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087A -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087A
KR20230133087A KR1020220030180A KR20220030180A KR20230133087A KR 20230133087 A KR20230133087 A KR 20230133087A KR 1020220030180 A KR1020220030180 A KR 1020220030180A KR 20220030180 A KR20220030180 A KR 20220030180A KR 20230133087 A KR20230133087 A KR 2023013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kin
compound represented
ac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열
하안투
김동선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087A/ko
Publication of KR2023013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소거시키고 멜라닌 분비를 억제시키며, 피부 보호 및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보호 및 보습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Q-3-G는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부작용 없이 피부 보습 또는 항염증을 위한 화장품 또는 식품으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Quercetin-3-O-β-D-Glucuroni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 특히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서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이소폼(isoform)을 구성하며, 사람의 조직에서 총 28가지 콜라겐 이소타입(isotype)이 존재하는데, 이 중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콜라겐은 타입 1, 3, 4, 6, 7, 13, 14, 17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타입 1과 3은 진피층의 세포간질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7은 표피와 진피를 연결부위(dermal and epidermal junction)의 주요 구성물질이 된다.
피부결합조직에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타입 I 콜라겐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그 밖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피브로넥틴(fibronectin), 인테그린(integrin), 피브릴린(fibrillin), 프로테오글리칸(leucine-rich small proteoglycans) 등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새로이 합성된 프로콜라겐은 효소반응을 거쳐 피부세포의 세포외 공간으로 분비된 후 삼중나선구조(triple helix configuration)의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을 형성하고,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들은 류신-리치 스몰 프로테오글리칸과 결합하여 피브릴(fibril)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피브릴(fibril)들이 모여 피부의 결합력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게 된다.
히알루론산(HA)은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수분 보유, 세포간 간격 유지, 세포 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도 관여한다. 포유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하며, 히알루론산은 주로 표피 각질형성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인체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데,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세포막 안쪽 표면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HAS, hyaluronic acid synthase)에 의해 진행되며, 합성되는 동안 세포막을 뚫고 나와 세포외기질에 축적된다.
한편, Q-3-G(Quercetin-3-O-β-D-Glucuronide)의 항염증 및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876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Q-3-G(Quercetin-3-O-β-D-Glucuronide)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 및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TGM-1(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및 FLG(Filaggr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MKK4, p-TAK1, p-JNK, p-c-Jun, p-p65, p-p50, p-IKKα, p-IκBα, p-Src, 및 p-AK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건조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세포 사멸은 자외선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을 위한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에 이용되는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소거시키고 멜라닌 분비를 억제시키며, 피부 보호 및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보호 및 보습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Q-3-G는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부작용 없이 피부 보습 또는 항염증을 위한 화장품 또는 식품으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HaCaT 세포주에 UVB를 조사하고 난 후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를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HaCaT, HEK293T, 및 B16F10 세포주에 Q-3-G를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aCaT 세포주에 UVB를 조사하고 난 후 Q-3-G를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COX-2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통해 Q-3-G의 UVB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HaCaT 세포주에 UVB를 조사하고 난 후 Q-3-G를 처리하고, 인체 내 항산화 시스템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Nrf2(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HaCaT 세포주에 UVB를 조사하고 난 후 Q-3-G를 처리하고, CFDA(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를 사용하여 ROS(reactive oxygen species) 유세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B16F10 세포주에 α-MSH (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및 Q-3-G를 처리하고 멜라닌 분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HaCaT 세포주에 Q-3-G를 처리하고, 피부 보습과 관련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Hyaluronan Synthase 1, HAS1), 피부 재생과 관련된 단백질-글루타민 감마-글루 타밀 트랜스퍼 라제 K(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TGM-1), 및 Filaggrin(FLG)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HaCaT 세포주에 Q-3-G 와 함께 SB203580(p38 저해제); SP600125(JNK 저해제); UO126(ERK저해제); 또는 Bay117082(NF-κB저해제)를 처리하고 피부 보습 및 보호 효능의 기작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HaCaT 세포주에 Q-3-G를 처리하고, JNK/AP-1과 관련된 단백질인 MKK4, TAK1, JNK, c-Jun, 및 이의 인산화 형태, NF-κB와 관련된 인자인 p65, p50, IKKα, IκBα, Src, AKT, 및 이의 인산화 형태의 단백질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HEK293T 세포주에 Q-3-G를 처리하고, AP(Activator protein)-1 및 NF-kB(Nuclear Factor kappa B) 프로모터의 활성화 유무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aCaT 세포주에 UVB 및 Q-3-G를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 및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Q-3-G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에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HaCaT, HEK293T, 및 B16F10 세포주에 Q-3-G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Q-3-G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바, 안정성 있게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HaCaT 세포주에 UVB 또는 H2O2와 Q-3-G를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Q-3-G가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산소를 소거함을 확인하였고, 활성산소 처리와 관련이 있는 Nrf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의 활성산소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B16F10 세포에 α-MSH 및 Q-3-G를 처리하여, Q-3-G의 멜라닌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Q-3-G가 피부 보호 및 보습에 관련된 HAS1, TGM-1, 및 FLG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보호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MKK4, TAK1, JNK, c-Jun, p65, p50, IKKα, IκBα, Src, 및 AKT의 인산화 형태)의 활성을 증가시킨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2S,3S,4S,5R,6S)-6-[2-(3,4-dihydroxyphenyl)-5,7-dihydroxy-4-oxochromen-3-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의 IUPAC 네임을 가질 수 있으며, 화학식은 C21H18O13이고, 분자량은 478.4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라고 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획득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포 사멸은 자외선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외선 B에 의한 세포 사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HAS1(Hyaluronan Synthase 1), TGM-1(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및 FLG(Filaggr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p-MKK4, p-TAK1, p-JNK, p-c-Jun, p-p65, p-p50, p-IKKα, p-IκBα, p-Src, 및 p-AK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JNK, c-Jun 은 JNK/AP-1와 관련한 단백질이고, 상기 MKK4, TAK1은 JNK의 상류 조절자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 효과”라 함은 피부 보습 인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저해 또는 억제하거나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윤기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건조증”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라면, 그 구체적인 증상의 종류나 증상의 정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건성 습진, 건선, 색소성 건피증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미스트,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핸드로션,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오일, 클렌징밤,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백분율 또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산, 무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 g, 또는 약 0.04-0.10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이너뷰티(inner beauty)는 '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 푸드'로 일컬어지는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 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 또는 약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인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은 염증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하며,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위염, 장염, 궤양성 위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종, 과민성 대장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습진,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글루콘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이 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또는 0.001 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 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바디 클렌져, 비누, 마스크, 크림, 로션, 에센스, 스프레이,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일 예로,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션 등과 같은 유액, 크림, 연고, 스프레이, 오일젤, 젤, 오일, 에어로졸, 연막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일반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실험재료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는 Sigma Aldrich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HaCaT, HEK293T, 및 B16F10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ABTS 디암모늄 염, DPPH, 아스코르브산(AA; ascorbic acid), ABTS, 및 레티놀(retinol)은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소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및 인산완충식염수(PBS; phosphate-buffered saline)는 Gibco(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는 Amresco(Brisbane, Australia)에서 구입하였다. TRIzol 및 PCR premix는 Bio-D Inc.(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cDNA 합성 키트는 Thermo Fisher Scientific(Waltham,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Macrogen, Inc.(Seoul, Korea)에서 합성하였다.
2. 세포 배양
HaCaT, 및 B16F10 세포는 10% FBS 및 1%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및 페니실린)가 포함된 DME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또한, HEK293T 세포는 5% FBS 및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3. 세포 생존율 측정
HaCaT, HEK293T, B16F10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4 세포/mL로 접종하고, 다른 농도의 Q-3-G(2.5, 5, 10, 20 μM)를 처히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10 μL MTT 용액 (stock concentration 5 mg/ml)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추가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 종료 및 포르마잔 결정(formazan crystal) 용해를 위해 각 웰에 100 μL의 MTT stopping solution (10% Sodium dodecyl sulfate in 0.01M HCl)을 추가적으로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T가 프로마잔으로 환원된 양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OD 값을 통해 산출하였다.
4. Semi-Quantitative RT-PCR 및 Quantitative Real-Time PCR에 의한 mRNA 분석
HaCaT 세포를 Q-3-G(5, 10, 20, 30 μM) 또는 레티놀(10 μg/mL)로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trizol 용액 등을 이용하여 mRNA를 추출하고,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은 특정 역방향 및 순방향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RT-PCR 및 실시간 PCR용 프라이머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Name Direction Sequence(5' to 3')
Primer Sequences used in RT-PCR
FLG Forward AGGGAAGATCCAAGAGCCCA(서열번호 1)
Reverse ACTCTGGATCCCCTACGCTT(서열번호 2)
TGM Forward CCCCCGCAATGAGATCTACA(서열번호 3)
Reverse ATCCTCATGGTCCACGTACACA(서열번호 4)
HAS 1 Forward CCACCCAGTACAGCGTCAAC(서열번호 5)
Reverse CATGGTGCTTCTGTCGCTCT(서열번호 6)
GAPDH Forward GGTCACCAGGGCTGCTTTTA(서열번호 7)
Reverse GATGGCATGGACTGTGGTCA(서열번호 8)
Primer Sequences used in real-time PCR
COX 2 Forward CAGCATTGTAAAGTTGGTGGACTGT(서열번호 9)
Reverse GGGATTTTGGAACGTTGTGAA(서열번호 10)
TNF α Forward CTGCTGCACTTTGGAGTGAT(서열번호 11)
Reverse CCTCTTCTCCTTCCTGATCG(서열번호 12)
Nrf2 Forward ACATCCTTTGGAGGCAAGAC(서열번호 13)
Reverse TCGGGTCATTGTGAGTCAGT(서열번호 14)
GAPDH Forward GCGCCCAATACGACCAAATC(서열번호 15)
Reverse GACAGTCAGCCGCATCTTCT(서열번호 16)
5.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분석법
DPPH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250 μM용액을 만든 후, 475 ml의 DPPH용액을 각 농도의 Q-3-G혹은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한 아스코르브산 5 ml와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수치화하였다.
ABTS 7.4 mM, K2S4O8 2.4 mM을 D.W 에 용해시킨 뒤, 각 용액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해당 용액을 730 nm에서 흡광도가 0.7이 되도록 희석한 후, 이를 Q-3-G와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혼합하여 15분간 반응시킨 후 7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 유세포 분석에 의한 세포 ROS(reactive oxygen species) 분석
Q-3-G의 UVB에 의한 활성산소 소거능을 세포계에서 확인하기 위해, 산화에 민감한 DCF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염료를 사용하여 유세포분석기를 통해 활성산소 측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에 UVB 및 Q-3-G를 처리 하고 24시간 후, 세포를 모두 모아 300 μl의 PBS로 풀어주었다. 그 후, 20 μl의 DCFDA 염료와 섞어주고 30분간 차광하여 37℃에서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PBS로 세포를 씻어준 후, 유세포분석기(Beckman Coulter, Brea, CA, USA)를 통하여 485/535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세포 내의 활성산소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7. 웨스턴 블롯 분석
HaCaT 세포를 6 x 105 cells/mL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밤새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Q-3-G(0, 5, 10 μM) 또는 레티놀(10 μg/mL)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고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해당 단백질을 Bradford assay를 통하여 정량하고, Sampling 버퍼(SDS, Glycerol, 2M Tris-HCl, β-mercaptoethanol, bromophenol blu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charge로 균질화하였다. 이를 SDS-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 분자 크기별로 분리한 후, Tris-glycine 버퍼에서 전류를 이용하여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막으로 단백질을 이동시켰다. 이 후 막을 3% BSA로 블로킹한 후 각 표적 단백질에 맞는 1차 항체[b-actin (Santa cruz, Sc-47778), p-p50 (Santa Cruz, Sc-33022), p-c-Jun (Cell Signaling, 9164), c-Jun (Cell Signaling, 9165), p-TAK1 (Cell Signaling, 9339), TAK1 (Cell Signaling, 4505), p-MKK4 (Cell Signaling, 9151), MKK4 (Cell Signaling, 9152), p-JNK (Cell Signaling, 9255), JNK (Cell Signaling, 4672), p-IKKa (Cell Signaling, 2697), IKKa (Cell Signaling, 2682), p-IkBa (Cell Signaling, 9246), IkBa (Cell Signaling, 9242), p50 (Cell Signaling, 12540), p-p65 (Cell Signaling, 3039), p65 (Cell Signaling, 8242), p-Src (Cell Signaling, 2101), Src (Cell Signaling, 2109)]를 투여하여 최소 3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이 후 해당 항체에 맞는 2차 항체[항 마우스 IgG, HRP 결합 항체(Cell Signaling, 7076), 항 토끼 IgG, HRP 결합 항체(Cell Signaling, 7074)]를 투여하고 1시간 이상 반응 시킨 후 ECL 웨스턴 블로팅 기질 용액을 투여하여 해당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8. 멜라닌 함량 및 분비 분석
B16F10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2 x 105 세포/mL로 접종하고, 5% CO2,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a-MSH 100 μM, Q-3-G를 각 농도에 맞게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멜라닌 분비능을 억제하는 Arbutin 1 mM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층액 100 μl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겨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분비능을 수치화하였다.
9. UVB 조사
HaCaT 세포를 무혈청 MEM을 사용하여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세포/mL로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기아 상태에 놓았다. 그 후, HaCaT 세포를 30분 동안 G-3-Q로 사전 처리한 다음 UVB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HaCaT 세포를 PBS로 씻은 후 UVB(UVB Lamp BLX-312, Vilber Lourmat, France)에 노출시켰다. UVB의 에너지는 30mJ/cm2이었다.
10. H 2 O 2 처리
HaCaT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무혈청 MEM을 사용하여 24시간 기아 상태에 놓았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Q-3-G(5-10μM)로 전처리하고, 30분 후 H2O2(500μM)와 함께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1.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 분석
Q-3-G의 AP-1과 NF-κB 전사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moter assay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AP-1 또는 NF-κB의 프로모터 부분과 루시퍼라제(Luciferase) 효소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함께 넣은 플라스미드를 활용하였다. 각 플라스미드 2 μg을 HEK293T 세포에 투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Q-3-G 혹은 양성 대조군인 레티놀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루시퍼라제 분석 버퍼(Luciferase assay buffer)를 처리하여 최소 3시간 이상 -70℃에서 냉동하였다. 이후 세포액과 루시페린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발광수치를 측정하였다.
12. 세포 형태 촬영
HaCaT 세포를 1 x 105 세포/mL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그 후, HaCaT 세포를 30분 동안 G-3-Q로 처리한 다음 UVB를 조사하였다. 24시간 후, 현미경(Olympus, Tokyo, Japan)으로 4x, 10x, 및 20x 배율로 세포를 촬영하였다.
13.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최소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평균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  Mann-Whitney test와 Student's t-test는 그룹 간의 통계적 차이를 비교하는 데 사용하였다. p- 값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모든 통계적 검정은 SPSS(Ver. 25,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Q-3-G 의 UVB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 효과 확인
피부 조직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자외선은 산화 스트레스, 세포 사멸, 염증, 및 피부 노화 등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HaCaT 세포에 UVB를 조사하고, Q-3-G가 UVB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에 30 mJ/cm2의 UVB를 처리한 뒤,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를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5 % CO2, 37℃의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MTT 분석 및 cell counting을 진행하였다. 세포의 수는 세포를 트립신을 이용하여 떼어낸 후,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aCaT 세포의 수는 미처리군 482개; UVB 30mJ/cm2처리군 91 개; UVB 30mJ/cm2 +5μM Q-3-G처리군 276개; UVB 30mJ/cm2 +10μM Q-3-G처리군 320개였다. 즉, HaCaT 세포가 UVB에 의해 일부 사멸하였으나, Q-3-G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UVB에 의한 세포 사멸이 감소하였다. 이는 Q-3-G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확인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i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aCaT, HEK293T, 및 B16F10 세포에서 Q-3-G를 20 μM까지 처리하더라도 세포 생존률이 95% 이상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Q-3-G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바, 안전하게 화장품, 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Q-3-G 의 UVB에 의한 염증 억제 효과 확인
체내의 염증의 발생 및 악화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일부 사이토카인을 방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UVB 또는 H2O2에 의한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 TNF-α의 유전자 발현량을 Real 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와 TNF-α의 발현은 HaCaT 세포에 UVB 및 H2O2를 처리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Q-3-G를 10 μM 처리함에 따라 정상 수치까지 회복하였다. 이는 Q-3-G의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Q-3-G 의 UVB에 의한 활성산소 소거 효과 확인
Q-3-G의 UVB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Q-3-G가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 내 항산화 시스템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Nrf2(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산소 처리와 관련이 있는 Nrf2유전자의 발현이 Q-3-G 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UV 조건에서 DCFDA(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를 사용하여 ROS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B에 의해 세포 내의 활성산소량이 증가하였으나, Q-3-G 처리에 따라 세포 내의 활성산소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Q-3-G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활성산소 소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Q-3-G는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있으며, Nrf2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세포 내의 활성산소량을 감소시키는 바, Q-3-G의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Q-3-G 의 미백 효과 확인
멜라닌 형성능이 있는 세포인 B16F10 세포에 멜라닌 형성 자극 호르몬인 α-MSH(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를 처리하여 멜라닌 형성을 자극하고, Q-3-G를 함께 처리하여 Q-3-G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Q-3-G를 20 μM처리하였을 때 일정 수준의 멜라닌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Q-3-G의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6. Q-3-G 의 피부 보습 및 보호 효과 확인
HaCaT 세포에 Q-3-G를 처리하고, 피부 보습과 관련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Hyaluronan Synthase 1, HAS1), 피부 재생과 관련된 단백질-글루타민 감마-글루 타밀 트랜스퍼 라제 K(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TGM-1), 및 Filaggrin(FLG)의 유전자 발현량을 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Q-3-G처리에 농도의존적으로 HAS1, TGM-1, 및 FLG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피부 보습 및 보호 효능의 기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Q-3-G처리와 함께 여러 단백질 활성 저해제를 처리하여, 해당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단백질 저해제로 SB203580(p38 저해제); SP600125(JNK 저해제); UO126(ERK저해제); 및 Bay117082(NF-κB저해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SP600125 또는 Bay117082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TGM-1 및 FLG 의 유전자 발현 수준이 모두 감소하였다. 이는 JNK가 Q-3-G의 피부 보습 효과 측면에서 TGM-1 및 FLG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Q-3-G의 피부 보습 및 보호 기전에 NF-κ신호 전달 경로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Q-3-G에 의한 피부 보습 및 보호 효과는 JNK 및 NF-κB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Q-3-G의 보습 및 피부 보호 효과에 관여된 JNK/AP-1 및 NF- κ의 신호 전달 경로를 단백질 단계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로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과 같이, JNK/AP-1과 관련된 단백질인 MKK4, TAK1, JNK, c-Jun의 인산화 형태가 Q-3-G 처리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NF-κB와 관련된 인자인 p65, p50, IKKα, IκBα, Src, AKT의 인산화 형태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Q-3-G의 피부 보습 및 보호 효능이 JNK/AP-1 및 NF-κB에서 Src 및 TAK1을 활성화함으로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Q-3-G가 피부 보습 및 보호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켰는 바, 피부 보습 및 보호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Q-3-G의 AP(Activator protein)-1과 NF-κB(Nuclear Factor kappa B) 전사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모터 분석(promotor assay)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Q-3-G에 농도의존적으로 AP-1 및 NF-κB 매개 루시퍼라제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Q-3-G가 AP-1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Q-3-G는 피부 보호 및 보습에 관련된 HAS1, TGM-1, 및 FLG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보호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MKK4, TAK1, JNK, c-Jun, p65, p50, IKKα, IκBα, Src, 및 AKT의 인산화 형태)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Q-3-G는 피부 보호 및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종합하여, 본 발명자들은 Q-3-G(Quercetin 3-O-β-D-Glucuronide)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소거시키고 멜라닌 분비를 억제시키며, 피부 보호 및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보호 및 보습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Q-3-G를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항산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Research&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Quercetin-3-O-beta-D-Glucuronide as an active ingredient <130> MP22-011 <160> 1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LG_F <400> 1 agggaagatc caagagccc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LG_R <400> 2 actctggatc ccctacgct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M_F <400> 3 cccccgcaat gagatctaca 20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M_R <400> 4 atcctcatgg tccacgtaca ca 22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_F <400> 5 ccacccagta cagcgtcaa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_R <400> 6 catggtgctt ctgtcgctc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in RT-PCR <400> 7 ggtcaccagg gctgctttt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in RT-PCR <400> 8 gatggcatgg actgtggtca 20 <210> 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 2_F <400> 9 cagcattgta aagttggtgg actgt 25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 2_R <400> 10 gggattttgg aacgttgtga a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_F <400> 11 ctgctgcact ttggagtga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_R <400> 12 cctcttctcc ttcctgatcg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f2_F <400> 13 acatcctttg gaggcaagac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f2_R <400> 14 tcgggtcatt gtgagtcagt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in real-time PCR <400> 15 gcgcccaata cgaccaaatc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in real-time PCR <400> 16 gacagtcagc cgcatcttct 20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TGM-1(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및 FLG(Filaggr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MKK4, p-TAK1, p-JNK, p-c-Jun, p-p65, p-p50, p-IKKα, p-IκBα, p-Src, 및 p-AK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건조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사멸은 자외선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TGM-1(Keratinocyte transglutaminase), 및 FLG(Filaggr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MKK4, p-TAK1, p-JNK, p-c-Jun, p-p65, p-p50, p-IKKα, p-IκBα, p-Src, 및 p-AK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건조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사멸은 자외선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OX-2 또는 TNF-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KR1020220030180A 2022-03-10 2022-03-10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3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0A KR20230133087A (ko) 2022-03-10 2022-03-10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0A KR20230133087A (ko) 2022-03-10 2022-03-10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087A true KR20230133087A (ko) 2023-09-19

Family

ID=8819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180A KR20230133087A (ko) 2022-03-10 2022-03-10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0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64B1 (ko) 2008-09-10 2015-02-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64B1 (ko) 2008-09-10 2015-02-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1179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
KR20210079376A (ko) Pgc-1알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0675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6823889B2 (ja) ピペロニル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老化又は皮膚再生用組成物
JP2011225550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産生抑制及び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20230133087A (ko) 퀘르세틴-3-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9737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irt-1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83148A (ko) 개소시랑개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4372A (ko)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2738A (ko) 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4548B1 (ko) 6-펜틸-α-피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511934B1 (ko)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7474A (ko) 데스메틸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5910A (ko) RORα의 활성자 JC1-40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639701B1 (ko) 칼시뉴린 억제제 및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453622B1 (ko) 레드 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9510B1 (ko)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par2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20230134094A (ko) 천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6452A (ko) 참꽃마리(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74253A (ko) 프로시아니딘 A2 (procyanidin A2) 및 퀘르세틴 (querc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토파지 증진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 색소침착 억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