서는 3개의 부재를 포개고 있지만, 예를 들면 2개의 부재를 포개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부재의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백팩
2 백 본체
3, 4 어깨걸이벨트
5 지지부
6 벨트부재
7 덮개부
8 통과구멍

Claims (3)

  1. 수납공간을 갖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걸이벨트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의 등뼈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걸이벨트는, 상기 백 본체에 대한 하단측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벨트는, 상기 하단측의 위치에서 접어서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팩.
KR1020237029673A 2021-04-07 2022-02-18 백팩 KR20230135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5207 2021-04-07
JP2021065207 2021-04-07
PCT/JP2022/006620 WO2022215368A1 (ja) 2021-04-07 2022-02-18 背負いバッ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147A true KR20230135147A (ko) 2023-09-22

Family

ID=8354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673A KR20230135147A (ko) 2021-04-07 2022-02-18 백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73691B2 (ko)
KR (1) KR20230135147A (ko)
TW (1) TW202241311A (ko)
WO (1) WO20222153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973B1 (ko) 2024-01-29 2024-04-01 박희경 재생 pet를 사용하여 제작된 친환경 백팩
KR102661686B1 (ko) 2024-01-29 2024-04-29 박희경 Pla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된 친환경 백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8822A (ja) 2018-07-20 2020-02-06 フミオ工業株式会社 背負いかば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5168U (ko) * 1975-05-17 1976-11-22
JPS5266248A (en) * 1975-11-28 1977-06-01 Kiyamupu Toreiruzu Co Load bearing device
JP2817090B2 (ja) * 1994-12-02 1998-10-27 有限会社金野縫製 背負バッ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8822A (ja) 2018-07-20 2020-02-06 フミオ工業株式会社 背負いかば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973B1 (ko) 2024-01-29 2024-04-01 박희경 재생 pet를 사용하여 제작된 친환경 백팩
KR102661686B1 (ko) 2024-01-29 2024-04-29 박희경 Pla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된 친환경 백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3691B2 (ja) 2023-11-02
TW202241311A (zh) 2022-11-01
JPWO2022215368A1 (ko) 2022-10-13
WO2022215368A1 (ja)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5147A (ko) 백팩
US5971244A (en) Backpack
US5983406A (en) Adjustable strap for scuba mask
US9131762B2 (en) Backpack having removable frame
US7343880B2 (en) Child harness
US20090090754A1 (en) Belt arrangement for carrying a portable handheld work apparatus
US20230263138A1 (en) Adjustable reversible harness
EP2386221B1 (en) Rucksack
KR20170108329A (ko) 끈 조절기구를 구비한 마스크
ITMI20061461A1 (it) Occhialini da nuoto
JP2001218779A (ja)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CN110248565B (zh) 可穿戴装置
RU2670700C9 (ru) Ортез для туловища
CN103932455B (zh) 用于便携元件的调节装置
JP6884195B2 (ja) アシストスーツ
US9788976B1 (en) Securing apparatus for a prosthetic leg
US10016050B2 (en) Holster strap
JP2016210412A (ja) 連続ストラップ付きベスト
US20120284972A1 (en) Belt Buckle Accessory
JP6559168B2 (ja) コルセット
KR200485760Y1 (ko) 신축성 허리벨트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JP3195625U (ja) リュックサック
CN217243078U (zh) 一种新型双肩背包
CN109744607A (zh) 服装制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