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990A -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 Google Patents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990A
KR20230130990A KR1020220028274A KR20220028274A KR20230130990A KR 20230130990 A KR20230130990 A KR 20230130990A KR 1020220028274 A KR1020220028274 A KR 1020220028274A KR 20220028274 A KR20220028274 A KR 20220028274A KR 20230130990 A KR20230130990 A KR 2023013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oil
gas
inlet
col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990A/ko
Publication of KR2023013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Abstract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은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를 안정적으로 회수하여 사용함으로써 터보차저 및 엔진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Blow by oil collection unit}
본 발명은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이 구동하여 압축 및 폭발 행정시에 혼합기 또는 연소가스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누설이 발생될 경우 이를 크랭크케이스 에미션 또는 블로우 바이 가스라고 한다.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CCV)(Closed crankcase ventilation)의 경우 엔진에서 발생된 블로우 바이 가스(Blow by gas)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의 흡기부로 재순환 시켜 연소실로 공급하기 전에 에어 클리너를 통해 유입된 외기와 혼합되어 재사용 된다.
일 예로 차량에 터보 차저(turbocharger)가 설치될 경우 엔진의 연소실로 에어 필터를 경유한 공기와 블로우 바이 가스가 혼합되어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터보 차저가 장기간 사용되면서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가 내측에 적층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의 구성은 70-95%가 미연소 가스상태인 탄화수소(HC)이고, 나머지는 연소 가스와 부분 산화된 혼합가스 및 엔진의 높은 열에 의해 증기화된 오일 증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오일 미스트는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여과될 경우 상기 터보 차저로 이동되는 양이 일부에 불과 하나,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충분히 여과되지 못하면서 상기 터보 차저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였다.
상기 터보 차저에 오일 미스트가 적층되는 현상은 터보 차저 파울링(turbocharger fouling)이라 하는데, 상기 터보 차저의 공기량을 감소시키거나 출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 터보 차저의 내부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충돌이 발생될 경우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보 자처의 성능 저하 및 엔진의 완전 연소를 위해서는 상기 터보 차저로 유입되는 블로우 바이 가스에 잔존하는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여 안정적으로 엔진 및 터보 자처가 작동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일본공개특허 JP 2014-114713(공개일: 2014년 06월 26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터보 차저로 블로우 바이 가스가 공급되기 이전에 오일 미스트를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은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2)와, 상기 제1 유입구(1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a); 상기 곡관부(1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구(104)로 연장되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제2 유입구(106)가 형성된 직관부(100b); 및 상기 직관부(100b)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106)와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한 오일 포집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직관부(100b)는 상기 제1유출구(104)와 동심원을 이루며 수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 포집부(2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가스 유입 홀(212)이 원주 방향에 형성된 하우징 부(210);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 상기 필터부(22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2)이 형성된 오일 캡(2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하우징 부(210)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제2 유입구(106)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상기 필터부(220)를 향해 직경이 확장된 제1 가스 유입 홀(212a); 상기 제1 유출구(104)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직경이 축소된 제2 가스 유입 홀(212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은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02)와, 상기 제1 유입구(10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0a); 상기 곡관부(10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곡관부(1000a)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된 통로부(1100)가 형성된 직관부(1000b); 및 상기 통로부(1100)와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해 오일 포집부(2000)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부(11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상기 직관부(1000b)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통로부(1110); 상기 제1 통로부(110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0)를 향해 절곡된 제2 통로부(1120); 상기 제2 통로부(1120)와 독립되어 상기 곡관부(1000a)를 향해 연장된 제3 통로부(1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로부(1120)와 상기 제3 통로부(1130)는 서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통로부(1130)는 상기 곡관부(1000a)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 포집부(20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0); 상기 필터부(220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3 통로부(1120)와 각각 연통되도록 제1,2 연결부(2110, 2120)가 형성된 하우징 부(2100); 상기 필터부(220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10)이 형성된 오일 캡(2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부(2120)는 상기 제1 연결부(211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 예들은 터보 차저로 공급되는 블로우 바이 가스에 오일 미스트가 함께 이동되는 현상이 감소하여 터보 차저에서 파울링으로 인한 출력 감소 또는 엔진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구조적인 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오일 포집부의 손쉬운 탈착이 가능해지고, 점검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를 안정적으로 포집하여 드레인 시켜 사용할 수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이 엔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 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 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통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1)은 엔진(3)에 설치된 터보 차저(Tc)의 내측에 오일 미스트가 포집되지 않도록 후술할 오일 포집부(200, 20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포집하여 터보 차저에서의 파울링 현상을 예방하고 엔진의 안정적인 작동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1)은 에어 클리너(2)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2)와, 상기 제1 유입구(1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곡관부(1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구(104)로 연장되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제2 유입구(106)가 형성된 직관부(10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직관부(100b)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106)와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한 오일 포집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곡관부(100a)와 직관부(100b)는 일체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며 오일 포집부(200)가 상기 직관부(100b)에서 선택적으로 결합 될 수 있어 점검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손쉽게 점검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곡관부(100a)는 일 예로 90도 각도로 연장된 엘보가 사용되나 다른 각도로 연장된 엘보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직관부(100a)와 곡관부(100b)의 직경은 도면에 도시된 크기 보다 증가 또는 감소 될 수 있으며 특별히 도면에 도시된 직경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곡관부(100a)에는 제1 유입구(102)와 제1 유출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구(102)로는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출구(104)로는 상기 제1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후술할 제2 유입구(106)를 통해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된 후에 오일 포집부(200)를 통해 오일 미스트가 필터링된 공기가 혼합되어 터보 차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터보 차저로 공급되는 공기는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터보 차저가 장기간 사용 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울링 현상이 예방되므로 엔진의 연소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유입구(102)는 상기 제2 유입구(106)와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입구(106)의 직경이 상기 제1 유입구(102)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입구(102)는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대부분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하는 제2 유입구(10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구(106)는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용도에 해당되어 상기 제1 유입구(102)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직관부(100b)는 제2 유출구(106)와 동심원을 이루며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될 경우에도 제1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안정적으로 혼합되어 터보 차저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직관부(100b)가 수평하게 연장될 경우 상기 B의 위치에서 난류 발생이 최소화 된 상태로 공기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와류로 인한 문제점이 예방된다.
특히 제2 유입구(106)는 상기 제1 유출구(104)와 동심원을 이루고 있어 블로우 바이 가스가 제1 유출구(104)를 향해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상기 제1 유출구(104)의 중심을 따라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 포집부(2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가스 유입 홀(212)이 원주 방향에 형성된 하우징 부(210)와,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와, 상기 필터부(22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2)이 형성된 오일 캡(230)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포집부(200)는 상기 필터부(220)가 중력 방향으로 오일이 포집 되도록 도면 기준으로 하측을 향해 있어 포집된 오일이 드레인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21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가스 유입 홀(212)이 원주 방향과 길이 방향에서 N*N열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배치된 간격과 직경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블로우 바이 가스가 필터부(220)로 이동되도록 개구된 홀로 상기 제2 유입구(106)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개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하우징 부(210)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배치되는 이유는 가스 유입 홀(202)의 개구된 위치에 따른 블로우 바이 가스의 이동 궤적 및 저항을 고려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미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모두가 일정한 직경으로 개구 되거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제2 유입구(106)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상기 필터부(220)를 향해 직경이 확장된 제1 가스 유입 홀(212a)과, 상기 제1 유출구(104)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직경이 축소된 제2 가스 유입 홀(2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가스 유입 홀(212a) 은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기 위해 개구된 것으로 필터부(220)를 향해 안정적으로 유입되어야 하므로 직경이 확대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블로우 바이 가스는 제1 가스 유입 홀(212a) 을 통해 필터부(220)로 이동될 때 직경 증가로 인한 가스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와 접촉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가 필터부(220)에서 오일 캡(230)으로 드레인 된다.
상기 제2 가스 유입 홀(212b)은 제1 유출구(104) 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있어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건조 가스 상태로 상기 제1 유출구(104)를 향해 이동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필터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필터부(22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된 메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부(220)가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오일 미스트가 접촉되어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 하측으로 드레인 된 후에 후술할 오일 캡(230)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 오일 캡(230)은 직관부(100b)의 내측 원주 방향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드레인 홀(232)이 형성되어 있어 포집된 오일을 손쉽게 외측으로 드레인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1a)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02)와, 상기 제1 유입구(10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0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곡관부(10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곡관부(1000a)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된 통로부(1100)가 형성된 직관부(1000b) 및 상기 통로부(1100)와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해 오일 포집부(20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에 대한 포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후술할 통로부(1100)가 U자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오일 포집부(2000)가 통로부(1100)의 하단 위치에 결합되어 있어 중력 방향으로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가 하강되어 포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곡관부(1000a)는 일 예로 90도 각도로 연장된 엘보가 사용되나 다른 각도로 연장된 엘보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곡관부(1000a)에는 제1 유입구(1002)와 제1 유출구(100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구(1002)로는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출구(1004)로는 상기 제1 유입구(1002)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후술할 제2 유입구(1006)와 오일 포집부(2000)를 통해 오일 미스트가 필터링된 공기가 혼합되어 터보 차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터보 차저로 공급되는 공기는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장기간 터보 차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파울링 현상이 미 발생되어 안정적인 작동과 엔진의 연소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직관부(1000b)에 형성된 통로부(11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상기 직관부(1000b)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통로부(1110)와, 상기 제1 통로부(110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0)를 향해 절곡된 제2 통로부(1120)와, 상기 제2 통로부(1120)와 독립되어 상기 제1 유입구(1002)를 향해 연장된 제3 통로부(1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로부(1100)는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부(1000b)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2 통로부(1120)는 후술할 필터부(2000)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절곡되어 오일 포집부(2000)와 연통된다.
제3 통로부(1130)는 오일 포집부(2000)에서 필터링된 가스 상태의 블로우 바이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0)의 상측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후에 곡관부(1000a)의 내측과 연통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통로부(1110, 1120, 1130)가 형성될 경우 오일 포집부(2000)로의 블로우 바이 가스에 대한 유입은 용이하게 유도하고, 상기 제3 통로부(1130)를 통한 배출은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건조 가스 상태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곡관부(1000a)로 공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오일 미스트에 대한 포집 효율은 향상시키고 터보 차저로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통로부(1120)와 상기 제3 통로부(1130)는 서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 예로 제3 통로부(1130)가 제2 통로부(1120)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통로부(1130)가 형성되는 이유는 필터부(2200)에서 필터링 된 블로우 바이 가스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 포집부(20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0)와, 상기 필터부(220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3 통로부(1120)와 각각 연통되도록 제1,2 연결부(2110, 2120)가 형성된 하우징 부(2100)와, 상기 필터부(220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10)이 형성된 오일 캡(230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2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 부(2100)는 제1,2 연결부(2110, 21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상기 직관부(1000a)의 하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연결부(2120)는 상기 제1 연결부(211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필터부(2200)를 통해 필터링 된 오일 미스트의 이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제1 연결부(2110) 보다 길게 연장된다.
오일 캡(2300)은 드레인 홀(2310)이 형성되어 있어 필터부(2200)에서 필터링된 오일 미스트에 대한 저장 또는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3 통로부(1130)는 상기 곡관부(1000a)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3 통로부(1130)가 이와 같이 연장되는 이유는 제1 유입구(1002)를 통해 유입된 외기와 혼합에 따른 와류 현상을 최소화 하여 터보 자처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a, 1000a : 곡관부
100b, 1000b : 직관부
200, 2000 : 오일 포집부
102, 1002 : 제1 유입구
104, 1004 : 제1 유출구
106, 1006 : 제2 유입구
210, 2100 : 하우징 부
212: 가스 유입홀
220, 2200 : 필터부
230, 2300 : 오일 캡
1100 : 통로부
1110 : 제1 통로부
1120 : 제2 통로부
1130 : 제3 통로부
2110 : 제 1 연결부
2120 : 제 2 연결부

Claims (11)

  1.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2)와, 상기 제1 유입구(1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a);
    상기 곡관부(1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구(104)로 연장되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제2 유입구(106)가 형성된 직관부(100b); 및
    상기 직관부(100b)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106)와 연통되고,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한 오일 포집부(200)를 포함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부(100b)는 상기 제1 유출구(104)와 동심원을 이루며 수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도록 가스 유입 홀(212)이 원주 방향에 형성된 하우징 부(210);
    상기 하우징 부(2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
    상기 필터부(22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2)이 형성된 오일 캡(230)을 포함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하우징 부(210)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홀(212)은 상기 제2 유입구(106)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상기 필터부(220)를 향해 직경이 확장된 제1 가스 유입 홀(212a);
    상기 제1 유출구(104)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에서는 직경이 축소된 제2 가스 유입 홀(212b)로 이루어진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6. 에어 클리너를 경유한 외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제1 유입구(1002)와, 상기 제1 유입구(1002)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후에 상기 제1 유입구(1002)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터보 차저로 이동되도록 타측이 개구된 제1 유출구(1004)를 포함하는 곡관부(1000a);
    상기 곡관부(1000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곡관부(1000a)를 향해 굴곡지게 연장된 통로부(1100)가 형성된 직관부(1000b); 및
    상기 통로부(1100)와 연통되고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대한 포집을 위해 오일 포집부(2000)를 포함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가 상기 직관부(1000b)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통로부(1110);
    상기 제1 통로부(1100)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0)를 향해 절곡된 제2 통로부(1120);
    상기 제2 통로부(1120)와 독립되어 상기 곡관부(1000a)를 향해 연장된 제3 통로부(1130)를 포함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부(1120)와 상기 제3 통로부(1130)는 서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로부(1130)는 상기 곡관부(1000a)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포집부(2000)는 상기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2200);
    상기 필터부(220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3 통로부(1120, 1130)와 각각 연통되도록 제1,2 연결부(2110, 2120)가 형성된 하우징 부(2100);
    상기 필터부(2200)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2200)에 의해 필터링된 오일이 드레인 되도록 드레인 홀(2310)이 형성된 오일 캡(2300)을 포함하는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2120)는 상기 제1 연결부(211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외측으로 연장된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KR1020220028274A 2022-03-04 2022-03-04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KR20230130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274A KR20230130990A (ko) 2022-03-04 2022-03-04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274A KR20230130990A (ko) 2022-03-04 2022-03-04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90A true KR20230130990A (ko) 2023-09-12

Family

ID=8802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274A KR20230130990A (ko) 2022-03-04 2022-03-04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9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713A (ja) 2012-12-07 2014-06-26 Toyota Motor Corp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713A (ja) 2012-12-07 2014-06-26 Toyota Motor Corp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9701C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rankcase emissions
CN101549331B (zh) 复式油气分离方法及复式油气分离器
US10881996B2 (en) Swirling flow generator for gas-liquid separation
CN205445694U (zh) 涡轮增压器和内燃发动机
US20090241515A1 (en) Exhaust condensation separator
WO2016132570A1 (ja) デミスタ、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舶用エンジン
CN205422850U (zh) 涡轮增压器和内燃发动机
CN2856434Y (zh) 旋流离心式呼吸器
KR20230130990A (ko) 블로우 바이 오일 포집 유닛
CN209179895U (zh) 一种发动机用气门室罩盖总成
JP6003476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
CN108104901A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装置
US9938869B2 (en) Internal charge air feed from rocker cover integrated intake runners
KR20090065384A (ko) 실린더 헤드커버의 블로바이 가스내 오일 포집 장치
US9982590B2 (en) Internal-combustion-engine supercharger
JP2007120431A5 (ko)
JP2007120431A (ja) オイル分離装置
CN104948262A (zh) 一种油气分离器
CN210460803U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装置
CN109469531B (zh) 一种曲轴箱通风系统油气分离器总成及车辆
US20060272626A1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rankcase emissions
CN209308849U (zh) 一种气门室罩盖
CN206753688U (zh) 一种柴油机用呼吸器
CN209818139U (zh) 油气分离装置及具有其的发动机
JP6730175B2 (ja) Egrクーラ