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081A -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4081A KR20230134081A KR1020220031111A KR20220031111A KR20230134081A KR 20230134081 A KR20230134081 A KR 20230134081A KR 1020220031111 A KR1020220031111 A KR 1020220031111A KR 20220031111 A KR20220031111 A KR 20220031111A KR 20230134081 A KR20230134081 A KR 202301340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wireless
- control system
- switch
- ligh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자가발전기를 구비한 무선스위치의 자가발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기초로 전기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은 자가발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스위치와; 전기요소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오프 제어되는 전기스위치와; 무선스위치 및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무선스위치와의 페어링 설정 및 무선스위치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전기스위치를 온/오프 또는 디밍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개시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은 자가발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스위치와; 전기요소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오프 제어되는 전기스위치와; 무선스위치 및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무선스위치와의 페어링 설정 및 무선스위치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전기스위치를 온/오프 또는 디밍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한 무선스위치의 자가발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기초로 전기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주거 시설이나, 호텔, 기숙사 및 연수원 등의 숙박 시설에는 조명등, 온/습도 조절기, CCTV, 화재 감지센서, 가스누출 감지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등 다양한 전기요소가 설치된다.
이들 전기요소 각각은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전기요소 가운데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의 조명등은 소정 단위로 그룹핑 된 상태로 각 그룹별로 온/오프 제어되거나, 각 조명등 별로 마련된 스위치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조명등 그룹 또는 개별 조명등은 컨트롤러의 메인보드를 걸쳐 조명등 그룹 또는 개별 조명등에 대응되는 스위치에 유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조명등 이외의 전기요소의 경우도 조명등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조명등을 포함한 전기요소와 스위치가 컨트롤러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추후 스위치와 조명등 사이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고자 할 때, 메인보드 상의 결선 상태를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요소와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 결선을 변경하지 않고도 전기요소와 제어 단말(스위치) 사이의 연결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요소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요소와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메인보드) 사이의 전기적 결선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된 조명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전기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자가발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스위치와; 상기 전기요소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오프 제어되는 전기스위치와; 상기 무선스위치 및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무선스위치와의 페어링 설정 및 상기 무선스위치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스위치를 온/오프 또는 디밍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UTP 케이블, FTP 케이블 및 STP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한 케이블을 통한 통신, RS-485 통신 및 RS-232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을 이용한 유선 통신 포트와;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및 RF447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자기갭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코일이 상기 자로시스템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RF447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스위치는, RF447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기스위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복수의 전기요소 중 대응되는 전기요소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요소와 상기 복수의 무선스위치 사이의 페어링 설정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스위치 중 어느 한 무선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제어신호가 인가시 작동된 무선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페어링하고, 페어링 된 무선스위치를 상기 복수의 전기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기요소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스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스위치가 온/오프 스위칭 모드 및 디밍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한 모드로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는, 병렬 연결 된 복수의 조명등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전력선과;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을 온/오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전력선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조명등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등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 제어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명등 제어부 각각은, 이웃하는 조명등 제어부 사이에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은 무선스위치, 무선 ID영역 및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경우, 연결된 무선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전기요소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디밍 제어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요소와 무선스위치 사이의 배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한 페어링 설정 과정을 통하여 그 배선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으로 변경하는 통상적인 전기배선 공사 없이도 그 배선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은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전기선의 설치없이 무선스위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무선스위치의 설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는 두 가닥의 전기선, 유무선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등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 및/또는 디밍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등 제어를 위한 전기적 결선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자가발전 무선스위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의 일 배치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 내지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 페어링 설정 과정을 보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자가발전 무선스위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의 일 배치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 내지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 페어링 설정 과정을 보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기요소(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스위치(300), 전기스위치(110),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스위치(300)는 자가발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전기요소(200)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무선스위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 하기로 한다.
전기요소(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210), 온/습도 조절기, CCTV, 화재 감지센서, 가스누출 감지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등의 기타 전기요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스위치(110)는 각각의 전기요소(20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 제어될 수 있다. 이 전기스위치(11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복수의 전기요소 중 대응되는 전기요소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는 별도로 분리되어 인가되는 전기를 스위칭할 수 있는 신호 또는 펄스를 만들어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부품이다. 전기스위치로서 릴레이를 적용하는 경우 낮은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전압/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무선스위치(300) 및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포트(141)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포트(141)는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FTP 케이블(Foiled Twisted Pair Cable), STP 케이블(Shielded Twisted Pair Cable) 등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포트는 RS-485 통신 포트(143), RS-232 통신 포트(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S-485는 RS-232, RS-422의 확장 버전으로, 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일종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 표준으로서, 모든 장치들이 같은 라인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S-232는 컴퓨터와 음향 커플러, 모뎀 등을 접속하는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의 하나로서 직렬 포트라 불리기도 한다. 이 유선 통신 포트(141)를 통하여,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기기를 통하여 전기요소 통합 제어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RF447 통신 모듈(131),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133), WiFi 통신 모듈(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무선 통신 모듈로서 Bluetooth, 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스위치(300)는 RF447 통신 모듈(131)을 통하여 제어부(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F447 통신 모듈(131)은 447 MHz의 주파수로 무선스위치(300)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점유주파수의 대역폭 8.5KHz 이하, 출력전력 10mW 이하의 출력을 가지며, 안테나의 성능에 따라 수 백미터까지 통신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무선스위치와의 사이에 무선스위치(300) 별로 할당된 주파수에 따라 무선 통신 가능하다.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저전력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전송거리 100미터 이내, 전송속도 250Kbps 이하, 최대 채널 수 23,000개의 특징을 가진다. WiFi 통신은 전송거리 100미터 이내, 전송속도 11Mbps/54Mbps, 최대 채널 수 14개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150)는 자가발전 무선스위치(3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전기요소(2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무선스위치(300)와의 페어링 설정 및 무선스위치(300)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전기스위치(110)를 온/오프 또는 디밍(dimming) 제어할 수 있다.
무선스위치(300)는 사용자의 푸시(push) 동작 및/또는 풀(pull) 동작에 의하여 배터리 등의 채용없이도, 자가 발전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자가발전 무선스위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무선스위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310)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磁路) 시스템(330) 및 푸시 및/또는 풀 동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작동부(350)를 포함한다. 즉 무선스위치(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50)가 위치된 상태에서 작동부를 가압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회전 위치된다. 따라서 무선스위치(300)는 작동부(350)의 작용 하에 코일(310)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코일(310)이 자로 시스템(330)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되면서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또한 그 역으로 작동부(350)가 도 2b의 상태에서 도 2a의 상태로 변경되면서 전기가 생성될 수 있다. 무선스위치(300)는 상기한 자가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 의해 상기 통신부(130)와 무선 통신한다. 즉, 작동부(350)의 푸시/풀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무선 통신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에 의해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여기서 무선스위치(300)와 통신부(130) 사이에 447 MHz로 통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신호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제어부(150)에 전달되어, 작동부(350)의 푸시/풀 여부에 따라 전기요소(200)의 개별 구성요소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의 일 배치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스위치(300)는 푸시/풀 가능한 총 4개의 무선스위치(300A, 300B, 300C, 300D)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무선스위치 각각은 푸시/풀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의 무선 통신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 각각에 의하여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복수의 무선스위치 중 어느 무선스위치가 동작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스위치 각각에 대해 개별 전기요소를 할당할 수 있고, 또한 기 할당된 경우 그 할당 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전기요소(200)와 복수의 무선스위치(300) 사이의 페어링 설정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 4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복수의 무선스위치(300) 중 어느 한 무선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제어신호가 인가시 작동된 무선스위치(300)와 제어부(150)를 페어링하고, 페어링 된 무선스위치(300)를 복수의 전기요소(200)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기요소에 대응되는 전기스위치(110)에 할당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의 무선스위치 페어링 설정 과정을 보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GUI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작업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메뉴 중 무선스위치 페어링을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링 설정 영역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된다. 이 경우 전기요소가 할당될 무선스위치에 대응되는 무선스위치 ID영역(무선1 내지 무선16)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택 가능한 무선스위치 ID 영역(무선1 내지 무선16) 중 무선1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즉, 선택된 페어링 ID영역이 1번임을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 페어링하고자 하는 무선 스위치를 작동(푸시 및/또는 풀)하게 되면, 자가발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력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신호가 제어부(150)에 전송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발전에 따른 통신신호를 전송한 무선스위치와 선택된 페어링 ID영역 사이에 페어링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무선스위치 ID영역 중 무선1에 대해 무선스위치의 키번호가 할당되고,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한다. 이어서 페어링 완료를 확인 및 저장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1에 선택된 무선스위치가 할당되게 되고, 선택된 무선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무선1에 전기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요소가 제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스위치에 대한 주파수 대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스위치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복수의 무선스위치 사이에 주파수 대역을 재할당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되어 이를 통하여 주파수 대역을 재할당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항목 중 무선스위치 설정 전체 초기화를 선택하면, 전기요소와 무선스위치 사이의 페어링 상태를 모두 해제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인테리어 변경 등의 이유로 전기요소에 대한 무선스위치를 재할당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페어링을 해제한 상태에서 손쉽게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스위치 ID영역을 선택한 경우, 무선스위치 모드 및 제어위치를 선택하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온/오프 스위칭 모드 및 디밍(Dimming)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스위치의 출력포트 중 어느 출력포트에 연결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스위치의 출력포트는 어느 한 포트를 선택하거나 복수개의 출력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무선스위치, 무선 ID영역 및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경우, 연결된 무선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전기요소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디밍 제어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요소와 무선스위치 사이의 배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페어링 설정 과정을 통하여 변경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으로 변경하는 통상적인 전기배선 공사 없이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는 복수의 조명등(510)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전력선(P1)(P2), 조명등 제어부(530) 및 전기요소 통합 제어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력선(P1)(P2)에 대해 복수의 조명등(510)이 병력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등 제어부(5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조명등(510) 각각이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 및/또는 디밍(dimming) 제어 될 수 있다. 전기요소 통합 제어시스템(100)은 무선스위치(300)를 통하여 전송되는 무선신호(W)를 통하여 전기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기요소 통합 제어시스템(100)은 제1 및 제2전력선(P1)(P2)에 전원을 인가하며, 조명등 제어부(R)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조명등 제어부(R)는 전기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는 복수의 조명등(510) 각각을 온/오프 제어 및/또는 디밍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선(T)은 제1 및 제2전력선(P1)(P2)에 대해 병력 연결되는 것으로, 조명등 제어부(530) 전체에 대해 유선으로 결선된다. 즉, 조명등 제어부(530) 각각은 복수의 조명등(510) 각각과 통신선(T)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등 제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두 가닥의 전기선 및 한 가닥의 통신선 만으로, 복수의 조명등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 및/또는 디밍 제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통신선(T)이 복수의 조명등 가운데 어느 한 조명등(510)까지 연결되고, 이웃하는 복수의 조명등 제어부(530) 사이에 무선 통신 가능한 점에 있어서 구별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조명등 제어부(530) 각각은 이웃하는 조명등 제어부 사이에 무선 통신(Z)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통신 가능하도록 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선 통신선(T)를 배제하고, 전기요소 통합 제어시스템(100)과 복수의 조명등 제어부(530) 중 적어도 어느 한 조명등 제어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명등 제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유선 통신선(T)의 길이를 최소화하거나 통신선을 제거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와 동일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에 비하여 보다 콤팩트화 할 수 있다.
100: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110: 전기스위치
130: 통신부
141: 유선 통신 포트
150: 제어부
200: 전기요소
210: 조명등
230: 기타 전기요소
300: 무선스위치
310: 코일
330: 자로 시스템
350: 작동부
110: 전기스위치
130: 통신부
141: 유선 통신 포트
150: 제어부
200: 전기요소
210: 조명등
230: 기타 전기요소
300: 무선스위치
310: 코일
330: 자로 시스템
350: 작동부
Claims (11)
- 복수의 전기요소를 제어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자가발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스위치와;
상기 전기요소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오프 제어되는 전기스위치와;
상기 무선스위치 및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무선스위치와의 페어링 설정 및 상기 무선스위치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스위치를 온/오프 또는 디밍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UTP 케이블, FTP 케이블 및 STP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한 케이블을 통한 통신, RS-485 통신 및 RS-232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을 이용한 유선 통신 포트와;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및 RF447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자기갭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코일이 상기 자로시스템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RF447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스위치는,
RF447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위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복수의 전기요소 중 대응되는 전기요소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요소와 상기 복수의 무선스위치 사이의 페어링 설정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스위치 중 어느 한 무선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제어신호가 인가시 작동된 무선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페어링하고,
페어링 된 무선스위치를 상기 복수의 전기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기요소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스위치에 할당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스위치가 온/오프 스위칭 모드 및 디밍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한 모드로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 병렬 연결 된 복수의 조명등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전력선과;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을 온/오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전력선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조명등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등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 제어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등 각각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등 제어부 각각은,
이웃하는 조명등 제어부 사이에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111A KR20230134081A (ko) | 2022-03-13 | 2022-03-13 |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111A KR20230134081A (ko) | 2022-03-13 | 2022-03-13 |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4081A true KR20230134081A (ko) | 2023-09-20 |
Family
ID=8819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1111A KR20230134081A (ko) | 2022-03-13 | 2022-03-13 |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408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2424A (ko) | 2013-11-29 | 2015-06-08 | (주)오로라 디자인랩 | Led 조명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
-
2022
- 2022-03-13 KR KR1020220031111A patent/KR2023013408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2424A (ko) | 2013-11-29 | 2015-06-08 | (주)오로라 디자인랩 | Led 조명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82337B2 (ja) | ビデオインターホンまたはショッピング端末からac電源方式の器具を遠隔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20210399574A1 (en) | Remotely controlled power switching module | |
US20130234534A1 (en) | Power socke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
JP3969451B2 (ja) | 電力線搬送通信用の配線装置及び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 |
AU201230492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n-off a group or all lights or appliances of premises | |
RU2398259C2 (ru) | Силовая шина радиопередатчика | |
US7853221B2 (en) | Network bridge device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using the same | |
US825548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 a lighting network | |
RU2702222C2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яемый в такой системе | |
US9018803B1 (en) | Integrated SPDT or DPDT switch with SPDT relay combination for use in residence automation | |
JP2012526456A (ja) | 照明・エネル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モジュール | |
CN104468178B (zh) | 用于在操作环境内配置控制系统的方法及设备 | |
US20110077788A1 (en) | Wireless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 | |
JP2007166417A (ja)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 |
EP3258326B1 (en) |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homes | |
KR20230146247A (ko)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 |
KR20230134081A (ko) | 전기요소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 |
US20220334541A1 (en) |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particularly for home automation systems | |
US20220262120A1 (en) |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 |
JP2007189718A (ja) | 電力線搬送通信用の配線装置 | |
CN107431341B (zh) | 用于通过灯开关向无线用户接口供电的接口模块 | |
JP2003330509A (ja) | センサシステム | |
KR20040045657A (ko) | 홈 네트워크 시스템 | |
KR20240135400A (ko) | 무전원 스위칭 장치 | |
KR20110104609A (ko) | 매시 네트워크로 전력 제어와 감시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와 주제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