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218B1 - 격리 진료대 - Google Patents

격리 진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218B1
KR102452218B1 KR1020207037229A KR20207037229A KR102452218B1 KR 102452218 B1 KR102452218 B1 KR 102452218B1 KR 1020207037229 A KR1020207037229 A KR 1020207037229A KR 20207037229 A KR20207037229 A KR 20207037229A KR 102452218 B1 KR102452218 B1 KR 10245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ble
groove
main body
groove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198A (ko
Inventor
룽 저우
난산 중
스충 허
쿤 양
차이쉬 한
Original Assignee
지아이알엠 바이오세이프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둥 난산 메디컬 이노베이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이알엠 바이오세이프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둥 난산 메디컬 이노베이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지아이알엠 바이오세이프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5Mayo stand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40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18Physician's examin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8Means providing sterile air at a surgical operation table or ar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6Desks with inlet and evacu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105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40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 A61B2090/401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using ai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대 본체(1)를 포함하는 격리 진료대에 관한 것으로, 진료대 본체(1)의 내부에는 살균소독 시스템, 팬(2)과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홈(3)이 설치되며 공기 배출홈(3)은 진료대 본체(1)의 워크테이블(11)과 연통되고 팬(2)의 바람 유입구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며 살균소독 시스템은 팬(2)의 바람 유입구와 연통되고 팬(2)의 바람 유출구는 공기 배출홈(3)과 연통되며 공기 배출홈(3)은 진료대 본체(1)의 길이방향에 평행되게 배치되는 제1 홈체(31)와 진료대 본체(1)의 너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홈체(32)를 포함하고 두 개의 제2 홈체(32)는 각각 제1 홈체(31)와 연통되며 제1 홈체(31)에서 제2 홈체(32)와의 연결 부분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댐퍼(4)가 설치되고 댐퍼(4)는 제1 홈체(31)와 제2 홈체(32)의 연결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이 격리 진료대는 전염병이 있는 환자가 내뱉은 에어로졸과 의료인원을 격리시켜 의료인원의 건강을 담보함과 동시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덕트 조합 모드를 조절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차단하고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리 진료대
본 발명은 의료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리 진료대에 관한 것이다.
격리 진료대는 진료대 본체에 물건을 안착시키기 위한 캐비닛을 말한다. 호흡기관 전염병의 전염원은 주요하게 전염병 병원체를 가진 환자이고 호흡기 질병의 병원체의 전파방식은 주요하게 직접적인 접촉, 간접적인 접촉, (단거리) 비말 전파와 (단거리와 장거리) 공기 전파가 있다. 문헌에서 종합한 내용에 근거하면 공기 전파에서 단거리 전파는 장거리 전파보다 더 위협성을 가지므로 인체 주변의 약 1.5m 내의 병원체 전파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환자 주변의 병원체의 전파는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이 환자와 교류하는 의료진이 쉽게 감염되도록 하고 기존의 의사-환자를 격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진료대의 설계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제조원가가 비교적 높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료대 본체에 장착되어 의사-환자를 격리시키는 장치는 댐프 시트를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격리하지만 진료대에 설치되어 댐프 시트의 통로를 불어서 만드는 설계는 비교적 단일하여 원활성이 비교적 낮은 바, 만약 의사-환자 사이에 완전히 밀폐된 격리공간을 형성하려면 반드시 진료대 장치를 진찰실의 규정된 위치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진료대 장치를 장착함에 있어서 위치 제한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의료인원에 대한 보호의 신뢰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이러한 진료대 장치를 개량한 후 전반적인 장치의 에너지 소모가 비교적 높아 에너지를 낭비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단점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격리 진료대를 제공하는데 이 격리 진료대는 전염병을 가진 환자가 치료를 받을 때 내뱉은 에어로졸과 의료인원을 격리시켜 의료인원의 건강을 담보함과 동시에 환경 변화에 따라 덕트 조합 모드를 조절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차단하고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진료대 본체를 포함하는 격리 진료대를 제공하는데, 상기 진료대 본체의 내부에는 살균소독 시스템, 팬과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홈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진료대 본체의 워크테이블과 연통되며 상기 팬의 바람 유입구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은 상기 팬의 바람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의 바람 유출구는 공기 배출홈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진료대 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되게 배치되는 제1 홈체와 상기 진료대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홈체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제2 홈체는 각각 상기 제1 홈체와 연통되고 상기 제1 홈체에서 상기 제2 홈체와의 연결 부분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홈체와 상기 제2 홈체의 연결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홈체의 대향 배치된 두 내벽에는 요홈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변에는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홈에 위치되어 상기 요홈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격리 진료대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대 본체 내에는 상기 댐퍼로 하여금 상하 신축운동을 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팬의 송풍속도는 2m/s~4m/s이다.
더 나아가, 상기 진료대 본체의 워크테이블에는 상기 공기 배출홈과 대응되는 배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U형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홈체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플레이트는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으로 하여금 환자가 착석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배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홈체의 법선방향의 협각은 15°~25°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 플레이트마다 서로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 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은 대등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진료대 본체의 내부에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팬은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제2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진료대 본체의 측벽에는 흡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챔버 내에는 공기 저장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저장 박스의 입구는 상기 팬의 바람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저장 박스의 출구는 상기 제1 홈체와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격리 진료대는 메인 제어유닛,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닛 및 상기 진료대 본채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제어유닛은 상기 검출유닛, 상기 팬,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 상기 제어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하면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격리 진료대 내부에 설치된 팬은 진료대 본체 내부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고 팬의 바람 유출구와 연통된 공기 배출홈은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에 하나의 격리 댐프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호흡기 질병을 가진 환자와 의료인원이 언어적인 교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타액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격리 효과를 강화하며; 팬의 바람 유입구와 살균소독 시스템이 서로 배합하여 작동함으로써 환자가 뱉은 병독, 세균 등 감염원을 휴대할 수 있는 타액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고 살균소독 시스템을 통해 제때에 살균 소독의 정화처리를 진행하여 환자의 타액 및/또는 에어로졸이 공기중에서 발산하고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료인원의 건강에 위협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정화장치가 살균 소독을 거친 깨끗한 공기를 팬에 의해 다시 공기 배출홈에 전송하여 내보내어 다시 격리 댐프 시트의 형성을 지지함으로써 환경에서의 공기의 순환 이용을 완성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홈은 진료대 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되는 제1 홈체과 진료대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개의 제2 홈체를 포함하고 제1 홈체의 양단부분은 제2 홈체와 각각 연통되어 제1 홈체가 형성한 댐프 시트와 두 개의 제1 홈체가 형성한 댐프 시트 사이에 보호성이 더 좋은 댐프 시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제1 홈체와 제2 홈체의 연결 부분에 상하로 신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댐퍼는 두 개의 제2 홈체과 제1 홈체 사이의 각각의 온 오프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어 이 격리 진료대가 외부 물질을 이용하여 격리하는 환경에 설치될 경우 댐퍼의 인출이 임의의 한 측의 제2 홈체와 제1 홈체의 연통을 효과적으로 격리하는 상황을 통해 덕트의 원활한 제어와 조절을 실현할 수 있고 실제 작업에서의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홈체 내에 설치되어 댐퍼로 하여금 상하 신축 슬라이딩을 하도록 하는 요홈은 댐퍼의 운동에 신뢰도가 있는 레일을 제공하여 댐퍼의 상하 신축 운동의 원활성을 담보하고; 댐퍼의 상하 운동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조작 제어 과정이 매우 간단하며; 제1 홈체 내부 내부에 설치된 격리 댐프 시트로 하여금 환자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배수 플레이트는 댐프 시트로 하여금 제1 홈체의 법선방향을 따라 15°~25°의 협각을 이루도록 하여 제1 홈체로부터 나온 댐프 시트는 환자가 내뱉은 기체를 그 뒤의 하나의 작은 영역 내에서 제어함으로써 이 기체가 의료인원의 호흡영역 내에 쉽게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제일 양호하게 오염 기체의 전파를 방지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으며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의 기체 교류를 양호하게 차단하여 실제 환경에서 에어로졸이 교차적으로 감염하는 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서로 평행되게 배치된 동시에 간격이 대등한 배수 플레이트는 제1 홈체에 형성된 댐프 시트의 균일성이 더 양호하도록 할수 있고; 이 격리 진료대에는 공기 저장 박스가 더 포함되어 팬이 배출한 기체를 수집하며 일정한 풍압을 담보하여 제1 홈체를 통해 공기를 균일하게 배출함으로써 강도가 균일하게 배치된 정압 댐프 시트를 형성하여 댐프 시트가 환자와 의료인원을 격리시키는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담보하며; 전체 격리 진료대의 작업이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화 정도가 비교적 높고 실제의 사용과정에서 비교적 높은 적응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격리 진료대의 분리 구조 모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격리 진료대의 공기 흐름방향 모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공기 배출홈의 구조 모식도;
도 4는 도 3에서의 A곳의 확대 구조 모식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제1 홈체의 단면 구조 모식도;
도 6은 제1 공기 배출 덕트와 좌우 양측의 제2 공기 배출 덕트에서의 각 테스트 포인트의 위치 모식도;
도 7은 좌우 양측의 제3 공기 배출 덕트에서의 각 테스트 포인트의 위치 모식도;
도 8은 대조그룹 case0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9는 Scenario 5Case 2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0은 Scenario 5Case 5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1은 Scenario 5Case 8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2는 Scenario 1Case1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3은 Scenario 1Case 2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4는 Scenario 1Case 3조건에서의 구성도;
도 15는 상이한 송풍속도와 송풍각도에서의 의료인원의 입 주변의 추적가스 평균 몰분율(×10-4)의 꺾은선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뚜렷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하는데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은 기타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상”, “하”, “좌”, “우”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이 도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 특정된 방위구조와 동작을 구비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본원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격리 진료대는 진료대 본체(1)를 포함하되, 상기 진료대 본체(1)의 내부에는 살균소독 시스템, 팬(2)과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홈(3)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3)은 상기 진료대 본체(1)의 워크테이블(11)과 연통되며 상기 팬(2)의 바람 유입구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은 상기 팬(2)의 바람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2)의 바람 유출구는 공기 배출홈(3)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3)은 상기 진료대 본체(1)의 길이방향에 평행되게 배치되는 제1 홈체(31)와 상기 진료대 본체(1)의 너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홈체(32)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제2 홈체(32)는 각각 상기 제1 홈체(31)와 연통되고 상기 제1 홈체(31)에서 상기 제2 홈체(32)와의 연결 부분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댐퍼(4)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4)는 상기 제1 홈체(31)와 상기 제2 홈체(32)의 연결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이상의 구조에 기반하여 이 격리 진료대를 사용할 경우 이 진료대 본체(1)에서 환자와 가까이하는 일측을 전단으로 하면 의료인원과 가까이하는 일측이 후단이고 공기 배출홈(3)의 제1 홈체(31)는 진료대 본체(1)의 길이방향과 평행되게 배치되는 동시에 진료대 본체(1)의 전단과 가까이하며 팬(2)은 진료대 본체(1)의 내부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의 바람 유입구를 통해 환경에서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고 이의 바람 유출구에 의해 살균소독 시스템이 정화한 후의 공기를 공기 배출홈(3)으로부터 배출하여 환경에서의 공기의 순환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환자와 의료인원이 교류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에 위치한, 공기 배출홈(3)에 의해 형성된 정압 바람벽은 환자가 내뱉은 전염원을 휴대한 기체, 에어로졸 또는 타액을 격리시켜 의료인원측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료인원의 안전을 담보하고; 환자가 내뱉은 기체 등 병균을 휴대한 물질은 팬(2)의 작용에 의해 진료대 본체(1)의 내부에 흡입되어 먼저 살균소독 시스템을 통과하여 완전하게 효과적인 살균 소독을 거쳐 깨끗한 공기로 정화됨으로써 병균을 휴대한 물질이 공기 중에 전파 또는 발산되어 의료인원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화된 후의 공기는 공기 배출홈(3)을 따라 배출되어 바람벽에 지속적으로 보충된 기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에서의 공기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며 병독을 휴대한 기체를 차단하고 흡수하여 살균하는 두가지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의사-환자가 교류하는 과정에서 에어로졸이 교차적으로 감염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의료인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홈(3)은 제1 홈체(31)와 두 개의 제2 홈체(32)를 포함하는데 두 개의 제2 홈체(32)는 제1 홈체(31)의 양단과 각각 연통되어 팬(2)에서 배출한 기체가 제1 홈체(31) 양측의 제2 홈체(32)를 통해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밀폐성이 비교적 양호한 바람벽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며 제1 홈체(31)에서 상기 제2 홈체(32)와의 연결 부분에는 상하로 신축되게 댐퍼(4)가 설치되고 댐퍼(4)는 제1 홈체(31)와 제2 홈체(32)의 연결의 온 오프를 제어하며 이 격리 진료대를 사용할 경우 만약 이 격리 진료대가 룸의 정중앙에 설치되면 두 개의 제2 홈체(32)를 동시에 작동시켜 이 둘이 제1 홈체(31)와 형성한 바람벽이 서로 배합하여 세 면이 둘러싸인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환자가 내뱉은 기체에 대한 격리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담보할 수 있으며 공기가 제1 홈체(31)로부터 양측의 제2 홈체(32)에 동시에 흐르도록 담보하기 위하여 제1 홈체(31)에서의 풍속의 공급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로써 에너지 소모를 향상시키게 되지만; 룸의 좌우 양측에서의 임의의 한 측에서 벽을 가까이하고 배치되면 이때 벽체는 물리적 격리의 매개체로서 제1 홈체(31)가 배출한 바람벽과 다른 한 측의 제2 홈체(32)가 배출한 바람벽으로 밀폐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때 벽을 가까이한 일측의 제2 홈체(32)는 바람 유출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있어 제1 홈체(31)는 일측의 제2 홈체(32)에 바람을 공급하기만 하면 되며 댐퍼(4)의 설치는 이러한 사용상황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고 일측의 제2 홈체(32)가 작동할 필요가 없을 경우 이 댐퍼(4)를 직접 조절하여 이를 차단하면 되므로 조작 제어방식이 간단하고 원리가 믿을만하며 사용과정에서 일정한 정도의 에너지 소모를 조절할 수 있다. 전반적인 격리 진료대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여 아주 실용적이다.
여기서 제1 홈체(31)의 대향되게 배치한 두 내벽에는 각각 요홈(311)이 설치되고 댐퍼(4)의 양측변에는 요홈(311)과 대응되는 돌출부(41)가 설치되며 돌출부(41)는 요홈(311)에 위치하여 요홈(31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형식을 이용하여 댐퍼(4)의 상하 신축을 조절하고 진료대 본체(1) 내에는 댐퍼(4)의 상하 신축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구동장치는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기의 제어하에 구동장치는 댐퍼(4)를 구동하여 이의 돌출부(41)가 요홈(311)에서 상하 운동하도록 하여 제1 홈체(31)와 제2 홈체(32) 사이의 온 오프를 실현하며 댐퍼(4)의 상하 운동 조절 과정은 매우 간단하지만 작업 효과가 믿을만하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홈(3)은 U형 구조를 사용, 즉 제2 홈체(32)와 제1 홈체(31) 사이는 서로 수직되게 배치되어 공기 배출홈(3)에서 배출한 바람벽이 의료인원을 둘러싸게 되어 양호한 격리 효과를 가져오게 되지만 기타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홈(3)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한정을 받지 않고 의료인원에게 믿음직한 보호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실제 수요에 따라 적합한 형상을 선택하여 적합한 바람벽을 형성할 수 있다. 진료대 본체(1)의 워크테이블(11)에는 공기 배출홈(3)과 대응되는 배기구(111)가 설치되고 배기구(111)는 진료대 본체(1)의 워크테이블(11)에서 U형 구조를 이루어 공기 배출홈(3) 내의 공기가 더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료대 본체(1)의 후측에는 두 개의 제3 홈체(33)가 더 설치되는데 제3 홈체(33)는 수직방향으로 분포되고 제3 홈체(33)의 단부는 제2 홈체(32)의 단부와 연통되어 제1 홈체(31), 제2 홈체(32)와 제3 홈체(33) 사이에 서로 배합하여 형성한 바람벽이 의료인원에게 더 전면적인 격리 보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 제1 홈체(3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플레이트(5)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배수 플레이트(5)의 수량은 바람직하게 2개이며 배수 플레이트(5)는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이 환자가 착석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배수 플레이트(5)와 제1 홈체(31)의 법선방향의 협각은 15°~25°이며 본 실시예에서 이 협각은 바람직하게 20°이고 이로써 제1 홈체(31)로부터 배출된 바람벽은 환자가 내뱉은 기체를 환자 뒤의 하나의 영역으로 제어시켜 환자가 내뱉은 기체가 의료인원의 호흡 영역에 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병균 전파를 억제하는 목적에 도달하여 의료인원 주변의 기류가 댐프 시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므로 이의 뜨거운 플룸이 정상적으로 발전하여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의 기류가 비교적 양호한 차단을 받도록 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서의 에어로졸 감염 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각 배수 플레이트(5)는 서로 평행되게 배치되어 각 배수 플레이트(5) 사이의 공기가 모두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 바람벽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각 배수 플레이트(5) 사이의 간격이 대등하여 팬(2)으로부터 배출된 깨끗한 공기가 각 배수 플레이트(5) 사이에 균일하게 배포되도록 함으로써 제1 홈체(31) 내의 바람 유출의 균일성을 담보하여 이에 의해 형성된 격리 댐프 시트의 작업 효과가 더 양호하도록 할 수 있다. 진료대 본체(1)의 내부에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구비되고 팬(2)은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며 살균소독 시스템은 제1 챔버 내에 설치되고 공기 배출홈(3)은 제2 챔버 내에 위치하며 진료대 본체(1)의 측벽에는 흡기구(12)가 설치되고 흡기구(12)는 제1 챔버와 연통되며 흡기구(12)는 진료대 본체(1)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어 환자가 내뱉은 기체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살균하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흡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팬(2)이 제1 챔버에 제공한 부압은 병균을 휴대한 기체를 흡입하는 신뢰도를 담보하여 공기가 흡기구(12)로부터 끊임 없이 흡입되도록 담보하며 살균소독 시스템은 흡기구(12)와 팬(2) 사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에 고효율적인 살균과 소독 작업을 제공하고 깨끗한 공기를 발생하는 효율을 제공하며 깨끗한 공기는 팬(2)을 거쳐 제2 챔버에 수송되고 공기 배출홈(3)을 통해 정압으로 송출되어 격리 바람벽을 형성할 수 있다. 살균소독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일차 필터망, 살균 소독 유닛과 고효율 필터를 포함하되, 흡기구(12)는 일차 필터망과 연통되고 고효율 필터는 팬(2)의 바람 유입구와 연통되어 흡기구(12)에 의해 흡입된 환자가 내뱉은 병균과 세균을 휴대할 수 있는 기체로 하여금 순차적으로 일차 필터망, 살균 소독 유닛과 고효율 필터망을 거쳐 팬(2)에 인입되도록 하고 정화유닛은 여러 살균소독절차를 포함하여 공기에 대해 고효율적이고 신뢰적인 정화를 진행함으로써 정화작업의 질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챔버 내에는 공기 저장 박스(6)가 설치되고 공기 저장 박스(6)의 입구는 팬(2)의 바람 유출구와 연통되며 공기 저장 박스(6)의 출구는 제1 홈체(31)와 연통되고 깨끗한 공기는 팬(2)을 거쳐 공기 저장 박스(6)에 송출되어 공기 저장 박스(6)를 통해 이 내부에 유입된 공기압력을 유지시켜주는데 공기 저장 박스(6) 내의 공기 압력이 일정한 값에 도달한 후 공기 저장 박스(6)로부터 점차 제1 홈체(31) 내에 흘러나와 제1 홈체(3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며 공기 저장 박스 양측의 제2 홈체(32)에 흘러 하나의 정압 댐프 시트를 형성하고 강도가 균일하며 양호한 격리 효과를 가진다. 공기 저장 박스(6)의 작업과정에서 제1 홈체(31), 좌우 양측의 제2 홈체(32) 및 좌우 양측의 제3 홈체(33)의 바람 유출 상황을 테스트하고 검출하되,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이들은 각각 테스트 과정에서 제1 홈체(31)와 좌우 양측의 제2 홈체(32)에서 검출한 각 테스트 포인트의 위치 모식도와 제3 홈체(33)에서 검출한 각 테스트 포인트의 위치 모식도 인 바, 구체적인 테스트 데이터는 아래 표1과 표 2에 통계된 바와 같다.
표 1은 제1 홈체(31), 좌측 제2 홈체(32) 및 좌측 제3 홈체(33)의 각테스트 포인트에서의 테스트 데이터;
데이터 그룹 소음/dB 풍속m/s 전체 극차
제1 홈체 좌측 제2 홈체 좌측 제3홈체
1 2 3 4 5 6 7 극차 8 9 10 11 극차 12 13 14 15 극차
1 48 2.39 2.74 2.61 2.52 2.39 2.35 2.44 0.39 3.08 3.17 3.17 3.01 0.16 2.21 2.95 2.95 3.02 0.81 0.96
표 2는 제1 홈체(31), 우측 제2 홈체(32) 및 우측 제3 홈체(33)의 각 테스트 포인트에서의 테스트 데이터;
데이터 그룹 소음/dB 풍속m/s 전체 극차
제1 홈체 우측 제2 홈체 우측 제3홈체
1 2 3 4 5 6 7 극차 8* 9* 10* 11* 극차 12* 13* 14* 15* 극차
2 48 2.44 2.57 2.65 2.78 2.82 2.35 3.21 0.86 2.13 2.13 1.98 1.98 0.15 2.09 2.09 2.01 1.98 0.11 1.23
일반적으로 공기 저장 박스를 장착하기 전에 전체 격리장치 내의 각 공기 배출홈체에서의 풍속의 극차는 1.5m/s~2.0m/s 사이에 있는데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관찰하여 알 수 있다시피 공기 저장 박스(6)를 장착한 후의 격리장치에서의 각 공기 배출홈체에서의 풍속의 극차는 크게 절감되었는 바, 즉 각 공기 배출홈체에서는 하나의 강도가 균일한 정압 댐프 시트를 형성하여 양호한 격리 효과를 가질 수 있다.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공기 저장 박스(6)는 Y 깔때기형 구조를 선택하고 공기 저장 박스(6)의 입구는 이의 측부에 위치하며 공기 저장 박스(6)의 출구는 이의 탑부에 위치하고 공기 저장 박스(6)의 출구의 길이는 제1 홈체(31)의 길이와 대등하며 팬(2)에 의해 공기 저장 박스(6)에 입력된 공기는 자동으로 양측에 분류되어 깨끗한 공기가 비교적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Y깔때기 형상의 설계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하여 공기가 평온하게 제1 홈체(31)에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공기 유통의 원활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실시예에서 공기 저장 박스(6)의 구조 형상 설계는 본 실시예의 한정을 받지 않고 실제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공기 저장 박스(6)의 형상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공기 저장 박스(6)에는 방음장치가 더 설치되는데 공기 저장 박스(6)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팬(2)은 충격완화장치를 통해 격리 진료대의 내부에 장착되어 이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팬(2)의 소음을 저하시키고 공기 저장 박스(6)의 방음장치와 서로 배합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양호한 체험을 제공하여 비교적 양호한 사용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격리 진료대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제어모듈은 메인 제어유닛,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닛 및 진료대 본체(1)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은 메인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제어유닛은 검출유닛, 팬(2), 살균소독 시스템, 제어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제어유닛은 검출유닛이 피드백한 풍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진행한 조작에 따라 팬(2)과 정화유닛을 조절 제어할 수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풍속의 크기와 살균소독 시스템의 작동상황을 변화시키며 의료인원이 격리 바람벽의 강도를 증강시키고자 할 경우 터치 스크린에 의해 메인 제어유닛을 제어하여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벽의 강도를 담보할 수 있고 제1 홈체(31)이 동시에 두 개의 제2 홈체(32)에 바람을 공급하여 제2 홈체(32)가 배출한 바람벽의 신뢰도를 담보하여 병독을 휴대한 기체, 에어로졸과 타액을 차단시킬 수 있어 의료인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담보함으로써 전반 과정에서의 자동화 수준이 높고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메인 제어유닛이 제어기에 대한 제어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기가 구동장치를 조절하여 댐퍼(4)의 상하 신축상태를 제어하며 실제 사용상황에 따라 적합한 제1 홈체(31)와 두 개의 제2 홈체(32) 사이의 온 오프를 선택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댐프 시트가 환자의 방향을 향해 20°로 배치될 경우 제일 양호한 격리 효과를 가지는 것은 CFD시뮬레이션 기술 테스트를 통해 연구하여 얻은 결론인 바, 구체적인 논증과정은 다음과 같다.
CFD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기류 격리 방호장치를 이용한 격리 효과를 연구하여 상이한 파라미터가 격리 효과에 대한 영향을 얻었는 바, 주요하게 댐프 시트 송풍구의 속도, 송풍각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두 방면으로부터 방호장치의 최적화 설계에 대해 개량 건의를 제출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의 조건에서 방호장치는 룸의 중앙에 위치하고 의료인원과 환자가 연결된 선의 중간점은 룸의 중심점이다. 기하 모델에서의 관련 파라미터는 방호장치 사이즈, 송풍구와 회풍구의 사이즈 및 위치가 모두 실제 제품의 이미 알고 있는 파라미터에 따라 셋업한 것이며 합리한 간략화를 실시하였다. 댐프 시트의 주요한 작용이 환자가 내뱉은 병원성 미생물 에어로졸을 격리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환자와 의사가 실제 상황에서 동시에 호흡한 상태를 일정하게 간략하여 환자의 호흡, 의사의 호흡 상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CFD 모델의 셋업 및 경계 조건의 설치, 우선 결정한 기하 모델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기하 모델 사이즈
이름 사이즈(m) 수력학적 지름(m) 수량
4(x)×3(y)×5(z)
환자가 입으로 호흡(33℃) 0.012 1
의사의 입 0.012 1
방호장치 송풍구 0.05×0.0055 0.0099 76(여기서 52개는 바디 프레임 본체의 표면에 위치)
방호장치 회풍구 0.281×0.0946 0.14 2
다시 시뮬레이션 조건을 설치하되, 표4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시뮬레이션 조건 설치
Scenario Case 환자의 호흡상황 댐프 시트 송풍각도θ(°) 댐프 시트 송풍속도(m/s)
0(대조그룹) 호흡속도1 m/s,추적가스 몰분율0.04 댐프 시트 없음 방호장치 측면의 두 개의 바람구멍을 하나의 송풍구와 하나의 회풍구로 변화시킴, 송풍0.25 m/s
1 1 0 2
2 0 3
3 0 4
2 4 20 2
5 20 3
6 20 4
3 7 40 2
8 40 3
9 40 4
4 1 0 2
4 20 2
7 40 2
5 2 0 3
5 20 3
8 40 3
6 3 0 4
6 20 4
9 40 4
여기서 주: 송풍각도θ는 바디 프레임 본체(1)의 상면의 길이방향 송풍구의 송풍방향과 이의 법선방향의 협각(°)(환자의 방향을 향함)을 말한다.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추적가스로 환자가 내뱉은 기체성분을 대표하고 계산된 구성도는 모두 추적가스의 몰분율 분포도를 가리킨다.Case 0을 대조그룹으로 하고 바디 프레임 본체(1)에 댐프 시트가 없는 것으로 설정하며 도 8은 Case 0의 구성도로서 추적가스로 환자가 내뱉은 기체성분을 대표하면 이 구성도는 모두 추적가스의 몰분율 분포도를 가리킨다. 환자가 내뱉은 기류는 자신의 머리 위에서 발생한 뜨거운 플룸에 의해 엔트레인먼트되어 머리 위로 상승하는 동시에 일측 벽쪽으로 이동한다. 동일한 룸의 통풍 시스템에서 댐프 시트가 없는 환기 횟수는 댐프 시트가 있는 환기 횟수보다 적으므로 Case 0의 환기 횟수는 비교적 적고 오염물이 머무는 시간이 비교적 길다. 댐프 시트의 차단이 없으므로 환자의 기류는 룸의 여기 저기에서 선회하게 되어 의사의 입 주변의 추적가스의 농도가 비교적 높게 되며(기타 Case 0의 몇배) 의사의 노출시간도 비교적 길게 된다. 따라서 댐프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의사의 감염 위험을 저하시키는 방법은 아주 효과적이다.
시뮬레이션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송풍각도가 방호장치의 격리 효과에 대한 영향은 Scenario 5(Case 2, 5, 8)를 예로 들어 상이한 송풍각도가 환자가 내뱉은 기체와 오염 궤적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며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Case 2, Case 5 및 Case 8조건에서의 구성도와 각각 대응되고 각 도면에서의 환자 일측의 몰분율 분포 상태를 대조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는다.
1. Case 2의 기초상에 송풍각도를 20°로 조절하고 바디 프레임 본체(1)의 제1 공기 배출 덕트(3)가 배출한 냉기류는 환자가 내뱉은 기체를 환자 뒤의 하나의 영역으로 제어시켜 의료인원의 호흡 영역에 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병균 전파를 억제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의료인원 주변의 기류가 댐프 시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므로 이의 뜨거운 플룸이 정상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의 기류가 비교적 양호한 차단을 받도록 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서의 에어로졸 감염 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2. Case 8은 댐프 시트의 송풍방향을 다시 환자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고 송풍각도를 40°로 조절하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기류가 자유롭게 연통되고 의사의 입 주변의 호흡 영역의 추적가스 농도가 비교적 높게 되어 댐프 시트가 유명무실하게 된다. 이는 이때 댐프 시트의 송풍각도가 너무 낮아 송풍기류가 쉽게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흡인을 받게 되고 심지어 온도가 비교적 높은 환자가 내뱉은 기류에 의해 아래에 억제되어 송풍기류가 직접 환자의 입 아래에 도달함으로써 환자가 내뱉은 기류로 하여금 직접 송풍기류를 넘어 의사의 영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바디 프레임 본체(1)의 짧은 변의 바람구멍의 작용이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운동에 일정한 간섭과 억제작용을 하므로 환자가 내뱉은 기류가 최종적으로 의사방향을 벗어나 환자의 뒤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전반적인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송풍각도20°(Case 4, 5, 6)의 격리효과는 0°(Case 1, 2, 3)와 40°(Case7, 8, 9)의 상황보다 우수하다. 0°와 비교하면 20°에서의 송풍기류는 환자 방향을 향해 경사진 하나의 작용면이 있어 환자가 내뱉은 기체에 더 양호한 억제작용을 가지게 되어 오염물을 환자 뒤의 공간에 배출하며; 40°의 송풍각도에서는 기류가 너무 경사지게 되어 환자의 입 높이에 거의 도달하고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엔트레인먼트 작용하에 내뱉은 기류에 의해 직접 환자의 입 아래에 도달하므로 환자가 내뱉은 기류를 가로막는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시뮬레이션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송풍속도가 방호장치의 격리 효과에 대한 영향은 Scenario 1(Case 1, 2, 3)을 예로 들어 상이한 송풍속도가 환자가 내뱉은 기체와 오염 궤적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며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Case 1, Case 2 및 Case 3 조건에서의 구성도와 각각 대응되고 각 도면에서의 환자 일측의 몰분율 분포 상태를 대조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는다.
1. Case 1의 상황에서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가 높지 않으므로 환자가 내뱉은 오염물은 쉽게 댐프 시트를 넘어 높은 곳(천장과 가까이한 위치)로부터 의사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댐프 시트의 격리작용이 담보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는 댐프 시트의 송풍각도가 수직으로 상향하고 속도가 높지 않아 비교적 약한 송풍기류가 배출된 후 얼마 되지 않아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엔트레인먼트 작용에 의해 댐프 시트의 송풍기류가 조금 더 환자측을 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밀도가 공기보다 크므로 오염물은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고 바디 프레임 본체(1)의 저부와 측면을 에돌아 의사의 호흡 영역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감염 위험은 오염물의 종류, 노출시간, 감염 임계값 등 요소와 관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비록 댐프 시트가 바디 프레임 본체(1)와 가까이한 표면에 일정한 작용을 하나 작용이 한정적이므로 방호장치의 송풍풍속을 증가시켜 두 사람 사이의 기류 교환을 더 차단시켜야 한다.
2. Case 2에서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는 3m/s으로 증가된다. 이때 송풍기류는 비교적 완전한 댐프 시트를 형성하여 좌측 환자의 오염물이 기본적으로 댐프 시트의 좌측에 차단되어 소수만이 댐프 시트의 우측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내뱉은 기류는 송풍기류를 향하게 되는데 이는 송풍기류의 속도가 비교적 커 환자가 내뱉은 기류에 비교적 강한 엔트레인먼트 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비교적 찬 송풍기류는 룸에서 사방으로 흩어지며 심지어 룸에서 일정한 온도 분층(위가 뜨겁고- 중상이 차가우며- 중하가 뜨거움)을 형성하여 뜨거운 플룸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3. Case 3은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가 4m/s으로 증가된 상황이다. 이때 강화된 댐프 시트는 두 사람을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는데 이는 비교적 차고 속도가 비교적 높은 송풍기류가 직접 천장을 향하여 의사와 환자 사이에 하나의 유력한 “댐프 시트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염물이 의사의 호흡 영역데 도달하는 기회가 더 작아지고 일반적으로 의사측에 도달하기 전에 방호장치 양측의 회풍구에 의해 배출된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환자가 내뱉은 기체는 의사의 머리위의 천장 영역에서의 평균 농도는 오히려 Case 2에서의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가 3m/s인 상황보다 높고 또 의사의 호흡 영역에 대한 오염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환자가 내뱉은 기체에 대한 속도가 비교적 높은 기류의 엔트레인먼트 작용이 더 강하여 이의 혼합기체의 밀도가 주변 공기의 밀도 차이값이 클 수록 더 쉽게 의사측에서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풍속도는 크면 클 수록 좋은 것이 아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도 15를 참조하는데 이는 상이한 송풍각도와 송풍속도에서 의료인원의 입 부근의 추적가스 평균 몰분율의 꺾은선 그래프로서 전체 시뮬레이션 과정을 참조하고 이 꺾은선 그래프를 결부하여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송풍각도20°(Case 4, 5, 6)의 격리효과는 0°(Case 1, 2, 3)와 40°(Case7, 8, 9)의 상황보다 우수하다. 0°와 비교하면 20°에서의 송풍기류는 환자 방향을 향해 경사진 하나의 작용면이 있어 환자가 내뱉은 기체에 더 양호한 억제작용을 가지게 되어 오염물을 환자 뒤의 공간에 배출하며; 40°의 송풍각도에서는 기류가 너무 경사지게 되어 환자의 입 높이에 거의 도달하고 환자가 내뱉은 기류의 엔트레인먼트 작용하에 내뱉은 기류에 의해 직접 환자의 입 아래에 도달하므로 환자가 내뱉은 기류를 가로막는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2. 송풍속도 3m/s(Case 2, 5, 8)의 격리효과는 2m/s(Case 1, 4, 7)와 4m/s(Case 3, 6, 9)의 상황보다 우수하다. 이유는 2m/s의 송풍속도가 형성한 댐프 시트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환자가 말을 할 때 배출되는 에어로졸이 일정한 속도를 구비하며 3m/s의 풍속이 형성한 댐프 시트의 저항이 2m/s의 풍속이 형성한 댐프 시트의 저항보다 크므로 2m/s의 송풍속도가 형성한 댐프 시트가 천장과 가까이한 위치에서 환자가 내뱉은 기류에 의해 파괴되어 환자가 내뱉은 기류가 의사측으로 흐르게 되며; 4m/s의 송풍속도는 또 룸 내의 기류의 혼잡한 정도를 증강시켜 룸 내의 공기의 혼합을 심화시킴으로써 환자가 내뱉은 기류가 전체 룸 내를 가득 채우도록 할 수 있고; 4m/s의 송풍속도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배출되어 환자에게 바람을 느끼도록 할 수 있어 환자와 의료인원의 편안함과 체험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4m/s의 풍속을 형성하는 팬은 작동과정에서 비교적 큰 소음을 발생하여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원가가 비교적 높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풍속은 바람직하게 3m/s가 적합하다.
3. 댐프 시트의 사류와 인체의 뜨거운 플룸의 엔트레인먼트 효과는 시뮬레이션에서 구현되었다. 상이한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에서 환자가 내뱉은 기체는 상이한 엔트레인먼크 작용의 영향을 받는다. Case 2와 Case3을 예로 들면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가 비교적 작을 경우 인체의 뜨거운 플룸이 발생한 엔트레인먼트 효과는 환자가 내뱉은 기체의 운동에 주도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바, 내뱉은 기체는 머리 위의 뜨거운 플룸에 의해 포획되고 가열되어 위로 올라가며; 댐프 시트의 송풍속도가 비교적 클 경우 댐프 시트 사류에 의해 발생한 엔트레인먼트 효과는 주도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바, 환자가 내뱉은 기체는 댐프 시트에 말려들어 댐프 시트의 송풍기류를 따라 함께 운동하는 동시에 오염물도 댐프 시트에 의해 포위되어 제어됨으로써 의사의 감염 위험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격리 진료대 내부에 설치된 팬은 진료대 본체 내부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고 팬의 바람 유출구와 연통된 제1 배출 덕트는 환자와 의료인원 사이에 하나의 격리 댐프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호흡기 질병을 가진 환자와 의료인원이 언어적인 교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타액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격리 효과를 강화하며; 팬의 바람 유입구와 정화 유닛은 서로 배합하여 작동함으로써 환자가 뱉은 병독, 세균 등 감염원을 휴대할 수 있는 타액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고 정화 유닛을 통해 제때에 살균 소독의 정화처리를 진행하여 환자의 타액 및/또는 에어로졸이 공기중에서 발산하고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료인원의 건강에 위협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정화장치가 살균 소독을 거친 깨끗한 공기를 팬에 의해 다시 제1 공기 배출 덕트에 전송하여 내보내어 다시 격리 댐프 시트의 형성을 지지함으로써 환경에서의 공기의 순환 이용을 완성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홈은 진료대 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되는 제1 홈체과 진료대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개의 제2 홈체를 포함하고 제1 홈체의 양단부분은 제2 홈체와 각각 연통되어 제1 홈체가 형성한 댐프 시트와 두 개의 제1 홈체가 형성한 댐프 시트 사이에 보호성이 더 좋은 댐프 시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제1 홈체와 제2 홈체의 연결 부분에 상하로 신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댐퍼는 두 개의 제2 홈체과 제1 홈체 사이의 각각의 온 오프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어 이 격리 진료대가 외부 물질을 이용하여 격리하는 환경에 설치될 경우 댐퍼의 인출이 임의의 한 측의 제2 홈체와 제1 홈체의 연통을 효과적으로 격리하는 상황을 통해 덕트의 원활한 제어와 조절을 실현할 수 있고 실제 작업에서의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응당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에서는 용어 “제1”, “제2” 등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말하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제1” 정보는 “제2” 정보라고 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는 “제1”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응당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약간의 개변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변과 변형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1: 진료대 본체, 11: 워크테이블, 111: 배기구, 12: 흡기구, 2: 팬, 3: 공기 배출홈, 31: 제1 홈체, 311: 요홈, 32: 제2 홈체, 33: 제3 홈체, 4: 댐퍼, 41: 돌출부, 5: 배수 플레이트, 6: 공기 저장 박스

Claims (10)

  1. 진료대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진료대 본체의 내부에는 살균소독 시스템, 팬과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홈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진료대 본체의 워크테이블과 연통되며 상기 팬의 바람 유입구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은 상기 팬의 바람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의 바람 유출구는 공기 배출홈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진료대 본체의 길이방향에 평행되게 배치되는 제1 홈체와 상기 진료대 본체의 너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홈체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제2 홈체는 각각 상기 제1 홈체와 연통되고 상기 제1 홈체에서 상기 제2 홈체와의 연결 부분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홈체와 상기 제2 홈체의 연결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체의 대향 배치된 두 내벽에는 요홈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변에는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홈에 위치되어 상기 요홈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대 본체 내에는 상기 댐퍼로 하여금 상하 신축운동을 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송풍속도는 2m/s~4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대 본체의 워크테이블에는 상기 공기 배출홈과 대응되는 배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U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체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플레이트는 의사-환자 격리 바람벽으로 하여금 환자가 착석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배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홈체의 법선방향의 협각은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플레이트마다 서로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 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은 대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대 본체의 내부에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팬은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정압과 부압 차이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제2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진료대 본체의 측벽에는 흡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 내에는 공기 저장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저장 박스의 입구는 상기 팬의 바람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저장 박스의 출구는 상기 제1 홈체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10. 제3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유닛,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닛 및 상기 진료대 본체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제어유닛은 상기 검출유닛, 상기 팬, 상기 살균소독 시스템, 상기 제어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진료대.
KR1020207037229A 2018-05-29 2018-10-22 격리 진료대 KR102452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37180.5A CN108720935B (zh) 2018-05-29 2018-05-29 一种母子式隔离诊台
CN201810537180.5 2018-05-29
PCT/CN2018/111290 WO2019227828A1 (zh) 2018-05-29 2018-10-22 一种母子式隔离诊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98A KR20210013198A (ko) 2021-02-03
KR102452218B1 true KR102452218B1 (ko) 2022-10-06

Family

ID=6393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229A KR102452218B1 (ko) 2018-05-29 2018-10-22 격리 진료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52218B1 (ko)
CN (1) CN108720935B (ko)
WO (1) WO2019227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5014A (zh) * 2020-03-07 2020-06-12 唐山核聚安全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负压空气隔绝接诊台
CN111281560A (zh) * 2020-03-10 2020-06-16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医疗呼吸科临床医生用防护装置
CN112998993A (zh) * 2021-02-20 2021-06-22 青岛市第三人民医院 一种具有消毒功能的呼吸内科用隔离装置
CN113040939B (zh) * 2021-03-24 2022-03-18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感染控制用的隔离装置
KR102667069B1 (ko) * 2021-12-24 2024-05-20 (주)유투시스템 비말 흡입 및 에어커튼 형성 기능을 갖는 칸막이 장치
CN115252153A (zh) * 2022-06-23 2022-11-01 南宁博艾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基于ai人工智能平台的便携式视力筛查仪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9696A (ja) 2010-04-28 2011-11-17 Shinryo Corp 病原体感染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202699297U (zh) 2012-08-08 2013-01-30 靖丽丽 一种内科疾病诊断桌
CN205072835U (zh) 2015-11-05 2016-03-09 杜海涛 一种呼吸内科用诊疗桌
CN205251707U (zh) 2015-11-18 2016-05-25 广东省南山医药创新研究院 一种针对呼吸疾病用,有医护人员安全防护装置的诊台
CN206656470U (zh) 2017-04-22 2017-11-21 谢龙 诊断用隔离装置
KR102240857B1 (ko) 2020-03-25 2021-04-16 신유준 감염 차단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18094Y (zh) * 2003-05-08 2004-05-26 王建刚 传染病隔离病床排风装置
US9463129B2 (en) * 2011-09-27 2016-10-11 Mp Acquisition, Llc Grossing station
CN205083657U (zh) * 2015-10-15 2016-03-16 郇力豪 一种诊病装置
CN107676918B (zh) * 2017-09-18 2023-02-28 东南大学 一种防交互感染的医护人员风帘防护装置
CN209074914U (zh) * 2018-05-29 2019-07-09 广州安捷生物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母子式隔离诊台
KR20220014358A (ko) * 2020-07-23 2022-02-07 에어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진료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9696A (ja) 2010-04-28 2011-11-17 Shinryo Corp 病原体感染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202699297U (zh) 2012-08-08 2013-01-30 靖丽丽 一种内科疾病诊断桌
CN205072835U (zh) 2015-11-05 2016-03-09 杜海涛 一种呼吸内科用诊疗桌
CN205251707U (zh) 2015-11-18 2016-05-25 广东省南山医药创新研究院 一种针对呼吸疾病用,有医护人员安全防护装置的诊台
CN206656470U (zh) 2017-04-22 2017-11-21 谢龙 诊断用隔离装置
KR102240857B1 (ko) 2020-03-25 2021-04-16 신유준 감염 차단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20935A (zh) 2018-11-02
CN108720935B (zh) 2024-03-19
WO2019227828A1 (zh) 2019-12-05
KR20210013198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218B1 (ko) 격리 진료대
CN108669809B (zh) 一种半隔离诊台
WO2019227830A1 (zh) 一种风帘系统及隔离防护装置
CN108592290B (zh) 一种用于进行隔离的防护装置
JP2023525761A (ja) 空気を浄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2204837B1 (ko) 공간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조 장치
JP4333831B2 (ja) 無菌病室
US7934981B2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CN209074914U (zh) 一种母子式隔离诊台
CA2556140C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102537504B1 (ko) 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공조 설비
CN110537057A (zh) 一种空调
CN209073708U (zh) 一种半隔离诊台
JP7289338B2 (ja) カプセルベッド及びカプセルベッド結合体
CN215929961U (zh) 一种适用于病房的通风系统
CN210903775U (zh) 一种负压屏及净化一体式病床
CN206491950U (zh) 层流净化护理病床
JPH07250870A (ja) 無菌病室
KR102538582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테이블
KR102535779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의자
CN206491949U (zh) 层流净化隔离病床
KR102573698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침대
JP7496330B2 (ja) 病原体感染防止ユニット
JP7496329B2 (ja) 病原体感染防止ユニット
CN216522198U (zh) 一种双向隔离的正压手术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