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78A -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278A
KR20230134278A KR1020220031392A KR20220031392A KR20230134278A KR 20230134278 A KR20230134278 A KR 20230134278A KR 1020220031392 A KR1020220031392 A KR 1020220031392A KR 20220031392 A KR20220031392 A KR 20220031392A KR 20230134278 A KR20230134278 A KR 2023013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generating coil
magnetic
magnetic gener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김근우
허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메드
Priority to KR102022003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278A/ko
Priority to US17/993,045 priority patent/US20230285767A1/en
Priority to PCT/KR2022/018819 priority patent/WO2023177040A1/ko
Publication of KR2023013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복수의 냉각 구조를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기 발생 코일;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송풍장치 및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자기 발생 코일로 가이드하는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안착면을 이루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Treatment device using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치료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복수의 냉각 구조를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장을 이용한 치료장치는 코일에 펄스형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고,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전류가 인체 조직 내에 유도되어 환부를 자극하는 치료장치이다. 이러한 자기장 치료장치는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구비하고, 코일에 수천 A정도의 전류를 짧은 시간(50~300μs)에 인가해 코일 주변에 원하는 강도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열은 코일의 인덕턴스와 코일 내부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통상 자기장 치료장치는 코일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냉각장치는 물을 이용하는 수냉 방식, 방열판 등을 이용하여 열을 배출한 후 팬 등을 통해 이를 냉각시키는 공냉 방식, 코일 외부에 오일을 통과시켜 열을 흡수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냉각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수냉 방식은 공냉 방식이나 오일냉각 방식에 비해 냉각효율이 높고 유지가 용이한 이점이 있지만, 고압 대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직접적인 접촉이 불가능하여 간접적으로 냉각수를 흘려 냉각시키는 구성이므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수냉 방식은 외부케이스의 파손 및 누수 우려가 있으며 절연을 완벽하게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공냉 방식은 냉각효율이 낮은 한계가 있고, 오일냉각 방식은 누유의 위험이 높고 온도가 물에 비해 느리게 올라가고 느리게 식는 속성으로 인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치료장치에서는 냉각장치로서 컴프레서나 라디에이터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진동과 소음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정교한 온도제어가 불가하여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1. 한국 특허 등록 제 10-0841596 호 (발명의 명칭 :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 2. 한국 특허 공개 제 10-2020-0042301 호 (발명의 명칭 : 하이브리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치료기)
이에,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져 자기 발생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는 집중 냉각 구조를 가지는 치료장치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덕트 구조를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콤팩트한 구조의 의자형 치료장치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기 발생 코일;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송풍장치 및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자기 발생 코일로 가이드하는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안착면을 이루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상기 자기 발생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전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지나 상기 내부 전자장치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상기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제3 송풍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풍장치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 및 상기 내부 전자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상기 내부 전자장치는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자기 발생 코일 및 상기 내부 전자장치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통과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경유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전자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또는 제2 송풍장치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에 도달하기 전 상기 내부 전자장치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복수의 냉각 구조 즉, 자기 발생 코일로 유체를 공급하는 복수의 송풍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자기 발생 코일을 관통하는 유체의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밀착되는 밀착면에서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자기 발생 코일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치료가 수행되는 기간 동안 코일의 특정 부위가 과열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는 덕트 구조를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냉각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콤팩트한 구조로 의자형의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서 복수 개의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입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출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냉각 구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 및 도 4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포함되는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포함되는 송풍장치 및 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서의 냉각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 송풍장치(120),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130), 하우징(140) 및 내부 전자장치(150)를 포함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인가되는 전류를 통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14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발생 코일(110)은 밀착면(141)에 수직한 중심축을 가지는 평면상의 원형 코일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형태의 코일일 수 있다.
송풍장치(12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냉각시키는 유체를 공급한다.
송풍장치(120)는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를 포함한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외부에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팬(fan), 블로워(blower), 콤프레셔(compressor) 및 펌프(pump)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를 외부로 배기한다. 이때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팬, 블로워, 콤프레셔 및 펌프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덕트(130)는 송풍장치(120)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에서 유체를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덕트(130)는 일단(131a)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개방되고 타단(131b)이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에서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을 거쳐 유출측 송풍장치(120b)에서 배기되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덕트(13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배치되는 영역의 내부 단면적이 일단(131a) 및 타단(131b)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덕트(130)는 안착면(132)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단면적이 일단(131a) 및 타단(131b)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부 단면적이 작아진 영역에서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덕트(13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덕트(130)는 밀착면(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기 발생 코일(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32)을 구비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 안착면(132) 상에 안착되고, 덕트(130)는 이 위치에 대응하여 자기 발생 코일(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3)를 포함한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덕트(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33)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동한다.
지지부(133)는 러버(rubber)일 수 있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홀(135)을 포함한다.
홀(135)은 덕트(130)에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관통시킨다. 홀(135)을 통해 관통된 유체는 내부 전자장치(1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덕트(130)가 홀(135)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자기 발생 코일(11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내부 전자장치(15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홀(135)은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70%, 내부 전자장치(150) 측으로 30% 정도의 비율로 유동할 수 있도록 홀의 직경과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덕트(130)는 홀(135)을 포함하여 자기 발생 코일(110)과 내부 전자장치(15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내부 전자장치(150)를 위한 별도의 냉각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콤팩트한 구조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내주면이 굴곡진 굴곡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굴곡부(136)는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가 굴곡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가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덕트(130)가 굴곡부(136)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팬이나 블로워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덕트(130)가 굴곡부(136)에 닿는 경우 그렇지 않은 영역에 닿는 것 보다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밀착면(141)을 포함한다. 밀착면(141)은 사용자가 착좌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예컨대,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는 면이다. 밀착면(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굴곡을 가진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은 냉각을 위한 다수의 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홀(143)은 송풍장치(12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와 전체적인 구성이 유사하나, 돌출면(142)과 관련된 구성요소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좌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자기 발생 치료장치이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하우징(140)의 일 구성으로서 신체의 일부 예컨대,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는 밀착면(141)과, 신체의 일부 예컨대, 사용자의 허리, 골반 등을 지지하는 돌출면(1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좌시 신체를 지지하는 부재 즉, 돌출면(142)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부재의 결합 없이도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형 치료장치를 제시한다.
돌출면(142)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팔걸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면(142)은 사용자가 착좌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착좌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출면(142)은 밀착면(141)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 둘레에서 밀착면(14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면(142)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벽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142)의 수용 공간 내에는 송풍장치(120a, 1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20a, 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외주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송풍장치(120a, 120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면(142)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20a, 120b)는 돌출면(142)의 수용 공간 내에서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을 위한 다수의 홀(143)은 송풍장치(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을 위한 다수의 홀(143)은 돌출면(14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서 복수 개의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의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평면상에 도시한 것이다. 이는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가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 간의 단차나 밀착면(141)과 송풍장치(120a, 120b) 간의 거리 차이는 배제하고,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의 배치에 따른 냉각 유체 흐름을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해, 도 5에서의 송풍장치(120a, 120b)는 도 2에 도시된 송풍장치(120a, 120b)와 같이 유체의 공급 방향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송풍장치(120a, 120b)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외주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며 송풍장치(120a, 120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면(142)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풍장치(120a, 120b)는 복수 개 구비되어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복수 개 구비되어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f1, f2)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로의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송풍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 냉각 유체 흐름(f1)을 생성하는 제1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면서,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상이한 방향의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을 생성하는 제2 송풍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기 발생 코일(110)은 제1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이 중첩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도 5의 (a)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은 서로 수직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은 서로 둔각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생성된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이 다시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되돌아가지 않고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면서 자기 발생 코일(11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유속과 유량이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측 송풍장치(120b)가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유출측 송풍장치(12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각각의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유출측 송풍장치(120b)가 하나 구비되어 복수의 유입측 송풍장치(120a)들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한번에 배기할 수도 있다. 이때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수직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의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평면상에 도시한 것이다. 이는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 간의 단차나 측면 하우징(140)과 송풍장치(120a, 120b) 간의 거리 차이는 배제하고, 자기 발생 코일(110)과 송풍장치(120a, 120b)의 배치에 따른 냉각 유체 흐름을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해, 도 6에서의 송풍장치(120a, 120b)는 도 2에 도시된 송풍장치(120a, 120b)와 같이 유체의 공급 방향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송풍장치(120a, 120b)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외주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며 송풍장치(120a, 120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면(142)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송풍장치(120a, 120b)는 복수 개 구비되어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복수 개 구비되어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f1, f2)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로의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송풍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 냉각 유체 흐름(f1)을 생성하는 제1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을 생성하는 제2 송풍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기 발생 코일(110)은 제1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이 중첩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역시,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생성된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이 다시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되돌아가지 않고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하면서 자기 발생 코일(11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유속과 유량이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유출측 송풍장치(120b)가 구비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복수 개의 유출측 송풍장치(12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유체 흐름(f1)을 생성하는 제1 송풍장치(120a)와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을 생성하는 제2 송풍장치(120a)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도 6의 (a)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평면과 중첩되도록 자기 발생 코일(110)의 바로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6의 (b)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이 이루는 평면을 기준으로 제1 송풍장치(120a)측으로 편향되어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의 (b)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제1 냉각 유체 흐름(f1)과 제2 냉각 유체 흐름(f2)이 중첩되어 빨라진 유속으로 자기 발생 코일(110)을 지나게 되므로 냉각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입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출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냉각 구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다.
도 9의 (a) 및 (b)를 함께 참조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의 이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송풍장치(120)를 자기 발생 코일(110)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자기 발생 코일(1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9의 (a)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과 90도 각도로 배치된 경우로, 이 경우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향하지 못하고 덕트(130)의 내주면에 의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되돌아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도 9의 (b)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경우로, 이 경우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지향하게 되므로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20)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 영역의 하우징(140)에 홈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1)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유입측 송풍장치(120a)를 팬, 블로워, 콤프레셔 및 펌프 중 어느 하나로 채용하더라도 바닥부에 있는 먼지가 유입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 및 도 4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덕트(130)는 밀착면(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기 발생 코일(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32)을 구비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 안착면(132) 상에 안착되고, 덕트(130)는 이 위치에 대응하여 자기 발생 코일(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3)를 포함한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덕트(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33)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동한다.
지지부(133)는 러버(rubber)일 수 있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덕트(130)는 안착면(132)에서 자기 발생 코일 (110)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4)를 포함한다. 돌출부(134)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에 형성된 안착면(13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돌출부(1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상부로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다시 말해, 돌출부(134)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과 밀착면(141)의 사이에 형성된 영역으로 향할 수 있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돌출부(134)는 자기 발생 코일(110)과 밀착면(141)의 사이 영역에 공급되는 유량과 유속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는 부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134)는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가 굴곡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부재가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밀착면(141)은 하면에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밀착면(141)은 하우징(14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덕트(130)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44)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밀착면(14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44)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동한다. 지지부(144)는 안착면(132)에 형성된 지지부(133)와 같이, 러버(rubber)일 수 있다. 지지부(144)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포함되는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는 상술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와 전반적인 구성이 유사하나, 복수의 송풍장치(220a, 220b, 220c)의 배치와 이에 따른 냉각 유체의 흐름(f1, f2, f3)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는 자기 발생 코일(210), 송풍장치(220a, 220b, 220c),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230), 하우징(240) 및 내부 전자장치(250)를 포함한다. 이하,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송풍장치(220a, 220b, 220c) 및 덕트(230) 구성과 이에 따른 냉각 유체의 흐름(f1, f2, f3)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는 제1 송풍장치(220a), 제2 송풍장치(220b) 및 제3 송풍장치(220c)를 포함한다.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자기 발생 코일(2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자기 발생 코일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측 송풍장치로서, 팬(fan), 블로워(blower), 콤프레셔(compressor) 및 펌프(pump)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자기 발생 코일(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송풍장치(220a, 2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과 자기 발생 코일(210)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는 제3 송풍장치(220c)를 더 포함한다.
제3 송풍장치(220c)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3 송풍장치(220c)는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210) 및 내부 전자장치(250)를 경유하여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제1 송풍장치(220a), 제2 송풍장치(220b) 및 제3 송풍장치(220c)에 따른 냉각 유체의 흐름(f1, f2, f3)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포함되는 덕트(23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덕트(230)는 송풍장치(220a, 220b)와 자기 발생 코일(210)의 사이에서 유체를 가이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덕트(230)는 일단이 제1 송풍장치(220a)로 개방되고 타단이 제2 송풍장치(220b)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덕트(230)는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210)을 향하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덕트(230)는 자기 발생 코일(210)이 안착되는 안착면(231)을 제공하고, 안착면(231)은 밀착면(24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기 발생 코일(210) 안착면(231) 상에 안착되고, 덕트(230)는 이 위치에 대응하여 자기 발생 코일(210)을 지지하는 지지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230)는 안착면(231)을 이루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32)를 포함한다. 개구부(232)는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210)을 지나 자기 발생 코일(21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부 전자장치(250)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내부 전자장치(250)는 자기 발생 코일(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부(232)는 자기 발생 코일(210) 및 내부 전자장치(25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덕트(230)는 안착면(231)에서 자기 발생 코일 (210)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34)는 제1 송풍장치(220a) 또는 제2 송풍장치(220b)와 자기 발생 코일(210)의 사이에 형성된 안착면(23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유입측 송풍장치(220a, 220b)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210)의 상부로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서의 냉각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를 상부 및 측부에서 바라본 경우의 자기 발생 코일(210)과 송풍장치(220a, 220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평면상에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6은 복수의 송풍장치(220a, 220b, 220c)에 의해 생성된 냉각 유체 흐름(f1, f2, f3)을 자기 발생 코일(210)을 기준으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자기 발생 코일(210)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냉각 유체의 흐름(f1, f2, f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설명하며 상술하였지만,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기 발생 코일(210)과 송풍장치(220a, 220b)가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 발생 코일(210)과 송풍장치(220a, 220b) 간의 단차나 밀착면(241)과 송풍장치(220a, 220b) 간의 거리 차이는 배제하고, 자기 발생 코일(210)과 송풍장치(220a, 220b)의 배치에 따른 냉각 유체 흐름(f1, f2)을 자기 발생 코일(2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자기 발생 코일(210)을 통과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f1)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유입측 냉각 유체 흐름(f1)은 자기 발생 코일(210)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자기 발생 코일(210)을 통과하면서, 자기 발생 코일(210)을 복수 측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는 자기 발생 코일(2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자기 발생 코일(210)로 유입되는 냉각 유체 흐름(f1)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유체 흐름(f1)은 펄스 자기장을 생성하며 발생하는 자기 발생 코일(210)의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발생하는 복수의 경로의 냉각 유체 흐름(f1)을 통하여 자기 발생 코일(210)의 냉각을 보다 집중적이고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덕트(230)에 형성된 개구부(232)는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의 흐름(f1)이 자기 발생 코일(210)을 지나 자기 발생 코일(2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전자장치(250) 측으로 유입되도록 냉각 유체 흐름(f2)을 생성한다. 여기서 냉각 유체 흐름(f2)은 내부 전자장치(2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덕트(230)는 제1 송풍장치(220a) 또는 제2 송풍장치(220b)와 자기 발생 코일(210)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로부터 유입측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내부 전자장치(25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홀은 유입측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자기 발생 코일(210)에 도달하기 전 상기 내부 전자장치(250) 측으로 유입되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냉각 유체의 흐름(f2)은 이러한 홀로부터 유입된 유체와 함께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내부 전자장치(250)의 열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덕트(230)는 개구부(232) 및 선택적인 홀 구성을 포함하여, 자기 발생 코일(210)과 내부 전자장치(250)의 동시 냉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는 내부 전자장치(250)를 위한 별도의 냉각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콤팩트한 구조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제3 송풍장치(220c)는 제1 송풍장치(220)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210) 및 내부 전자장치(250)를 경유하여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냉각 유체의 흐름(f3)을 생성한다.
냉각 유체의 흐름(f1, f2, f3)은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로 유입되어 배출될 때 까지 자기 발생 코일(210) 및 내부 전자장치(250)로부터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유체 온도가 상승되는 흐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송풍장치(220a) 및 제2 송풍장치(220b)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의 흐름(f1)과 개구부(232)에 의해 가이드되는 냉각 유체의 흐름(f2)은 도 15 내지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한 상대적인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부(232)를 통해 내부 전자장치(250)로 유입되는 냉각 유체의 흐름(f2)과 제3 송풍장치(220c)에 의해 자기 발생 치료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 유체의 흐름(f3)은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한 상대적인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유체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한 예시일 뿐, 반드시 유체의 흐름이 수직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 100', 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 자기 발생 치료장치
210 … 자기 발생 코일
220 … 송풍장치
220a … 제1 송풍장치
220b … 제2 송풍장치
220c … 제3 송풍장치
230 … 덕트
231 … 안착면
232 … 개구부
233 … 지지부
234 … 돌출부
240 … 하우징
241 … 밀착면
250 … 내부 전자장치

Claims (5)

  1.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기 발생 코일;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송풍장치 및 제2 송풍장치;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자기 발생 코일로 가이드하는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안착면을 이루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부 전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지나 상기 내부 전자장치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제3 송풍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송풍장치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 및 상기 내부 전자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자장치는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자기 발생 코일 및 상기 내부 전자장치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통과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경유한 유체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전자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2 송풍장치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송풍장치 또는 상기 제2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기 발생 코일에 도달하기 전 상기 내부 전자장치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0220031392A 2022-03-14 2022-03-14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13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92A KR20230134278A (ko) 2022-03-14 2022-03-14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US17/993,045 US20230285767A1 (en) 2022-03-14 2022-11-23 Treatment device using magnetic field
PCT/KR2022/018819 WO2023177040A1 (ko) 2022-03-14 2022-11-25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92A KR20230134278A (ko) 2022-03-14 2022-03-14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78A true KR20230134278A (ko) 2023-09-21

Family

ID=8793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392A KR20230134278A (ko) 2022-03-14 2022-03-14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5767A1 (ko)
KR (1) KR20230134278A (ko)
WO (1) WO20231770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96B1 (ko) 2007-06-05 2008-06-26 한국전기연구원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
KR20200042301A (ko) 2018-10-15 2020-04-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41B1 (ko) * 2004-08-12 2006-05-03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자기장 형성 효율이 향상된 자극 모듈과 그 자극기
US9610459B2 (en) * 2009-07-24 2017-04-04 Emkinetics, Inc. Cooling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ve coils
EP2982411B1 (en) * 2013-04-02 2019-05-08 Teijin Pharma Limited Magnetic stimulation device
CN113747939A (zh) * 2020-01-08 2021-12-03 株式会社Ifg 磁性刺激装置
KR102510348B1 (ko) * 2020-07-31 2023-03-16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 발생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96B1 (ko) 2007-06-05 2008-06-26 한국전기연구원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
KR20200042301A (ko) 2018-10-15 2020-04-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5767A1 (en) 2023-09-14
WO2023177040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4819B2 (ja) 磁気刺激装置
KR20230038170A (ko)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100026107A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저소음 자기장 발생 장치
KR20230134278A (ko)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CN111197829B (zh) 包括热电模块的落脚器
KR20230045779A (ko)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00058828A (ko)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KR20230045778A (ko) 신체 지지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94313A (ko) 경사형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JP6865117B2 (ja) 熱交換器
KR20230050717A (ko) 만곡형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050399B1 (ko) 전기레인지의 냉각 구조
JP7372342B2 (ja) 磁気発生治療装置
KR102624102B1 (ko) 공냉식 자기 자극 장치
JP496421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046655A (ko)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JP639589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5520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54355B1 (ko) 발전기 쿨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JP530243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4338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27241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983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