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524A -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524A
KR20230133524A KR1020220030630A KR20220030630A KR20230133524A KR 20230133524 A KR20230133524 A KR 20230133524A KR 1020220030630 A KR1020220030630 A KR 1020220030630A KR 20220030630 A KR20220030630 A KR 20220030630A KR 20230133524 A KR20230133524 A KR 2023013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sterilizer
coronavirus
pressure room
infectious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430B1 (ko
Inventor
김성
김진혁
마상범
김승준
손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3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30B1/ko
Publication of KR2023013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은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배치 방법으로써, 상기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상기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 및 상기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상기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Optimized arrangement method of sterilizer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and improving air sterilization in negative pressure rooms}
본 발명은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급증함에 따라, 음압병실의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음압병실(陰壓病室,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NPIR))은 호흡기 매개 감염병 환자의 격리를 위해 조성된 특수한 병실이다.
음압병실은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하기 위한 특별 병실로서, 내부압을 외부압보다 낮게 유지하여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병실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병실 내의 공기는 병원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HEPA(highly Efficient Particular Air Filter) 필터가 적용된 배기 시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음압병실은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HI: Avian Influenza Human Infection), 신종인플루엔자(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에볼라 출열혈(Ebola hemorrhagicfever),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균의 확산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압병실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4518호 '음압병실 컨테이너'가 있다.
그리고, 음압병실에는 환자를 돌보는 병원 직원들의 감염 방지를 위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기가 설치된다.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음압병실의 경우,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가 살균기로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에 병원균이 잔류하여 음압병실에 출입하는 직원들이 병원균의 감염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살균기의 위치를 최적화시켜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가 살균기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고, 음압병실 내부의 전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은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배치 방법으로써, 상기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상기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 및 상기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상기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함수는 전체 유량범위에서 상기 음압병실 내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공기의 압력편차(Pavg(SD))이고, 상기 설계 변수는 상기 목적함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준위치로부터의 전후거리, 높이, 좌우방향의 회전각도이며,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음압병실의 전방측의 우측 하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0.69m 이동되고 전방측 방향으로 0.3m 이동되며 상측방향으로 1.2m 이동되고 좌우방향 회전각도는 좌측을 기준으로 90도이며 후방측으로 배치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에서 상기 전후거리는 0m 이상 0.6m 이하이며, 상기 높이는 -0.1m 이상 2.5m 이하이고, 상기 회전각도는 0도 이상 18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전후거리, 높이, 회전각도를 조합하여 상기 목적함수의 민감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는 상기 높이 및 회전각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는 수치해석을 통해 최적의 설계 변수 값을 결정하고 최적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영역 선정단계는 상기 설계 변수에 대한 목적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경계 조건을 고정하는 경계 조건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점에서 상기 전후거리는 0m, 상기 높이는 1.4m, 상기 회전각도는 103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량은 0.8 m3/min 내지 1.0 m3/min이고, 배출 속도는 2.3 m/s 내지 2.4 m/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출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9037kg/s이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52056kg/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는 전방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는 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음압병실의 전방측 좌측 모서리에는 음압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장치는 우측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장치의 흡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559202kg/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병실은 전방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병실의 창에서 질량 유량은 0.0520852kg/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병실 내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공기의 압력편차(Pavg(SD))는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직면을 설정하고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직면을 설정하여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병실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좌우길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되고, 전후길이가 3.1m 이상 3.5m 이하로 마련되며, 높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또한, 상기 음압병실은 좌우길이가 2.236m 로 마련되고, 전후길이가 3.385m 로 마련되며, 높이가 2.4m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은 살균기의 위치를 최적화시켜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가 살균기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고, 음압병실 내부의 전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형 마이크로 수차의 설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에 수직면을 설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에 수평면을 설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기의 기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설계 변수가 음압병실 내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설계 변수가 음압병실 내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서의 공기의 압력편차(Pavg(SD))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기의 배치를 통해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은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 단계(S110),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S120),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130),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S140), 선정된 설계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S150),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10)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1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10)의 내부에는 플라즈마 살균기(100), 음압장치(200), 침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압병실(10)은 음압장치(200)를 통해 내부압이 외부압보다 낮게 유지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병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압병실(10)은 1인용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좌우길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되고, 전후길이가 3.1m 이상 3.5m 이하로 마련되며, 높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음압병실(10)은 좌우길이 2.236m, 전후길이 3.385m, 높이 2.4m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1인용 음압병실(10)의 경우, 병원마다 유사한 크기로 마련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이 1인용 음압병실(10)마다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음압병실(10)은 전방측에 입구(IL)가 형성될 수 있고, 측부에 창(W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압병실(10)의 내부에는 좌측 후방측에 침대(300)가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플라즈마 살균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0a)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살균기(100)는 플라즈마 이온을 발생시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살균기(100)는 아래 표1에서와 같이, 단계별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 및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단계 유량[m3/min] 평균속도[m/s]
1 0.63 1.67
2 0.72 1.90
3 0.81 2.14
4 0.90 2.38
본 발명에서 플라즈마 살균기(100)의 유량은 0.8 m3/min 내지 1.0 m3/min이고, 배출 속도는 2.3 m/s 내지 2.4 m/s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에서 플라즈마 살균기(100)는 4단계인 유량 0.9 m3/min, 평균속도 2.38m/s로 작동시를 기준으로, 플라즈마 살균기(100)의 배치위치를 실험하였다.
음압장치(200)에는 흡입구(20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압장치(200)는 흡입구(200a)를 통해 음압병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음압병실(10) 내부압을 외부압부다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음압장치(200)는 음압병실(10)의 입구(IL)쪽 좌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압병실(10) 내부의 공기가 플라즈마 살균기(100)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부가적으로,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에서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출구(100b)에서 질량 유량은 0.019037kg/s이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입구(100a)에서 질량 유량은 -0.0152056kg/s이고, 음압장치(200)의 흡입구(200a)에서 질량 유량은 -0.0559202kg/s이고, 음압병실의 창(WD)에서 질량 유량은 0.0520852kg/s이다. 여기서, 공기가 배출되는 곳에서는 질량 유량이 양수값으로 나타내고, 공기가 흡입되는 곳에서는 질량 유량을 음수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S100)은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 단계(S110),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S120),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130),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S140), 선정된 설계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S150),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단계(S110)는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단계(S110)에서는 목적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를 결정하는 설계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목적함수는 전체 유량범위에서 음압병실 내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일 수 있다.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가 낮아질수록 음압병실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므로,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는 음압병실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직면(P1~P10)을 설정하고, 음압병실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평면(P11~P20)을 설정하여 산출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는 각각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평균속도를 측정하여 산출한 것이고, 음압병실 내의 압력편차(Pavg(SD))는 각각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 평균압력을 측정하여 산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목적함수인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인식되는 설계 변수들은 기준위치로부터의 전후거리, 높이, 좌우방향 회전각도이다.
그리고, 도 5를 참고하면, 기준위치는 음압병실의 전방측의 우측 하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0.69m 이동되고 전방측 방향으로 0.3m 이동되며 상측방향으로 1.2m 이동되고 좌우방향 회전각도는 좌측을 기준으로 90도이며 후방측으로 배치된 위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S120)에서는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 변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적절한 설계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 단계(S120)에서는 전후거리는 0m 이상 0.6m 이하이다. 또한, 높이는 -0.1m 이상 2.5m 이하이다. 그리고, 회전각도는 0도 이상 180도 이하이다.
이와 같이 설계 변수와 설계영역이 결정되면 해석을 위한 최적의 격자계를 구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격자의존성을 제거하기 위한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격자계는 ANSYS TurboGrid를 사용하여 정렬격자계(structured grid)로 생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변수를 선정하는 단계(S120)에서는 수치해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격자테스트를 수행하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의 경계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의 흐름 분석을 위해 3차원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난류모델(turbulent model)은 유동박리(flow separation)의 예측에 유리한 Shear Stress Transport model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설계 영역 선정단계는 설계 변수에 대한 목적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경계 조건을 고정하는 경계 조건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출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9037kg/s이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52056kg/s이고, 음압장치의 흡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559202kg/s이고, 음압병실의 창에서 질량 유량은 0.0520852kg/s이다. 그리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출구에서 유량은 0.9 m3/min, 평균속도는 2.38m/s이다.
부가적으로, 병원 내부 유동해석에 대한 성능평가 수행을 위해, 상용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ANSYS ICEM CFD ver. 19.1을 이용하여 내부 유동장 분석을 위한 검사체적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내부 유동해석을 위해, ANSYS CFX ver. 19.1을 이용하여 분진흡입 장치 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을 부여하고, 살균 시스템 입구부에는 대기압 조건을 부여하고, 출구부에는 유량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난류모델로는 벽면 근처에서 발생하는 유동박리현상 예측에 서 발생하는 유동박리현상 예측에 적절한 k-
Figure pat00001
기반의 전단이송모델(Shear Stress Transport)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방법으로 오일러 기술법 기반의 근사해석 기법인 유한체적법(FVM)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위해 ANSYS CFX-Post ver. 19.1을 이용하여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치해석 형상에 적용할 난류 모델을 고려하여 벽면 근처 첫 번째 격자의 높이를 무차원해 나타낸 값인 y+값을 2 이하가 되도록 격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격자수는 격자의존도 테스트를 통해 해석의 효율성(시간, 메모리, 수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격자계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치해석 형상에 대한 격자의존도 테스트 결과, 약 600만개에서 수치해석 결과가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방시스템을 적용한 내부 유동흐름은 매우 복잡하게 흐르므로 정밀하고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수치해석이나 실험 결과의 경우, 자료가 많을 때 자료를 대표하는 하나의 값, 즉 대표값으로 평균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산포도의 하나인 표준편차는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치로, 표준편차에 가까우면 자료 값들이 평균 근처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표준편차가 클수록 자료 값들이 널리 퍼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표준편차를 최소화시켜 병실 내부의 유동 흐름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고, 음압병실 내부의 전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130)에서 설계 변수인 전후거리, 높이,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목적함수가 최대가 될 수 있는 전후거리, 높이, 회전각도를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상기 설계 변수 중에서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S140)에서는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설계 변수를 조합하기 위해 실험계획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험계획법은 근대적 통계 해석법을 기반으로 이상 변동을 가져오는 많은 원인 중에서 중요한 원인을 적은 비용으로 선정하고 그 효과를 수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동시에 두 종류 이상의 인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효과를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최적설계를 위한 수치최적화 기법으로 실험계획법의 반응표면기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을 사용하였다.
설계 변수에 따른 임펠러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설계 목적 값을 정의해야 한다. 이때, 설계 목적 값은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가 살균기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일 수 있다.
반응표면기법은 복수의 변수 작용으로 반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며, 여러 개의 설계 변수가 복합적인 작용을 함으로써 어떤 목적함수에 영향을 주고 있을 때 이러한 반응의 변화가 이루는 반응표면에 대한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또한, 반응표면기법은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뿐만 아니라 그 요인들이 어떠한 조합을 이루었을 때 가장 큰 효과를 줄 수 있는가를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실험계획에서 요인들의 조합을 통한 효과의 유무를 추정한다고 하면 반응표면기법은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그 요인들이 가장 큰 효과를 보여줄 때의 식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요 설계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설계 변수들은 반응표면기법을 통해서 나온 결과값 중에서 최적화된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반응표면기법은 3인자 5수준의 실험으로 최적화를 수행한다. 이때 설계 변수는 기준위치로부터의 전후거리(Y), 높이(Z), 좌우방향 회전각도(Theta) 3가지로 선정하여 목적함수를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로 두고 반응 표면기법을 시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요 설계 변수인 기준위치로부터의 전후거리(Y), 높이(Z), 좌우방향 회전각도(Theta)에 의해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가 최적화된 살균기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표면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실험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Theta Y Z
1 36 0.12 0.43
2 144 0.12 0.43
3 36 0.48 0.43
4 144 0.48 0.43
5 36 0.12 1.97
6 144 0.12 1.97
7 36 0.48 1.97
8 144 0.48 1.97
9 0 0.3 1.2
10 180 0.3 1.2
11 90 0 1.2
12 90 0.6 1.2
13 90 0.3 -0.1
14 90 0.3 2.5
Center 90 0.3 1.2
그리고, 기준위치에서 좌측으로의 거리를 -, 우측으로의 거리를 +로 표현하였다. 또한, 기준위치에서 전방측으로의 거리를 -, 후방측으로의 거리를 +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기준위치에서 좌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로 표현하였다. 또한, 실험조건에 대한 수치해석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Theta Y Z Vavg(SD) Pavg(SD)
1 36 0.12 0.43 0.017563892 0.002070925
2 144 0.12 0.43 0.015308501 0.002169727
3 36 0.48 0.43 0.014537554 0.002586025
4 144 0.48 0.43 0.017418996 0.002091643
5 36 0.12 1.97 0.015956361 0.001634297
6 144 0.12 1.97 0.009131717 0.002223477
7 36 0.48 1.97 0.018464711 0.002476595
8 144 0.48 1.97 0.010332296 0.002543245
9 0 0.3 1.2 0.02278451 0.00280705
10 180 0.3 1.2 0.024910726 0.002113933
11 90 0 1.2 0.012393378 0.002151201
12 90 0.6 1.2 0.013216157 0.001511329
13 90 0.3 -0.1 0.01408076 0.00318827
14 90 0.3 2.5 0.012560843 0.002776986
Center 90 0.3 1.2 0.013239914 0.0019663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의 설계 변수에 의한 유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계획법 중 하나인 반응표면기법을 사용할 수 있고, 분석은 상용프로그램인 Minitab 14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는 반응표면기법을 통해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의 설계 변수에 의한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후거리, 높이, 회전각도를 조합하여 목적함수의 민감도를 파악할 수 있다.
선정된 설계 변수는 반응표면기법 및 CFD를 활용하여 설계 변수 변화에 따른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설계 변수 조합 결정 단계(S130)에서는 반응표면기법에 의해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설계 변수 조합을 결정한다.
도 6은 설계 변수가 음압병실 내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설계 변수가 음압병실 내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서의 공기의 압력편차(Pavg(SD))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기의 배치를 통해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정리하면,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설계 변수가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회전각도, 높이, 전후거리 순으로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회전각도 및 높이가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에 큰 영향을 준다.
즉, 플라즈마 살균기의 회전각도 및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S150)는 복수개의 실험점에서 수치 해석을 통해 목적함수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압병실의 내부 유동특성은 수치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음압병실의 내부 유동해석은 상용 3차원 점섬유체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CFX-17.1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S160)에서는 수치해석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한다.
그리고, 최적점에서 전후거리는 0m, 높이는 1.4m, 회전각도는 103도이다.
부가적으로, 설계 변수의 경향성을 함수화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설계 변수의 경향성을 함수화하는 단계는 추출된 설계 변수들의 수치를 이용하여, 설계 변수의 경향성을 함수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는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으로 표4 또는 수학식1로 도출될 수 있다.
Term
Constant 0.0200669
Theta -1.78257E-04
Y 0.00302774
Z 0.00329582
Theta*Theta 1.13954E-06
Y*Y -0.0179426
Z*Z -6.72787E-04
Theta*Y 4.92421E-05
Theta*Z -4.68468E-05
Y*Z 0.00417097
이를 통해, 음압병실 내의 공기의 압력편차(Pavg(SD))는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으로 표5 또는 수학식2로 도출될 수 있다.
Term
Constant 0.00313435
Theta -8.52976E-06
Y 0.00249506
Z -0.00180992
Theta*Theta 4.34083E-08
Y*Y -0.00295946
Z*Z 0.000524847
Theta*Y -1.43482E-05
Theta*Z 3.16080E-06
Y*Z 0.000653905
또한, 플라즈마 살균기가 최적점에 배치되었을 때, 전체 유량범위에서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압력편차(Pavg(SD))가 최소화되어,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음압병실
WD : 창 100 : 플라즈마 살균기
100a : 유입구 100b : 배출구
200 : 음압장치 200a : 흡입구
300 : 침대

Claims (19)

  1.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배치 방법으로써,
    상기 음압병실 및 플라즈마 살균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목적함수 및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 영역에서 상기 설계 변수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
    상기 선정된 설계영역에서 수치해석 단계; 및
    상기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상기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함수는 전체 유량범위에서 상기 음압병실 내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공기의 압력편차(Pavg(SD))이고,
    상기 설계 변수는 상기 목적함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준위치로부터의 전후거리, 높이, 좌우방향의 회전각도이며,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음압병실의 전방측의 우측 하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0.69m 이동되고 전방측 방향으로 0.3m 이동되며 상측방향으로 1.2m 이동되고 좌우방향 회전각도는 좌측을 기준으로 90도이며 후방측으로 배치된 위치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변수의 상한 및 하한값을 결정하는 설계 영역 선정단계에서 상기 전후거리는 0m 이상 0.6m 이하이며, 상기 높이는 -0.1m 이상 2.5m 이하이고, 상기 회전각도는 0도 이상 180도 이하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설계 변수 중에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전후거리, 높이, 회전각도를 조합하여 상기 목적함수의 민감도를 파악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함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변수는 상기 높이 및 회전각도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해석결과를 통해 설계영역에서 최적점을 탐색하는 단계는 수치해석을 통해 최적의 설계 변수 값을 결정하고 최적의 형상을 결정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영역 선정단계는 상기 설계 변수에 대한 목적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경계 조건을 고정하는 경계 조건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점에서 상기 전후거리는 0m, 상기 높이는 1.4m, 상기 회전각도는 103도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량은 0.8 m3/min 내지 1.0 m3/min이고, 배출 속도는 2.3 m/s 내지 2.4 m/s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출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9037kg/s이고, 플라즈마 살균기의 유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152056kg/s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는 전방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는 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음압병실의 전방측 좌측 모서리에는 음압장치가 배치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장치는 우측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장치의 흡입구에서 질량 유량은 -0.0559202kg/s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은 전방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창이 형성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의 창에서 질량 유량은 0.0520852kg/s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 내의 수직면 및 수평면에서의 공기의 속도편차(Vavg(SD)) 및 공기의 압력편차(Pavg(SD))는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직면을 설정하고 상기 음압병실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10개의 수직면을 설정하여 산출된 것인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좌우길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되고, 전후길이가 3.1m 이상 3.5m 이하로 마련되며, 높이가 2.1m 이상 2.5m 이하로 마련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병실은 좌우길이가 2.236m 로 마련되고, 전후길이가 3.385m 로 마련되며, 높이가 2.4m로 마련되는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KR1020220030630A 2022-03-11 2022-03-11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KR10264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30A KR102640430B1 (ko) 2022-03-11 2022-03-11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30A KR102640430B1 (ko) 2022-03-11 2022-03-11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24A true KR20230133524A (ko) 2023-09-19
KR102640430B1 KR102640430B1 (ko) 2024-02-23

Family

ID=8819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630A KR102640430B1 (ko) 2022-03-11 2022-03-11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014A (ja) * 2004-04-26 2005-11-04 Univ Kanagawa 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150025300A1 (en) * 2013-07-18 2015-01-22 American Sterilizer Company Modular patient care enclosure
KR101678412B1 (ko) * 2015-08-12 2016-11-22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20190128034A (ko) * 2018-05-03 2019-11-14 김부열 세균 살균 기능 및 유해 물질과 방사능 물질 제거 기능이 내장된 양압 및 음압 유지 시스템
KR102204837B1 (ko) * 2020-04-16 2021-01-20 김원국 공간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조 장치
KR20220007796A (ko) * 2020-07-10 2022-01-19 한국공항공사 워킹스루 방역 장치
US11253805B1 (en) * 2021-06-24 2022-02-22 Jones Dea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indoor airborne pathogen contr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014A (ja) * 2004-04-26 2005-11-04 Univ Kanagawa 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空気調和・換気用ダクトの設計装置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150025300A1 (en) * 2013-07-18 2015-01-22 American Sterilizer Company Modular patient care enclosure
KR101678412B1 (ko) * 2015-08-12 2016-11-22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20190128034A (ko) * 2018-05-03 2019-11-14 김부열 세균 살균 기능 및 유해 물질과 방사능 물질 제거 기능이 내장된 양압 및 음압 유지 시스템
KR102204837B1 (ko) * 2020-04-16 2021-01-20 김원국 공간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조 장치
KR20220007796A (ko) * 2020-07-10 2022-01-19 한국공항공사 워킹스루 방역 장치
US11253805B1 (en) * 2021-06-24 2022-02-22 Jones Dea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indoor airborne pathoge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430B1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8745B2 (ja) 飛沫感染抑制システム、及び、飛沫感染抑制方法
RU2477148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нутри помещения
US9061084B2 (en) Fine particle diffusion device
Liu et al. Prevention of surgical site infection under different ventilation systems in operating room environment
JP6228040B2 (ja) 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を備えるクリーンルームの空気循環システム
EP1739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moving airborne microbes
WO2019227827A1 (zh) 一种半隔离诊台
JP6338521B2 (ja) アイソレータ
JP5873413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JP6266127B2 (ja) クリーンエア装置および塵埃点検方法
KR102640430B1 (ko) 음압병실 내부의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및 공기 살균 향상을 위한 살균기의 최적화된 배치방법
KR102452218B1 (ko) 격리 진료대
CN108507112A (zh) 一种风帘系统及隔离防护装置
JPWO2018047409A1 (ja) 粒子計数器組み込み型隔離装置
JP5347098B1 (ja)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KR102593186B1 (ko) 음압병실 내부의 공기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염병 예방용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살균기의 배치방법
Huang et al. Evaluation of SARS-CoV-2 transmission in COVID-19 isolation wards: On-site sampling and numerical analysis
CN106352383A (zh) 一种吸油烟机
KR102466407B1 (ko) 이동형 음압기 성능평가 장치 및 방법
Karam et al. Pulsating jet ventilation add-ons performance for reducing the contaminant spread in classrooms: Portable air cleaners vs. upper room UVGI
KR102256679B1 (ko) 미세입자의 카운트가 가능한 크린벤치
US202301757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decontamination measures, method for preparing decontamination measures and method for monitoring decontamination measures
JP2022166802A (ja) 消毒機能付き高清浄環境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22091439A1 (ja) 送風装置
CN109635353A (zh) 一种厨师操作对抽油烟机油烟捕集效率影响的评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