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99A - 1축 편심 나사 펌프 - Google Patents

1축 편심 나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99A
KR20230133199A KR1020230022704A KR20230022704A KR20230133199A KR 20230133199 A KR20230133199 A KR 20230133199A KR 1020230022704 A KR1020230022704 A KR 1020230022704A KR 20230022704 A KR20230022704 A KR 20230022704A KR 20230133199 A KR20230133199 A KR 2023013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nection portion
axis
connection
screw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가스이
노부히사 스하라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3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18/1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8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로터 및 구동기 중 적어도 한쪽의 축체에 대하여, 연결축을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결 가능함과 함께, 원활하게 연결 해제 가능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접속 대상이 되는 2개의 축 중 한쪽을 이루는 제1 축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다른 쪽을 이루는 제2 축에 마련된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며,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기 위한 연결 볼트(170), 및 연결 볼트(170)를 마련하기 위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1축 편심 나사 펌프{UNIAXIAL ECCENTRIC SCREW PUMP}
본 발명은, 1축 편심 나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등에 있어서 는, 구동기의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을 플렉시블 로드 등의 연결축을 통해 로터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축에 접속되는 축체(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드라이브 샤프트)와의 연결 부분(연결 구조부)은, 한쪽을 다른 쪽에 삽입한 후에 접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등에 있어서 는, 로터 또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마련된 축 삽입 구멍에 대해, 플렉시블 로드의 선단에 마련된 나사축부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합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로드의 단부를 플랜지부로 하여 로터 또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단부면과 면접촉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함으로써,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양축을 접합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3629100호 공보 일본 특허 제5724096호 공보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플렉시블 로드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제1 축)과, 구동기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출력축이나 로터 등의 다른 축(제2 축)을, 펌프가 대형화되어도 분해 가능하고, 또한,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접속하기 위한 방책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제1 축)과, 이것에 접속되는 제2 축을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플랜지부에 볼트를 장착하여 연결함으로써, 대형 펌프에서도 분해 가능 또한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지견을 얻었다.
한편, 상술한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축(제1 축)과, 로터나 출력축 등의 제2 축을 연결한 경우에는,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제1 축과 제2 축으로 분해하는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가능성이 있다라는 지견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가 대형의 것이거나 하여, 연결축으로서 중량이 큰 것을 사용해야만 하는 등의 사정이 발생하면, 연결축과 로터의 연결부의 분해 시에 연결축이 자체 중량으로 기울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축(제1 축)이 기운 상태로 되면, 연결 부분에 있어서 연결축(제1 축)이 걸려, 연결축(제1 축)과 제2 축으로 분해하는 작업을 행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상정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로터 및 구동기 중 적어도 한쪽의 축체에 대하여, 연결축을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결 가능함과 함께, 원활하게 연결 해제 가능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과, 수나사형 축체에 의해 구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기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출력축에 대하여 상기 연결축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에 대하여 상기 연결축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로터측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동기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연결축을 통해 스테이터에 전달하여 구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측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접속 대상이 되는 2개의 축 중 한쪽을 이루는 제1 축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와, 다른 쪽을 이루는 제2 축에 마련된 제2 축 연결부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며, 상기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및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제1 축 및 제2 축 중 한쪽을 연결축으로 하고, 다른 쪽을 로터 혹은 출력축으로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구동측 연결부 및 로터측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접속 대상이 되는 제1 축 및 제2 축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를 단순히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후에 분해 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로터나 출력축에 대하여, 연결축을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를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후에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해 작업을 행할 때도, 제1 축 및 제2 축의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및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분해할 때,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연결축의 연결 작업에 더하여, 분해 작업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가, 나사축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나사 수용부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이루는 나사축을 구비한 부재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나사 수용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나사 결합력에 의해, 강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이루는 나사축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나사 수용부에 나사 결합시키면서, 나사축을 회동시킴으로써, 나사축을 축선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끼워 맞춤 구조의 해제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이루는 나사축과,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나사 수용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부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충분히 작용시킬 수 있다.
(3)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끼워 맞춤 구조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반시키는 이반 동작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에 의해 끼워 맞춤 해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나사 수용부가, 상기 나사축을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을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이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나사 수용부에 대하여 장착된 나사축을 연결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출시킴으로써,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를 이반시키는 이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나사축을 회동시켜 진출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끼워 맞춤 구조의 해제에 활용할 수 있다.
(4)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중 한쪽의 연결부에 상기 나사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중 다른 쪽의 연결부에 대해, 상기 나사 수용부에 장착한 상기 나사축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 중 한쪽의 연결부에 마련된 나사 수용부에 대하여 장착된 나사축을 진출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다른 쪽의 연결부에 대하여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나사축을 회동시켜 진출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활용하여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할 수 있다.
(5) 상술한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끼워 맞춤 구조가, 헐거운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된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와 제2 축 연결부에 의해 구성된 끼워 맞춤 구조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연결축을 제1 축으로 하고,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상기 연결축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측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2 축에 마련된 상기 제2 축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면접촉시키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축 연결부에 걸쳐 볼트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1 축 연결부와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연결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제1 축인 연결축에 있어서 제1 축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마련된 플랜지부를, 연결축에 연결되는 제2 축의 제2 축 연결부에 대하여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와 제2 축 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편심 회전에 수반하여 축 방향 및 축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제1 축 연결부를 이루는 플랜지부와, 제2 축 연결부의 면접촉 부분에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제1 축 연결부와 제2 축 연결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구동에 수반하여 연결축이 편심 회전을 행해도, 제1 축 연결부와 제2 축 연결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프레팅 마모나 응력 집중에 수반되는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7)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의 간극에 대한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의 삽입을 받아들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축 연결부 및 제2 축 연결부의 간극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는 작업을 행하기 쉽다.
(8) 상술한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사이에 홈을 이루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1축 편심 나사 펌프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구성하는 홈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사용하여 제1 축 연결부와 제2 축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 및 구동기 중 적어도 한쪽의 축체에 대하여, 연결축을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결 가능함과 함께, 원활하게 연결 해제 가능한 1축 편심 나사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구동측 연결부 근방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구동측 연결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구동축 및 제1 축 연결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구동측 연결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어댑터를 위치 결정 단부면측으로부터 정면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연결부를 구성하는 구성체 본체를 정면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의 로터측 연결부 근방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우선 1축 편심 나사 펌프(1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후,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소위 회전 용적형 펌프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2)의 내부에 스테이터(20)나, 로터(30), 동력 전달 기구(50) 등이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12)은, 금속제로 통형 부재이며, 긴 변 방향 일단측에 설치된 원판형 엔드 스터드(12a)에 제1 개구(1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2)의 외주 부분에는, 제2 개구(14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14b)는, 케이싱(12)의 긴 변 방향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부(12d)에 있어서 케이싱(12)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제1 개구(14a) 및 제2 개구(14b)는, 각각 1축 편심 나사 펌프(10)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로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14a)가 토출구로서 기능하고, 제2 개구(14b)가 흡입구로서 기능하도록 유동체(유체)를 압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로터(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14a)가 흡입구로서 기능하고, 제2 개구(14b)가 토출구로서 기능하도록 유동체를 압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개구(14a)가 토출구로서 기능하고, 제2 개구(14b)가 흡입구로서 기능하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터(20)는, 원통상의 외관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스테이터(20)는, 예를 들어 탄성체나 수지, 금속, 세라믹스 등으로 제작된다. 스테이터(20)를 이루는 재질은, 1축 편심 나사 펌프(10)를 사용하여 이송되는 피반송물(유동체)의 종류나 성상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된다. 스테이터(20)는, 케이싱(12)에 있어서 제1 개구(14a)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스테이터 설치부(12b)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스테이터(20)의 외경은, 스테이터 설치부(12b)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0)는, 외주면이 스테이터 설치부(12b)의 내주면에 대략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0)는, 일단측에 있는 플랜지부(20a)를 케이싱(12)의 단부에 있어서 엔드 스터드(12a)에 의해 끼워 넣고, 엔드 스터드(12a)와 케이싱(12)의 본체 부분에 걸쳐 스테이 볼트(16)를 설치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0)는, 케이싱(12)의 스테이터 설치부(12b) 내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스테이터(20)의 내주면(24)은, n조로 단단 혹은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조로 다단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로터(30)는, 수나사형 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터(30)는, 예를 들어 금속이나 세라믹스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터(30)를 이루는 재질은, 피반송물(유동체)의 종류나 성상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된다. 로터(30)는, n-1조로 단단 혹은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로터(30)는, 1조로 다단으로 되어 있다. 로터(30)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연결축(70)이 접속되는 축체(피접속축)이다. 로터(30)는, 로터측 연결부(200)를 통해 연결축(70)(연결축)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로터(30)는, 연결축(70)을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편심 회전한다. 로터(30)는, 긴 변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단면으로 보아도, 그 단면 형상이 거의 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30)는, 상술한 스테이터(20)에 형성된 관통 구멍(22)에 삽입 관통되며, 관통 구멍(22)의 내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편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30)를 스테이터(20)에 대하여 삽입 관통하면, 로터(30)의 외주면(32)과 스테이터(20)의 내주면(24)이 양자의 접선(시일선)에 있어서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22)을 형성하고 있는 스테이터(20)의 내주면(24)과, 로터(30)의 외주면 사이에, 캐비티(34)라 불리는 독립된 일련의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캐비티(34)는, 비반송물인 유동체를 반송하기 위한 유체 반송로(40)를 구성한다. 유체 반송로(40)는, 상술한 스테이터(20)나 로터(30)의 리드의 길이 L을 기준 길이 S로 한 경우에, 스테이터(20)나 로터(30)의 축 방향으로 리드의 기준 길이 S의 d배의 길이를 갖는 다단(d단)의 유로로 되어 있다.
유체 반송로(40)는, 스테이터(20)나 로터(30)의 긴 변 방향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유체 반송로(40)는, 로터(30)를 스테이터(20)의 관통 구멍(22) 내에 있어서 회전시키면, 스테이터(20) 내를 회전하면서 스테이터(20)의 긴 변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때문에, 로터(30)를 회전시키면, 스테이터(20)의 일단측으로부터 유체 반송로(40) 내로 유동체를 흡입함과 함께, 이 유동체를 유체 반송로(40) 내에 가둔 상태에서 스테이터(20)의 타단측을 향하여 이송하여, 스테이터(20)의 타단측에 있어서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로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개구(14b)로부터 흡입한 유동체를 압송하여, 제1 개구(14a)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터(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개구(14a)로부터 흡입한 유동체를 제2 개구(14b)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 전달 기구(50)는, 케이싱(12)의 외부에 마련된 모터 등의 구동기(55)로부터 상술한 로터(30)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50)는, 동력 접속부(52)와 편심 회전부(54)를 갖는다. 동력 접속부(52)는, 케이싱(12)의 긴 변 방향의 일단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술한 엔드 스터드(12a)나 스테이터 설치부(12b)가 마련된 것과는 반대측(이하, 간단히 「기단측」이라고도 칭함)에 마련된 축 수용부(12c) 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편심 회전부(54)는, 축 수용부(12c)와 스테이터 설치부(12b)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12d)에 마련되어 있다.
동력 접속부(52)는, 드라이브 샤프트(56)를 갖는다. 드라이브 샤프트(56)는, 2개의 베어링(56a, 5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56)는, 케이싱(12)의 기단측의 폐색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취출되어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56)는, 구동기(55)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기(55)를 작동시킴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56)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드라이브 샤프트(56)는, 구동기(55)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출력축으로서 기능하는 축체이다.
동력 접속부(52)가 마련된 축 수용부(12c)와 중간부(12d) 사이에는, 축밀봉 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축밀봉 부재(60)는, 중간부(12d)측으로부터 축 수용부(12c)측으로 피반송물인 유동체가 누출되지 않는 구조로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축밀봉 부재(60)는, 예를 들어 메커니컬 시일이나 글랜드 패킹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밀봉 부재(60)로서, 메커니컬 시일이 채용되어 있다. 축밀봉 부재(60)는, 드라이브 샤프트(56)(출력축)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편심 회전부(54)는, 상술한 드라이브 샤프트(56)와 로터(30)를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부분이다. 편심 회전부(54)는, 연결축(70)을 갖는다. 연결축(70)은, 가요성을 갖는 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축(70)은, 플렉시블 로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축(70)은, 긴 변 방향 일단측(기단측)에 있어서, 구동측 연결부(100)를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70)은, 긴 변 방향 타단측(선단측)에 있어서, 로터측 연결부(200)를 통해 로터(30)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편심 회전부(54)는, 구동기(55)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56)를 통해 전달되어 온 회전 동력을 로터(30)에 전달하여, 로터(30)를 편심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측 연결부(100)에 대하여≫
계속해서, 구동측 연결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연결부(100)는, 연결축(70)을 제1 축,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제2 축으로 하고, 이들 축체가 축선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부분이다. 구동측 연결부(100)는, 연결축(70)의 일단측(기단측)에 있는 제1 축 연결부(11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단부(선단측)에 있는 제2 축 연결부(150)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80)를 구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 연결부(110)는, 연결축(70)의 단부를 가공하여 연결축(70)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70)과는 별도로 형성된 연결부 구성체(112)를 연결축(70)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 구성체(112)는, 구성체 본체(114), 플랜지부(116), 나사 구멍(118), 및 시일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구성체 본체(114)는, 연결축(70)의 단부에 접속되는 통형 부분이다. 구성체 본체(114)의 축심 위치에는, 삽입 관통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 관통부(122)는, 연결축(70)의 단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부(122)는, 연결축(70)의 단부를 대략 간극없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116)는, 삽입 관통부(122)에 삽입한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플랜지상의 부분이다. 플랜지부(116)는, 구성체 본체(114)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116)는, 구성체 본체(114)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나사 구멍(118)은, 후술하는 연결 볼트(17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한 구멍이다. 나사 구멍(118)은, 플랜지부(116)를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118)은, 구성체 본체(114)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나사 구멍(118)의 일부는, 후술하는 제2 축 연결부(150)에 마련된 나사 구멍(162c)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이하, 「체결용 나사 구멍(118a)」이라고도 칭함)이며, 잔부는 나사 구멍(162c)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 것(이하,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이라고도 칭함)이다.
체결용 나사 구멍(118a)은, 연결 볼트(170)를 사용하여 제1 축 연결부(110)와 제2 축 연결부(150)를 연결 볼트(170)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체결용 나사 구멍(118a)은, 구성체 본체(114)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에 마련되어 있다.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은, 제1 축 연결부(110) 및 제2 축 연결부(150)에 의해 구성되는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설치하는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볼트(170)가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활용된다. 그 때문에,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은, 체결용 나사 구멍(118a)과 마찬가지로, 내주면에 연결 볼트(170)의 나사축(170s)과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은, 체결용 나사 구멍(118a)에 대하여 구성체 본체(114)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은 구성체 본체(114)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는, 분해 작업 시 이외에 있어서 구멍을 폐색해 두기 위한 더미 볼트(171)가 삽입되어 있다.
시일부(120)는, 구성체 본체(114)에 마련된 삽입 관통부(122)와 연결축(70)의 간극을 통해 유동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시일하는 것이다. 도 2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120)는, 시일 부재(126)와 덮개 부재(128)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 부재(126)는, 예를 들어 O링이나 가스킷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관통부(122)의 개구 직경보다도 대경인 O링이, 시일 부재(126)로서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126)는, 삽입 관통부(122)을 이루는 원형의 개구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덮개 부재(128)는, 구성체 본체(114)의 단부면과의 사이에 시일 부재(126)를 끼워 넣는 부재이다. 덮개 부재(128)는, 구성체 본체(114)에 마련된 삽입 관통부(122)의 개구 영역보다도 큰 판상의 부재이며, 삽입 관통부(122)의 개구 영역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된다. 또한, 덮개 부재(128)는, 구성체 본체(114)의 단부면과의 사이에 시일 부재(126)를 배치한 상태로 하면서, 삽입 관통부(122)에 삽입 관통된 연결축(70)의 단부에 대하여, 덮개 고정 볼트(130)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에 의해, 덮개 부재(128)는, 시일 부재(126)를 통해 구성체 본체(114)의 단부면을 따르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 부재(128)를 설치함으로써, 시일 부재(126)에 의해 삽입 관통부(122)의 개구 영역을 둘러싸면서, 구성체 본체(114)의 단부면과 덮개 부재(128) 사이에 시일 부재(126)를 끼워 넣은 시일부(120)가 마련된다.
제1 축 연결부(110)는, 상술한 구성체 본체(114)를 연결축(70)의 단부에 마련함으로써, 플랜지부(116)를 경계로 하여, 이것보다도 선단측을 향하여 구성체 본체(114)가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14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볼록부(140)는, 후술하는 제2 축 연결부(150)의 오목부(164)와의 조합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80)를 형성한다. 볼록부(140)는, 원통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도 3이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축 연결부(150)는, 구동측 연결부(100)에 있어서, 제2 축을 이루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축 연결부(150)는,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단부를 가공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브 샤프트(56)와는 별도로 형성된 어댑터(160)에 대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를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60)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장착되는 축밀봉 부재(60)에 대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 단부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2나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60)는, 접속부(162), 오목부(164), 및 축 끼워 맞춤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162)는, 제1 축 연결부(110)의 플랜지부(116)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속부(162)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드라이브 샤프트(56)보다도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이하, 「직경 방향」이라고도 칭함)으로 팽출한 직경 확대부(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를 구성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접속부(162)는, 상술한 제1 축 연결부(110)의 플랜지부(116)와 직경 방향으로 동등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162)는,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접속 단부면(162a)과, 축선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단부면(162b)을 갖는다.
접속 단부면(162a)은, 구동측 연결부(100)를 구성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축 연결부(110)의 플랜지부(116)와 면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속부(162)는, 접속 단부면(162a)에 개구되도록 마련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나사 구멍(162c)이, 어댑터(160)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나사 구멍(162c)은, 제1 축 연결부(110)의 플랜지부(116)에 마련된 체결용 나사 구멍(118a)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단부면(162b)은, 구동측 연결부(100)를 구성한 상태에 있어서,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마련된 축밀봉 부재(60)의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축밀봉 부재(60)는, 위치 결정 단부면(162b)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위치 결정 단부면(162b)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64)는, 상술한 제1 축 연결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상의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64)는, 제1 축 연결부(110)의 볼록부(140)를 수용하여 끼워 맞춤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64)는, 내경이 볼록부(14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며, 접속부(162)의 접속 단부면(162a)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164)의 깊이(접속 단부면(162a)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축 연결부(110)에 있어서의 볼록부(140)의 돌출량(플랜지부(116)로부터 축선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의 볼트 머리(168h)나, 제1 축 연결부(110)에 있어서의 덮개 고정 볼트(130)의 볼트 머리(130h)의 돌출량 등을 고려하여, 오목부(164)의 깊이는, 볼록부(140)의 돌출량보다도 볼트 머리(168h, 130h)의 돌출량 이상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측 연결부(100)는, 오목부(164)와 볼록부(140)가 스피곳 조인트 구조를 이루도록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끼워 맞추면서, 접속부(162)의 접속 단부면(162a)과 플랜지부(116)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연결축(70)을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연결할 수 있다.
오목부(164)는, 내주면(164a)과, 내주면(164a)에 대하여 교차하는 격벽(164b)을 갖는다. 내주면(164a)에는, 오목부 시일 부재(164c)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 시일 부재(164c)는, 오목부(164)에 제1 축 연결부(110)의 볼록부(140)를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140)의 외주면과, 내주면(164a) 사이를 시일하는 부재이다. 오목부 시일 부재(164c)는, O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격벽(164b)은, 오목부(164)와, 이것에 대하여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된 축 끼워 맞춤부(166)를 이격하는 벽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64b)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은,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 고정 볼트(168)(고정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은,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부(164)로부터 축 끼워 맞춤부(166)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은,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마련된 볼트 구멍(56x)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구멍(56x)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단부면에 있어서 개구됨과 함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구멍이다. 또한, 볼트 구멍(56x)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은, 이와 같이 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마련되어 있는 볼트 구멍(56x)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 축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64b)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과는 별도로, 오목부 나사 구멍(164e)(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이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은,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과 마찬가지로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부(164)로부터 축 끼워 맞춤부(166)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의 내주면에는, 어댑터(160)의 고정에 사용되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의 나사축(168s)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목부 나사 구멍(164e)에 대해, 오목부(164)측으로부터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삽입하여, 나사축(168s)을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회동시킴으로써, 축 끼워 맞춤부(166)를 향하여 나사축(168s)을 진퇴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끼워 맞춤부(166)는, 상술한 격벽(164b)을 통해,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 일방측에 있는 오목부(164)와는 반대측(축선 방향 타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축 끼워 맞춤부(166)는,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삽입하여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한, 어댑터(160)의 축선 방향으로 오목상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축 끼워 맞춤부(166)는, 스피곳 조인트 구조를 이루도록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삽입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축 연결부(150)는, 상술한 어댑터(160)의 축 끼워 맞춤부(166)에 대하여, 시일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O링(163))를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 구조(190)를 형성한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160)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을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볼트 구멍(56x)에 위치 정렬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164)로부터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에 삽입한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와셔(167) 및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갖는 원판상의 플레이트(169)를 통해, 볼트 구멍(56x)에 체결시킴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장착함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56)에 장착된 축밀봉 부재(60)가 어댑터(160)를 구성하는 접속부(162)의 위치 결정 단부면(162b)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축밀봉 부재(60)가 위치 결정 단부면(162b)을 기준으로 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커니컬 시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커니컬 시일의 고정환과 회전환끼리가 미끄럼 이동 면압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가압력으로 서로 압박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 연결부(15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4d) 및 볼트 구멍(56x)으로부터 떼어내어 오목부 나사 구멍(164e)에 교체 설치한 상태에서,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회동시켜 축 끼워 맞춤부(166)를 향하여 진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댑터 고정 볼트(168)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작용시켜,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양자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160)의 고정에 사용되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동측 연결부(100)는, 상술한 제1 축 연결부(110) 및 제2 축 연결부(150)를 끼워 맞추면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70)과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1 축 연결부(110)의 볼록부(140)를 제2 축 연결부(150)의 오목부(164)에 삽입함으로써 끼워 맞춤 구조(180)를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부(116)를 접속부(162)에 대하여 면접촉시킨 상태로 하고, 플랜지부(116)에 마련된 체결용 나사 구멍(118a), 및 접속부(162)에 마련된 나사 구멍(162c)에 걸쳐 연결 볼트(170)의 나사축(170s)을 삽입 관통하여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와 제2 축 연결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70)과 드라이브 샤프트(56)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구동측 연결부(100)에 있어서 체결용 나사 구멍(118a) 및 나사 구멍(162c)으로부터 연결 볼트(170)를 떼어낸다. 또한, 떼어낸 연결 볼트(170)를, 제1 축 연결부(110)의 플랜지부(116)에 마련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 볼트(170)를 더 회동시키면, 연결 볼트(170)의 나사축(170s)이 제2 축 연결부(150)의 접속부(162)를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의해, 나사축(170s)이 접속 단부면(162a)을 압박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와 제2 축 연결부(150)가 이반하도록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이렇게 하여 볼록부(140)와 오목부(1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던 끼워 맞춤 구조(180)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축 연결부(110) 및 제2 축 연결부(150)의 연결 및 끼워 맞춤 구조(180)가 해제되어, 구동측 연결부(100)가, 연결축(70)과 드라이브 샤프트(56)로 분해된다.
≪로터측 연결부(200)에 대하여≫
계속해서, 로터측 연결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터측 연결부(200)는, 상술한 구동측 연결부(100)와 마찬가지로 연결축(70)을 제1 축으로 하는 점에 있어서, 구동측 연결부(100)와 공통되고, 로터(30)를 제2 축으로 하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측 연결부(200)는, 연결축(70) 및 로터(30)가 축선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부분이다. 로터측 연결부(200)는, 연결축(70)의 타단측(선단측)에 있는 제1 축 연결부(210)와, 로터(30)의 단부(선단측)에 있는 제2 축 연결부(250)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280)를 구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구동측 연결부(10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로터측 연결부(200)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구동측 연결부(100)가 구비하는 것과 적절히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4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 연결부(210)는, 상술한 연결축(70)의 일단측(기단측)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110)와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축 연결부(210)는, 연결축(70)의 단부를 가공하여 연결축(70)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70)과는 별도로 형성된 연결부 구성체(212)를 연결축(70)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 구성체(212)는, 구성체 본체(114), 플랜지부(116), 및 나사 구멍(11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연결부 구성체(11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 구성체(212)는, 시일부(12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축 연결부(110)와는 구성이 다르다. 연결부 구성체(212)를 구성하는 구성체 본체(114), 플랜지부(116), 및 나사 구멍(118)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축 연결부(110)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축 연결부(250)는, 로터측 연결부(200)에 있어서 제2 축을 이루는 로터(30)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축 연결부(250)는, 상술한 구동측 연결부(100)가 구비하는 제2 축 연결부(150)와 같이, 제2 축이 되는 로터(30)와는 별도로 형성된 어댑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30)의 단부를 가공함으로써 로터(3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축 연결부(250)는, 접속부(262) 및 오목부(264)를 갖는다.
접속부(262)는, 제1 축 연결부(210)를 구성하는 플랜지부(116)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접속부(262)는, 제1 축 연결부(210)의 플랜지부(116)와 직경 방향으로 동등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262)는, 로터측 연결부(200)를 구성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축 연결부(210)의 플랜지부(116)와 면접촉하는 접속 단부면(262a)을 갖는다. 접속부(262)는, 접속 단부면(262a)에 개구되도록 마련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나사 구멍(262c)이, 축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나사 구멍(262c)은, 제1 축 연결부(210)의 플랜지부(116)에 마련된 체결용 나사 구멍(118a)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64)는, 제1 축 연결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상의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64)는, 제1 축 연결부(210)의 볼록부(140)를 수용하여 끼워 맞춤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64)는, 내경이 볼록부(14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접속부(262)의 접속 단부면(262a)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264)의 깊이(접속 단부면(262a)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축 연결부(210)에 있어서의 볼록부(140)의 돌출량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측 연결부(200)는, 오목부(264)와 볼록부(140)가 스피곳 조인트 구조를 이루도록 끼워 맞추면서, 접속부(262)의 접속 단부면(262a)과 플랜지부(116)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연결축(70)을 로터(30)에 대하여 연결할 수 있다.
로터측 연결부(200)는, 상술한 제1 축 연결부(210) 및 제2 축 연결부(250)를 끼워 맞추면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70)과 로터(3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1 축 연결부(210)의 볼록부(140)를, 제2 축 연결부(250)의 오목부(264)에 삽입함으로써 끼워 맞춤 구조(280)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축 연결부(210)의 플랜지부(116)를 제2 축 연결부(250)의 접속부(262)에 대하여 면접촉시킨 상태로 하고, 체결용 나사 구멍(118a), 및 접속부(262)에 마련된 나사 구멍(262c)에 걸쳐 연결 볼트(170)의 나사축(170s)을 삽입 관통하여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1 축 연결부(210)와 제2 축 연결부(25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70)과 로터(30)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로터측 연결부(200)에 있어서 나사 구멍(262c)으로부터 연결 볼트(170)를 떼어냄과 함께, 체결용 나사 구멍(118a)에 장착되어 있는 더미 볼트(171)를 떼어낸다. 또한, 떼어낸 연결 볼트(170)를, 제1 축 연결부(210)의 플랜지부(116)에 마련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 볼트(170)를 더 회동시키면, 나사축(170s)이 제2 축 연결부(250)의 접속부(262)를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의해, 나사축(170s)이 접속 단부면(262a)을 압박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210)와 제2 축 연결부(250)가 이반하도록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이렇게 하여 볼록부(140)와 오목부(2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던 끼워 맞춤 구조(280)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축 연결부(210) 및 제2 축 연결부(250)의 연결 및 끼워 맞춤 구조(280)가 해제되어, 로터측 연결부(200)가 연결축(70)과 로터(30)로 분해된다.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70)과, 수나사형 축체에 의해 구성된 로터(30)와, 로터(30)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20)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기(55)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연결축(70)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30)에 대하여 연결축(70)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로터측 연결부(200)를 형성함으로써, 구동기(55)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을 연결축(70)을 통해 스테이터(20)에 전달하여 구동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가, 접속 대상이 되는 2개의 축 중 한쪽을 이루는 제1 축(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70))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다른 쪽인 제2 축을 이루는 드라이브 샤프트(56)나 로터(30)에 마련된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가, 접속 대상이 되는 제1 축 및 제2 축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단순히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한 후에 분해 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로터(30)나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연결축(70)을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한 후에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해 작업을 행할 때도, 제1 축 및 제2 축의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볼트(170)), 및 연결 볼트(170)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분해할 때,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의해 형성된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을 연결 볼트(170)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축(70)의 연결 작업에 더하여, 분해 작업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의 양쪽에 대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한 후에 분해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형성하지 않고 연결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및 연결 볼트(170)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의 양쪽을 구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및 연결 볼트(170)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 볼트(170)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연결 볼트(170)와는 별도로 준비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를 구성하지 않는 볼트나, 다른 부품이나 공구 등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장착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축(70)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축, 드라이브 샤프트(56)나 로터(30)를 제2 축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연결축(70)을 제2 축, 드라이브 샤프트(56)나 로터(30)를 제1 축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축에 마련한 것으로서 예시한 구성과, 제2 축에 마련한 것으로서 예시한 구성을 교체해도 된다.
(b)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 볼트(170)가, 나사축(170s)을 구비한 것이며,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이, 나사축(170s)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이루는 연결 볼트(170)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나사 결합력에 의해, 강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이루는 나사축(170s)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나사 결합시키면서, 나사축(170s)을 회동시킴으로써, 나사축(170s)을 축선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끼워 맞춤 구조(180, 280)의 해제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과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의 나사 결합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80, 280)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충분히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b)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b)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나사 수용부를, 나사축(170s)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구멍에 의해 구성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이루는 나사 수용부를, 나사축(170s)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비관통의 구멍이나 패임부 등에 의해 구성된 오목부에 의해 구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축(170s) 이외의 후술하는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에 더하여 머리부를 구비한 연결 볼트(170)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을 갖지만 머리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축체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가,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반시키는 이반 동작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에 의해 끼워 맞춤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은, 나사축(170s)을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을 진출시킴으로써,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대하여 제1 축 연결부(110, 21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켜,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상대적으로 이반시켜,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c)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c)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끼워 맞춤 구조(180, 280)는,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반시키는 이반 동작만으로 끼워 맞춤 해제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끼워 맞춤 구조(180, 280)는,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반 동작에 더하여, 혹은 당해 이반 동작 대신에, 연결축(70)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이나, 연결축(70)의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등을 행함으로써 끼워 맞춤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d) 상술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가, 헐거운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이에 의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헐거운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끼워 맞춤 구조(180, 28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하여, 헐거운 끼워 맞춤 이외의 방법으로 끼워 맞춤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e)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 210)에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대해,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장착한 나사축(170s)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출시킴으로써,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을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의 해제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e)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e)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의 작용에 의해 나사축(170s)의 축심 둘레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나사축(170s)의 축선 방향으로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끼워 맞춤 해제를 위한 힘을 출력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 가능하게 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나사축(170s) 대신에 나사를 갖지 않는 축체나, 축상의 부위를 갖는 다른 부재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채용하면서,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대해서도 나사를 갖지 않는 관통 구멍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70s) 대신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사용되는 축체 등을,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 대신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 사용되는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술한 축체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할 수 있다.
(f)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축(7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플랜지부(116)가, 제1 축 연결부(110, 21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연결축(70)에 마련되어 있고, 구동측 연결부(100) 및 로터측 연결부(200)가,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대하여 플랜지부(116)를 면접촉시키면서, 플랜지부(116)와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걸쳐 연결 볼트(170)를 장착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연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편심 회전에 수반하여 축 방향 및 축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제1 축 연결부(110, 210)를 이루는 플랜지부(116)와,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면접촉 부분에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에 수반하여 연결축(70)이 편심 회전을 행해도,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프레팅 마모나 응력 집중에 수반되는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f)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f)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축(70)을 제1 축으로 하고, 플랜지부(116)를 제1 축 연결부(110, 21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드라이브 샤프트(56)나 로터(30)를 제1 축으로 하고, 이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플랜지부(116)에 상당하는 것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 21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플랜지부(116)를 마련하고,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단부면에 플랜지부(116)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플랜지부(116)와 마찬가지의 플랜지부(116)를 제2 축 연결부(150, 250)에도 마련하고, 이것에 대해 플랜지부(116)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116)를 제1 축 연결부(110, 21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마련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예를 들어 프레팅 마모나 응력 집중을 피하는 구성을 따로 마련하거나 하면서, 플랜지부(116)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70)과, 수나사형 축체에 의해 구성된 로터(30)와, 로터(30)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20)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축(70)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110, 210)와, 구동기(55)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마련된 제2 축 연결부(150, 250)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구동측 연결부(100)를 갖는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드라이브 샤프트(56)에 축밀봉 부재(60)가 마련되어 있고, 제2 축 연결부(150)가 축밀봉 부재(60)보다도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 단부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어댑터(160)가, 드라이브 샤프트(56)보다도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한 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g)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장착함으로써, 축밀봉 부재(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예를 들어 드라이브 샤프트(56)를 구동기(55)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대규모의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축밀봉 부재(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로부터 떼어내거나, 메인터넌스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구동측 연결부(100)에 있어서, 연결축(70)과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어댑터(160)를 통해 연결 가능함과 함께, 축밀봉 부재(60)의 메인터넌스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g)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g)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2 축 연결부(150, 250) 중,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장착함으로써 제2 축 연결부(150)를 구성하고, 제2 축 연결부(250)에 대해서는 어댑터(160)에 상관없이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축 연결부(150) 대신에, 혹은 제2 축 연결부(150)에 더하여, 제2 축 연결부(250)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2 축 연결부(150)와 마찬가지로 어댑터(160)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축 연결부(150)의 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와 마찬가지로, 제2 축 연결부(250)에 있어서도, 로터(30)보다도 로터(3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한 직경 확대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2 축 연결부(150)에 있어서, 축밀봉 부재(60)가, 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를 기준으로 하여 축밀봉 부재(60)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축밀봉 부재(60)의 설치 시에 전용의 위치 결정 지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축밀봉 부재(60)의 위치 결정 대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h)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h)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직경 확대부(162x) 대신에 다른 부재에 의해 축밀봉 부재(60)를 위치 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i)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2 축 연결부(150, 250)가,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를 끼워 맞춤 구조(190)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된 것이며, 제2 축 연결부(150)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는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의 어댑터 고정 볼트(168), 및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마련하기 위한 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의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축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결 및 분해를 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 및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연결 작업에 더하여, 분해 작업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i)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i)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는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의 어댑터 고정 볼트(168), 및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마련하기 위한 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의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의 양쪽을 구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1축 편심 나사 펌프(10)를 구성하지 않는 다른 볼트를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오목부 나사 구멍(164e)에 장착하여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j)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가, 나사축(168s)을 구비한 것이며,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이, 나사축(168s)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 고정 볼트(168)와 오목부 나사 구멍(164e) 사이에 발생하는 나사 결합력에 의해,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강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나사축(168s)을 오목부 나사 구멍(164e)에 나사 결합시키면서, 나사축(168s)을 회동시킴으로써, 나사축(168s)을 축선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끼워 맞춤 구조(190)의 해제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나사축(168s)과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의 나사 결합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충분히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j)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j)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예를 들어 나사축(168s) 대신에 나사를 갖지 않는 축체나, 축상의 부위를 갖는 다른 부재를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채용하면서, 오목부 나사 구멍(164e) 대신에 나사를 갖지 않는 관통 구멍을 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사용되는 축체 등을, 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 사용되는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술한 축체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할 수 있다.
(k)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160)가, 제1 축 연결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164)를 갖고, 오목부(164)의 내측에, 어댑터(160)를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가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와 같이 제1 축 연결부(110)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오목부(164)를,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160)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k)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k)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내부가 아니라, 오목부(164)의 외부에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배치한 구성 등으로 할 수 있다.
(l)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2 축 연결부(150)가,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를 끼워 맞춤 구조(190)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된 것이며,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고정 개소로부터 떼어낸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제2 축 연결부(150)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기 위한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로 분해할 때, 고정 개소로부터 떼어낸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그대로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기 위한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와는 별도로 어댑터 해제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예를 들어 부품 점수의 삭감이나 이것에 수반되는 비용 절감, 작업성의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l)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l)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댑터 고정 볼트(168)와는 다른 볼트 등의 부재를 어댑터 해제 부재로서 마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m)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어댑터 고정 볼트(168)가, 나사축(168s)을 구비한 것이며, 어댑터(160)가 나사축(168s)과 나사 결합되는 오목부 나사 구멍(164e)을 구비하고 있고, 오목부 나사 구멍(164e)에 대해,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의 고정 개소로부터 떼어낸 어댑터 고정 볼트(168)를 나사 결합시켜 드라이브 샤프트(56)를 향하여 진출시킴으로써, 나사축(168s)을 드라이브 샤프트(56)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제2 축 연결부(150)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어댑터(160)와 드라이브 샤프트(56)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축(168s)을 회동시켜 진출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활용하여 끼워 맞춤 구조(190)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m)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m)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n)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내부가 액밀로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내부에 유동체가 유입되어 오목부(164)의 내부에 있어서 열화되거나, 오목부(164)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가 유동체에 의해 부식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n)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n)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를 액밀한 구성으로 하지 않고, 유동체가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청소를 하기 쉬운 구성으로 하거나, 오목부(164)에 유입된 유동체가 원활하게 오목부(164)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하여, 오목부(164)의 내부에 유동체가 체류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면 된다.
(o)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연결축(70)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부 구성체(112, 212)를 갖고, 연결부 구성체(112, 212)에 마련된 삽입 관통부(122)에 연결축(70)의 단부를 삽입 관통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 구성체(112, 212)를 연결축(70)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 21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 구성체(112)에 대해서는, 오목부(164)의 내부에 있어서, 삽입 관통부(122)와 연결축(70)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부(12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결부 구성체(112)에 마련된 삽입 관통부(122)와 연결축(7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오목부(164)의 내측에 유동체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내부에 있어서 유동체가 열화되거나, 오목부(164)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가 유동체에 의해 부식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o)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o)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를 구성하는 연결부 구성체(112)에 시일부(120)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시일부(120)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경우,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시일부(120)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오목부(164)의 내부에 유동체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시일부(120)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오목부(164)의 청소를 하기 쉬운 구성으로 하거나, 오목부(164)에 유입된 유동체가 원활하게 오목부(164)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하여, 오목부(164)의 내부에 유동체가 체류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면 된다.
(p) 상술한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을 적절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 대신에, 혹은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에 더하여,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간극에 대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의 삽입을 수용하는 것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q) 더욱 구체적으로는,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 사이에 홈을 이루는 것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 마련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1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상기 (p)나 (q)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의 간극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삽입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q)와 같이 홈 등에 의해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 사이에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를 마련함과 함께, 이 홈에 대하여 쇠지렛대나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선단이 평탄한 공구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삽입함으로써,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의해 구성된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 사이에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작동편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서 구비하고, 나사의 회동 등에 의해 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한 쌍의 작동편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는 구성의 공구나, 기어 풀러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 공구 등을 사용하여, 제1 축 연결부(110, 210) 및 제2 축 연결부(150, 250)에 의해 구성된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볼트(170)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로 하면서, 연결 볼트(170)와 나사 결합되는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을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로 하고, 양자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 볼트(170)를 회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연결 볼트(170)의 추진력을 사용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체결용 나사 구멍(118b)과 마찬가지로 나사 구멍이나 나사를 구비한 구멍 등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나사 수용부를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로서 마련함과 함께, 나사 수용부에 아이볼트를 삽입하여 체인 블록으로 당기거나 하여 끼워 맞춤 구조(180, 280)를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 등으로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교시 및 정신으로부터 다른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는 임의로 선택하여 조합하여 구성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와,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구체화한 구성 요소는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들에 대해서도 본원의 보정 또는 분할 출원 등에 있어서 권리 취득할 의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유동체를 압송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유동체 토출 시스템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0: 1축 편심 나사 펌프
20: 스테이터
30: 로터
55: 구동기
56: 드라이브 샤프트
60: 축밀봉 부재
70: 연결축
100: 구동측 연결부
110: 제1 축 연결부
112: 연결부 구성체
116: 플랜지부
118b: 비체결용 나사 구멍(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
120: 시일부
122: 삽입 관통부
150: 제2 축 연결부
160: 어댑터
162x: 어댑터 직경 확대부
164: 오목부
164e: 오목부 나사 구멍(어댑터 해제 부재 설치부)
168: 어댑터 고정 볼트(어댑터 해제 부재)
168s: 나사축
170: 연결 볼트(끼워 맞춤 해제 부재)
170s: 나사축
180: 끼워 맞춤 구조
190: 끼워 맞춤 구조
200: 로터측 연결부
210: 제1 축 연결부
212: 연결부 구성체
250: 제2 축 연결부
280: 끼워 맞춤 구조

Claims (8)

  1. 가요성을 갖는 연결축과,
    수나사형 축체에 의해 구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기에 있어서의 출력을 받아 회동하는 출력축에 대하여 상기 연결축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에 대하여 상기 연결축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한 로터측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동기로부터 출력된 회전 동력을 상기 연결축을 통해 스테이터에 전달하여 구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측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접속 대상이 되는 2개의 축 중 한쪽을 이루는 제1 축에 마련된 제1 축 연결부와, 다른 쪽을 이루는 제2 축에 마련된 제2 축 연결부에 의해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며,
    상기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및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를 마련하기 위한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가, 나사축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구비한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나사 수용부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구조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반시키는 이반 동작을 수반하는 해제 조작에 의해 끼워 맞춤 해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나사 수용부가, 상기 나사축을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을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이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중 한쪽의 연결부에 상기 나사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중 다른 쪽의 연결부에 대해, 상기 나사 수용부에 장착한 상기 나사축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끼워 맞춤 구조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구조가, 헐거운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을 제1 축으로 하고, 상기 연결축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상기 연결축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연결부 및 상기 로터측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2 축에 마련된 상기 제2 축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맞닿게 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축 연결부에 걸쳐 볼트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1 축 연결부와 상기 제2 축 연결부를 연결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의 간극에 대한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의 삽입을 받아들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해제 부재 설치부가, 상기 제1 축 연결부 및 상기 제2 축 연결부 사이에 홈을 이루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KR1020230022704A 2022-03-10 2023-02-21 1축 편심 나사 펌프 KR20230133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37638 2022-03-10
JP2022037638A JP2023132373A (ja) 2022-03-10 2022-03-10 一軸偏心ねじポ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99A true KR20230133199A (ko) 2023-09-19

Family

ID=8791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704A KR20230133199A (ko) 2022-03-10 2023-02-21 1축 편심 나사 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32373A (ko)
KR (1) KR20230133199A (ko)
CN (1) CN1167337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4096U (ko) 1980-07-17 1982-02-08
JPS629100B2 (ko) 1979-03-09 1987-02-26 Nippon Zeon C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100B2 (ko) 1979-03-09 1987-02-26 Nippon Zeon Co
JPS5724096U (ko) 1980-07-17 1982-0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33741A (zh) 2023-09-12
JP2023132373A (ja)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0840C2 (ru) Насос, объединенный с двумя первичными приводами, приводимыми в действие независимо друг от друг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на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1989884B1 (ko) 이동 가능한 파지체를 갖는 피벗형 파이프 커플링
TW201604408A (zh) 偏心螺桿泵及用於維護該偏心螺桿泵的方法
KR101501761B1 (ko) 터보 기계
TWI227762B (en) Fluid pump
JP2563865Y2 (ja) ロータリーポンプ
KR20180123124A (ko) 수차 및 그것에 사용하는 2개의 수나사축의 연결 구조 및 2개의 축의 연결 구조
US8967948B2 (en) Uniaxial eccentric screw pump
WO2011155311A1 (ja) 緩衝部材、軸連結構造体、及び一軸偏心ねじポンプ
KR20230133199A (ko) 1축 편심 나사 펌프
KR20230133200A (ko) 1축 편심 나사 펌프
US7217193B2 (en) Shaft coupl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07258A (ko) 펌프 인서트 및 조립체
EP2778445B1 (en) shaft for gearbox systems to limit wear and corrosion
KR20210060345A (ko) 전진 공동 펌프 회전자를 유니버설 조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밀봉식 구동부
JP6941550B2 (ja) ねじポンプ用アウタロータ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ねじポンプ
US7097566B2 (en) Temporary repair device for mechanical drive couplings
JP2006144965A (ja) 偏心軸継手構造とその偏心軸継手構造を備えた一軸偏心ねじポンプ
EP0084207B1 (en) Drive arrangement between non-aligned shafts
US20240110600A1 (en) Adapter for torque transmission between two rotatable components
CN112066127B (zh) 一种快速管接头
WO2024144468A1 (en) A service casing and extension seal configuration that facilitates the replacement of the rotor and stator in progressive cavity pumps
EP3835608A1 (en) Coupling
EA047465B1 (ru) Привод ротацион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KR10139083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