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91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913A
KR20230134913A KR1020220032302A KR20220032302A KR20230134913A KR 20230134913 A KR20230134913 A KR 20230134913A KR 1020220032302 A KR1020220032302 A KR 1020220032302A KR 20220032302 A KR20220032302 A KR 20220032302A KR 20230134913 A KR20230134913 A KR 2023013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guide
air condition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진
박정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913A/ko
Publication of KR2023013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및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베인;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인이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면을 갖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베인과 가이드가 코안다효과를 유발하여, 공기조화기 주위를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부적인 영역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내부에는 팬이 배치되고,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실내공간으로 토출된다.
이 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멀게 위치한 공간까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토출된 공기의 회풍을 최소화하고 공기조화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오랜 시간 머무르는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머무르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송풍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기류형성은, 사용자 인근 공간의 공기조화 효율을 낮춘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기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머무르는 위치에 국부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지 못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쾌적함이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35188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 효율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국부적인 영역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유로가 단순화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유동공기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공기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마주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인이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인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면을 갖는다.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베인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인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폭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제1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의 단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3 면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가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사이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사이드패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사이드패널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모터를 둘러싸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하우징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고 상기 모터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3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이너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너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제1 이너가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 이너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가이드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된 리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가이드는, 상기 팬의 후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가이드는, 상기 제1 리어가이드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리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형성하는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그릴의 후방에 이격된 이너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그릴과 상기 이너그릴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패널 및 상기 사이드패널과 연결되는 어퍼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어퍼패널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보조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어퍼패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폐쇄하는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방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방하는 제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머무르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머무르는 위치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 구조만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인 및 가이드 구조에 의해, 공기유로가 단순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인과 가이드의 곡면으로 인해 유동공기에 작용하는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절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프론트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1)은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 판형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그릴(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2)은 프론트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2)은 프론트패널(11)과 일체형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는 그릴(12)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사이드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패널(14)은 프론트패널(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14)은 판형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토출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는 사이드패널(14)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는 슬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어퍼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패널(16)은 프론트패널(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패널(16)은 판형일 수 있다.
프론트패널(11), 사이드패널(14) 및 어퍼패널(16)은 일체형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어퍼그릴(17)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그릴(17)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어퍼토출구(1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토출구(18)는 어퍼그릴(17)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토출구(18)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어퍼토출구(18)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사이드패널(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공기토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사이드패널(14)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사이드패널(14)로부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케이스(10)와 일체형일 수 있다. 가이드(30)는 베인(2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공기토출구(15)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플레이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어퍼패널(1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어퍼토출구(18)를 개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플레이트(40)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6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모터(60)는 공기토출구(15)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제2 모터(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팬(80)(도 3참조), 제1 모터(50)(도 3참조) 및 제2 모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팬(80),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2는 공기조화기(1)를 도 1에 도시된 A-A' 선도로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공기토출구(15)는 케이스(10)의 양측방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양측방에 각각 형성된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 양측방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 양측방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5) 각각을 개폐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케이스(10) 양측방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케이스(10) 양측방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5) 각각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 베인(20) 및 가이드(30)는 케이스(1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 베인(20) 및 가이드(30)는 팬(80)(도 3참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팬(80)(도 3참조)을 회전시키는 팬모터(9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90)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80)은 팬모터(90)와 모터축(91)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리어패널(19)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패널(19)은 프론트패널(13)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다. 팬(80) 및 팬모터(90)는 프론트패널(13)과 리어패널(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3)과 리어패널(19)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축(91)은 리어패널(19)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팬(80)(도 3참조)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베인(20)과 가이드(30)는 공기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81)을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90)는 모터하우징(8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81)은 팬모터(9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81)의 외둘레면은 원형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8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82)은 모터하우징(8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82)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82)과 모터하우징(8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모터하우징(81)과 프레임(82) 사이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81)과 프레임(82)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팬(80)을 포함한다. 팬(80)은 팬모터(90)와 모터축(9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팬(8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는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팬(80)은 사류팬일 수 있다.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는 모터하우징(81)과 프레임(82) 사이 공간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81)과 프레임(82)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3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의 내측면과 가이드(30)의 외측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50)는 케이스(10)의 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1 모터(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필터(12a)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a)는 그릴(12)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12a)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2a)는 그릴(12)에 탈착될 수 있다. 필터(12a)는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그릴(12)과 팬(80)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그릴(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그릴(12b)은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그릴(1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그릴(12b)은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홀(13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홀(13a)은 공기유입구(13)와 마주할 수 있다.
그릴(12)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이너그릴(12b)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그릴홀(13a)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12a)는 그릴(12)과 이너그릴(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12a)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이너그릴(12b)을 통과할 수 있다.
프레임(82)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82)은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프레임(82)은 그릴(12)과 이너그릴(12b)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8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82a)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케이스(10)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82)은 제1 프레임(82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8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2b)은 이너그릴(12b)의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2b)은 제1 프레임(82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82)은 제2 프레임(82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8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82c)은 제2 프레임(82b)의 후단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프레임(82c)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82)은 제3 프레임(82c)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 프레임(8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프레임(82d)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4프레임(82a, 82b, 82c, 82d)은 환형일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4프레임(82a, 82b, 82c, 82d)의 내측공간을 통해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폭은, 제1 프레임(82a)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유로의 폭은, 제2 프레임(82b)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유로의 폭은, 제3 프레임(82c)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유로의 폭은, 제4 프레임(82d)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82)의 굴곡진 구조로 인하여,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공기토출구(15)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82)의 굴곡진 구조로 인해, 케이스(10) 내부에서 공기에 가해지는 저항이 줄어들고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리어가이드(83)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83)는 프레임(8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가이드(83)는 프레임(8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83)는 리어패널(19)(도 2참조)의 일부분일 수 있다.
리어가이드(83)는 팬(80)(도 3참조)의 후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어가이드(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가이드(83a)는 케이스(10)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14)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83)는 제1 리어가이드(83a)로부터 공기토출구(15)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리어가이드(8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어가이드(83b)는 공기토출구(15)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리어가이드(83b)는 공기토출구(15)를 향할수록 후방으로 굴곡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이너가이드(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프레임(8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프레임(8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사이드패널(14)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리어가이드(8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83)와 이너가이드(84) 사이에는 공기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공기토출구(15)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프레임(8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이너가이드(8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가이드(84a)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케이스(10) 외측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제2 이너가이드(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가이드(84b)는 제1 이너가이드(84a)로부터 후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이너가이드(84b)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너가이드(84b)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프레임(82)을 통과한 공기의 유로의 폭은, 이너가이드(84)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너가이드(84)는 가이드(3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1 모터(50)는 베인(20)과 베인모터축(51)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모터(50)는 리어가이드(83)와 이너가이드(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1 연장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제1 경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베인(20)은 제2 연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3)는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3)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3)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2 연장부(23)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제2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베인(20)은 절곡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22)는 제1 연장부(21)와 제2 연장부(23)를 연결할 수 있다. 절곡부(22)는 제1 연장부(21)와 제2 연장부(23) 사이에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 절곡부(22) 및 제2 연장부(23)는 일체형일 수 있다.
제1 연장부(21)의 제1 경사각(θ1)은, 제2 연장부(23)의 제2 경사각(θ2)보다 클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작아질 수 있다.
베인(20)은 모터결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결합부(24)는 제1 연장부(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모터결합부(24)는 베인모터축(51)과 결합될 수 있다. 모터결합부(24)는 리어가이드(83)와 이너가이드(8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사이드패널(14)로부터 케이스(10)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30)는 코안다효과(Coanda Effect)를 일으킬 수 있다. 가이드(30)는 코안다표면(Coanda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3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30)에 의한 코안다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제1 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1)은 이너가이드(84)로부터 케이스(10)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31)은 전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31)은 베인(20)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면(31)은 제1 연장부(21) 및 절곡부(22)와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제2 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32)은 제1 면(3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면(32)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면(32)에 가이드(30)의 꼭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32)은 베인(20)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면(32)은 절곡부(22) 및 제2 연장부(23)와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30)는 제3 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33)은 제2 면(3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면(33)은 전방으로 갈수록 케이스(10)의 내측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제3 면(33)은 베인(20)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33)은 베인(20)의 끝단부와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33)의 전단부는 사이드패널(14)의 전단부와 일치할 수 있다. 제3 면(33)의 전단부는 공기조화기(1)의 전단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의 폭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의 폭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좁아진 후, 다시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31)의 후단과 제1 연장부(21)의 후단 사이공간을 공기토출구(15)의 인렛(Inlet)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의 폭(w1)을 제1 폭(w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22)와 제1 면(31) 사이의 폭(w2)을 제2 폭(w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23)의 전단과 가이드(30) 사이공간을 공기토출구(15)의 아웃렛(Outlet)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의 아웃렛의 폭(w3)을 제3 폭(w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제2 폭(w2)은 제3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즉, 공기토출구(15)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으로부터 절곡부(22)까지는 그 폭이 작아질 수 있고, 절곡부(22)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의 아웃렛까지는 그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베인(20)과 가이드(30) 사이의 공기토출구(15)는, 절곡부(22)와 가이드(30) 사이의 폭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케이스(10) 내의 공기는 베인(20)과 가이드(30) 사이의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베인(20)의 내측면과 가이드(30)의 외측면에 의해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베인(20)과 가이드(30)의 구조로 인해, 유동공기는 코안다효과(Effect)로 인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3)로 재유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컨트롤러(70)는 팬(80)(도 3참조), 제1 모터(50)(도 4참조) 및 제2 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터(50)는 베인(20)을 회전시켜 공기토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되어 공기토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되어 공기토출구(15)를 폐쇄할 수 있다. 베인(20)은 케이스(10) 내측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이드(30)에 접촉될 수 있다. 베인(20)은 가이드(30)와 접촉되어, 공기토출구(15)를 폐쇄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5)는 "토출구"로 이름될 수 있다.
제2 모터(60)는 플레이트(40)를 회전시켜 어퍼토출구(18)를 개폐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어퍼토출구(18)를 개방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어퍼토출구(18)를 폐쇄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어퍼패널(16)에 접촉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어퍼패널(16)과 접촉되어 어퍼토출구(18)를 폐쇄할 수 있다. 어퍼토출구(18)는 "보조토출구"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토출구(15)가 개방되고 보조토출구(18)는 폐쇄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5)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가이드(30)를 따라 유동하여 공기유입구(13)로 재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드에서, 공기는 공기유입구(13)와 토출구(15)를 순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토출구(15)가 폐쇄되고 보조토출구(18)는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보조토출구(18)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보조토출구(18)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토출구(15)와 보조토출구(18)가 모두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5)와 보조토출구(18)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사용자의 주위를 순환하고, 나머지는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공기조화기(1)의 구동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70)에 구동모드에 대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미도시)에 공기조화기(1)의 구동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미도시)은 상기 구동모드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미도시)은 어퍼패널(16)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컨트롤패널(미도시)의 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러(70)는 공기조화기(1)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컨트롤러(70)는 제1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플레이트(4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보조토출구(18)를 폐쇄할 수 있다(S120). 컨트롤러(70)는 제1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베인(2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토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S130).
컨트롤러(70)는 공기조화기(1)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컨트롤러(70)는 제2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베인(20)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토출구(15)를 폐쇄할 수 있다(S150). 컨트롤러(70)는 제2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플레이트(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조토출구(18)를 개방할 수 있다(S160).
컨트롤러(70)는 제3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베인(2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토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S170). 컨트롤러(70)는 제3 모드 신호를 입력받을 때, 플레이트(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조토출구(18)를 개방할 수 있다(S180).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1)가 배치된 실내공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공기조화기(1)는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간의 책상(D)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H)는 책상(D)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H)는 의자(C)에 앉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구동되면,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베인(20)과 가이드(30)에 의해 유동방향이 안내되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공기는 사용자(H)의 주위를 순환하여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재유입될 수 있다.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공기유입구(13)로 곧바로 유입될 수 있고, 나머지는 사용자(H)의 주위를 순환한 뒤 공기유입구(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H) 인근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자(H) 인근의 국부적인 영역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도 7의 (b)는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 인근영역(P1)에서 전방을 향하는 유속분포를 갖는다. 또한, 공기조화기(1')로부터 멀게 떨어진 영역(Q1)에서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전방을 향하는 유속분포를 갖는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 인근영역(P2)에서 공기조화기(1)로 재유입되는 유속분포를 갖는다. 또한, 공기조화기(1)로부터 멀게 떨어진 영역(Q2)에서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로 순환되는 유속분포를 갖는다. 이에,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공기조화기(1)가 배치된 국부적인 영역 내에서 순환시켜, 국부적인 영역의 공기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13: 공기유입구 15: 공기토출구
18: 보조토출구 20: 베인
30: 가이드 40: 플레이트
50: 제1 모터 60: 제2 모터
70: 컨트롤러 80: 팬
90: 팬모터

Claims (20)

  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및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베인;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인이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면을 갖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베인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조화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폭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단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과 접하고, 상기 제3 면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와 접하는 공기조화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인렛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큰 공기조화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사이드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사이드패널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조화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릿의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를 둘러싸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고, 상기 모터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이너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너가이드; 및
    상기 제1 이너가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 이너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된 리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가이드는,
    상기 팬의 후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어가이드; 및
    상기 제1 리어가이드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리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를 형성하는 그릴;
    상기 그릴의 후방에 이격된 이너그릴; 및
    상기 그릴과 상기 이너그릴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사이드패널;
    상기 프론트패널 및 상기 사이드패널과 연결되는 어퍼패널; 및
    상기 어퍼패널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보조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폐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폐쇄하는 제1 모드;
    상기 공기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방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토출구를 개방하는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032302A 2022-03-15 2022-03-15 공기조화기 KR2023013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02A KR20230134913A (ko) 2022-03-15 2022-03-1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02A KR20230134913A (ko) 2022-03-15 2022-03-1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913A true KR20230134913A (ko) 2023-09-22

Family

ID=8819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02A KR20230134913A (ko) 2022-03-15 2022-03-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9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188Y1 (ko) 2006-08-28 2007-01-10 김태연 책상 고정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188Y1 (ko) 2006-08-28 2007-01-10 김태연 책상 고정용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065B1 (ko) 공기조화기
CN108027165B (zh) 空调室内机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1114092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8679705B (zh) 空气调节器
JP3943111B2 (ja) 空気調和機用送風装置
CN106796035B (zh) 空气调节机
KR20230134913A (ko) 공기조화기
US11808274B2 (en) Blower
JP33249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211575269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0891910U (zh) 空调室内机
KR1013156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3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628857A (zh) 一种空调器
CN217979026U (zh) 进风组件及空调器
KR20240026680A (ko) 공기조화기
CN216114329U (zh) 一种新风空调
KR20240017881A (ko) 공기조화기
CN214841210U (zh) 空调挂机
CN219913393U (zh) 出风框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JP3891850B2 (ja) ラインディフューザ
KR100674272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2575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2004173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