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82A -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82A
KR20230132182A KR1020220029388A KR20220029388A KR20230132182A KR 20230132182 A KR20230132182 A KR 20230132182A KR 1020220029388 A KR1020220029388 A KR 1020220029388A KR 20220029388 A KR20220029388 A KR 20220029388A KR 20230132182 A KR20230132182 A KR 2023013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olution
vial
vial contai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병연
유승환
임윤태
최광원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셀
바디텍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셀, 바디텍메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셀
Priority to KR102022002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82A/ko
Priority to PCT/KR2023/003158 priority patent/WO2023172058A1/ko
Publication of KR2023013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는, 바이알 용기; 바이알 용기의 펀칭레이어를 관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된 용해액 분배부;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 챔버가 구비된 시약 반응부; 바이알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삽입공간과, 용기삽입공간에 마련되어 바이알 용기의 장착홈에 걸리는 후크가 마련되고, 용기삽입공간에 유입부가 위치되게 검사 카트리지에 끼움결합되는 용기 장착부를 포함하여, 용기 장착부는 바이알 용기가 용기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 후크가 장착홈에 걸리면서 바이알 용기를 측면을 지지하여, 바이알 용기 내의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바이알 용기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용기는, 용해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이 마련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용기 본체는, 용해액이 수용되고 하단부가 깔대기 구조를 가진 용액 수용부와, 얇은 막 구조로, 용액 수용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펀칭레이어와, 용액 수용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펀칭레이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되, 펀칭레이어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잔여물 수용홈과, 펀칭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용액 수용부와 마주보게 마련된 진입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Vial containers and test cartridges}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의 유동시, 바이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로 유동되게 하는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 및 각종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혈액 등과 같은 소정의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혈구, 핵산, 단백질 및 항원 등과 같은 물질의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료를 채취한 후, 채취된 시료를 소정의 시약과 반응시킨 후 일어나는 변화를 분석 및 관찰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의 존재 유무, 비율 및 분량 등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질병의 유무, 질환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료의 검사 과정에서는 시료 및 시료의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이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매회 정확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재현성 있는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 검사 과정에서, 시료 및 시약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료 및 시약의 노출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정확한 양을 사용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약과 시료의 반응 후, 반응 결과물의 검출 및 판독/분석을 위한 검사가 하나의 통합적 시스템 하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검사 시간 및 검사 비용을 절감하여, 검사 전반에 포함되는 단계 및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일본등록특허 제6949864호에는 생물학적 검사 시료 조제 및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이,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유동시, 바이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로 유동되게 할 수 있는 검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이물이 침전되는 잔여물 수용홈을 마련하여, 챔버로의 이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바이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용기 뚜껑에 뚜껑 통기홀을 마련하여, 바이알 용기가 검사 카트리지에 결합되면서 펀칭레이어가 타공되면, 중력에 의해 무동력으로 용해액이 검사 카트리지로 흐르게 하는 바이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가 깔때기 구조로 제작되어, 용해액의 흐름을 중력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 용해액이 바이알 용기에서 시약 반응부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하는 바이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용기는, 용해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이 마련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용기 본체는, 용해액이 수용되고 하단부가 깔대기 구조를 가진 용액 수용부와, 얇은 막 구조로, 용액 수용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펀칭레이어와, 용액 수용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펀칭레이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되, 펀칭레이어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잔여물 수용홈과, 펀칭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용액 수용부와 마주보게 마련된 진입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진입홈부가 마련되고,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바닥부와, 바닥부와 이격되게, 용액 수용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바닥부 사이에서,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 장착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진입홈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이드홈이 바닥부에 마련되어, 진입홈부의 측방향으로 구조적 탄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용액 수용부의 깔대기 상부 경사면에, 용액 수용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삼각 단면을 가진 판형으로, 리브의 경사면이 용액 수용부의 깔때기 상부 경사면에 접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뚜껑은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을 덮는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는, 바이알 용기; 바이알 용기의 펀칭레이어를 관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된 용해액 분배부;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 챔버가 구비된 시약 반응부; 바이알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삽입공간과, 용기삽입공간에 마련되어 바이알 용기의 장착홈에 걸리는 후크가 마련되고, 용기삽입공간에 유입부가 위치되게 검사 카트리지에 끼움결합되는 용기 장착부를 포함하여, 용기 장착부는 바이알 용기가 용기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 후크가 장착홈에 걸리면서 바이알 용기를 측면을 지지하여, 바이알 용기 내의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바이알 용기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입부는 상단이 뾰족한 경사면을 가지고, 경사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입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입부는 경사면에 유입안내홈이 마련되고, 유입안내홈은 용해액의 흐름을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에서 유입통로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이,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유동시, 바이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이물이 침전되는 잔여물 수용홈을 마련하여, 챔버로의 이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검체의 검사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용기 뚜껑에 뚜껑 통기홀을 마련하여, 바이알 용기가 검사 카트리지에 결합되면서 펀칭레이어가 타공되면, 중력에 의해 무동력으로 용해액이 검사 카트리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가 깔때기 구조로 제작되어, 용해액의 흐름을 중력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 용해액이 바이알 용기에서 시약 반응부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체 검사 장치에 설치된 검사 카트리지의 설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에서 용기 장착부가 제거된 상태로, 전면에서 바라본, 히팅부, 시약 반응부, 가스켓 부재와 용해액 분배부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면에서 바라본, 시약 반응부, 가스켓 부재와 용해액 분배부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반응부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액 분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해액이 각각의 챔버로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검사 카트리지(300)는 검체 검사 장치(100)에 설치된다. 검체 검사 장치(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테스트 시약에 따른 검체의 반응을 검사하는 장치이다.
검사 카트리지(300)에는 바이알 용기(200)가 결합된다. 바이알 용기(200)에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저장된다. 용해액(lysis solution)은 세포나 바이러스 등을 터트려서 핵산을 꺼내기 위한 용액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용기(200)는, 용기 본체(210)와 용기 뚜껑(220)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210)에는 용해액이 수용된다. 여기서, 용해액은 채취된 검체가 희석되는 용액이다. 용기 본체(210)는 용액 수용부(211), 잔여물 수용홈(212), 펀칭레이어(213), 진입홈부(215), 가이드홈(216)과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된 것이다.
여기서, 용액 수용부(211)는 용해액이 수용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용액 수용부(21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펀칭레이어(213)에 의해 폐쇄된다. 펀칭레이어(213)는 얇은 막으로, 후술할 유입부(332)에 의해 관통되게 마련된다.
용액 수용부(21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통형 구조를 가지나, 하단부(211a)가 깔때기 구조로 마련된다. 용액 수용부는 하단부(211a)가 깔대기 구조를 가짐에 따라, 펀칭레이어(213)의 타공시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211a)에는 잔여물 수용홈(212)이 마련된다. 잔여물 수용홈(212)은 용액 수용부(211)의 하부로 돌출되어, 펀칭레이어(21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되, 펀칭레이어(213)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잔여물 수용홈(212)은 검체 채취시 딸려온 이물이 침전되는 공간이다. 즉, 잔영물 수용홈의 바닥면은 펀칭레이어(213)보다 하부에 마련되어, 중력에 의해 이물이 침전되게 마련된 것이다. 즉, 용해액에 혼합된 이물은 잔여물 수용홈(212)으로 침전되고,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만 유입구를 통해 챔버로 유동되게 마련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용기(200)는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211a)에 마련된 잔영물 수용홈(212)에 의해 이물이 용해액과 함께 검사 카트리지(300)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홈부(215)는 펀칭레이어(213)를 사이에 두고 용액 수용부(211)와 마주보게 마련된다. 진입홈부(215)는 후술할 유입부(33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진입홈부(215)는 바닥부(214)에 마련된다.
바닥부(214)는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211a)에서 연결된다. 바닥부(214)는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21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바닥부(214)는 평평한 면에 용기 본체(210)가 세워지게 마련된다. 바닥부(214)에는 진입홈부(215)와 가이드홈(216)이 마련된다.
가이드홈(216)은 진입홈부(215)의 두께를 줄여, 진입홈부(215)의 측방향으로 구조적 탄성을 부여한다. 유입부(332)가 펀칭레이어(213)를 관통하여 용액 수용부(211)로 삽입될 때, 용해액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부(332)가 진입홈부(215)에 억지끼움된다.
본 발명은 바닥부(214)에 가이드홈(216)을 마련하여, 진입홈부(215)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유입부(332)의 진입홈부(215)로의 삽입시, 억지끼움의 힘을 줄이고, 진입홈부(215)의 내측면이 유입부(332)의 외면에 밀착되어, 유입부(332)가 진입홈부(215)에 끼워진 후에도 용해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장착홈(218)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와 바닥부(214) 사이에서,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211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장착홈(218)은 후술할 용기 장착부(350)의 후크(355)가 걸리는 부분이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는 바닥부(214)와 이격되게, 용액 수용부(21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는 용액 수용부(211)의 깔대기 상부 경사면에, 용액 수용부(211)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는 삼각 단면을 가진 판형으로, 리브(217)의 경사면이 용액 수용부(211)의 깔때기 상부 경사면에 접하게 마련된다.
바이알 용기(200)는 용기 장착부(350)로의 삽입시, 적어도 하나의 리브(217)가 날개 타입으로, 후크(355)가 리브(217)에 걸리고, 바이알 용기(200)가 소정의 각도로 돌려지면 후크(355)가 리브(217)에서 분리되어,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 장착부(35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용기 뚜껑(220)은 용기 본체(2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 뚜껑(220)은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221)이 마련된다. 뚜껑 통기홀(211)에 의해, 용액 수용부(211)로 공기가 유입된다.
즉, 뚜껑 통기홀(211)에 의해, 용액 수용부(211)는 대기압 상태이다. 이에, 별다른 구동 장치 없이도, 펀칭레이어(213)의 타공시, 용해액은 중력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도 4을 참조하면, 용기 뚜껑(220)의 내면에는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222)이 설치된다. 여기서,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222)은 공기가 투과되는 재질을 가진다.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222)은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221)을 덮도록, 용기 뚜껑(220)의 내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이,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유동시, 바이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이물이 침전되는 잔여물 수용홈을 마련하여, 챔버로의 이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검체의 검사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용기 뚜껑에 뚜껑 통기홀을 마련하여, 바이알 용기가 검사 카트리지에 결합되면서 펀칭레이어가 타공되면, 중력에 의해 무동력으로 용해액이 검사 카트리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가 깔때기 구조로 제작되어, 용해액의 흐름을 중력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 용해액이 바이알 용기에서 시약 반응부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검사 카트리지(300)는 시약 반응부(310),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필터부재(340)와 용기 장착부(350)를 포함한다. 시약 반응부(310),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필터부재(340)와 용기 장착부(350)는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검사 카트리지(300)에는 바이알 용기(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바이알 용기(200)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용기이다.
용해액은, 용기 장착부(350)로 삽입된 바이알 용기(200)가 용해액 분배부(330)의 유입부(332)에 의해 타공되면, 중력 방향으로, 바이알 용기(200)에서 유입부(332)를 통해 용해액 분배부(330)의 채널부(333)로 흘러 내려가고, 채널부(333)에 마련된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을 타고, 각각의 챔버(311~318)로 흘러 내려가, 각각의 챔버(311~318)에 저장된다.
시약 반응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는 일렬로 이격 배열된다. 여기서, 각각의 챔버(311~318)에는 서로 다른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다. 챔버는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공간이다.
시약 반응부(310)는 상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끼움홈(319a)이 마련되어, 분배플레이트(331)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약 반응부(310)는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끼움홈(319b)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끼움홈(319b)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열과 어긋나게 마련된다. 여기서, 측면끼움홈(319b)은 용기 장착부(350)의 끼움돌기(351)가 결합되는 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에 대해 "제1 챔버(311) 내지 제8 챔버(318)"로 구분지어 지칭하기로 한다. 다만, 챔버의 개수는 가변가능한 바,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챔버(311~318)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광원 입사부(311a~318a)가 마련된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시약 반응부(310)와 용기 장착부(350) 사이에는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및 필터부재(3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가스켓부재(320)는 각각의 챔버(311~318)을 덮도록, 시약 반응부(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가스켓부재(320)는 각각의 챔버(311~318)로의 용해액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게, 시약 반응부(3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스켓부재(320)에는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핀홀(321)과, 적어도 하나의 가스켓 공기홀(32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핀홀(321)은 각각의 가이드핀(334a ~334h)이 관통가능하는 구멍이다. 핀홀(321)은 가이드핀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된다.
가스켓 공기홀(323)은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적어도 하나의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에어홀(335a~335h)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챔버(311~318)에 연통되게 마련된다. 각각의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에어홀(335a~335h)과 각각의 에어홈(331a ~331h)에 동축 상에 마련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용해액 분배부(330)는 분배플레이트(331), 유입부(332), 채널부(333),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335a~335h)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3를 참조하면, 용해액 분배부(330)는 바이알 용기(2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바이알 용기(200)로 삽입되어 용해액을 공급받아, 각각의 챔버(311~318)로 용해액을 분배한다. 용해액 분배부(330)는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은 각각의 챔버(311~318)로 삽입되고, 각각의 에어홀은 각각의 챔버(311~318)에 연결되게, 시약 반응부(310)에 적층 결합된다.
분배플레이트(331)는 시약 반응부(310)에 대응되는 규격을 가진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홀(332a)이 마련된다.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면에는 유입부(332)가 마련되고, 하면에는 채널부(333)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이 마련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분배플레이트(331)에는, 상면 가장자리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끼움돌기(331i)가 마련된다.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는 상부 끼움돌기(331i)에 의해 용기 장착부(350)에 끼움결합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분배플레이트(331)에는, 하면 가장자리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끼움돌기(미도시)가 마련된다. 분기플레이트의 하부는 하부 끼움돌기에 의해 시약 반응부(310)에 끼움 결합된다.
유입부(332)는 유입홀(332a)과 동축 상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되어, 바이알 용기(200)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유입부(332)는 상단이 뾰족한 경사면을 가진다. 예로, 유입부(332)는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유입부(332)에는 유입통로(332b)와 유입안내홈(332c)가 마련된다. 유입통로(332b)는 유입홀(332a)의 중심과 동축상에서 경사면을 상하로 관통한다. 유입통로(332b)는 용해액이 바이알 용기(200)에서 채널부(333)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유입안내홈(332c)은 유입구(332)에 마련된 경사면에서 마련된다. 유입안내홈(332c)은 용해액의 흐름을 유입통로(332b)로 안내한다. 즉, 유입안내홈(332c)에 의해, 용해액은 유입부의 경사면의 전면적이 아니라, 경사면에 좁은 폭으로 마련된 유입안내홈(332c)을 타고 졸졸졸 유입통로(332b)로 유동하게 된다.
채널부(333)는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에 마련된다. 채널부(333)는 유입홀(332a)로 흘러들어온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채널부(333)는 기준 채널(333a)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 채널(333a)은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에서 유입홀(332a)에 연결되는 홈 구조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기준 채널(333a)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된 홈 구조를 가진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기준 채널(333a)에서 분기된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마련된다. 또는,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된 L형 구조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제1 분기 채널(333b1) 내지 제8 분기 채널(333b8)"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열에 대응되게,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된다.
가이드핀(334a~334h)은 분기 채널(333b1~333b8)과 연결되는 일면에, 가이드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핀홈(334a-1)이 마련되어,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을 타고 유동하는 용해액의 흐름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에 대해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 가이드핀(334a)은 제1 분기 채널(333b1)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핀(334a)은 제1 챔버(311)로 삽입되어, 제1 챔버(311)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이때, 용해액은 제1 가이드핀(334a)에 마련된 핀홈(334a-1)을 따라 제1 챔버(311)로 흘러 내린다.
제2 가이드핀(334b)은 제2 분기 채널(333b2)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2 가이드핀(334b)은 제2 챔버(312)로 삽입되어, 제2 챔버(312)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3 가이드핀(334c)은 제3 분기 채널(333b3)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3 가이드핀(334c)은 제3 챔버(313)로 삽입되어, 제3 챔버(313)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4 가이드핀(334d)은 제4 분기 채널(333b4)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4 가이드핀(334d)은 제4 챔버(314)로 삽입되어, 제4 챔버(314)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5 가이드핀(334e)은 제5 분기 채널(333b5)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5 가이드핀(334e)은 제5 챔버(315)로 삽입되어, 제5 챔버(315)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6 가이드핀(334f)은 제6 분기 채널(333b6)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6 가이드핀(334f)은 제6 챔버(316)로 삽입되어, 제6 챔버(316)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7 가이드핀(334g)은 제7 분기 채널(333b7)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7 가이드핀(334g)은 제7 챔버(317)로 삽입되어, 제7 챔버(317)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8 가이드핀(334h)은 제8 분기 채널(333b8)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8 가이드핀(334h)은 제8 챔버(318)로 삽입되어, 제8 챔버(318)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335a~335h)은 분배플레이트(331)를 상하로 관통하되,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각각의 에어홀(335a~335h)은 핀홈(334a-1)이 마련된 일면의 반대측에서,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의 끝단과 이격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에 대해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의 배열과 나란하게 일렬로 배열된다.
제1 에어홀(335a)은 제1 가이드핀(334a)와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에어홀(335b)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2 가이드핀(335b) 내지 제8 가이드핀(335h)에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제1 에어홀(335a)은 제1 챔버(311)와 연통되어, 제1 챔버(311)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1 에어홀(335a)은 핀홈(334a-1)의 반대측으로, 제1 가이드핀(334a)과 이격 배치된다.
제2 에어홀(335b)은 제2 챔버(312)와 연통되어, 제2 챔버(312)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3 에어홀(335c)은 제3 챔버(313)와 연통되어, 제3 챔버(313)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4 에어홀(335d)은 제4 챔버(314)와 연통되어, 제4 챔버(314)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5 에어홀(335e)은 제5 챔버(315)와 연통되어, 제5 챔버(315)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6 에어홀(335f)은 제6 챔버(316)와 연통되어, 제6 챔버(316)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7 에어홀(335g)은 제7 챔버(317)와 연통되어, 제7 챔버(317)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8 에어홀(335h)은 제8 챔버(318)와 연통되어, 제8 챔버(318)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각각의 에어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각각의 에어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331a ~331h)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331a ~331h)에 대해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에는 필터부재(340)의 필터돌기(341)가 각각 삽입된다.
제1 에어홈(331a)에는 제1 에어홀(335a)이 마련된다. 제1 에어홀(335a)은 제1 에어홈(331a)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이다. 제1 에어홈(331a)은 제1 에어홀(33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에어홈(331b) 내지 제8 에어홈(331h)에는 각각 제2 에어홀(335b) 내지 제8 에어홀(335h)이 마련된다.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삽입된 필터부재(340)에 의해 커버된다. 필터부재(340)는 공기는 통과되되, 다른 이물질이 에어홀로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한다. 필터부재(340)는 일면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가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는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는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각각 삽입되어, 각각의 에어홀을 덮는다.
용기 장착부(350)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바이알 용기(200)가 삽입된다. 용기 장착부(350)는 용기삽입공간(353), 적어도 하나의 후크(355) 및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51)와, 카트리지 코드(357)가 마련된다.
용기삽입공간(353)은 바이알 용기(2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355)는 용기삽입공간(353)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용기삽입공간(353)에 마련된다. 후크(355)는 바이알 용기(200)의 장착홈(218)에 삽입되어,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삽입공간(3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트리지 코드(375)는 테스트 시약(10)이 진행되는 검사 카트리지(300)의 며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51)는 용기 장착부(350)의 하부로 수직 돌출된 돌기이다.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는 시약 반응부(310)의 측면끼움홈(319b)에 끼움결합된다. 이에 따라, 용기 장착부(350)는 시약 반응부(310)에 결합된다. 용기 장착부(350)와 시약 반응부(310)는 상하로 적층되게 결합된다.
용기 장착부(350)는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삽입공간(353)으로 삽입되면, 후크(355)가 장착홈에 걸리면서 바이알 용기(200)를 측면을 지지하여, 바이알 용기 (200) 내의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바이알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용해액의 챔버로의 유동시, 용기 장착부(350)는 바이알 용기(200)를 안정적으로 잡아줘, 바이알 용기(2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311~318)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이,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유동시, 용해액을 각각의 챔버로 고르게 분배하여, 각각의 챔버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알 용기에 저장된 용해액이,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 각각의 챔버로의 유동시, 바이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사 카트리지에 챔버로 공기만 통과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무동력으로 용해액을 바이알 용기에서 각각의 챔버로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바이알 용기 210: 용기본체
211: 용액 수용부 211a: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
212: 잔여물 수용홈 213: 펀칭레이어
214: 바닥부 215: 진입홈부
216: 가이드홈 217: 리브
218: 장착홈 220: 용기 뚜껑
221: 뚜껑 통기홀 222: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
300: 검사 카트리지
310: 시약 반응부 311~318: 챔버
311a~318a: 광원 입사부 319a: 상부끼움홈
319b: 측면끼움홈 320: 가스켓부재
321: 핀홀 323: 가스켓 공기홀
330: 용해액 분배부 331: 분배플레이트
331a ~331h: 에어홈 331i: 돌기
332: 유입부 332a: 유입홀
332b: 유입통로 332c: 유입안내홈
333: 채널부 333a: 기준 채널
333b1 ~333b8: 분기 채널 334a~334h: 가이드핀
334a-1: 핀홈 335a~335h: 에어홀
340: 필터부재 341: 필터돌기
350: 용기 장착부 351: 끼움돌기
353: 용기삽입공간 355: 후크
357: 카트리지 코드

Claims (10)

  1. 용해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이 마련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해액이 수용되고 하단부가 깔대기 구조를 가진 용액 수용부와,
    얇은 막 구조로, 상기 용액 수용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펀칭레이어와,
    상기 용액 수용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펀칭레이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되, 상기 펀칭레이어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 잔여물 수용홈과,
    상기 펀칭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액 수용부와 마주보게 마련된 진입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진입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게, 상기 용액 수용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서, 상기 용액 수용부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 장착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진입홈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이드홈이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입홈부의 측방향으로 구조적 탄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용액 수용부의 깔대기 상부 경사면에, 상기 용액 수용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삼각 단면을 가진 판형으로, 리브의 경사면이 상기 용액 수용부의 깔때기 상부 경사면에 접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은 내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뚜껑 통기홀을 덮는 공기 투과성 멤브레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이알 용기;
    상기 바이알 용기의 펀칭레이어를 관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된 용해액 분배부;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 챔버가 구비된 시약 반응부;
    상기 바이알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삽입공간과, 상기 용기삽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바이알 용기의 장착홈에 걸리는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용기삽입공간에 상기 유입부가 위치되게 상기 검사 카트리지에 끼움결합되는 용기 장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 장착부는 상기 바이알 용기가 상기 용기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후크가 상기 장착홈에 걸리면서 상기 바이알 용기를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바이알 용기 내의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상기 바이알 용기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단이 뾰족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카트리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경사면에 유입안내홈이 마련되고,
    상기 유입안내홈은 상기 용해액의 흐름을 상기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에서 상기 유입통로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카트리지.















KR1020220029388A 2022-03-08 2022-03-08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KR20230132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88A KR20230132182A (ko) 2022-03-08 2022-03-08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PCT/KR2023/003158 WO2023172058A1 (ko) 2022-03-08 2023-03-08 바이알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88A KR20230132182A (ko) 2022-03-08 2022-03-08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82A true KR20230132182A (ko) 2023-09-15

Family

ID=8793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88A KR20230132182A (ko) 2022-03-08 2022-03-08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82A (ko)
WO (1) WO20231720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546A (ko) * 2013-03-15 2015-11-23 닥터.피와이 인스터튜트, 엘엘씨 제어된 비-분류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805023B1 (ko) * 2015-03-27 2018-01-10 바디텍메드(주) 생물학적 시료 검사용 시료 채취 및 분주 장치
US11071526B2 (en) * 2015-04-29 2021-07-27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Specimen collection and delivery apparatus
KR101967236B1 (ko) * 2017-05-16 2019-04-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핵산 추출용 전처리 챔버, 그를 이용한 카트리지 및 핵산 추출 방법
CN114100702B (zh) * 2020-08-27 2023-05-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芯片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2058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526A (en) Assay cartridge
US10393738B2 (en) Multi-well cuvette provided with integrated reaction and detection means
EP1813949B1 (en) Test cassette for liquid analyses
US20110045505A1 (en) Integrated separation and detection cartridge with means and method for increasing signal to noise ratio
JP4891907B2 (ja) 環境汚染物質の試料採取及び分析
KR20200085789A (ko) 유체 샘플 수집 장치
JPH04232855A (ja) 自己計測式流体分析器具
AU2013262816A1 (en) Clinical diagnostic systems
US20220018827A1 (en) Solution collection device with evaluation element
JP2015515632A (ja) 生化学アッセイカートリッジ
CA2555519C (en) Photometric in plane detection
CN110470852A (zh) 用于分离试验样品中包含的干扰物质的实验室系统和方法
KR20230132182A (ko)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KR102363347B1 (ko) 모듈형 미세 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분석 방법
KR20230132183A (ko) 검사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25465B2 (en) Clinical diagnostic systems
CN211576971U (zh) 试纸卡盒及检测试纸卡
JP7361198B2 (ja) 接線流溶血検出血液検査装置
CN216605311U (zh) 一种试管组合件
CN112041686A (zh) 同时进行生化检查和血液检查的多重系统及用于此的多重圆盘
KR20230132184A (ko)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TWI768867B (zh) 混合晶片
JP7349502B2 (ja) 溶血検出血液検査装置
WO2009068027A1 (en) Separation and detection device
WO2001046382A2 (en) Particle separation cassette and relate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