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144A -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144A
KR20230134144A KR1020237028481A KR20237028481A KR20230134144A KR 20230134144 A KR20230134144 A KR 20230134144A KR 1020237028481 A KR1020237028481 A KR 1020237028481A KR 20237028481 A KR20237028481 A KR 20237028481A KR 20230134144 A KR20230134144 A KR 2023013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s
display
visual beam
panel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코 슈뢰더
로만 다노프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3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involving active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9Instrument input by detecting viewing direc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6Dual-view displays
    • B60K2370/149
    • B60K2370/1523
    • B60K2370/152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LC 패널(12)에 의해 시각 빔(14)이 생성되고, 이 시각 빔(14)은 적어도 하나의 LC 광학장치(16)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가능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높은 해상도가 얻어질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서, 시선 감지 장치(18)가 3D 디스플레이(10)의 시청자의 왼쪽 눈(20) 및 오른쪽 눈(22)의 위치를 추적하고, 시각 빔(14)을 왼쪽 눈(20)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징 기능이 LC 광학장치(16)에 할당되고, 시각 빔(14)을 오른쪽 눈(22)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징 기능이 LC 광학장치(16)에 할당되며, 제1 이미징 기능과 제2 이미징 기능 사이의 스위칭이 LC 패널(12)의 재생률과 동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LC 패널에 의해 시각 빔이 생성되고, 시각 빔은 적어도 하나의 LC 광학장치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C 패널, 제1 LC 광학장치, 제2 LC 광학장치, 및 시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3D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때, 3D 뷰가 생성되자마자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크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3D 디스플레이를 위해 다양한 뷰를 생성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의 경우, 2 개의 뷰만이 필요하지만, 이로 인해 3D 비전이 가능한 영역이 감소된다. 반면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많은 다양한 시각 영역에 대해 뷰 또는 시각 빔이 생성된다. 따라서 3D 인상이 크게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각 영역에 대해 3D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되는 뷰가 많을수록, 3D 인상이 더 좋아진다.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적 광학 요소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개별 픽셀에 대해 시각 영역을 작은 각도 범위로 제한한다. 이러한 제한을 통해, 시청자의 오른쪽 눈 및 왼쪽 눈에 서로 다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요소는 소위 배리어, 렌티큘러/마이크로 렌즈 및/또는 디커플링 구조를 갖는 도파관이다. 또한, 배리어에 대해 1D-LC-디스플레이도 또한 사용된다. 이것들은 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안구 추적 카메라의 도움으로 배리어를 조정하여, 시청자의 각각의 눈이 별도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D 비전이 가능한 영역을 늘리는, 이와 동시에 필요한 다양한 시각 영역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고정 광학 부품을 사용하는 솔루션은, 더 넓은 시각 영역에서 3D 비전을 구현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뷰가 생성되어야 하므로, 훨씬 더 높은 해상도를 필요로 한다.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액티브 배리어를 갖는 변형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모든 솔루션은 항상,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앞에서 3D 비전을 경험할 수 있는 깊이 범위가 제한된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홀로그래피의 개념을 활용하는 3D 디스플레이의 변형예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고, 무엇보다도 위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이 기술에서의 가장 큰 과제는 파장 의존성이다. 이 때문에 이 시스템은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제, 가능한 한 더 가벼운 구조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3차원 뷰의 고 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를 작동하는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본원의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우선, 시선 감지 장치가 3D 디스플레이의 시청자의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의 위치를 추적하고, 시각 빔을 왼쪽 눈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징 기능이 LC 광학장치에 할당되고, 시각 빔을 오른쪽 눈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징 기능이 LC 광학장치에 할당되며, 제1 이미징 기능과 제2 이미징 기능 사이의 스위칭이 LC 패널의 재생률과 동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LC 패널은, 액정이 일정 수준의 전기 전압이 가해질 때 빛의 편광 방향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기초한 기능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스크린이다.
본 경우에서, 시각 빔이라 함은, 이미지의 다양한 뷰를 시청자의 시각 영역을 향하게 함으로써 시청자에게 3차원 인식을 생성하기 위해 3D 뷰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액정(이하 LC(Liquid Crystals)이라고 함)은 인가된 전기장에 따라 굴절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는, 전기장의 강도가 변경되면, LCs가 광축에 대한 배향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기장이 꺼지면 LCs는 원래 위치로 배향을 바꾸고, 이 위치에서 광 빔은 (거의) 굴절 없이 요소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LCs의 전압이 없는 배향에 의해 배향 정의 층이 결정된다. 이것은 LCs가 사이에 위치하는 2 개의 기판, 예를 들어 유리에 적용될 수 있다.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은 또한 기판 유리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거의 투명하다. 전압이 인가되면, LC 광학장치의 설계에 따라, 광-스폿 크기의 변화(초점 변화), 하나의 축 또는 2 개의 축에서의 대칭적인 스폿 확장, 광-스폿의 시프트 및/또는 광-스폿의 비대칭적인 흐려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선 감지 장치는 시선 움직임의 기록 및/또는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안구 추적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기능이라 함은, LC 광학장치의 설정, 즉 각각의 시각 빔을 시청자의 눈의 상응하는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데 필요한 전기장의 상응하는 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따라 이미징 기능은 시선 감지 장치와 관련되어, 관련 시각 빔이 시청자에게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시각 영역 외부에 관련 없는 뷰가 생성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유연하고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시스템이 생성되어, 소프트웨어 기술적 제어에 의해 이미징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빛을 눈에 목표를 정하여 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이 높아지고 훨씬 적은 광선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눈에 대한 감소는 일반적인 해상도를 눈에 띄게 감소시키지 않으며, 필요한 컴퓨팅 성능도 크게 감소한다.
수평으로 시준된 빛인 조명 또는 백라이트가 사용되고, 3D 디스플레이의 렌즈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600 mm 내지 1000 mm 거리에서 디스플레이 전방의 8 mm 내지 16 mm 영역만이 보이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 가능한 LC 광학장치는 빛이 시청자 눈의 각각의 현재 위치로 "시프트"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에 언급된 다른 특징들로부터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1 LC 광학장치 및 제2 LC 광학장치가 제공되고, 제1 이미징 기능이 제1 LC 광학장치에 할당되고, 제2 이미징 기능이 제2 LC 광학장치에 할당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더욱 유리한 실시예에서, LC 패널을 떠나는 시각 빔은 제1 편광 상태를 가지며, 시각 빔을 제1 편광 상태로부터 제2 편광 상태로 그리고 제2 편광 상태로부터 제1 편광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편광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편광 스위치는 시각 빔의 편광을 180°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광 스위치가 제1 LC 광학장치 또는 제2 LC 광학장치를 각각 간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이미징 기능과 제2 이미징 기능 사이의 스위칭이 LC 패널의 재생률과 동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LC 광학장치는 제1 편광 상태에 대해 설계되고, 제2 LC 광학장치는 제2 편광 상태에 대해 설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LC 광학장치를 통해, 편광 스위치에 의해 빠르게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는 2 개의 서로 다른 이미징 기능 또는 광학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편광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시청자의 왼쪽 눈으로 시각 빔을 보낼 수 있고, 제2 편광 상태에서는 시청자의 오른쪽 눈으로 시각 빔을 번갈아 가며 보낼 수 있다. 충분히 높은 재생률에서는, 시청자가 이러한 스위칭을 감지하지 못하고, 3차원 비전을 경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1 편광 상태는 P-편광에 대응하고, 제2 편광 상태는 S-편광에 대응하는 것이 제공된다. 편광 스위치는 P-편광과 S-편광 사이를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더욱 유리한 실시예에서, LC 패널은 120 Hz의 재생률로 작동되는 것이 제공된다. 3D 이미지의 실제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에 60 Hz의 재생률이 필요하다. 각각의 눈마다 이미징 광학장치가 제공되고, 편광 스위치는 LC 패널의 120 Hz와 동기적으로 120 Hz에서 이들 두 개의 기능 사이를 전환시키므로, 궁극적으로 60 Hz의 재생률로 3D 뷰가 생성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LC 패널, 제1 LC 광학장치, 제2 LC 광학장치 및 시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LC 패널에 의해 시각 빔이 생성될 수 있고, 여기서 LC 패널을 떠나는 시각 빔은 제1 LC 광학장치 및 제2 LC 광학장치에 의해 편향될 수 있고, 여기서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시청자의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의 위치는 시선 감지 장치에 의해 추적될 수 있고, 여기서 시각 빔을 왼쪽 눈의 영역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징 기능이 제1 LC 광학장치에 할당되고, 여기서 시각 빔을 오른쪽 눈의 영역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징 기능이 제2 LC 광학장치에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서는, LC 패널과 제1 LC 광학장치 사이에 편광 스위치가 배열되고, 이 편광 스위치는 시각 빔의 편광을 180 °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공된다.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선 감지 장치는 안구 추적 카메라의 형태로 설계된다. 안구 추적 카메라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다른 요소 상에 직접 배열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차량,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서 3D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사용하는 경우, 안구 추적 카메라는 예를 들어 조종석 영역의 적절한 지점에 배열되어,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의 눈도 쉽게 추적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다. 안구 추적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평가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평가 장치는 또한 이미징 기능의 평가 및 조정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위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대해서도 또한 상응하게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별 경우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서로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로 설명된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구현의 개략적인 표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액정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액정의 특정 정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LC 광학장치의 예시적인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미징 기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3D 디스플레이(10) 또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3D 디스플레이(10)는 LC 패널(12), 즉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LC 패널(12)은 시각 빔(14)을 방출한다. LC 패널(12)은 추가적으로 적절한 조명(L)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명(L)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렌즈로 추가적으로 설계되는 수평으로 시준된 광이다. 시준된 광은 3D 디스플레이(10)의 렌즈에 의해 초점이 맞춰져, 600 mm 내지 1000 mm 거리에서 3D 디스플레이(10) 전방의 8 mm 내지 16 mm의 영역만이 보이도록 한다. LC 패널(12)을 떠나는 시각 빔(14)은 제1 편광 상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편광 상태는 P-편광이다.
LC 패널(12)을 떠나는 시각 빔(14)은 LC 광학장치(16)에 입사된다. LC 광학장치(16)는, 관련 시각 빔(14)이 3D 디스플레이(10)의 시청자의 왼쪽 눈(20) 또는 오른쪽 눈(22)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특히 시선 감지 장치(18)의 데이터에 의존하는 이미징 기능에 따라 시각 빔(14)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LC 광학장치(16)는 제1 LC 광학장치(24) 및 제2 LC 광학장치(26)를 포함한다. 제1 LC 광학장치(24)는 제1 편광 상태를 갖는 시각 빔(14)을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제2 LC 광학장치(26)는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시각 빔(14)을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LC 패널(12)과 LC 광학장치(16) 사이에 편광 스위치(28)가 배열된다. 편광 스위치(28)는 시각 빔(14)을 제1 편광 상태(P-편광)로부터 제2 편광 상태(S-편광)로 또는 제2 편광 상태로부터 제1 편광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설계된다. 두 편광 상태를 스위칭함으로써 왼쪽 눈(20) 및 오른쪽 눈(22)에 대한 뷰가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높은 재생률을 통해 시청자는 3차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재생률은 120 Hz로 설정된다. 편광 스위치(28)는 LC 패널(12)의 재생률과 동기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전체 3차원 이미지가 60 Hz의 재생률로 시청자에게 표시된다.
이미징 기능은 각각 시청자의 왼쪽 눈(20) 또는 오른쪽 눈(22)의 상응하는 수평 방향으로 각각의 시각 빔(14)을 향하게 하는 데 필요한 LC 광학장치(16)의 조정이다. 이미징 기능은 관련 시각 빔(14)이 시청자를 향하게 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게 시선 감지 장치(18)와 관련되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시각 영역을 벗어난 관련 없는 뷰가 생성될 필요가 없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액정(30)의 배열 및,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액정의 배향을 도시한다. 액정(30)은 인가된 전기장에 따라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전기장의 세기가 변경될 때, 액정(30)에서 광축에 대한 배향을 변경할 때 발생한다. 전기장이 꺼지면, 액정(30)은 광 빔이 (거의) 굴절 없이 요소를 통과하는 원래의 위치로 배향을 바꾼다. 이 과정에서, 전압이 없는 액정의 배향은 일종의 구조 층인 배향 정의 층을 결정한다. 이는 액정(30)이 사이에 위치하는 2 개의 기판, 특히 유리에 적용된다. 전기장을 형성하는 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은 전극도 기판 유리에 적용되며, 거의 투명하다.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기반 LC 광학장치(16)의 설계에 따라, 광-스폿 크기의 변화(초점 변화), 하나의 축 또는 양 축에서의 대칭적인 스폿 확장, 광-스폿의 시프트 및/또는 광-스폿의 대칭적인 흐려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LC 광학장치(16)의 전극 구조 및 전기장이 어떻게 설계되고 LC 패널(12)과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렌티큘러를 구현하는 동시에 광 유도를 위한 프리즘/1D 렌즈 기능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LC 패널(12)의 픽셀 구조(32)가 도시되어 있다. 그 아래에 LC 광학장치(16)의 전극 구조(34)가 개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그 아래에 있는 LC 광학장치(16)의 전기장(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향 기능(38)과 중첩되도록 설계된다.
도 5는 이미징 기능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그 목표는, 렌즈를 사용하여 8 내지 16 개의 서브픽셀(40), 바람직하게는 10 개의 서브픽셀(40)을 10 mm 내지 30 mm의 베이스 라인(42)에 이미징하는 것이다.
10 : 3D 디스플레이 12 : LC 패널
14 : 시각 빔 16 : LC 광학장치
18 : 시선 감지 장치 20 : 왼쪽 눈
22 : 오른쪽 눈 24 : 제1 LC 광학장치
26 : 제2 LC 광학장치 28 : 편광 스위치
30 : 액정 32 : 픽셀 구조
34 : 전극 구조 36 : 전기장
38 : 지향 기능 40 : 서브픽셀
42 : 베이스 라인 L : 조명

Claims (10)

  1.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으로서,
    LC 패널(12)에 의해 시각 빔(14)이 생성되고, 상기 시각 빔(14)은 적어도 하나의 LC 광학장치(16)에 의해 편향될 수 있고,
    시선 감지 장치(18)가 상기 3D 디스플레이(10)의 시청자의 왼쪽 눈(20) 및 오른쪽 눈(22)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시각 빔(14)을 상기 왼쪽 눈(20)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징 기능이 상기 LC 광학장치(16)에 할당되고, 상기 시각 빔(14)을 상기 오른쪽 눈(22)의 영역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징 기능이 상기 LC 광학장치(16)에 할당되며, 상기 제1 이미징 기능과 상기 제2 이미징 기능 사이의 스위칭이 상기 LC 패널(12)의 재생률과 동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LC 광학장치(24) 및 제2 LC 광학장치(26)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이미징 기능이 상기 제1 LC 광학장치(24)에 할당되고, 상기 제2 이미징 기능이 상기 제2 LC 광학장치(26)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C 패널(12)을 떠나는 상기 시각 빔(14)은 제1 편광 상태를 갖고, 상기 시각 빔(14)을 상기 제1 편광 상태로부터 제2 편광 상태로 그리고 상기 제2 편광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편광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편광 스위치(2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C 광학장치(24)가 상기 제1 편광 상태에 대해 설계되고, 상기 제2 LC 광학장치(26)가 상기 제2 편광 상태에 대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상태가 P-편광에 대응되고, 상기 제2 편광 상태가 S-편광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C 패널(12)은 120 Hz의 재생률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10)의 작동 방법.
  7. LC 패널(12), 제1 LC 광학장치(24), 제2 LC 광학장치(26), 및 시선 감지 장치(18)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LC 패널(12)에 의해 시각 빔(14)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LC 패널(12)을 떠나는 상기 시각 빔(14)은 상기 제1 LC 광학장치(24) 및 상기 제2 LC 광학장치(26)에 의해 편향될 수 있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시청자의 왼쪽 눈(20) 및 오른쪽 눈(22)의 위치는 상기 시선 감지 장치(18)에 의해 추적될 수 있고, 상기 시각 빔(14)을 상기 왼쪽 눈(20)의 영역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징 기능이 상기 제1 LC 광학장치(24)에 할당되고, 상기 시각 빔(14)을 상기 오른쪽 눈(22)의 영역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징 기능이 상기 제2 LC 광학장치(26)에 할당되는 것인,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C 패널(12)과 상기 제1 LC 광학장치(24) 사이에 편광 스위치(28)가 배열되고, 상기 편광 스위치(28)는 상기 시각 빔(14)의 편광을 180 °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감지 장치(18)는 안구 추적 카메라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통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KR1020237028481A 2021-05-20 2022-04-27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KR20230134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5197.9 2021-05-20
DE102021205197.9A DE102021205197B3 (de) 2021-05-20 2021-05-20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3D-Displays und 3D-Display-Anordnung
PCT/EP2022/061245 WO2022242998A1 (de) 2021-05-20 2022-04-27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3d-displays und 3d-display-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144A true KR20230134144A (ko) 2023-09-20

Family

ID=8185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481A KR20230134144A (ko) 2021-05-20 2022-04-27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1744A1 (ko)
KR (1) KR20230134144A (ko)
CN (1) CN117321478A (ko)
DE (1) DE102021205197B3 (ko)
WO (1) WO2022242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1026B (zh) * 2023-03-22 2023-05-12 成都工业学院 一种无串扰光栅立体显示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4049B2 (en) 2011-09-19 2016-08-09 Écrans Polaires Inc./Polar Screens Inc. Method and display for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CN102749717B (zh) * 2012-07-27 2017-12-08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裸眼式立体显示装置
EP2802148A1 (en) * 2013-05-08 2014-11-12 ETH Zurich Display device for time-sequential multi-view content
JP6100390B2 (ja) 2013-10-24 2017-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GB2540376A (en) 2015-07-14 2017-01-18 Sharp Kk Parallax barri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regions
KR20170089472A (ko) 2016-01-26 2017-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2998A1 (de) 2022-11-24
EP4341744A1 (de) 2024-03-27
CN117321478A (zh) 2023-12-29
DE102021205197B3 (de)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2761B2 (en) Transparent component with switchable reflecting elements, and devices including such component
CN112363268B (zh) 定向背光源
WO2017150631A1 (en) Head Mounted Display Using Spatial Light Modulator To Move the Viewing Zone
JP4181660B2 (ja) ビデオ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20150269893A1 (en) Display device and switching method of its display modes
KR20180009568A (ko) 빔 조향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60411B1 (ko) 초다시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4930071B2 (ja) 表示装置
KR20130005813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70051797A (ko) 화상 표시 장치
GB2405543A (en)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having means for imaging parallax optic or display.
KR20140017455A (ko) 입체 표시 장치
JP2004151645A (ja) 画像表示装置
KR20230134144A (ko) 3d 디스플레이의 작동 방법, 및 3d 디스플레이 조립체
JP2002296540A (ja) 眼鏡無し立体映像表示装置
KR970009324A (ko) 입체 투영장치
JP2007094129A (ja) 画像表示装置
JP2953433B2 (ja) 立体表示装置
KR2017008947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7424823B2 (ja) 画像表示装置
JP6609692B2 (ja) 表示装置
JP492720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108732772B (zh) 一种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JP2021047234A (ja) 画像表示装置
JP4284159B2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