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655A -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655A
KR20230046655A KR1020210129886A KR20210129886A KR20230046655A KR 20230046655 A KR20230046655 A KR 20230046655A KR 1020210129886 A KR1020210129886 A KR 1020210129886A KR 20210129886 A KR20210129886 A KR 20210129886A KR 20230046655 A KR20230046655 A KR 2023004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ayer
wound
magnetic generati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메드
Priority to KR102021012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655A/ko
Publication of KR2023004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어 자기를 발생시키는 자기 발생 코일과, 이 자기 발생 코일을 냉각시키는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장치와, 자기 발생 코일와 송풍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을 형성하며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자기 발생을 다양한 부위에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의 밀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Treatment device using magnetic field with winding coil}
본 발명은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냉각 수단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실금은 갱년기의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근육의 약화, 임신이나 출산 또는 수술로 인한 신경의 손상 등으로 인해 골반저근을 지배하는 근육이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밑으로 처지는 원인에 기인한다.
또한 전립선 비대는 비뇨기에 속하는 전립선이 차차 비대해지는 증상으로, 전립선 비대증이 심해지면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하여 방광과 신장이 손상을 입어서 요독증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러한 요실금과 전립선 비대의 물리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골반운동, 전자기 자극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해볼 수 있다. 통상 비수술적 치료방법은 요실금 치료기의 형태에 따라 삽입형과 착좌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착좌형의 치료장치는 코일에 펄스형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고,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전류가 인체 조직 내에 유도되어 환부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자기장 치료장치는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구비하고, 코일에 수천 A정도의 전류를 짧은 시간(50~300μs)에 인가해 코일 주변에 원하는 강도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착좌형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둔부의 넓은 영역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형태로 작동하기 때문에 둔부 전반에 대한 자극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회음부 측에 자극의 강도가 약하여 그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비수술적 요실금 치료장치로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은 아직까지 상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451호 (2011년09월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1596호 (2008년06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4725호 (2020년11월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을 형성하며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자기 발생을 다양한 부위에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의 밀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과 제2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후방 및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 및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 및 좌우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볼록한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해서 고정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의 권취층의 배치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자기 발생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코일이 상방이나 하방으로 볼록하게 권취되면서 배치되어 자기 발생 범위를 중앙에 집중시키거나 외곽으로 균등하게 분산시켜 자기 발생 범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코일의 자기 발생시 발열을 냉각시켜 코일의 자기발생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코일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부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어 자기를 발생시키는 자기 발생 코일;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냉각시키는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와 상기 송풍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 및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2 코일 권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은, 상기 밀착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 사이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3 코일 권취층; 및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4 코일 권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4 코일 권취층은, 상기 밀착면의 일측방 및 타측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과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4 코일 권취층은,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해서 고정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코일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을 형성하며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자기 발생을 다양한 부위에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의 밀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과 제2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후방 및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 및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 및 좌우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볼록한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해서 고정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의 권취층의 배치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자기 발생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코일이 상방이나 하방으로 볼록하게 권취되면서 배치되어 자기 발생 범위를 중앙에 집중시키거나 외곽으로 균등하게 분산시켜 자기 발생 범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코일의 자기 발생시 발열을 냉각시켜 코일의 자기발생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코일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부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입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출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 구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다른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고정지지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입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유출측 송풍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 구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다른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고정지지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발생 치료장치의 자기 발생 코일의 간격조절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자기 발생 코일(110), 송풍장치(120),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130), 하우징(140) 및 내부 전자장치(150)를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인가되는 전류를 통해 펄스 자기장을 생성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14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자기 발생 코일(110)은, 코일이 복수층으로 권취된 일군의 코일 권취층을 형성하여 복수군의 코일 권취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 발생 코일(1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이 복수층으로 권취된 일군의 제1 코일 권취층(111)과, 이 제1 코일 권취층(111)의 둘레에 소정거리 이격되며 코일이 복수층으로 권취된 타군의 제2 코일 권취층(11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코일 사이의 제1 간격(d1)과, 제2 코일 권취층(112)의 코일 사이의 제2 간격(d2)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110)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코일 사이의 제1 간격(d1)과, 제2 코일 권취층(112)의 코일 사이의 제2 간격(d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다른예는, 코일이 복수층으로 권취되며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헬리컬 형상으로 배치된 제1 코일 권취층(111)과, 이 제1 코일 권취층(111)의 내부 둘레에 코일을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헬리컬 형상으로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11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코일 권취층(111)은, 코일이 헬리컬 형상의 복수층의 나선으로 권취되어 배치되는 자기 발생 부재로서, 이러한 코일은 통전에 의한 자기 발생시 발열을 냉각시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코일의 발열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정지지부재(115)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생시 발열을 견디도록 합성수지 등과 같은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곽둘레에는 헬리컬 형상으로 코일을 끼워맞춤하여 고정지지하도록 고정지지홈(115a)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110)의 변형예는,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된 제1 코일 권취층(111)과 제2 코일 권취층(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거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된 제1 코일 권취층(111)과 제2 코일 권취층(112)과 제3 코일 권취층(113)과 제4 코일 권취층(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코일 권취층(111)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으로서, 밀착면(14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거나 제2 코일 권취층(112)과 함께 통전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코일 권취층(112)은, 제1 코일 권취층(111)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으로서, 밀착면(1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거나 제1 코일 권취층(111)과 함께 통전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코일 권취층(113)은, 제1 코일 권취층(111)과 제2 코일 권취층(112) 사이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으로서, 밀착면(141)의 일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거나 제4 코일 권취층(114)과 함께 통전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코일 권취층(114)은, 제3 코일 권취층(113)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으로서, 밀착면(141)의 타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거나 제3 코일 권취층(113)과 함께 통전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다른 변형예는,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간격유지부재는,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상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결합되는 제1 간격유지부재(116)와, 제1 코일 권취층(111)의 하부에 결합되되 제1 간격유지부재(116)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코일을 고정지지하는 제1 간격고정부재(117)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간격유지부재(116)는, 제1 코일 권취층(111)을 횡단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막대부재로서, 제1 간격유지부재(116)의 하부에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코일이 소정거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끼움홈(116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간격유지부재는,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며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헬리컬 형상으로 배치된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상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결합되는 제2 간격유지부재(118)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간격유지부재(118)는, 제1 코일 권취층(111)을 횡단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코일을 헬리컬 형상으로 배치시키도록 하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경사진 막대부재로서, 제2 간격유지부재(118)의 하부에 제1 코일 권취층(111)의 코일이 소정거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헬리컬 형상으로 배치되며 결합되도록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끼움홈(118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송풍장치(12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냉각시키는 유체를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송풍장치(120)는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110)을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를 포함한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외부에서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팬(fan), 블로워(blower), 콤프레셔(compressor) 및 펌프(pump)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를 외부로 배기한다. 이때 유입측 송풍장치(120a)는 팬, 블로워, 콤프레셔 및 펌프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자기 발생 코일(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유출측 송풍장치(120b)는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 각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의 이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송풍장치(120)를 자기 발생 코일(110)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자기 발생 코일(1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과 90도 각도로 배치된 경우로, 이 경우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향하지 못하고 덕트(130)의 내주면에 의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되돌아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도 7의 (b)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이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경우로, 이 경우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지향하게 되므로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20)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 영역의 하우징(140)에 홈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유입측 송풍장치(120a) 및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부터의 유체의 공급 방향(121)과 자기 발생 코일(110)의 중심축(110a)이 이루는 각도(θ)를 기설정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유입측 송풍장치(120a)를 팬, 블로워, 콤프레셔 및 펌프 중 어느 하나로 채용하더라도 바닥부에 있는 먼지가 유입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130)는 송풍장치(120)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에서 유체를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덕트(130)는 일단(131a)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 개방되고 타단(131b)이 유출측 송풍장치(120b)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에서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을 거쳐 유출측 송풍장치(120b)에서 배기되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덕트(13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배치되는 영역의 내부 단면적이 일단(131a) 및 타단(131b)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덕트(130)는 안착면(132)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단면적이 일단(131a) 및 타단(131b)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부 단면적이 작아진 영역에서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덕트(130)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덕트(130)는 밀착면(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기 발생 코일(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32)을 구비한다.
자기 발생 코일(110)은 안착면(132) 상에 안착되고, 덕트(130)는 이 위치에 대응하여 자기 발생 코일(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3)를 포함한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덕트(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33)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동한다.
지지부(133)는 러버(rubber)일 수 있다. 지지부(133)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130)는 안착면(132)에서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4)를 포함한다. 돌출부(134)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에 형성된 안착면(13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돌출부(1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상부로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다시 말해, 돌출부(134)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과 밀착면(141)의 사이에 형성된 영역으로 향할 수 있도록 유체를 가이드한다.
돌출부(134)는 자기 발생 코일(110)과 밀착면(141)의 사이 영역에 공급되는 유량과 유속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는 부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134)는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가 굴곡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부재가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홀(135)을 포함한다.
홀(135)은 덕트(130)에 유입된 유체의 일부를 관통시킨다. 홀(135)을 통해 관통된 유체는 내부 전자장치(1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덕트(130)가 홀(135)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자기 발생 코일(11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내부 전자장치(15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홀(135)은 공급된 유체가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70%, 내부 전자장치(150) 측으로 30% 정도의 비율로 유동할 수 있도록 홀의 직경과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덕트(130)는 홀(135)을 포함하여 자기 발생 코일(110)과 내부 전자장치(15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기 발생 치료장치(100)는 내부 전자장치(150)를 위한 별도의 냉각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콤팩트한 구조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130)는 유입측 송풍장치(120a)와 자기 발생 코일(110)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 내주면이 굴곡진 굴곡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굴곡부(136)는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가 굴곡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가 덕트(130)의 내주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덕트(130)가 굴곡부(136)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팬이나 블로워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덕트(130)가 굴곡부(136)에 닿는 경우 그렇지 않은 영역에 닿는 것 보다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밀착면(141)을 포함한다. 밀착면(141)은 사용자가 착좌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예컨대,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는 면이다. 밀착면(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굴곡을 가진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밀착면(141)은 하면에 자기 발생 코일(110) 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밀착면(141)은 하우징(14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덕트(130)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42)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밀착면(14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42)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측 송풍장치(120a)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동한다. 지지부(142)는 안착면(132)에 형성된 지지부(133)와 같이, 러버(rubber)일 수 있다. 지지부(142)는 자기 발생 코일(11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은 냉각을 위해 전후면이나 좌우면이나 상하면에 다수의 측면 개방홀(143)과 후면 개방홀(144) 등과 같이 다양한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에 전원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개방홀(143)과 후면 개방홀(144)은 송풍장치(12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자장치(150)는, 자기 발생 코일(1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송풍장치(120)를 제어하는 냉각제어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설비 및 전기설비 등이 내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을 형성하며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자기 발생을 다양한 부위에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의 밀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과 제2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의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 권취층이 밀착면의 전후방 및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밀착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방향 및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 발생 범위를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을 전후부위 및 좌우부위에 다양하게 집중시켜 자기장의 치료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볼록한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해서 고정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의 권취층의 배치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자기 발생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코일이 상방이나 하방으로 볼록하게 권취되면서 배치되어 자기 발생 범위를 중앙에 집중시키거나 외곽으로 균등하게 분산시켜 자기 발생 범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코일의 자기 발생시 발열을 냉각시켜 코일의 자기발생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코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코일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코일의 자기 발생부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자기 발생 치료장치
110 … 자기 발생 코일
111 … 제1 코일 권취층
112 … 제2 코일 권취층
113 … 제3 코일 권취층
114 … 제4 코일 권취층
115 … 고정지지부재
116 … 제1 간격유지부재
117 … 제1 간격고정부재
118 … 제2 간격유지부재
120 … 송풍장치
120a … 유입측 송풍장치
120b … 유출측 송풍장치
121 … 유체 공급 방향
130 … 덕트
131a … 일단
131b … 타단
132 … 안착면
133 … 지지부
134 … 돌출부
135 … 홀
136 … 굴곡부
140 … 하우징
141 … 밀착면
142 … 지지부
143 … 측면 개방홀
144 … 후면 개방홀
145 … 제어패널
150 … 내부 전자장치

Claims (10)

  1. 신체의 일부가 밀착되는 밀착면의 하측에 배치되어 자기를 발생시키는 자기 발생 코일;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을 냉각시키는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자기 발생 코일와 상기 송풍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1 코일 권취층; 및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2 코일 권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은, 상기 밀착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 사이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3 코일 권취층; 및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코일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권취되는 제4 코일 권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4 코일 권취층은, 상기 밀착면의 일측방 및 타측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과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2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3 코일 권취층과 상기 제4 코일 권취층은,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이 헬리컬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헬리컬 형상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해서 고정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코일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발생 코일은, 코일 권취층의 코일 사이의 간격이 간격유지부재를 재개해서 소정의 이격거리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0210129886A 2021-09-30 2021-09-30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46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86A KR20230046655A (ko) 2021-09-30 2021-09-30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86A KR20230046655A (ko) 2021-09-30 2021-09-30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55A true KR20230046655A (ko) 2023-04-06

Family

ID=8591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886A KR20230046655A (ko) 2021-09-30 2021-09-30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6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96B1 (ko) 2007-06-05 2008-06-26 한국전기연구원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
KR101061451B1 (ko) 2008-07-14 2011-09-01 김병수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기
KR102174725B1 (ko) 2018-10-15 2020-11-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96B1 (ko) 2007-06-05 2008-06-26 한국전기연구원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
KR101061451B1 (ko) 2008-07-14 2011-09-01 김병수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기
KR102174725B1 (ko) 2018-10-15 2020-11-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670B1 (ko) 펄스 자기장 자극 장치
US10426969B2 (en) Magnetic field stimulation
JP6114819B2 (ja) 磁気刺激装置
EP0960632A2 (en)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instrument
EP0850665B1 (en) Magnetic stimulus typ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coil apparatus
EP1092451A2 (en) Air-cooling system for a urinary incontinence device
KR20160086275A (ko) 미용기
JP2001293098A (ja) コイル装置およびコイル駆動装置
KR20230046655A (ko) 권취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US9498639B2 (en) Immersive, flux-guided, micro-coil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46654A (ko) 코어를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94313A (ko) 경사형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50717A (ko) 만곡형 코일을 구비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38170A (ko)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506170B1 (ko) 자기장 인가 장치
KR102601263B1 (ko) 기능성이 강화된 음파매트
US20230285767A1 (en) Treatment device using magnetic field
KR20230045778A (ko) 신체 지지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30045779A (ko) 복수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자기 발생 치료장치
JP5215503B1 (ja) ベルト型高ガウス磁気治療器
JP5179400B2 (ja) 暖房装置および便座便座装置
KR100737750B1 (ko)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2624102B1 (ko) 공냉식 자기 자극 장치
US20220216778A1 (en) Vibration module
KR200386373Y1 (ko) 전기장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