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84A -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84A
KR20230132184A KR1020220029390A KR20220029390A KR20230132184A KR 20230132184 A KR20230132184 A KR 20230132184A KR 1020220029390 A KR1020220029390 A KR 1020220029390A KR 20220029390 A KR20220029390 A KR 20220029390A KR 20230132184 A KR20230132184 A KR 20230132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nit
diagnostic beam
sample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병연
유승환
임윤태
최광원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셀
바디텍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셀, 바디텍메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셀
Priority to KR102022002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84A/ko
Priority to PCT/KR2023/003162 priority patent/WO2023172060A1/ko
Publication of KR2023013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는, 서로 다른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챔버로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제공되어, 테스트 시약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검체 반응부;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른 광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는 광학부; 및 테스트 시약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른 광신호에 기초하여, 하나의 검체에 대한 복수의 반응데이터가 획득되고, 반응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체의 검사 결과를 예측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Sample test device and sample test method}
본 발명은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하나의 검체에 대해, 테스트 시약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검체 반응 검사를 연속 진행할 수 있는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 및 각종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혈액 등과 같은 소정의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혈구, 핵산, 단백질 및 항원 등과 같은 물질의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료를 채취한 후, 채취된 시료를 소정의 시약과 반응시킨 후 일어나는 변화를 분석 및 관찰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의 존재 유무, 비율 및 분량 등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질병의 유무, 질환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료의 검사 과정에서는 시료 및 시료의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이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매회 정확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재현성 있는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 검사 과정에서, 시료 및 시약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료 및 시약의 노출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정확한 양을 사용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약과 시료의 반응 후, 반응 결과물의 검출 및 판독/분석을 위한 검사가 하나의 통합적 시스템 하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검사 시간 및 검사 비용을 절감하여, 검사 전반에 포함되는 단계 및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일본등록특허 제6949864호에는 생물학적 검사 시료 조제 및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검체에 대해, 테스트 시약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검체 반응 검사를 연속 진행할 수 있는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는, 서로 다른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챔버로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제공되어, 테스트 시약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검체 반응부;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른 광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는 광학부; 및 테스트 시약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른 광신호에 기초하여, 하나의 검체에 대한 복수의 반응데이터가 획득되고, 반응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체의 검사 결과를 예측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챔버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광원 입사부가 마련되고, 광학부는 광원 입사부로 진단빔이 입사되게, 검체 반응부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부는,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이송 유닛; 및 이송 유닛에 결합되어,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 수신된 광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이송 유닛은 챔버의 배치 순서 중 1번 챔버로 진단빔을 수직으로 조사하는 위치로,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고, 기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을 이송하고, 진단빔의 조사 방향은 광학 유닛의 이송 방향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제1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1 광학 유닛; 제1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2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진단빔과 제2 진단빔은 서로 다른 형광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형광 파장은 FAM, HEX, ROX 또는 Cy5로 이루어진 선택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FAM 형광 파장은, 510nm 내지 53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HEX 형광 파장은 550nm 내지 58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ROX 형광 파장은 595nm 내지 63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Cy5 형광 파장은 655nm 내지 67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학 유닛은 제1 진단빔이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제1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의 제1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광학 유닛은 제2 진단빔이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제2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의 제2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제2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3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3 진단빔은 제1 진단빔과 제2 진단빔과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광학 유닛은 제3 진단빔이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제3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의 제3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제3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4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4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4 진단빔은 제1 진단빔 내지 제3 진단빔과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4 광학 유닛은 제4 진단빔이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로 제4 진단빔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의 제4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이송 레일;
이송 레일과 나란하게, 검체 반응부에 대해 이격 설치된 이송 벨트; 이송 벨트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구동풀리와, 어느 하나의 구동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상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이송 벨트에 결합되되, 이송 벨트의 작동시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송레일에 결합된 이송 부재; 및 이송 레일을 사이에 두고 이송 벨트와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고, 이송 부재에 결합되어, 이송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유닛은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에서 조사된 진단빔이 각각의 챔버에 수직 입사되게 이송 부재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이송 벨트가 기설정된 이동 간격 만큼 이동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게 작동되고, 이송 벨트의 이동 간격은 어느 하나의 챔버에서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이동 간격이고, 이송 벨트의 정지 시간은 진단빔이 광학 유닛에서 조사되고,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체 반응부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바이알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 장착부; 적어도 하나의 챔버가 일렬로 이격 배열된 시약 반응부;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바이알 용기로 삽입되어 용해액을 공급받아, 각각의 챔버로 용해액을 분배하는 용해액 분배부; 및 용해액 분배부와 시약 반응부 사이에 적층되어, 각각의 챔버를 덮되, 챔버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각각의 가이드핀이 관통되고, 챔버로 공기가 유동하게 마련된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약 반응부의 하부에서, 각각의 챔버로 열을 제공하여, 각각의 챔버가 기설정된 온도로 등온 유지되게 작동되는 히팅부; 및 히팅부에 결합되어, 히팅부를 방열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히팅부는 챔버에 마련된 광원입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접하여, 챔버로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해액 분배부는, 시약 반응부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홀이 마련된 분배플레이트; 유입홀과 동축 상에서, 분배플레이트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되어, 바이알 용기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된 유입부; 분배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유입홀에 연결되는 기준채널과, 기준채널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된 분기채널이 구비되어, 유입홀로 흘러들어온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채널부; 적어도 하나의 챔버의 배열에 대응되게, 각각의 분기 채널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의 하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 및 분배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되, 각각의 가이드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이 마련되고, 용해액 분배부는 각각의 가이드핀은 각각의 챔버로 삽입되고, 각각의 에어홀은 각각의 챔버에 연결되게, 시약 반응부에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핀은 분기채널과 연결되는 일면에, 가이드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핀홈이 마련되어, 분기채널을 타고 유동하는 용해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에어홀은 핀홈이 마련된 일면의 반대측에서, 각각의 가이드핀을 사이에 두고 분기채널의 끝단과 이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은 유입홀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기준 채널에서 분기되고, 유입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플레이트에는 각각의 에어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각각의 에어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이 마련되고, 각각의 에어홈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에어홀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가 마련된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체 반응부에 부착된 코드를 인식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진단부는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챔버 번호와, 각각의 챔버에 수용된 테스트 시약의 명칭이 기설정되고, 진단부는 코드인식부에서 인식된 코드와, 챔버 번호에 따른 반응데이터를 매칭하여,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방법은, 검체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테스트 시약에 대한 검체 검사를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검체에 대해, 테스트 시약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검체 반응 검사를 연속 진행하여, 검체에 대한 검사의 신속도 및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챔버의 일측에 광원 입사부를 구비하여, 진단빔의 입사 거리를 단축하여, 검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X-X선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카트리지에서 용기 장착부가 제거된 상태로, 후면에서 바라본, 시약 반응부, 가스켓 부재와 용해액 분배부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반응부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액 분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해액이 각각의 챔버로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100)는 하나의 검체에 대해, 테스트 시약(10) 및 진단빔의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검체 반응 검사를 연속 진행하는 장치이다. 검체는 인체에서 채취되어, 바이알 용기(200)에 담긴 용해액에 혼합된 상태로, 검사 카트리지(300)로 제공된다. 여기서, 용해액(lysis solution)은 세포나 바이러스 등을 터트려서 핵산을 꺼내기 위한 용액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100)는 바이알 용기(200), 검사 카트리지(300), 히팅부(400), 방열부(500), 광학부(600), 진단부(700) 및 코드 인식부(800)를 포함한다.
검사 카트리지(300)는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된다. 검사 카트리지(300)에는 바이알 용기(200)가 설치된다. 검사 카트리지(3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이알 용기(200)는 채취된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을 수용한다. 바이알 용기(200)는 검사 카트리지(300)에 결합되어, 용해액을 검사 카트리지(300)로 제공한다. 용해액은 검사 카트리지(300)에 마련된 각각의 챔버(311~318)로 분배되어, 챔버에 담긴 테스트 시약(10)에 섞인다.
테스트 시약(10)은 검체의 검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약이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테스트 시약(10)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테스트 시약(10)은 검사 카트리지(3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에 각각 수용된다. 이때, 테스트 시약(10)은 챔버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시약이 사용된다. 테스트 시약(10)은 비드 형태로 제작된다.
테스트 시약(10)은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물질이 한 개의 비드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물질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진단빔(B)에 반응하는 물질이다. 진단빔(B)은 광학부(600)에서 검사 카트리지(300)로 조사하는 형광 파장이다.
히팅부(400)는 시약 반응부(310)의 하부에서, 기설정된 온도로 각각의 챔버(311~318)를 가열한다. 히팅부(400)는 챔버가 기설정된 온도로 등온 유지되게 작동된다.
히팅부(400)는 챔버에 마련된 광원(611a)입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접하여, 챔버로 열을 제공한다. 예컨대, 히팅부(400)는 광원(611a)입사부가 배제된 챔버의 3면으로 열을 제공한다.
방열부(500)는 히팅부(400)에 결합되어, 히팅부(400)를 방열한다. 방열부(500)는 방열핀(510) 및 방열 송풍팬(520)을 포함한다. 방열 송풍팬(520)은 방열핀(510)으로 송풍을 제공하는 팬이다. 방열 송풍팬(520)은 방열핀(5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광학부(600)는 검사 카트리지(300)의 각각의 챔버(311~318)로 진단빔(B)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311~318)로부터 광신호(S)를 수신하여, 테스트 시약에 대한 검체의 반응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부(600)의 광학 유닛(610)은 이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른 광신호(S)를 연속하여 획득한다. 여기서, 이송 방향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부(600)는 광원 입사부(311a~318a)로 진단빔(B)이 입사되게, 검사 카트리지(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광학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610)과 이송 유닛(630)을 포함한다.
광학 유닛(610)은 이송 유닛(630)에 결합되어,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311~318)로 진단빔(B)을 조사하고, 각각의 챔버마다 수신된 광신호(S)를 획득한다. 진단빔(B)의 조사 방향은 광학 유닛의 이송 방향에 수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학 유닛(610)은 광원(611a), 제1 렌즈(611b), 빔스플리터(611c), 제2 렌즈(611d), 제3 렌즈(611e), 포토다이오드(611f)로 구성된다.
진단빔(B)은 광원(611a)에서 제1 렌즈(611b)를 통해 빔스플리터(611c)로 입사되고, 빔스플리터(611c)에서 90도 직각 반사되어 제2 렌즈(611d)에서 포커싱되어, 챔버의 일측에 마련된 광원 입사부(311a~318a)로 입사된다. 챔버에서 반사된 진단빔(B)은 제2 렌즈(611d)와 빔스플리터(611c)를 일직선으로 투과하고, 제3 렌즈(611e)에서 포커싱되어 포토다이오드(611f)에서 광신호(S)로 수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610)에 대해, 배치 순서에 따라 "제1 광학 유닛(611) 내지 제4 광학 유닛(614)"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광학 유닛(611) 내지 제4 광학 유닛(614)은 서로 다른 파장의 진단빔(B)을 조사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 유닛(611) 내지 제4 광학 유닛(614)은 일렬로 배치된다.
제1 광학 유닛(611)은 제1 진단빔(B)을 조사하는 광학 유닛(610)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 유닛(611)은 제1 진단빔(B)이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이송유닛에 의해 위치 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311~318)로 제1 진단빔(B)을 조사하고 광신호(S)를 포토다이오드(611f)로 수신한다.
제2 광학 유닛(612)은 제2 진단빔(B)을 조사하는 광학 유닛(610)이다. 제2 광학 유닛(612)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제1 광학 유닛(611)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학 유닛(612)은 제2 진단빔(B)이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이송유닛에 의해 위치 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311~318)로 제2 진단빔(B)을 조사하고 광신호(S)를 수신하게 작동된다.
제3 광학 유닛(613)은 제3 진단빔(B)을 조사하는 광학 유닛(610)이다. 제3 광학 유닛(613)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제2 광학 유닛(61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광학 유닛(613)은 제3 진단빔(B)이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이송유닛에 의해 위치 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311~318)로 제3 진단빔(B)을 조사하고 광신호(S)를 수신하게 작동된다.
제4 광학 유닛(614)은 제4 진단빔(B)을 조사하는 광학 유닛(610)이다. 제4 광학 유닛(614)은 배열 방향으로, 제3 광학 유닛(613)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광학 유닛(614)은 제4 진단빔(B)이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이송유닛에 의해 위치 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챔버(311~318)로 제4 진단빔(B)을 조사하고 광신호(S)를 수신하게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진단빔(B) 내지 제4 진단빔(B)은 서로 다른 형광 파장을 가진다. 형광 파장은 FAM, HEX, ROX 또는 Cy5로 이루어진 선택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AM 형광 파장은 510nm 내지 53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진다. HEX 형광 파장은 550nm 내지 58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진다. ROX 형광 파장은 595nm 내지 63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진다. Cy5 형광 파장은 655nm 내지 67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진다.
이송 유닛(630)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610)에 결합되어, 광학 유닛(610)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송 유닛(630)은 챔버의 배치 순서 중 1번 챔버로 진단빔(B)을 수직으로 조사하는 위치로,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고, 기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을 이송한다. 여기서, 이동 간격은 어느 하나의 챔버의 중심과,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챔버 간의 간격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유닛(630)은 이송 레일(631), 이송 벨트(633), 구동 유닛(634), 이송 부재(635)와 체인 부재(636)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631)은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검사 카트리지(300)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송 레일(631)은 이송 부재(63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이다.
이송 벨트(633)는 이송 레일(631)과 나란하게, 검사 카트리지(300)에 대해 이격 설치된다. 이송 벨트(633)에는 구동 유닛(634)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634)은 한 쌍의 구동 풀리(634a)와 구동 모터(634b)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구동 풀리(634a)는 이송 벨트(633)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구동 풀리(634a) 중 어느 하나의 구동 풀리(634a)는 구동 모터(634b)에 결합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구동 풀리(634a)는 구동모터(634b)의 회전시 구동모터(634b)의 회전력을 이송 벨트(633)로 전달한다. 다른 하나의 구동 풀리(634a)는 공회전되면서, 이송 벨트(63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송 벨트(633)에는 이송 부재(635)가 결합된다. 이송 부재(635)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6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이송 부재의 하단부(635a)는 이송 벨트(633)에 결합되되, 이송 벨트(633)의 작동시 이송 레일(63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송 레일(631)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송 부재(635)에는 체인 부재(636)가 결합된다.
체인 부재(636)는 이송 레일(631)을 사이에 두고 이송 벨트(633)와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고, 이송 부재(635)에 결합되어, 이송 부재(63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630)은 구동 모터(634b)의 작동시, 이송 부재(635)가 이송 벨트(633)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광학 유닛(6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이송 유닛(630)은 제1 광학 유닛(611)의 작동시, 제1 광학 유닛(611)의 제1 진단빔(B)이 각각의 챔버(311~318)에 수직 입사되게 이송 부재(635)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이송 벨트(633)가 기설정된 이동 간격만큼 이동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게 작동된다.
이송 벨트(633)의 이동 간격은 어느 하나의 챔버에서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이동 간격이다. 그리고, 이송 벨트(633)의 정지 시간은 제1 진단빔(B)이 제1 광학 유닛(611)에서 조사되고, 제1 진단빔(B)에 대한 광신호(S)가 수신되는 시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진단부(700)는 테스트 시약(10) 및 진단빔(B)의 파장에 따른 광신호(S)에 기초하여, 하나의 검체에 대한 복수의 반응데이터가 획득되고, 반응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체의 검사 결과를 예측한다.
진단부(700)는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챔버 번호와, 각각의 챔버(311~318)에 수용된 테스트 시약(10)의 명칭이 기설정되고, 진단부(700)는 코드 인식부(800)에서 인식된 코드와, 챔버 번호에 따른 반응데이터를 매칭하여, 검사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코드 인식부(800)는 검사 카트리지(300)에 부착된 코드를 인식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용기 장착부(350)에 부착된 카트리지 코드(357)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검사 카트리지(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검사 카트리지(300)는 시약 반응부(310),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필터부재(340)와 용기 장착부(350)를 포함한다. 시약 반응부(310),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필터부재(340)와 용기 장착부(350)는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검사 카트리지(300)에는 바이알 용기(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바이알 용기(200)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용기이다.
용해액은, 용기 장착부(350)로 삽입된 바이알 용기(200)가 용해액 분배부(330)의 유입부(332)에 의해 타공되면, 중력 방향으로, 바이알 용기(200)에서 유입부(332)를 통해 용해액 분배부(330)의 채널부(333)로 흘러 내려가고, 채널부(333)에 마련된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을 타고, 각각의 챔버(311~318)로 흘러 내려가, 각각의 챔버(311~318)에 저장된다.
시약 반응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는 일렬로 이격 배열된다. 여기서, 각각의 챔버(311~318)에는 서로 다른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다. 챔버는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공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약 반응부(310)는 상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끼움홈(319a)이 마련되어, 분배플레이트(331)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된다.
시약 반응부(310)는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끼움홈(319b)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끼움홈(319b)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열과 어긋나게 마련된다. 여기서, 측면끼움홈(319b)은 용기 장착부(350)의 끼움돌기(351)가 결합되는 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에 대해 "제1 챔버(311) 내지 제8 챔버(318)"로 구분지어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챔버(311)은 배치 순서 1번 챔버를 지칭한다. 그리고, 제8 챔버(318)은 배치 순서 8번 챔버를 지칭한다. 다만, 챔버의 개수는 가변가능한 바,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챔버(311~318)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광원 입사부(311a~318a)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원 입사부(311a~318a)에 대해 "제1 광원 입사부(311a) 내지 제8 광원 입사부(318a)"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시약 반응부(310)와 용기 장착부(350) 사이에는 가스켓부재(320), 용해액 분배부(330) 및 필터부재(3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가스켓부재(320)는 각각의 챔버(311~318)을 덮도록, 시약 반응부(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가스켓부재(320)는 각각의 챔버(311~318)로의 용해액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게, 시약 반응부(3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스켓부재(320)에는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핀홀(321)과, 적어도 하나의 가스켓 공기홀(32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핀홀(321)은 각각의 가이드핀(334a ~334h)이 관통가능하는 구멍이다. 핀홀(321)은 가이드핀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된다.
가스켓 공기홀(323)은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적어도 하나의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에어홀(335a~335h)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챔버(311~318)에 연통되게 마련된다. 각각의 가스켓 공기홀(323)은 각각의 에어홀(335a~335h)과 각각의 에어홈(331a ~331h)에 동축 상에 마련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용해액 분배부(330)는 분배플레이트(331), 유입부(332), 채널부(333),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335a~335h)을 포함한다.
용해액 분배부(330)는 바이알 용기(2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바이알 용기(200)로 삽입되어 용해액을 공급받아, 각각의 챔버(311~318)로 용해액을 분배한다. 용해액 분배부(330)는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은 각각의 챔버(311~318)로 삽입되고, 각각의 에어홀은 각각의 챔버(311~318)에 연결되게, 시약 반응부(310)에 적층 결합된다.
분배플레이트(331)는 시약 반응부(310)에 대응되는 규격을 가진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홀(332a)이 마련된다.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면에는 유입부(332)가 마련되고, 하면에는 채널부(333)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이 마련된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상면 가장자리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끼움돌기(331i)가 마련된다.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는 상부 끼움돌기(331i)에 의해 용기 장착부(350)에 끼움결합된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하면 가장자리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끼움돌기(미도시)가 마련된다. 분기플레이트의 하부는 하부 끼움돌기에 의해 시약 반응부(310)에 끼움 결합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유입부(332)는 유입홀(332a)과 동축 상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되어, 바이알 용기(200)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유입부(332)는 상단이 뾰족한 경사면을 가진다. 예로, 유입부(332)는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유입부(332)에는 유입통로(332b)와 유입안내홈(332c)가 마련된다. 유입통로(332b)는 유입홀(332a)의 중심과 동축상에서 경사면을 상하로 관통한다. 유입통로(332b)는 용해액이 바이알 용기(200)에서 채널부(333)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유입안내홈(332c)은 유입구(332)에 마련된 경사면에서 마련된다. 유입안내홈(332c)은 용해액의 흐름을 유입통로(332b)로 안내한다. 즉, 유입안내홈(332c)에 의해, 용해액은 유입부의 경사면의 전면적이 아니라, 경사면에 좁은 폭으로 마련된 유입안내홈(332c)을 타고 졸졸졸 유입통로(332b)로 유동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채널부(333)는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에 마련된다. 채널부(333)는 유입홀(332a)로 흘러들어온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채널부(333)는 기준 채널(333a)과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 채널(333a)은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에서 유입홀(332a)에 연결되는 홈 구조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기준 채널(333a)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된 홈 구조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기준 채널(333a)에서 분기된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마련된다. 또는, 분기 채널(333b1~333b8)은 유입홀(33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된 L형 구조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은 "제1 분기 채널(333b1) 내지 제8 분기 채널(333b8)"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311~318)의 배열에 대응되게,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된다.
가이드핀(334a~334h)은 분기 채널(333b1~333b8)과 연결되는 일면에, 가이드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핀홈(334a-1)이 마련되어,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을 타고 유동하는 용해액의 흐름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334a~334h)에 대해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 가이드핀(334a)은 제1 분기 채널(333b1)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핀(334a)은 제1 챔버(311)로 삽입되어, 제1 챔버(311)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이때, 용해액은 제1 가이드핀(334a)에 마련된 핀홈(334a-1)을 따라 제1 챔버(311)로 흘러 내린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핀(334b)은 제2 분기 채널(333b2)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2 가이드핀(334b)은 제2 챔버(312)로 삽입되어, 제2 챔버(312)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3 가이드핀(334c)은 제3 분기 채널(333b3)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3 가이드핀(334c)은 제3 챔버(313)로 삽입되어, 제3 챔버(313)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4 가이드핀(334d)은 제4 분기 채널(333b4)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4 가이드핀(334d)은 제4 챔버(314)로 삽입되어, 제4 챔버(314)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5 가이드핀(334e)은 제5 분기 채널(333b5)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5 가이드핀(334e)은 제5 챔버(315)로 삽입되어, 제5 챔버(315)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6 가이드핀(334f)은 제6 분기 채널(333b6)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6 가이드핀(334f)은 제6 챔버(316)로 삽입되어, 제6 챔버(316)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7 가이드핀(334g)은 제7 분기 채널(333b7)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7 가이드핀(334g)은 제7 챔버(317)로 삽입되어, 제7 챔버(317)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8 가이드핀(334h)은 제8 분기 채널(333b8)의 끝단에서, 분배플레이트(33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8 가이드핀(334h)은 제8 챔버(318)로 삽입되어, 제8 챔버(318)로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335a~335h)은 분배플레이트(331)를 상하로 관통하되,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각각의 에어홀(335a~335h)은 핀홈(334a-1)이 마련된 가이드핀의 일면의 반대측에서,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의 끝단과 이격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에 대해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1 가이드핀(334a) 내지 제8 가이드핀(334h)의 배열과 나란하게 일렬로 배열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에어홀(335a)은 제1 가이드핀(334a)와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에어홀(335b)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2 가이드핀(335b) 내지 제8 가이드핀(335h)에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제1 에어홀(335a)은 제1 챔버(311)와 연통되어, 제1 챔버(311)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1 에어홀(335a)은 핀홈(334a-1)의 반대측으로, 제1 가이드핀(334a)과 이격 배치된다.
제2 에어홀(335b)은 제2 챔버(312)와 연통되어, 제2 챔버(312)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3 에어홀(335c)은 제3 챔버(313)와 연통되어, 제3 챔버(313)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4 에어홀(335d)은 제4 챔버(314)와 연통되어, 제4 챔버(314)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5 에어홀(335e)은 제5 챔버(315)와 연통되어, 제5 챔버(315)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6 에어홀(335f)은 제6 챔버(316)와 연통되어, 제6 챔버(316)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7 에어홀(335g)은 제7 챔버(317)와 연통되어, 제7 챔버(317)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제8 에어홀(335h)은 제8 챔버(318)와 연통되어, 제8 챔버(318)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분배플레이트(331)에는 각각의 에어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각각의 에어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331a ~331h)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331a ~331h)에 대해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에는 필터부재(340)의 필터돌기(341)가 각각 삽입된다.
제1 에어홈(331a)에는 제1 에어홀(335a)이 마련된다. 제1 에어홀(335a)은 제1 에어홈(331a)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이다. 제1 에어홈(331a)은 제1 에어홀(33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에어홈(331b) 내지 제8 에어홈(331h)에는 각각 제2 에어홀(335b) 내지 제8 에어홀(335h)이 마련된다.
제1 에어홀(335a) 내지 제8 에어홀(335h)은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삽입된 필터부재(340)에 의해 커버된다. 필터부재(340)는 공기는 통과되되, 다른 이물질이 에어홀로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한다. 필터부재(340)는 일면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가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는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341)는 제1 에어홈(331a) 내지 제8 에어홈(331h)으로 각각 삽입되어, 각각의 에어홀(335a~335h)을 덮는다.
용기 장착부(350)는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바이알 용기(200)가 삽입된다. 용기 장착부(350)는 용기삽입공간(353), 적어도 하나의 후크(355) 및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51)와, 카트리지 코드(357)가 마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기삽입공간(353)은 바이알 용기(2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355)는 용기삽입공간(353)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용기삽입공간(353)에 마련된다. 후크(355)는 바이알 용기(200)의 장착홈(218)에 삽입되어,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삽입공간(3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트리지 코드(375)는 테스트 시약(10)이 진행되는 검사 카트리지(300)의 코드명이 기재된 부분이다.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51)는 용기 장착부(350)의 하부로 수직 돌출된 돌기이다.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는 시약 반응부(310)의 측면끼움홈(319b)에 끼움결합된다. 이에 따라, 용기 장착부(350)는 시약 반응부(310)에 결합된다. 용기 장착부(350)와 시약 반응부(310)는 상하로 적층되게 결합된다.
용기 장착부(350)는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삽입공간(353)으로 삽입되면, 후크(355)가 장착홈에 걸리면서 바이알 용기(200)를 측면을 지지하여, 바이알 용기 (200) 내의 용해액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바이알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용해액의 챔버로의 유동시, 용기 장착부(350)는 바이알 용기(200)를 안정적으로 잡아줘, 바이알 용기(2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용해액이 고르게 각각의 챔버(311~318)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검체를 연속 검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바이알 용기(200)가 용기 장착부(350)로 삽입된다. 바이알 용기(200)는 용해액 분배부(330)의 유입부(332)에 의해 하부에 마련된 펀칭레이어가 타공된다. 이에 따라, 바이알 용기(200) 내의 용해액은 유입부(332)를 경유하여 채널부(333)로 유동된다. 이때, 용해액의 흐름은 중력 방향으로 진행된다.
용해액은 채널부(333)의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333b1~333b8)로 분기되어, 각각의 분기 채널(333b1~333b8)의 끝단에 마련된 각각의 가이드핀(334a~334h)의 핀홈(334a-1)을 타고 챔버로 유동된다.
예를 들어, 용해액은 용해액 분배부(330)의 제1 가이드핀(334a)을 타고, 제1 챔버(311)로 유동된다. 용해액 분배부(330)의 제1 에어홀(335a)은 가스켓 공기홀(323)과 연통되어, 제1 챔버(311)에 연결된다.
공기가 제1 에어홀(335a) 및 가스켓 공기홀(323)을 통해 제1 챔버(311)로 유입됨에 따라, 제1 챔버(311)는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용해액은 중력 방향으로 제1 가이드핀(334a)을 타고, 제1 챔버(311)로 흘러 내린다. 여기서, 용해액은 검체가 혼합된 상태이다.
제1 챔버(311)에서, 용해액 내의 검체는 제1 챔버(311)에 수용된 제1 테스트 시약(10)에 혼합된다. 검체와 제1 테스트 시약(10) 간의 검체 반응을 위해, 제1 챔버(311)는 화학 반응에 적합한 온도로 등온 유지된다. 제1 챔버(311)는 히팅부(400)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제1 챔버(311)에는 제1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다. 그리고, 제2 챔버(312) 내지 제8 챔버(318)에는 각각 제2 테스트 시약(10) 내지 제8 테스트 시약(10)이 수용된다. 제1 테스트 시약(10) 내지 제8 테스트 시약(1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시약이 사용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 제1 광학 유닛(611)이 챔버의 배열 방향을 따라, 챔버와 챔버 간의 이동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광학 유닛(611)은 제1 진단빔(B)이 제1 챔버(311)의 제1 광원 입사부(311a)를 향해 수직 입사되게, 이송 유닛(630)에 의해 위치 조정된다. 이어서, 제1 광학 유닛(611)은 제1 진단빔(B)을 제1 챔버(311)의 제1 광원 입사부(311a)로 입사하고, 제1 광원 입사부(311a)에서 반사된 광신호(S)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1 광학 유닛(611)은 이송 유닛(630)에 의해, 제1 진단빔(B)이 제1 챔버(311)의 제2 광원 입사부(312a)로 수직 입사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광학 유닛(611)의 이동 거리는 제1 챔버(311)와 제2 챔버(312) 간의 이동 간격이다. 제1 광학 유닛(611)은 제1 진단빔(B)을 제2 광원 입사부(312a)로 제공하고, 제2 광원 입사부(312a)에서 반사된 광신호(S)를 수신한다.
제1 광학 유닛(611)이 제1 챔버(311)에서 제8 챔버(318)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 제1 광학유닛은 제1 챔버(311) 내지 제8 챔버(318)에 대한 8개의 광신호(S)를 획득한다.
제1 광학 유닛(611)의 작동이 완료되면, 제2 광학 유닛(612)이 제1 챔버(311)의 제1 광원 입사부(311a)로 제2 진단빔(B)을 조사하게, 이송 유닛(63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된다. 제2 광학 유닛(612)도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제1 챔버(311) 내지 제8 챔버(318)에 대한 8개의 광신호(S)를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는 제3 광학 유닛(613)과 제4 광학 유닛(614)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테스트 시약(10)에 대해, 진단빔(B)의 파장 별로 광신호(S)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유닛(611)과 제2 광학 유닛(612), 2개의 광학 유닛에 의해 제1 챔버(311)에 대한 2개의 광신호(S)가 획득되면, 진단부(700)는 각각의 진단빔(B)의 파장에 따른 2개의 광신호(S), 즉, 제1 광학 유닛(611)이 제1 챔버(311)에서 획득한 광신호(S)와, 제2 광학 유닛(612)이 제1 챔버(311)에서 획득한 광신호(S)를 통해, 제1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1 광학 유닛(611) 내지 제3 광학 유닛(613), 3개의 광학 유닛에 의해 제1 챔버(311)에 대한 3개의 광신호(S)가 획득되면, 진단부(700)는 각각의 진단빔(B)의 파장에 따른 3개의 광신호(S)를 통해, 제1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의 테스트 시약(10)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의 진단빔(B)을 연속 조사하여, 각각의 진단빔(B)의 파장에 따른 각각의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광신호(S)를 연속하여 획득하고, 이로부터 각각의 테스트 시약(10)에 대한 검체의 검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한 번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동일 조건에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하나의 흐름으로 연속 진행하여, 채취된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여 검사의 정확도 및 검사의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검체 검사 장치
200: 바이알 용기 300: 검사 카트리지
310: 시약 반응부 311~318: 챔버
311a~318a: 광원 입사부 319a: 상부끼움홈
319b: 측면끼움홈 320: 가스켓부재
321: 핀홀 323: 가스켓 공기홀
330: 용해액 분배부 331: 분배플레이트
331a ~331h: 에어홈 331i: 돌기
332: 유입부 332a: 유입홀
332b: 유입통로 332c: 유입안내홈
333: 채널부 333a: 기준 채널
333b1~333b8: 분기 채널 334a~334h: 가이드핀
334a-1: 핀홈 335a~335h: 에어홀
340: 필터부재 341: 필터돌기
350: 용기 장착부 351: 끼움돌기
353: 용기삽입공간 355: 후크
357: 카트리지 코드 400: 히팅부
500: 방열부 510: 방열핀
520: 방열 송풍팬 600: 광학부
610: 광학 유닛 611a: 광원
611b: 제1 렌즈 611c: 빔스플리터
611d: 제2 렌즈 611e: 제3 렌즈
611f: 포토다이오드 611: 제1 광학 유닛
612: 제2 광학 유닛 613: 제3 광학 유닛
614: 제4 광학 유닛 630: 이송유닛
631: 이송 레일 633: 이송 벨트
634: 구동 유닛 634a: 구동풀리
634b: 구동모터 635: 이송 부재
635a: 이송 부재의 하단부 636: 체인 부재
700: 진단부 800: 코드 인식부

Claims (25)

  1. 서로 다른 테스트 시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로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제공되어, 상기 테스트 시약에 대한 상기 검체의 반응이 수행되는 검체 반응부;
    상기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른 상기 광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는 광학부; 및
    상기 테스트 시약 및 상기 진단빔의 파장에 따른 상기 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검체에 대한 복수의 반응데이터가 획득되고, 상기 반응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검체의 검사 결과를 예측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챔버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광원 입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광학부는 상기 광원 입사부로 상기 진단빔이 입사되게, 상기 검체 반응부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마다 수신된 상기 광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 중 1번 챔버로 상기 진단빔을 수직으로 조사하는 위치로, 상기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고, 기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을 이송하고,
    상기 진단빔의 조사 방향은 상기 광학 유닛의 이송 방향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
    제1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1 광학 유닛;
    상기 제1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2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단빔과 상기 제2 진단빔은 서로 다른 형광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파장은 FAM, HEX, ROX 또는 Cy5로 이루어진 선택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AM 형광 파장은, 510nm 내지 53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상기 HEX 형광 파장은 550nm 내지 580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상기 ROX 형광 파장은 595nm 내지 63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고,
    상기 Cy5 형광 파장은 655nm 내지 675nm 범위 내의 방출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유닛은
    상기 제1 진단빔이 상기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제1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마다의 상기 제1 진단빔에 대한 상기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유닛은
    상기 제2 진단빔이 상기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제2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마다의 상기 제2 진단빔에 대한 상기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
    상기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2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3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진단빔은 상기 제1 진단빔과 상기 제2 진단빔과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학 유닛은
    상기 제3 진단빔이 상기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제3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마다의 상기 제3 진단빔에 대한 상기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은
    상기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3 광학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4 진단빔을 조사하는 제4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진단빔은 상기 제1 진단빔 내지 상기 제3 진단빔과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광학 유닛은
    상기 제4 진단빔이 상기 제1번 챔버로 수직 입사되게 위치 조정된 후,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제4 진단빔을 조사하고, 상기 각각의 챔버마다의 상기 제4 진단빔에 대한 상기 광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챔버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검체 반응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검체 반응부에 대해 이격 설치된 이송 벨트;
    상기 이송 벨트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구동풀리와,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상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유닛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송 벨트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 벨트의 작동시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된 이송 부재; 및
    상기 이송 레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 벨트와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이송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어느 하나의 광학 유닛에서 조사된 진단빔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수직 입사되게 상기 이송 부재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상기 이송 벨트가 기설정된 이동 간격 만큼 이동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게 작동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이동 간격은 상기 어느 하나의 챔버에서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이동 간격이고,
    상기 이송 벨트의 정지 시간은 상기 진단빔이 상기 광학 유닛에서 조사되고, 상기 진단빔에 대한 광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반응부는,
    상기 검체가 혼합된 용해액이 수용된 바이알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 장착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가 일렬로 이격 배열된 시약 반응부;
    상기 바이알 용기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이알 용기로 삽입되어 상기 용해액을 공급받아, 상기 각각의 챔버로 상기 용해액을 분배하는 용해액 분배부; 및
    상기 용해액 분배부와 상기 시약 반응부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를 덮되, 상기 챔버로 상기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각각의 가이드핀이 관통되고, 상기 챔버로 공기가 유동하게 마련된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 반응부의 하부에서, 상기 각각의 챔버로 열을 제공하여, 상기 각각의 챔버가 기설정된 온도로 등온 유지되게 작동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팅부를 방열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챔버에 마련된 광원입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접하여, 상기 챔버로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액 분배부는,
    상기 시약 반응부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유입홀이 마련된 분배플레이트;
    상기 유입홀과 동축 상에서, 상기 분배플레이트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바이알 용기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된 유입부;
    상기 분배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상기 유입홀에 연결되는 기준채널과, 상기 기준채널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된 분기채널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로 흘러들어온 상기 용해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채널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챔버의 배열에 대응되게, 상기 각각의 분기 채널의 끝단에서, 상기 분배플레이트의 하부로 수직 돌출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 및
    상기 분배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되,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해액 분배부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은 상기 각각의 챔버로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에어홀은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결되게, 상기 시약 반응부에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분기채널과 연결되는 일면에, 상기 가이드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핀홈이 마련되어, 상기 분기채널을 타고 유동하는 용해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어홀은 상기 핀홈이 마련된 일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분기채널의 끝단과 이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 채널은 상기 유입홀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상기 기준 채널에서 분기되고, 상기 유입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플레이트에는 상기 각각의 에어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각각의 에어홀의 배열에 대응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홈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에어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각의 에어홀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돌기가 마련된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반응부에 부착된 코드를 인식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챔버의 배치 순서에 따라 상기 챔버 번호와, 상기 각각의 챔버에 수용된 상기 테스트 시약의 명칭이 기설정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코드인식부에서 인식된 코드와, 상기 챔버 번호에 따른 상기 반응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체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테스트 시약에 대한 검체 검사를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검사 방법.
KR1020220029390A 2022-03-08 2022-03-08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KR20230132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90A KR20230132184A (ko) 2022-03-08 2022-03-08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PCT/KR2023/003162 WO2023172060A1 (ko) 2022-03-08 2023-03-08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90A KR20230132184A (ko) 2022-03-08 2022-03-08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84A true KR20230132184A (ko) 2023-09-15

Family

ID=8793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90A KR20230132184A (ko) 2022-03-08 2022-03-08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84A (ko)
WO (1) WO20231720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159B1 (ko) * 2011-12-22 2013-07-17 (주)케이엔알시스템 검사 장치
KR101811786B1 (ko) * 2015-05-14 2017-12-22 바디텍메드(주) 일체화된 반응 및 검출 수단을 구비한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스테이션
EP4279920A3 (en) * 2015-12-03 2024-02-28 C A Casyso GmbH Blood testing system and method
KR20180108578A (ko) * 2016-01-11 2018-10-04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마이크로 형광 측정기, 유체 시스템, 및 플로우 셀 래치 클램프 모듈을 구비하는 검출 장치
KR102074153B1 (ko) * 2017-02-02 2020-02-06 바디텍메드(주) 자동화된 액상 면역반응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2060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2141A1 (en) Radiation Carrier and Use Thereof in an Optical Sensor
US11226279B2 (en) Sample preparation apparatus, sample preparation system, sample preparation method, and particle analyzer
EP1632762B1 (en) Optical detection apparatus for multi-channel multi-color measurement and multi-channel sample analyzer employing the same
JP6258353B2 (ja) 液滴内に含有されるサンプル分析のための光学測定装置及び方法
JP2018509615A (ja) 走査型赤外線測定システム
KR20180090201A (ko) 자동화된 액상 면역반응 분석 장치
KR100948810B1 (ko) 다채널 생물반응기 온라인 모니터링장치
US7812952B2 (en) Device for reading plates bearing biological reaction support microdepositions
JP2014503195A (ja) 生細胞の識別および選別用システム
US20190195684A1 (en) System for Optically Monitoring Operating Conditions in a Sample Analyzing Apparatus
CA3122235A1 (en) Solution collection device with evaluation element
KR102110197B1 (ko) 자동화된 액상 면역반응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JP6439693B2 (ja) 細胞検出方法および細胞検出装置
CN113167647A (zh) 用于芯片实验室分析仪器的光学模块的滤波设备、用于芯片实验室分析仪器的光学模块和用于运行芯片实验室分析仪器的光学模块的方法
KR20230132184A (ko) 검체 검사 장치 및 검체 검사 방법
US100824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cal-based measurement with selectable excitation light paths
EP2522981A1 (en) Compact 2D light detection system for on-chip analysis
KR20230132183A (ko) 검사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66868A (ja) 吸光分析装置および吸光分析方法
JP7185743B2 (ja) 試料調製装置、及び試料調製方法
KR20230132182A (ko) 바이알 용기 및 검사 카트리지
KR102005359B1 (ko) 진단용 검사 장치
US20230073005A1 (en) Pipetting device and a method of processing a fluid sample
JP2023011024A (ja) 試料調製装置の制御方法、試料調製装置の制御装置、試料調製システム及び試料調製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