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34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034A
KR20230135034A KR1020230122673A KR20230122673A KR20230135034A KR 20230135034 A KR20230135034 A KR 20230135034A KR 1020230122673 A KR1020230122673 A KR 1020230122673A KR 20230122673 A KR20230122673 A KR 20230122673A KR 20230135034 A KR20230135034 A KR 2023013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refractive pow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황성호
김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034A/ko
Publication of KR2023013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0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는 25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센서용 감시 카메라에 탑재될 수 있는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소형 감시 카메라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시야를 촬영한다. 예를 들어, 소형 감시 카메라는 차량의 실내 거울(rearview mirror)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에 전개되는 이동차량, 보행자 등을 촬영한다.
이러한 소형 감시 카메라는 단순히 전후방의 물체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방의 물체를 인식하는 센서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용 감시 카메라는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센서용 감시 카메라는 높은 해상도로 인해 과열되기 쉽다.
따라서, 위와 같은 센서용 감시 카메라에 탑재될 수 있도록, 높은 해상도를 가지면서 고온에서도 일정한 해상도를 발휘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높은 해상도를 가지면서 고온에서 일정한 해상도를 갖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는 25 이하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는 조리개가 배치되고, 조건식 10mm < |R13|을 만족할 수 있다(상기 조건식에서 R13은 상기 제6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본 발명은 고온환경에서도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온도에 따른 MTF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온도에 따른 MTF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종래 촬상 광학계의 온도에 따른 MTF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L, Y(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L은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다음에서는 전술된 각 렌즈들의 구성들을 설명한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렌즈는 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60 이하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상대적으로 높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아베수는 60 이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양면이 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80 이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낮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아베수는 25 이하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양면이 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렌즈는 제1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90 이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제2렌즈보다 높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아베수는 30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4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4렌즈는 제3렌즈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80 미만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제1렌즈보다 낮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아베수는 55 이하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5렌즈는 적어도 일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모두 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5렌즈는 제4렌즈와 대체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80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제1렌즈보다 낮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아베수는 60 미만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6렌즈는 적어도 일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양면이 모두 구면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6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6렌즈는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굴절률은 1.90 이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제2렌즈보다 낮은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아베수는 23 이하일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고해상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픽셀의 단위크기는 1.12 ㎛ 이하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이 맺히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조리개를 포함한다. 조리개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3렌즈와 제4렌즈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조리개는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조리개는 촬상 광학계의 굴절력을 양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의 앞쪽(물체 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전체 굴절력은 부이고, 조리개의 뒤쪽(상면 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전체 굴절력은 정일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넓히면서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는 제6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해상도를 저해하는 성분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필터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덮개 유리를 포함한다. 덮개 유리는 제6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로 인한 해상도 저해 현상을 경감시킨다. 참고로, 덮개 유리는 이미지 센서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90 < FOV
[조건식] 10 ㎜ < |R13|
상기 조건식에서 FOV는 촬상 광학계의 최대 화각이고, R13은 제6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 제6렌즈(16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렌즈(1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6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들 렌즈 중 제4렌즈는 비구면 형상이고, 나머지 렌즈들은 모두 구면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제3렌즈(130)와 접합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의 상 측면(S4)은 제3렌즈(130)의 물체 측면(S5)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제3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제5렌즈(150)는 제6렌즈(160)와 접합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150)의 상 측면(S11)은 제6렌즈(160)의 물체 측면(S12)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렌즈(150)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제6렌즈(160)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3의 표와 같은 렌즈 특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제4렌즈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촬상 광학계(100)는 조리개(ST)를 포함한다. 조리개(ST)는 제3렌즈(130)와 제4렌즈(1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ST)는 제3렌즈(130)의 상 측면과 제4렌즈(140)의 물체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170)와 덮개 유리(180)를 포함한다. 필터(170)와 덮개 유리(180)는 제6렌즈(160)와 이미지 센서(190)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170)는 적외선을 차단하고, 덮개 유리(180)는 이미지 센서(190)를 보호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이미지 센서(19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90)는 렌즈를 통해 굴절된 빛이 결상될 수 있는 상면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 제6렌즈(26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렌즈(2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6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들 렌즈 중 제4렌즈는 비구면 형상이고, 나머지 렌즈들은 모두 구면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제3렌즈(230)와 접합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220)의 상 측면(S4)은 제3렌즈(230)의 물체 측면(S5)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제3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제5렌즈(250)는 제6렌즈(260)와 접합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250)의 상 측면(S11)은 제6렌즈(260)의 물체 측면(S12)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렌즈(250)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제6렌즈(260)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5의 표와 같은 렌즈 특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제4렌즈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촬상 광학계(200)는 조리개(ST)를 포함한다. 조리개(ST)는 제3렌즈(230)와 제4렌즈(2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ST)는 제3렌즈(230)의 상 측면과 제4렌즈(240)의 물체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270)와 덮개 유리(280)를 포함한다. 필터(270)와 덮개 유리(280)는 제6렌즈(260)와 이미지 센서(290)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270)는 적외선을 차단하고, 덮개 유리(280)는 이미지 센서(290)를 보호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이미지 센서(29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290)는 렌즈를 통해 굴절된 빛이 결상될 수 있는 상면을 형성한다.
표 1은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대체로 3.3 ~ 4.1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1렌즈의 초점거리(f1)는 대체로 -7.3 ~ -4.3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2렌즈의 초점거리(f2)는 대체로 -6.2 ~ -3.2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3렌즈의 초점거리(f3)는 대체로 1.8 ~ 4.2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4렌즈의 초점거리(f4)는 대체로 5.3 ~ 10.1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5렌즈의 초점거리(f5)는 대체로 3.1 ~ 5.9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제6렌즈의 초점거리(f6)는 대체로 -6.5 ~ -3.4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TL은 대체로 13.0 ~ 17.5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다수의 구면 렌즈를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촬상 광학계는 렌즈들의 굴절력을 최소화하여 온도에 따른 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촬상 광학계는 높은 온도에서 일정한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온도 변화에 따른 MTF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10 ~ 60도의 온도구간에서 0.75 ~ 0.72 범위 MTF 값을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10 ~ 60도의 온도구간에서 0.75 ~ 0.71 정도의 MTF 값을 나타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10 ~ 60도의 온도범위에서 일정한 해상도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촬상 광학계는 차량 실내와 같이 온도 변화폭이 큰 환경에서도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의 광학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 60도의 온도구간에서 0.8 ~ 0.7 MTF 값을 나타냈다. 즉, 종래의 광학계는 10 ~ 60도의 온도구간에서 해상도의 변화가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촬상 광학계
110, 210 제1렌즈
120, 220 제2렌즈
130, 230 제3렌즈
140, 240 제4렌즈
150, 250 제5렌즈
160, 260 제6렌즈
170, 270 필터
180, 280 덮개 유리
190, 290 상면 또는 이미지 센서
ST 조리개

Claims (18)

  1.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제2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는 25 이하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 면이 오목하고 상측 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유리 재질이고,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는,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상측 면과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은 서로 접합된, 촬상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 면이 오목하고 상측 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굴절률은 1.90 이상인, 촬상 광학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의 아베수는 55 이하인, 촬상 광학계.
  12.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90 < FOV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상기 조건식에서 FOV는 촬상 광학계의 최대 화각이다)
  13. 제1항에 있어서,
    조건식 10mm < |R13|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상기 조건식에서 R13은 상기 제6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14.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는 조리개가 배치되고,
    조건식 10mm < |R13|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상기 조건식에서 R13은 상기 제6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5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접합 렌즈인, 촬상 광학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 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KR1020230122673A 2016-01-26 2023-09-14 촬상 광학계 KR20230135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673A KR20230135034A (ko) 2016-01-26 2023-09-14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49A KR102580826B1 (ko) 2016-01-26 2016-01-26 촬상 광학계
KR1020230122673A KR20230135034A (ko) 2016-01-26 2023-09-14 촬상 광학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49A Division KR102580826B1 (ko) 2016-01-26 2016-01-26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034A true KR20230135034A (ko) 2023-09-22

Family

ID=59360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49A KR102580826B1 (ko) 2016-01-26 2016-01-26 촬상 광학계
KR1020230122673A KR20230135034A (ko) 2016-01-26 2023-09-14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49A KR102580826B1 (ko) 2016-01-26 2016-01-26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84217B2 (ko)
KR (2) KR102580826B1 (ko)
CN (3) CN1159937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5959B (zh) * 2017-08-29 2021-07-1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JP6797105B2 (ja) * 2017-12-18 2020-1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対物光学系及び内視鏡
JP7201619B2 (ja) * 2017-12-26 2023-01-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広角レンズ
WO2019205874A1 (zh) * 2018-04-28 2019-10-31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11103672B (zh) * 2018-10-25 2022-02-08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8681033B (zh) * 2018-05-22 2019-10-29 德伽智能光电(镇江)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
CN110716281A (zh) * 2018-07-12 2020-01-21 光芒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及其制造方法
CN111999863B (zh) * 2019-05-27 2022-01-14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成像设备
CN110308542B (zh) * 2019-08-06 2024-03-29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US11148611B2 (en) * 2019-09-27 2021-10-19 GM Cruise Holdings, LLC Automotive camera unit
CN112748512B (zh) * 2019-10-29 2024-01-2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电子设备
WO2021149691A1 (ja) * 2020-01-20 2021-07-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対物光学系及び内視鏡
CN113376801B (zh) * 2021-06-04 2022-11-29 江西凤凰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大视场大景深低畸变扫描镜头
CN114578517B (zh) * 2022-03-14 2024-01-02 江西特莱斯光学有限公司 一种超短大靶面tof光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909B2 (ja) 2002-12-25 2009-05-20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用対物レンズ
JP4708806B2 (ja) * 2005-02-07 2011-06-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4999078B2 (ja) * 2007-04-09 2012-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対物レンズおよび内視鏡
ATE540329T1 (de) 2007-04-09 2012-01-15 Fujifilm Corp Endoskopobjektivlinse und endoskop
KR101093491B1 (ko) * 2009-06-19 2011-12-13 (주)위오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JP5363354B2 (ja) 2010-01-12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光学系、撮像装置
JP5816848B2 (ja) * 2010-08-02 2015-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1183188B1 (ko) 2010-12-23 2012-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감시용 초광각 카메라 렌즈
TWI485464B (zh) * 2010-12-30 2015-05-2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用光學鏡片組
CN103430074B (zh) 2011-03-18 2016-01-20 富士胶片株式会社 成像镜头和成像设备
JP5846792B2 (ja) * 2011-07-22 2016-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4015999A (ja) 2012-07-10 2014-01-30 Jtekt Corp 固定装置、転がり軸受固定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用固定装置を適用した連続鋳造用ロール装置
JP6090650B2 (ja) * 2012-11-19 2017-03-08 株式会社リコー 結像レンズ、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JP6300070B2 (ja) * 2013-02-22 2018-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TWI487942B (zh) * 2014-03-12 2015-06-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及應用此鏡頭之電子裝置
CN104122645B (zh) 2014-03-12 2017-02-1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之电子装置
JP2016004196A (ja) * 2014-06-18 2016-0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6095460A (ja) * 2014-11-17 2016-05-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JP6266503B2 (ja) * 2014-12-17 2018-0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対物レンズおよび内視鏡
TWI596370B (zh) * 2015-08-27 2017-08-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CN105182505B (zh) 2015-09-06 2017-09-19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一种全景光学镜头及全景光学镜头装置
TWI586999B (zh) * 2015-10-23 2017-06-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5259638B (zh) 2015-11-04 2019-03-15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一种大通光高清定焦非球面镜头
TWI588524B (zh) * 2015-11-27 2017-06-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6918890B (zh) * 2015-12-24 2020-08-07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其透镜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8754A1 (en) 2021-03-25
KR102580826B1 (ko) 2023-09-20
US20170212329A1 (en) 2017-07-27
CN115793198A (zh) 2023-03-14
KR20170089135A (ko) 2017-08-03
CN106997086A (zh) 2017-08-01
US10884217B2 (en) 2021-01-05
CN115993708A (zh)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5034A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45B1 (ko) 촬상 광학계
CN108152914B (zh) 光学成像系统
KR102662859B1 (ko) 촬상 광학계
KR101823223B1 (ko) 촬상 광학계
KR101740772B1 (ko) 렌즈 모듈
KR101946262B1 (ko) 촬상 광학계
KR101813335B1 (ko) 촬상 광학계
KR102004798B1 (ko) 렌즈 모듈
CN116203704A (zh) 图像拍摄透镜系统
KR102629490B1 (ko) 촬상 광학계
KR20190128902A (ko) 촬상 광학계
KR102608096B1 (ko) 촬상 광학계
KR20170061290A (ko) 촬상 광학계
KR10229453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82314B1 (ko) 촬상 광학계
KR102642916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36395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3904A (ko) 촬상 광학계
KR102368759B1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46B1 (ko) 촬상 광학계
KR102582509B1 (ko) 촬상 광학계
KR102597156B1 (ko) 촬상 광학계
KR102609152B1 (ko) 촬상 광학계
KR102586082B1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